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15 20:29:07

미래 트랭크스

트랭크스(미래)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본편 세계의 트랭크스}}}에 대한 내용은 [[트랭크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트랭크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트랭크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본편 세계의 트랭크스: }}}[[트랭크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트랭크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트랭크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5px; display: inline-table"<tablebgcolor=#ffa500><tablebordercolor=#ffa500>
파일:드래곤볼 Z 로고.png
드래곤볼 Z
Z전사 목록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손오공(드래곤볼)|
파일:오공 카카로트.png
]]
[[손오반|
파일:손오반 우주 서바이벌.png
]]
[[피콜로(드래곤볼)|
파일:피콜로 극장판 편.png
]]
[[크리링|
파일:크리링 인조인간 편.png
]]
손오공 손오반 피콜로 크리링
[[야무치|
파일:야무치 이미지.png
]]
[[천진반|
파일:천진반 이미지.png
]]
[[차오즈|
파일:차오스 이미지.png
]]
[[미래 트랭크스|
파일:미래 트랭크스 이미지.png
]]
야무치 천진반 차오즈 미래 트랭크스
[[베지터|
파일:베지터 인조인간 편.png
]]
[[트랭크스|
파일:트랭크스 마인부우 편.png
]]
[[손오천|
파일:오천 마인 부우 편.png
]]
베지터 트랭크스 손오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0 -10px"
#!wiki style="margin: 0 -10px"
}}}}}}}}} ||
<colbgcolor=#00bfff><colcolor=#fff> 트랭크스
トランクス|Trunks
<nopad> 파일:돗칸 미트.png
본명 트랭크스 (トランクス, Trunks)
생년 AGE 766년 11월 21일
신체 170cm[a], 60kg[a]
취미 기계 만지기
좋아하는 음식 편의점 도시락[3]
좋아하는 탈것 타임머신
1인칭 오레, 보쿠
가족 아버지 베지터
어머니 부르마
[ 더 보기 ]
친할아버지 베지터왕
외할아버지 브리프
외할머니
삼촌 타블[A]
숙모 구레[A]
테마곡[6]
[ 펼치기 · 접기 ]

1. 개요2. 특징3. 담당 성우4. 성격5. 작중 행적6. 인간관계7. 전투력
7.1. 변신
7.1.1. 초사이어인7.1.2. 초사이어인 제2형태7.1.3. 초사이어인 제3형태7.1.4. 초사이어인 27.1.5. 초사이어인 분노
7.2. 기술
8. 테마곡9. 기타10. 둘러보기11. 관련 문서

1. 개요

만화 《드래곤볼》의 등장인물. 손오공이 심장병으로 죽고, 이로 인해 목표를 잃고 폭주한 인조인간 17호와 18호에 의해 인류멸망 직전까지 내몰린 미래에서 타임머신을 타고 본편 세계를 찾아온 트랭크스다.

편의상 미래 트랭크스라 부르지만 사실 근미래 평행세계에서 찾아온 트랭크스로 엄밀히 말하자면 미래세계 트랭크스(Futureverse Trunks)로 부르는 방식이 올바를지도 모르겠다.

드래곤볼의 메인 스토리가 전개된 소위 본편 세계의 미래에서 찾아온 시간 여행자지만, 그의 개입으로 인해 세계선이 갈라져 결국 본편 세계의 미래는 이 트랭크스가 사는 세계와는 완전히 달라졌다.

2. 특징

파일:3ffd2e7460b0c0f64fbadd6348c5dc9e.jpg
인조인간 편에서 3년 전, 프리저 군이 지구를 침공해 왔을 때 Z전사들보다 한발 앞서 프리저와 대치했던 정체불명의 소년. 첫 등장때부터 초사이어인으로 변신해 프리저콜드 대왕을 손쉽게 해치우며 실로 강한 인상을 주었다. 허나 당시 베지터의 언급에 의하면 생존한 사이어인은 오반까지 포함해도 고작 셋 뿐이었기 때문에 그 존재 자체에 의구심을 자아냈었다.

이후 본인이 밝힌 바로는 인조인간들로 인해 지옥이 된 미래에서 타임머신을 타고 날아온 미래의 트랭크스라는 것. 더 정확히는 적어도 2년 후에나 태어날 부르마베지터 사이의 혼혈 사이어인이라고 언급한다. 첫 등장 당시 미래에 대한 불길함을 예언해주고, 훗날 다시 나타나 셀과 싸울 때까지 Z전사들의 든든한 아군이 되는 캐릭터다.

목적은 자신의 세계가 변하지 않더라도 평화로운 세계가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고, 덤으로 과거에서 인조인간의 약점을 찾거나 손오공을 불러 인조인간의 처단을 요청하기 위함이었다. 평화를 위한 트랭크스의 노력으로 과거가 차츰 변하기 시작하고, 끝내 미래 트랭크스의 세계에도 영향을 끼치면서 이후 드래곤볼의 흐름에도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편 세계관의 베지터와는 엄밀히 말해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남남이라고 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베지터의 부정(父情)과 가족애를 드러내는 캐릭터라고 할 수 있다. 일찍 요절해 얼굴조차 보지 못한 베지터에 대한 기대감을 안고 과거로 왔으나, 사이어인의 본성과 승부에만 충실한 아버지에게 실망을 드러내기도 했다. 허나 이윽고 싸움을 거치며 베지터가 가진 숨겨진 부정을 이끌어내게 됐고, 본인도 그것을 깨닫고 과거의 실망을 청산하고 새로운 관계로 나아가게 된다.

보통 맨손으로 싸우는 다른 Z전사들과는 달리[7] 첫 등장 때 무기로 자신의 검을 써서 프리저의 부하들과 프리저마저 순식간에 썰어버리는 위엄을 보여주며, 매우 강렬한 임팩트를 남겼다. 이 검은 18호에게 깨진 그 이후로는 쓰이지 않게 되었다가, 드래곤볼 슈퍼 시점에서 다시 제작해서 사용하게 된다. 전투력 자체에 큰 영향을 미치는 건 아니지만, 들고 있어야 마음이 편해진다고.

준수한 외모와 검을 주력으로 쓴다는 차별화된 전투방식, 현대적 복장이라 더욱 부각되는 디자인[8], 미래를 바꾸기 위해 과거로 도약한 전사라는 독특한 캐릭터성과 비장하고 완성도 높은 서사, 베지터와 부르마의 아들이라는 충격적인 설정 등으로 연재 당시 큰 인기를 끌었으며, 인기 투표에서는 항상 손오공과 함께 TOP 3 안에 들었었다. 아예 등장이나 언급조차 없었던 마인 부우 편에서도 오공과 베지터 바로 다음인 3위를 했던 것을 보면 그 영향력을 실감할 수 있다.

사실 인조인간편은 스토리 자체가 난잡한 것도 있지만 이로 인해 모두가 정신적 성장과 행복을 맞이한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기 때문에 트랭크스 말고 오반이나 베지터도 또하나의 주인공이라고 해석해서 손색이 없다. 오반의 경우에는 노계왕신이 잠재능력을 개방해주기 전까지 인생 최고의 전성기를 맞이하였으며, 냉혈한이었던 베지터 역시 아들과 소중한 사람에 대한 사랑을 깨닫게 된다.

외모는 어머니의 머리색과 아버지의 눈매를 물려받아 날카로운 느낌의 훤칠한 미남이지만, 장난기 가득하고 활기 넘치는 현재 시대의 트랭크스와 달리 어렸을 때부터 처절하게 살아남기 위한 투쟁을 해온 탓에 보다 처연한 면모가 돋보이는 편.

정사 기준으로는 본편 세계의 트랭크스가 메인이고, 이쪽은 평행 우주의 인물이니 어디까지나 사이드에 불과하지만 인기는 미래 트랭크스 쪽이 압도적으로 높다. 작품을 보고 있으면 미래 트랭크스와 “현대 트랭크스”(본편 베지터와 부르마의 친아들) 중에서 어느쪽이 베지터의 친아들인지 헛갈릴 정도다. 그도 그럴것이 미래 트랭크스는 홀로 남은 마지막 전사란 처절함과 비장미, 그럼에도 희망을 잃지않는 모습, 드래곤볼에선 보기드문 검사 캐릭터, 상대방에게 예의를 잊지 않는 존댓말 캐릭터, 부성애를 갈구하는 여린 마음 등등 남녀 가리지 않고 선호될만한 속성이 가득한 반면“현대 트랭크스”는 평화로운 세상에서 편하게 사는 재벌집 도련님이니 미래 트랭크스가 인기와 인지도가 더 높은 것은 필연이라 할 수 있다.

3. 담당 성우

일본
쿠사오 타케시[9]
한국
VHS 지미애[10] (인조인간편, 초반)
최문자 (인조인간편, 중후반)
투니버스 김장 (구극장판)
최원형 (TVA, 부활의 F)
대원 이경태
영어권
알리스테어 아벨 (오션 프로덕션)
에릭 베일 (퍼니메이션)


VHS판의 경우 제작 여건상[11] 여자 성우인 지미애와 최문자 둘이 맡았는데 모두 17세 소년인 트랭크스를 연기하기엔 미스 캐스팅이라는 말이 있다.[12]

이후 투니버스에서 재더빙할때는 최원형 성우가 맡았는데 최원형 성우가 샤우팅도 잘 지르고 이런 남자 캐릭터들을 많이 연기했던 성우이기도 해서 호평을 들었다. 여담으로 최원형 성우는 미래 트랭크스가 굉장히 정중하고 예의바른 캐릭터라 연기할때 이런 부분들이 많이 힘들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후 극장판 부활의 F에서도 대사가 겨우 프리저!! 한마디 뿐인데 캐스팅이 유지됐다.

현역인 이경태는 카이 녹음 당시에는 신인인 관계로 맥아리 없는 목소리로 좋지않은 평을 받았지만 슈퍼 녹음에 들어서는 평가가 좋아지고 있다.[13]

구극장판의 김장은 무난한 평가를 받았으나 TV판에서 담당한 손오반의 평이 더 좋다.

4. 성격

불우한 환경에서 자랐음에도 불구하고 인격적으로도 나무랄 데가 없는 그야말로 엄친아. 기본적으로 예의 바르고 친절함은 물론 배려심까지 깊다. 이러한 성격은 스승인 손오반의 영향을 크게 받은 듯한데, 온화한 성격을 가진 손오반이 그랬던 것 처럼 미래 트랭크스도 다른 사이어인들과 달리 싸움을 즐기지 않는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살려두면 위험하다 판단한 적은 반드시 죽이려고 한다. 그렇기에 일단 죽이기로 마음 먹은 상대에겐 일말의 자비를 베풀지 않고 단숨에 처단하는 냉철한 측면도 보여준다.

이러한 성격들은 인조인간들에게 소중한 사람을 잃고 불우하게 자랐던 성장 배경이 원인이 되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대의 트랭크스가 마인 부우를 보고 싶어 하고 천하제일무술대회에서 어른들과 싸워 보고 싶어 하는 등 동일 인물임에도 호전성이 뚜렷한 것을 보면 명백하다. 게다가 GT의 트랭크스나, 슈퍼 히어로의 성장한 트랭크스의 성격이 여전히 밝고 가벼운 점을 고려해보면 확실히 불우한 성장 배경에 영향을 받은 듯. 그나마 미래 트랭크스가 인조인간 사건 이후 시간의 계왕신을 만나 타임 패트롤러가 된 세계를 배경으로 하는 제노버스의 트랭크스는 그 진중한 성격은 여전하면서도 어느 정도 밝고 농담도 하는 성격이 되기는 했다.

미래 트랭크스가 가진 아군에겐 상냥하고 친절하지만 적에겐 한없이 냉혹하고 자비가 없는 이 성격은 작품 내에서도 여실히 드러나는데, 작중 처음 맞서게 된 적들 중 메카 프리저와 콜드 대왕을 망설이지 않고 죽였고 강해진 이후 미래 세계로 돌아가서 인조인간 17호, 인조인간 18호을 불과 몇 합 만에 끔살 해버린다. 을 처치할 때도 재건중인 도시의 파괴를 피하기 위해 넉백 공격으로 도시 외곽으로 날려버린 후 속전속결로 파괴했다.[14]

또한 적을 처치할 때 수단을 가리지 않아서 셀게임에서도 굳이 셀이 하자는대로 1 대 1 대결을 하지말고 다 같이 셀을 다굴해서 죽여버리자고 주장하는 등 싸움에서는 오직 실리만을 추구한다. 이러한 성격은 미래에서 순혈 사이어인들의 호전성이 낳은 안좋은 결과들을 보고 자란 덕분에 더 심해졌을 가능성이 크다.[15] 셀 전 막바지에선 셀에게 목숨을 잃었던 적도 있었으니.

이런 트랭크스의 철저한 면은 베지터가 셀을 완전체로 만들어주려고 하자 그가 한 대사에서 확연히 나타난다. "전 그딴 거엔 흥미 없어요...! 지옥 같은 미래는 이제 지긋지긋하다고요...! 아버지를 쓰러뜨리는 한이 있더라도 전 셀의 완전체를 막을 겁니다!" 물론 베지터는 "네가? 아버지인 나를 감히 쓰러뜨릴 수 있을 거 같냐?"라고 넘기지만 트랭크스는 진짜로 베지터를 향해 큰 에너지파 공격을 날렸다.[16] 그리고 그 이후 셀이 18호를 흡수하는데 성공하며 변신을 하기 시작하자 안 그래도 상대하지 못했던 강적이 얼마나 더 강해질지 알 수 없어서 신전에서 두려워하며 가만히 있었던 피콜로, 너무 약해서 아무것도 할 수 없었던 크리링정지 직전 상태16호, 완전체가 된 셀을 박살낼 생각에 들떠하며 일부러 기다려준 베지터와는 달리 트랭크스는 변신하고 있는 셀에게 다가가서 곧바로 맹공격을 퍼부었다. 물론 셀이 변신하기 시작할 때 보호막이 생겨서 결국 아무런 피해도 주지 못했지만.

그러나 18호가 셀에게 발견되었을 때에는 의외로 본인이 18호를 파괴하려는 발상은 하지 않고 발각되었다는 걸 알리기 위해 18호를 향해 크게 소리치기만 하였다. 당시 인조인간과 Z전사들이 이미 셀을 공동의 적으로 두긴 했지만 정식으로 적대 관계를 청산하진 않았으므로[17] 트랭크스의 이 처사는 의외로 자비로운 것이었다.[18][19] 훗날 베지터가 미스터 부우를 처단하려 했던 것과 많이 비교된다.

5.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래 트랭크스/작중 행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래 트랭크스/작중 행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래 트랭크스/작중 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인간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래 트랭크스/인간관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래 트랭크스/인간관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래 트랭크스/인간관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전투력

<nopad> 파일:합체 대 미래.gif
vs 합체 자마스 [20]
첫 등장 때부터 이미 초사이어인이 될 수 있었다. 당시 막 지구로 돌아온, 인조인간 편 3년 전 시점의 오공 다음 가는 수준의 강함을 가지고 있었던 셈. 이후 본격적으로 인조인간 편에 돌입하지만, 어째서인지 이 세계의 인조인간들은 미래의 인조인간들 보다 더 강해져 있었고, 이대로라면 승산이 없다는 사실을 본인도 인지했는지 손오공의 수련에 순순히 따라 나선다. 이때 등장한 게 정신과 시간의 방. 여기서 초사이어인 2형태와 3형태를 체득하고 인조인간 17호와 18호는 물론, 17호를 흡수한 2단계 셀까지 쉽게 이길 정도로 강해졌지만 새로운 적인 완전체 에겐 전혀 대적하지 못했고, 정신과 시간의 방에 두번 들어가고 나서 치른 최종전에선 셀 주니어와 호각으로 싸울 정도로 묘사된다.

미래 트랭크스의 전투력이 전성기에 도달했던 시기로는 첫번째로 정신과 시간의 방에서 나온 직후인데, 이때 기준으론 2형태 셀보다 확실히 강하며, 당시 최강이었던 베지터와 거의 대등했던 작중 최강자였다. 안타깝게도 이때 베지터가 혼자 셀과 먼저 싸우고 멋대로 셀을 완전체로 만들어버려 트랭크스는 강함을 뽐낼 겨를도 없었다. 등장할 때의 임팩트와 수려한 외모 대비 활약이 부족해 아쉬움을 남기는 캐릭터.

이후 드래곤볼 슈퍼 시점에선 훨씬 파워업해서 재등장한다. 코믹스를 기준으로 초사이어인 2에 도달했으며, 풀파워로는 오공의 초사이어인 3에 필적하는 수준이라고. 그럼에도 오공 블랙에게는 대적할 수 없었는데, 일반 초사이어인 정도만 사용할 수 있었던 시절의 블랙에게조차 간신히 도망치는게 고작인 정도이고, 어느 정도 블랙이 파워업한 이후로는 노멀 상태의 블랙에게도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초 3오공에게 순식간에 패배하고, 블루 베지터에게도 완패했다. 아직 초 2 수준이였던 것.

하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초사이어인 분노를 각성한 뒤부터는 블루 오공과 베지터 둘을 혼자서 맞상대하던 초사이어인 로제와도 호각으로 싸울 수 있게 됐으며, 신의 경지에 다다른 전투력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합체 자마스에게 모두의 원기를 모아서 베지트조차 끝내지 못했던 합체 자마스에게 치명적인 일격을 먹이고 그 육체를 멸하는 것에 성공하나 자마스가 우주와 동일화되어 완전히 끝내진 못했다.

반면에 코믹스에서는 초사이어인 분노같은 파워업도 없고, 원기검으로 합체 자마스를 상대하지도 못해서 기습적으로 합체 해제를 버티려고 있는 자마스를 일도양단한 정도의 활약밖에 못했다. 즉 코믹스는 애니메이션보다 시작은 강했으나, 로제 블랙을 상대로 비빌 수 있었던 애니메이션보다 약한 셈.

작중에서 묘사되는 트랭크스의 전투력을 개괄하면 다음과 같다.

7.1. 변신

7.1.1. 초사이어인

파일:돗칸 초1미트.jpg
초사이어인
본편에선 콜드 대왕과 메카 프리저를 상대할 때 처음 변신했다. 이전까지 최강의 악역이었던 프리저를 순식간에 해치워버리는 인상적인 행적을 남겼다.

7.1.2. 초사이어인 제2형태

파일:트랭크스 초사이어인 2단계.png
초사이어인 제2형태
초사이어인 제2형태 변신이다. 셀 2단계를 견제할 때 변신하였다.

구극장판에서는 베지터와 트랭크스가 브로리편과 보자크편때 이 변신을 사용했었다.

7.1.3. 초사이어인 제3형태

파일:돗칸 초1미트 제3형태.png
초사이어인 제3형태
완전체로 변한 셀에게 대항하기 위해 변신했다. 파워는 셀을 능가했지만 속도가 느리며 체력 소모가 심하다는 단점이 발목을 잡아 셀에게 패배하고 만다. 비대한 근육과 동공이 없어진다는 점에서 브로리를 연상시킨다는 점이 특징.[25]

7.1.4. 초사이어인 2

파일:돗칸 초2미트(화질열화).png
초사이어인 2
드래곤볼 슈퍼 코믹스 16화에서 처음 변신한다.[26] 손오공이 셀을 완전히 압도했었던 그때의 오반 이상이라고 평했다.[27] 트랭크스 자신도 인조인간들을 쓰러뜨린 이후에도 10년 이상 수련했다고 이 힘에 나름 자부심을 표시할 정도였고, 어린 트랭크스도 오천크스로 초사이어인 3를 경험한 적이 있음에도 미래의 자신을 보고 엄청나게 놀라는 모습을 보였다.

이 변신에서 풀파워를 내자 초사이어인 3 오공이 당황해 갓으로 변신할 정도였고 베지터는 초사이어인 3 오공과 동급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TVA에서는 전력이어도 초사이어인 3 오공한테 일격에 패배했다.

7.1.5. 초사이어인 분노

파일:돗칸 원기검.png
초사이어인 분노
초사이어인 2의 날카로움과 초사이어인 블루의 푸른 기운이 뒤섞인 미래 트랭크스의 최종 변신이다. 초반에 브로리 같이 눈동자가 없어보이는건 초사이어인 3형태의 오마주로 보인다. 외형상 초사이어인 2와 비슷한 듯 하지만 머리가 더욱 길어지고 블루같은 푸른 기에 초사이어인처럼 노란 기가 덧씌워져 있다. 이전의 변신들보다 훨씬 더 강력하며 합체 자마스와도 서로 호각으로 맞붙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변신 원리는 불명확하다. 미래 트랭크스가 베지터와의 대련에서 신의 기를 경험한 덕분에 도달했다는 추측이 있으며[28] 같은 혼혈 사이아인인 손오반이 손오반 비스트라는 변신 루트가 있는 것을 보면 분노로 각성하는 변신 루트가 혼혈만의 특징일 가능성도 있다.[29]

원기검을 사용하는 상태에서는 기의 형태가 푸르게 발산한다. 악한 자에게 큰 데미지를 주는 원기옥의 특징 덕분에 합체 자마스를 압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7.2. 기술

게임에서 명명된 기술은 ☆, 슈퍼부터 나오는 기술은 ★로 표시. 원작에서부터 나오는 대부분의 기술은 게임시리즈에서 명명되었다.

8. 테마곡

Z 시절 테마곡으로 카게야마 히로노부가 부른 光の - 意力(Hikari no WILL POWER)가 있으며, 이후 게임으로 발매된 드래곤볼 진무투전/드래곤볼Z 울티메이트 배틀과 드래곤볼 파이널 바우트에서 미래 트랭크스의 테마곡으로도 사용되었다.

준공식적인 테마곡으로는 Battle Point Unlimited, 캐릭터 송으로는 たったひとりの戦士(The Lone Warrior)가 있다.

9. 기타

10.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
<tablebgcolor=#ffa500><tablebordercolor=#ffa500>
파일:드래곤볼 로고.png
드래곤볼
사이어인 목록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00"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순수 사이어인
제7우주
[[손오공(드래곤볼)|
파일:오공 카카로트.png
]]
[[베지터|
파일:베지터 인조인간 편.png
]]
[[내퍼|
파일:내퍼 이미지.png
]]
[[라데츠|
파일:라데츠 이미지.png
]]
[[버독|
파일:버독 이미지.png
]]
[[버독(드래곤볼 슈퍼)|
파일:버독 이미지 2.png
]]
손오공 베지터 내퍼 라데츠 버독 버독 (超)
[[타레스|
파일:타레스 이미지.png
]]
[[브로리|
파일:브로리 이미지.png
]]
[[브로리(신극장판)|
파일:브로리 이미지 2.png
]]
[[파라가스|
파일:파라가스 이미지.png
]]
[[파라가스(신극장판)|
파일:파라가스 이미지 2.png
]]
[[베지터 왕|
파일:베지터 왕 이미지.jpg
]]
타레스 브로리 브로리(超) 파라가스 파라가스(超) 베지터 왕
[[토마(드래곤볼)|
파일:토마 이미지.png
]]
[[토테포|
파일:토테포 이미지.png
]]
[[펌브킨|
파일:팜프킨 이미지.png
]]
[[세리파|
파일:세리파 이미지.png
]]
[[기네|
파일:기네 이미지.png
]]
[[타블|
파일:타블 이미지.png
]]
토마 토테포 펌브킨 세리파 기네 타블
[[야모시|
파일:야모시 이미지.jpg
]]
[[샬롯(드래곤볼)|
파일:샬롯 이미지.png
]]
[[지블렛(드래곤볼)|
파일:지블렛 이미지.png
]]
야모시 샬롯 지블렛
제6우주
[[캬베|
파일:캬베 이미지.png
]]
[[카리프라|
파일:카리프라 이미지.png
]]
[[케일(드래곤볼)|
파일:케일 이미지.png
]]
캬베 카리프라 케일
육체 탈취
파일:기뉴 손오공1.png [[베이비 베지터|
파일:베이비-정면.png
]]
[[오공 블랙|
파일:오공 블랙 이미지.png
]]
<nopad> 기뉴 (체인지) 베이비 오공 블랙
혼혈 사이어인
[[손오반|
파일:손오반 우주 서바이벌.png
]]
[[트랭크스|
파일:트랭크스 마인부우 편.png
]]
[[미래 트랭크스|
파일:미래 트랭크스 이미지.png
]]
[[손오천|
파일:오천 마인 부우 편.png
]]
[[팡(드래곤볼)|
파일:팡 이미지.png
]]
[[부라|
파일:부라 이미지.png
]]
손오반 트랭크스 미래 트랭크스 손오천 부라
합체 사이어인
[[오천크스|
파일:오천크스 이미지.png
]]
[[베지트|
파일:베지트 이미지.png
]]
[[오지터|
파일:오지터 이미지.png
]]
[[합체 자마스|
파일:합마스-정면.png
]]
[[케프라|
파일:케프라 이미지.png
]]
오천크스 베지트 오지터 합체 자마스 케프라
생체학적 불명
[[셀(드래곤볼)|
파일:셀 4차 형태.png
]]
[[바이오 브로리|
파일:바이오 브로리 이미지.png
]]
[[인조인간 21호|
파일:인조인간 21호 악의 이미지.png
]]
바이오 브로리 인조인간 21호
}}}}}}}}}}}} ||

11. 관련 문서


[a] 변신 시 신장/체중 증가가 있을 수 있음.[a] 변신 시 신장/체중 증가가 있을 수 있음.[3] 편의점 도시락을 좋아하는 이유는 황폐해진 미래 세계에서 제대로 된 음식을 먹어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A] 미래 트랭크스는 만난 적이 한 번도 없으며 존재도 모른다.[A] [6] 미래 마이와의 공동 테마곡이다.[7] 그동안 드래곤볼에서 무기를 자주 쓰던 아군은 여의봉을 쓰던 어린 시절의 손오공과 일본도를 쓰는 야지로베 정도였는데, 이미 미래 트랭크스 등장 한참 이전에 여의봉과 야지로베는 전력 외가 되었고 거의 맨손격투만 나오던 와중에 등장해서 더 튄다.[8] Z전사들의 복장은 주로 무협물을 연상시키는 도복 아니면 SF물의 전투복 둘 중 하나인 뿐인데 드래곤볼에서 거의 유일하게 현대적 복장이라 오히려 돋보인다.[9] 트랭크스 이전에 Z 16화 에서 "피게로" 란 역으로 먼저 나온적이 있다.[10] 투니버스에선 부르마를 담당.[11] 그나마 남자 성우는 김민석이 있었지만 이미 베지터를 비롯해 수많은 배역들을 담당하고 있었고 다른 출연한 남자 성우들인 박규웅, 이종구, 유재상, 임성표, 정동열같은 성우들은 트랭크스로 캐스팅하기엔 사실상 무리이다보니 여자 성우들로 캐스팅한 것으로 보인다.[12] 그나마 지미애는 성숙한 미소년도 잘 소화하는지라 후반부에 교체된 최문자보다는 비교적 낫다는 평가를 들었다. 최문자 같은 경우엔 미래 트랭크스는 평이 좋진 않지만 현대의 어린 트랭크스는 잘 소화해냈다.[13] 미래 트랭크스 편에서 처절함의 끝을 달리는 트랭크스를 보여줬다는 평이 많다.[14] 애니메이션에선 두 인조인간과 싸울 때 약간 시간을 끌긴 했지만 18호는 원작 기준 단 한 번에, 17호는 2번의 공격으로 순식간에 죽이고, 셀은 에네르기파를 발사할 시간조차 안 주고 히트 돔 어택으로 밀어서 소멸시켰다. 셀은 원작에서도 약간 시간을 끈 인상도 있지만 이마저도 먼저 언급했듯 재건 중인 도시를 보호하려는 목적과 셀을 죽이기 위해서 세포 단위로 태워버릴 기공파가 효과적이라 지구에 피해가 가지 않게 공중으로 띄운 것이라 시간이 끌린 것이다.[15] 이런 부분은 사이어인이라는 설정이 최초로 밝혀지는 사이아인편에서 Z전사들에게 승리의 단초를 제공한다. 사이아인편의 메인 빌런들인 라데츠, 네퍼, 베지터의 전투는 모두 압도적 개인이 다수를 상대하는 구도였지만 전투력 차가 많아 각개격파 하면 순식간에 끝내버릴 수 있었다. 하지만 전투를 즐기는 사이아인의 특성 때문에 전투를 고양이가 쥐 가지고 놀듯 즐기다 역전의 빌미를 재공했다.[16] 물론 그런 공격에 당할 베지터가 아니었지만 예상 외의 거센 에너지파 공격에 베지터는 잠깐 긴장했으나 이내 트랭크스의 공격을 씹어냈다. 원작에서는 놀라는 정도로 끝나지만 애니메이션에선 그걸 맞고 날아가 버린다. 바다 위에 누워서 정말로 쏘다니 이러면서 멍해 있다가 입가를 닦고 묻어나오는 피를 보고 열받아서 날아가는 장면이 압권. 하지만 그 사이 셀은 태양권으로 트랭크스와 크리링, 인조인간 18호, 인조인간 16호의 눈을 멀게 한 뒤 18호를 흡수하여 완전체가 되어버렸다. 물론 이건 베지터의 의도대로지만 문제는 완전체 셀이 베지터는 상대도 안될 정도로 강했다는 것.[17] 당장 근처에 있던 크리링도 원래는 18호를 정지-파괴시킬 목적으로 찾아왔었다. 셀이 떠나간 후, Z전사와 딱히 악연도 없었던 16호가 도움을 요청할 때에도 트랭크스는 화난 표정으로 거절하려 했을 정도로 인조인간에 대한 악감정이 깊었다.[18] 다른 의견으로는 근처에 크리링이 있어서 소리를 지르는게 한계라는 추측도 있다. 만약 잘못 공격하다간 크리링도 부상을 입을지도 모르고 만일 피했다면 다른 인조인간들도 당연 피했을테니 그 사이 크리링을 인질삼을지도 몰랐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있다.[19] 분량을 늘려야 하는 애니판에선 셀을 날려버린 뒤 18호 바로 앞까지 와서는 순삭시키긴 커녕 빨리 도망가라고 외쳐서 더욱 위화감이 커졌다. 심지어 이 때엔 트롤링을 저지르던 아버지 베지터도 자신이 날려버린 상황이라 방해될 요소가 전무했다. 사심이 있는 크리링은 그렇다 치고 트랭크스는 왜...[20] 이때 합체 자마스는 거대화하는 실수를 저질러서 스피드가 하락한 상태였다. 그리고 자마스는 순식간에 불사의 육체로 회복한 후 트랭크스를 밀어붙인다.[21] 미래 손오반에게 미래 인조인간 17호는 "지난번엔 풀파워의 반밖에 사용하지 않았다."라고 했던 것이나 정신과 시간의 방에서 트랭크스가 파워업한 사실을 모르고 "장난감이 하나 줄겠지만 상관없다."라고 말한 후 트랭크스에게 당한것을 보면 적당히 싸운 것으로 보인다.[22] 셀이 온 미래세계에서는 자신의 미래보다 3년 후의 시점에서 셀에게 죽고, 드래곤볼이 없어서 부활도 못한다.[23] 다만 오오라는 스파크가 일어나는 초사이어인 2와 동일할 정도로 강한 초사이어인이긴 했다.[24] 다만 이게 트랭크스의 전투력을 판단할 요소는 아니다. 마인 부우 편에서도 초 3오공과 호각이였던 순수 부우를 초 1 오공이 원기옥으로 소멸시키기도 했다. 즉 원기검이 전투력에 크게 보정을 준 것.[25] 사실 브로리의 디자인 모티브는 트랭크스의 이 변신에서 따오게 되었다.[26] TVA에서는 49화.[27] 그렇다고 오반 이상의 잠재력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28] 실제로 미래 트랭크스는 초사이어인 블루 베지트의 기를 보고 경악하는 모습을 보였다. 신의 기 특징상 신의 기를 다룰 수 있는 자가 아니면 느낄 수 없다. 다만 이 설정은 오락가락하는 면이 있어서 애매한 면이 많다.[29] 다만 손오반 비스트는 오렌지 피콜로처럼 잠재능력이 해방된 상태에서 또다시 각성하여 도달한 변신이기 때문에 초사이어인 2 상태에서 각성을 이룬 초사이어인 분노와는 차이점이 있다.[30] 사실 일반적인 연속 기탄기나 다름없지만 게임시리즈에서 정식 기술로 채택되었다.[31] 다만 20호가 원작에서처럼 도망쳐서 17호 일행을 각성시키는데 성공했고, 이때 오공이 건재한 상황이라면 16호에게 오공이 살해당하는 최악의 상황이 되었을 확률이 높다. 이러면 순간이동이 불가능해져서 신 나메크성의 드래곤볼로 오공을 살리지도 못할테고, 오반이 초사이어인이 되더라도 정신과 시간의 방 수련 없이는 인조인간에게 전혀 상대가 안 될 터이니.[32] 그나마 신들이 정상참작을 해줘서 자마스가 깽판치기 전의 시간대로 보내주었다. 물론 자마스는 소멸시킨 뒤에. 다만 또다른 미래 트랭크스와 마이가 있는 세상이라 원래 세계를 지키지 못했다는 죄책감은 그대로일 터이다.[33] 단, 이건 손오반이 트랭크스의 시간대에서는 그에게 있어 친형이나 다름없는 존재이자 스승이었으며 생명의 은인이기도 했다는 점이 크게 작용했을 것이다. 아직 자신보다 어린 모습이어도 엄연히 미래에서는 자신의 손윗사람이자 은인이었던 사람에게 함부로 대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34] 손오반도 현대 트랭크스한테는 트랭크스 군이라고 부르고, 미래 트랭크스한테는 트랭크스 씨라고 부르며 존대한다.[35] 심해지면 말하고 무시당하는걸 즐기는 묘사가 나올정도.[36] 사실 토리야마의 작화 스타일 자체가 원작 연재 시절보다 둥글둥글하고 왜소하게 바뀐 점이 크다. 완전판에서 새로 그려진 마쥬니어 편의 치치나 셀 편의 부르마만 해도 원작보다 작은 체구로 그려졌고, 신극장판의 블루 오공이나 베지터의 컨셉 아트도 원작 후반부의 근육질 체형에 비해 왜소해 보인다.[37] 물론 이 둘의 전투력을 생각하면 같이 가는 것이 불가능할 수준이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