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8 19:43:01

푸조 404

파일:1927-36 푸조 로고.png
파일:Peugeot_404_thumbnail_image.jpg
파일:404-logo.png

1. 개요2. 상세
2.1. 404 베를리네 (1960~1975)2.2. 404 카브리올레 (1961~1968)2.3. 404 쿠페 (1962~1968)2.4. 404 브레이크 (1962~1972)2.5. 404 카미오네뜨 (1967~1988)
3. 제원4. 파생 모델5. 기타6. 미디어7. 경쟁 차종8. 둘러보기

1. 개요

1966년 푸조 404 영국 시장 광고
푸조가 왜 이렇게 많은 랠리에서 승리했을까요? 바로 푸조의 완벽함 때문입니다. 완벽은 푸조 404를 세계에서 가장 잘 만들어진 7대 자동차 중 하나로 만듭니다.
Why has peugeot won so many rallies? It's Peugeot Perfection paying off. the Perfection that makes Peugeot 404 One of the 7 best made cars of the world.
- 1966년 영국 시장 광고에서.

"푸조 404"프랑스의 자동차 제조사이자 현 스텔란티스 산하의 푸조에서 생산했던 중형 세단이다.

출시 당시부터 단종 시기까지, 수려한 디자인과 우수한 내구성, 높은 성능과 동체급 고급 세단들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무장하여 서독에서는 E클래스와 비슷한 테일 핀 스타일링 덕분에 일명 "프랑스제 벤츠 (Der Französische Mercedes)"라는 별명이 생길 정도로 전세계적으로 사랑받았다.

이 덕에 기본형인 베를리네와 파생형들 포함 토탈 2,885,374대가 생산되어 밀리언셀러 라인에 들었으며, 푸조의 황금기라는 포문을 최초로 열은 모델이라는 평을 얻었다.

특히 404는 1969년 기준 2,700$라는 가격으로 미국 시장에 진출했는데, 이는 당시 화폐가치 기준 4,000만원 정도의 가격으로, 동급 세단인 메르세데스-벤츠 W110보다 저렴하면서도 동급의 성능으로 호평을 받았으며, 이 밖에도 아프리카 일대와 남미 대륙에서도 라이센스 생산이 타진되면서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

각 국에서 생산, 판매된 404들은 조금씩 차이가 존재하는데, 영국이나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냐와 같은 좌측통행 국가들은 우핸들 사양이었으며, 아르헨티나의 경우에는 전면 범퍼가 보강, 가장 오랫동안 생산된 아프리카와 남미 등지에서는 사이드 미러가 개선되는 등의 여러 차이점들이 있었다.

60년대에 생산된 차량들이 그러하듯, 초창기에는 사이드미러가 존재하지 않거나, 옵션으로만 존재했다. 이후 자동차 안전법이 개정되며 규제에 맞춰 사이드미러가 공식적으로 포함되었다.

후속 모델은 푸조 504푸조 405로, 해당 모델들 또한 전세계적으로 대인기를 구가하며 선대의 명성을 이어갔다.

2. 상세

2.1. 404 베를리네 (1960~1975)

파일:Peugeot_404_sedan.jpg
Peugeot 404 Berline
404 시리즈 중 기본형이 되는 모델로, 전후방 좌석 모두 벤치형 시트를 채용하고 있었다.

1950년대, 푸조는 403 모델을 판매하면서 큰 수익을 얻게 되었지만, 점차 시대에 뒤쳐진 403을 대체하기 위한 신형 차량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사내에서 제기되었고, 이에 1950년대 말부터 신형 세단의 설계 및 개발을 진행하게 되었다.

특히, 당대 디자인 트랜드를 반영하기 위해, 푸조에서는 디자인 관련 작업을 피린파리나에 주문하였고, 피린파리나가 이에 응답하여 신형 세단의 디자인을 완벽하게 작업하였다.

이를 본 푸조 임원들은 매우 흡족해했으며, 신형 세단의 이름은 전임인 403을 계승한다는 의미에서 "404"로 칭해지게 되었다. 새롭게 탄생한 404는 홍보를 위해 1960년 5월 9일, 일부 언론인들 앞에서 먼저 시범을 보였는데, 이 때 푸조에 초대되어 404 시승식에 참여한 사람 중에는 소피 데스마레도 있었다. 언론인들에게 호평을 듣고난 뒤, 익일인 5월 10일에는 무려 200대의 404를 탑승한 푸조 직원들이 일제히 파리 시내를 횡단하며 사람들에게 노이즈 마케팅을 하였고, 5월 11일부터 공식적으로 404를 생산하기에 이른다.

동년 5월 13일에 푸조는 돔 드 파리에서 404를 발표하였으며, 당시 주문 가능한 색상은 탱고 레드, 피죤 화이트, 그리고 라군 블루와 같이 강렬한 채색이었다.

1963년, 푸조는 404에 쿠겔피셔의 직분사 장치를 장착한 XCKF 엔진을 적용하였으며, 이는 전세계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선례가 되었고,특히 연료 직분사식으로 카뷰레타와 다르게 더 높은 마력과 토크를 이끌어내면서 고성능 모델로 자리매김 하였다. 이듬해인 1964년에는 디젤 모델의 개선이 이루어져 보쉬제 펌프를 장착한 XD88 엔진으로 교체되었다.

1963년부터 본격적으로 모터스포츠에 참가하기로 한 푸조에서는 404를 기함으로 내세웠는데, 동아프리카 사파리 랠리 총 4회 우승, 우간다 랠리 총 2회 우승, 당가니카 1000마일 랠리에서도 2회 우승을, 아르헨티나 투어 랠리에서도 2회 우승하면서 전세계에 푸조의 기술력을 알렸으며, 상기한 광고에서도 나올 정도로 이는 푸조의 자긍심이 되었다.

상세 사양으로는 총 6개가 있었는데, 그란 투리스모(Grand Tourisme), 수퍼 럭스(Super Luxe), 8 콩포르(8 Confort), A8, 디젤 엔진을 장착한 D, DA이며, 국가 별 특화 사양으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XM7 엔진을 얹은 사양과, 미국 시장 전용 사양이 따로 있었다.

출시 시기인 1960년부터 단종 시기인 1975년까지 15년간 약 1,672,395대가 전세계에서 생산되었다.

2.2. 404 카브리올레 (1961~1968)

파일:404_peugeot_cabriolet.jpg
Peugeot 404 Cabriolet
404 베를리네를 기반으로 하되, 새로운 차체를 사용하여 제작된 404의 2도어 파생형으로, 소프트탑 캔버스를 채용한 형식의 컨버터블이다. 실질적으로 404의 부품 다수를 이용한 다른 자동차라 봐도 무방한데, 특히 베를리네 후방에 있던 테일 핀 스타일이 다듬어져 흔적만 남았던 것이 대표적으로, 자매차로는 404 쿠페가 있다.

1961년부터 1968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도합 10,387대가 생산되었다.

2.3. 404 쿠페 (1962~1968)

파일:Coupe_Peugeot_404.jpg
Peugeot 404 Coupé
404 쿠페는 역시 404 베를리네의 부품 다수를 유용해 만들어진 파생 모델로, 자매차인 카브리올레와 동시기에 개발이 되었지만 실제 출시는 1년 정도 늦은 1962년이었다. 404 카브리올레에서 차체 루프를 하드탑으로 변경하였으며, 이 외의 차이점은 없다. 1962년부터 1968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도합 6,837대가 생산되었다.

2.4. 404 브레이크 (1962~1972)

파일:peugeot_404_stationcar.jpg
Peugeot 404 Break
404 세단을 기반으로 하여 D필러를 증축하고 해치 도어로 변경한 스테이션 왜건 파생형으로, 각 사양에 따라, 꼼므시알르(Commerciale), 파밀리아레(Familiale), 그리고 뒷좌석이 없는 패널 밴 스타일의 푸르고네뜨(fourgonnette) 총 3개의 사양으로 판매되었다.

이 중, 기본형이라 할 수 있는 꼼므시알르는 기존 베를리네에서 D필러를 추가한 5인승 스테이션 왜건, 파밀리아레는 기존 브레이크에서 3열 좌석을 추가해 7인승으로 만든 사양이다. 마지막으로 푸르고네뜨는 꼼므시알르와 파밀리아레가 단종된 1971년부터 1972년까지 1여년간 생산된 사양으로, 기존 브레이크 시리즈에서 뒷좌석을 없앤 밴 모델인데, 시장에서 인기가 없던 탓에 금방 단종되었다고 한다.[1]

404 파밀리아레는 160,246대가, 404 꼼므시알르와 푸르고네뜨[2]를 합쳐 233,486대가 생산되었으며 도합 393,732대가 생산되었다.

2.5. 404 카미오네뜨 (1967~1988)

파일:404_camionette.jpg
Peugeot 404 Camionnette bâchée
404 카미오네뜨는 404 베를리네를 기반으로 하여, 뒷좌석을 없애고 대신 짐칸을 얹은 파생형으로, 일반 픽업, 철제 스테이크 필러가 부착되어 호로를 씌울 수 있는 딜리버리 트럭 버전, 적재함이 없는 섀시 캡, 그리고 적재함을 올릴 수 있는 덤프트럭 총 4개의 사양으로 생산되었다.

1967년 경, 푸조 403 카미오네뜨가 단종 처리를 밟게되자 푸조 측에서는 새로운 쿠페 유틸리티의 개발을 진행했으며, 403이 그러했던 것 처럼, "견고하면서도 성능은 뛰어난 중형 차량"에 완전히 부합하는 404 베를리네를 기반으로 404 카미오네뜨 시리즈가 세상에 출시되었다.

처음에 출시된 404 카미오네뜨는 철제 적재함에 스테이크 필러가 부착되어 호로를 씌울 수 있는 딜리버리 트럭 사양의 404 U8였으며, 총 850kg을 적재 가능했다. 이후 일반 픽업 버전과, 섀시 캡 버전, 덤프트럭 버전이 차례로 출시되었고, 404 U10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되어 적재 용량이 950kg으로 증가하였으며, 아르헨티나, 케냐 등지에서도 라이센스 생산 및 푸조 현지 공장에서 생산을 진행하였다.

특히 성능이 우수하고, 튼튼하다고 전세계에서 호평받았던 404 베를리네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동급 경쟁 차량이 없었던지라 프랑스 본토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대륙과 남미 대륙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다.

프랑스 본토에서는 1979년에 재고차량을 소진하며 단종되었지만, 케냐 푸조 공장과 아르헨티나 푸조 공장에서 1988년까지 생산하였으며 도합 802,023대가 생산되면서 404 베를리네 다음으로 가장 많이 생산된 푸조 404라는 기록을 세웠다.

3. 제원

404
<colbgcolor=#234794><colcolor=#fff> 생산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소쇼 푸조 공장, 알자스 뮐루즈 푸조 공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포르투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포르투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벨기에|{{{#!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벨기에}}}{{{#!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호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호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호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빅토리아주 멜버른 하이델버그 공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뉴질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뉴질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템스 CMI[3] 공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퀘벡 주 생브루노드몽타르빌 SOMA[4] 공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르헨티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르헨티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부에노스아이레스 엘 팔로마르 SAFRAR 공장. 베라자테기 SAFRAR 공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칠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칠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칠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로스 안데스 AFC SA[5] 공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콜롬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콜롬비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보고타 CCA 공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우루과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우루과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페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페루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페루}}}{{{#!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남아프리카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남아프리카 공화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트란스발 나탈스프뤼트 공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케냐|{{{#!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케냐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케냐}}}{{{#!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몸바사 공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나이지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나이지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마다가스카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마다가스카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말레이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말레이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차량형태 4도어 중형 세단
2도어 중형 쿠페
2도어 중형 컨버터블
5도어 중형 스테이션 왜건
5도어 중형 패널 밴
2도어 중형 쿠페 유틸리티
승차인원 5명[6], 7명[7], 2명[8]
전장 4,442mm[9]
4,580mm[10]
4,490mm[11]
전폭 1,620mm[12]
1,680mm[13]
1,720mm[14]
전고 1,450mm[15]
1,490mm[16]
1,430mm[17]
1,380mm[18]
2,120mm[19]
공차중량 1,070kg[20]
1,175kg[21]
1,080kg[22]
1,125kg[23]
1,210kg[24]
연료탱크 56L
연비 10L / 100km
구동방식 앞엔진-뒷바퀴굴림(FR)
최고속력 115km/h~160km/h[25]
전륜 현가장치 코일 스프링 서스펜션
후륜 현가장치 리지드 액슬 서스펜션
전륜 제동장치 드럼 브레이크[26], 디스크 브레이크[27]
후륜 제동장치 드럼 브레이크
파워트레인
<rowcolor=#fff> 엔진 엔진 형식 흡기 방식 배기량 최고 출력 토크 변속기
XB 카뷰레터식 가솔린 직렬 4기통 자연흡기 1,468cc 66ps / 5,000rpm 35.83~37.19kpf 4단 수동변속기
3단 ZF 자동변속기
XC 1,618cc 72~80ps / 5,400~5,600rpm 39.46~42.63kpf
XCKF 연료 분사식 가솔린 직렬 4기통 1,618cc 85~90ps / 5,500~5,700rpm 45.81~47.17kpf
XD85 연료 분사식 디젤 직렬 4기통 1,816cc 55ps / 4,000rpm 39.91kpf
XD88 1,948cc 68ps/ 4,500rpm 36.28kpf

4. 파생 모델

5. 기타

6. 미디어

}
푸조 404가 등장하는 영화 모음

7. 경쟁 차종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000>
파일:푸조 로고.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000,#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555555,#aaaaaa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colbgcolor=#000000> 경차 - 107 · 108 · 이온
소형차 208 201 · 202 · 204 · 304 · 104 ·
106 · 205 · 206 · 207
준중형차 308 · 301 · 408 305 · 309 · 306 · 307
중형차 508 146 · 203 · 401 · 403 · 404 · 504 ·
505 · 405 · 406 · 407
준대형차 - 604 · 605 · 607
대형차 - 402 · 601
스포츠카 - RCZ
소형 SUV 2008 -
준중형 SUV 3008 · 408 4007 · 4008
중형 SUV 5008 -
MPV 트래블러 1007 · 5008(1세대) · 806 ·
807 · J5 · J7 · J9
상용차 파트너 · 엑스퍼트 · 박서 비퍼 · D3 · D4
픽업트럭 랜드트렉 호거 · 픽업
LMH 9X8
LMP1 908 HDi FAP · 908
그룹 C 905
콘셉트 카 907 · SR1 · 오닉스인셉션EX1
기갑차량 오토블린데 푸조 146
시트로엥의 차량
DS 오토모빌의 차량
오펠의 차량
복스홀의 차량
}}}}}}}}}}}}}}} ||



[1] 트럭인 카미오네뜨에 딜리버리 트럭 사양이 있기 때문에 포지셔닝이 애매했다는 듯.[2] 푸르고네뜨는 다른 사양들과 달리 단독으로 집계가 되지 않고 꼼므시알르와 같이 집계되었다.[3] Campbell Motor Industries[4] Société de Montage Automobil[5] Automotores Franco Chilena SA[6] 베를리네, 리무쟁 꼼므시알르[7] 파밀리아레[8] 쿠페, 카브리올레, 구급차, 카미오네뜨, 푸르고네뜨[9] 베를리네[10] 리무쟁 꼼므시알르, 파밀리아레, 카미오네뜨, 푸르고네뜨[11] 카브리올레, 쿠페[12] 베를리네, 리무쟁 꼼므시알르, 파밀리아레, 푸르고네뜨[13] 카브리올레, 쿠페[14] 카미오네뜨[15] 베를리네[16] 리무쟁 꼼므시알르, 파밀리아레, 푸르고네뜨[17] 카브리올레[18] 쿠페[19] 카미오네뜨[20] 베를리네[21] 리무쟁 꼼므시알르, 파밀리아레, 푸르고네뜨[22] 카브리올레[23] 쿠페[24] 카미오네뜨[25] 엔진과 변속기마다 차이가 있음.[26] 1968년 이전[27] 1968년 이후[28] 이 사람들을 다른 말로는 찬당(chân đăng, 蹎登)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