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23:34:15

폐건물/목록/경상북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폐건물/목록
대한민국 국내 폐건물의 위치 정보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과거 목록

1. 경산시2. 경주시3. 고령군4. 구미시5. 김천시6. 문경시7. 봉화군8. 상주시9. 성주군10. 안동시11. 영덕군12. 영양군13. 영주시14. 영천시15. 예천군16. 울릉군17. 울진군18. 의성군19. 청도군20. 청송군21. 칠곡군22. 포항시

1. 경산시

1960년대 영국스타일 건물 누가 왜 지었나?

2. 경주시

3. 고령군

4. 구미시

5. 김천시

6. 문경시

7. 봉화군

8. 상주시

9. 성주군

10. 안동시

11. 영덕군

12. 영양군

13. 영주시

14. 영천시

15. 예천군

16. 울릉군

17. 울진군

18. 의성군

19. 청도군

20. 청송군

21. 칠곡군

22. 포항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7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7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천주교 대구대교구 사제. 1953년 4월 11일 사제 서품. 1994년 11월 24일 사망했다.[2] 본래 한성여자초급대학은 4년제 대학 승격을 준비하면서 경주에 제2캠퍼스 조성 계획을 수립, 이곳에 땅을 매입하고 생활관을 착공했으나 경주시에서 이 대학이 도시의 성격과 어울리지 않는다는 이유로 반려하고 대신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를 유치하면서 계획이 무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건물 형식이나 내부 구조를 보면 생활관이라고 하기에는 부적절하다.[3] 건물 맞은편에 '고려병원 앞(건너)'라는 정류소도 있었으나 사라졌다. 로드뷰와 구미시 시내버스 개편시기를 비교해보면 2015년 개편 때 사라진 듯하다.[4] 2018년 2월 로드뷰 기준으로 도로를 새로 포장하면서 입구 도로도 포장되었지만 그것말고는 아무것도 없이 방치중이다.[5] 당시 주변 풍경은 사람이 걸어서 지나가기 좋게 구성되어서 수요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현대에서도 "왜 고속화도로 옆에 모텔이 있지? 일부러 지었나?" 할 수 있을 만한 곳들 역시 이와 비슷한 이유로 도로 옆에 건물이 놓여진 것이다. 즉, 고속화도로보다 먼저 지어진 곳이고 그 당시에는 사람이 찾아가기 더 편했을 것.[6] 무속인과 고스트헌터가 폐건물을 방문하면서 나오는 이야기들을 다루는 유튜브 채널이다. 폐건물의 외관과 내부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다만 한 때 댓글에서는 저 건물주 혹은 건물에 대해 아는 사람으로 추정되는 이들이 말하기를 "장사가 안 되어서 접었다"라는 식의 글이 올라온 적이 있다고 한다. 해당 방송 역시 방송 내용에 대한 주의사항을 언급하니 믿는 것은 개인의 선택에 따르자[7] 혹은 지하1층에 따로 운영하는 주점이 있지만, 미신고하고 운영했을 수도 있다.[8] 확인해보니 불량휘발유를 파는 업체로 밝혀져서 폐업한 것으로 보인다[9] 위 유튜브 영상 링크를 보면 리모델링 자재들이 병원 침대로 보인다. 여기에 엘리베이터가 꽤 깨끗해보이는 모습, 2층에 호실번호가 써진 것을 보면 이전 모텔 때의 방 혹은 병원 호실로 추정.[10] 도배나 바닥공사만하면 완공되었을 정도로 창문이나 화장실의 타일, 칸막이, 변기까지도 붙어있었으며 현재는 모든 창문이 깨져있다 산 바로 앞에 있는 탓에 한 여름 낮에 가도 시원한 바람이 불고 조금 어두운 탓에 으스스한 분위기가 난다.[11] 사실 이따위 건물을 매입하는 사람의 의도는 하나밖에 없다. 헐값에 사서 바가지를 씌워 비싸게 팔아 시세차익을 남기기 위해서이다. 그거 말고는 도통 쓸모가 없는 건물이기 때문이다.[12] 최근에는 영화 경성학교인천 상륙 작전의 촬영지로서 일부배경으로 나오기도 했다.[13] 모바일에서 위치가 표시가 안될 경우 '36.8960, 129.2069'로 검색하면 된다.[14] 다만 주유소 LED 전광판은 꺼지지 않은 상태이다.[15] 이 외에도 인근에 비슷한 도로명주소인 1745-512번지를 사용하는 건물도 있으나, 이 곳은 폐가는 아니며 한 달에 몇 번 정도 산일을 하러 오는 땅주인의 숙소이다.[16] 여기는 tvN여고추리반2의 촬영지였다.[17] 주변에 아파트가 들어선 지금도 폐건물로 흉흉하게 남아있다.[18] 바다 한복판이라 로드뷰가 없다. 내부 사진은 # 여기서 볼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