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e0e18, #bd1220 20%, #bd1220 80%, #8e0e18);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뷔르템베르크 왕조 | |||
프리드리히 | 빌헬름 1세 | 카를 | 빌헬름 2세 | |
왕비 뷔르템베르크 공작 · 뷔르템베르크 선제후 · 뷔르템베르크 가문 수장 | }}}}}}}}} |
프리드리히 관련 틀 | ||||||||||||||||||||||||||||||||||||||||||||
|
뷔르템베르크 왕국 초대 국왕 프리드리히 Friedrich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이름 | 프리드리히 빌헬름 카를 (Friedrich Wilhelm Karl) |
출생 | 1754년 11월 6일 |
프로이센 왕국 포메른 트렙토우안데어레가[1] | |
사망 | 1816년 10월 30일 (향년 61세) |
독일 연방 뷔르템베르크 왕국 슈투트가르트 | |
재위 | 뷔르템베르크 공국의 공작 |
1797년 12월 23일 ~ 1803년 2월 25일 | |
뷔르템베르크 선제후국의 선제후 | |
1803년 2월 25일 ~ 1806년 8월 6일 | |
뷔르템베르크 왕국의 왕 | |
1806년 8월 6일 ~ 1816년 10월 30일 | |
신체 | 212cm, 200kg |
배우자 |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아우구스테 공녀 (1780년 결혼 / 1788년 사망) |
프린세스 로열 샬럿 (1797년 결혼) | |
자녀 | 빌헬름 1세, 카타리나, 파울 |
아버지 | 뷔르템베르크 공작 프리드리히 2세 오이겐 |
어머니 | 브란덴부르크슈베트의 프리데리케 |
형제 | 루트비히, 오이겐, 조피 도로테아, 빌헬름, 페르디난트, 프리데리케, 엘리자베트, 빌헬미네, 카를, 알렉산더, 하인리히 |
종교 | 루터교회 |
서명 |
1. 개요
뷔르템베르크 왕국의 초대 국왕.2. 가족관계
2.1. 조상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프리드리히 1세 (Friedrich I) | <colbgcolor=#fff3e4,#331c00> 프리드리히 2세 오이겐 (Friedrich II Eugen von Württemberg) | <colbgcolor=#ffffe4,#323300> 뷔르템베르크 공작 카를 알렉산더 (Karl Alexander von Württemberg) | |
뷔르템베르크비넨탈 공 프리드리히 카를 (Friedrich Karl von Württemberg-Winnental) | |||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의 엘레노어 율리아네 (Elenore Juliane von Brandenburg-Ansbach) | |||
투른탁시스의 마리 아우구스테 (Marie Auguste von Thurn-Taxis) | |||
투른탁시스 공 안셀름 프란츠 (Anselm Franz von Thurn-Taxis) | |||
로브코비츠의 마리아 루도비카 (Maria Ludovika von Lobkowicz) | |||
브란덴부르크슈베트의 프레데리케 (Frederike von Brandenburg-Schwedt) | |||
브란덴부르크슈베트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Friedrich von Brandenburg-Schwedt) | |||
브란덴부르크슈베트의 필리프 빌헬름[2] (Philipp Wilhelm von Brandenburg-Schwedt) | |||
안할트데사우의 요한나 샤를로테 (Johanna Charlotte von Anhalt-Dessau) | |||
프로이센의 조피 도로테아 (Sophie Dorothea von Preußen) | |||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Friedrich Wilhelm I) | |||
하노버의 조피 도로테아[3] (Sophia Dorothea of Hanover) |
2.2. 자녀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자녀 |
1남 | 빌헬름 1세 (William I) | 1781년 9월 27일 | 1864년 6월 25일 | |
러시아의 예카테리나 파블로브나 여대공 슬하 2녀[4] | ||||
뷔르템베르크의 파울리네 테레제 공녀 슬하 1남 2녀[5] | ||||
1녀 | 베스트팔렌의 왕비 카타리나 (Catherine, Queen of Westphalia) | 1783년 2월 21일 | 1835년 11월 29일 | 제롬 보나파르트 슬하 2남 1녀 |
2남 | 파울 왕자 (Prince Paul) | 1785년 1월 19일 | 1852년 4월 16일 | 작센힐트부르크하우젠의 샤를로테 공녀 슬하 3남 2녀[6] |
막달레나 드 크레우스 시메네스 |
3. 여담
- 위에 있는 사진에서도 보이듯이, 키 212cm, 몸무게 200kg의 거구였다. 이에 관련된 한 일화가 있는데, 나폴레옹이 프리드리히에게 "피부가 이렇게 늘어날줄은 몰랐다."라고 농담했는데, 프리드리히는 "나폴레옹의 머리처럼 작은 머리에 독이 얼마나 들어갈지 궁금하다"며 받아쳤다고 한다...
- 파벨 1세의 황후 조피 도로테아의 친오빠다. 따라서 조피 도로테아의 자녀들인 알렉산드르 1세, 콘스탄틴, 알렉산드라, 옐레나, 마리야, 예카테리나, 안나, 니콜라이 1세, 미하일 남매의 외삼촌이다.
- 사생활적으로는 아내를 학대했던 희대의 악질 가정폭력범이었다. 첫번째 아내인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아우구스테 공녀를 틈만 나면 폭행해서 신혼 때부터 이혼 이야기가 오갈 정도였고, 급기야 아우구스테의 명예를 실추시키기 위해 그녀를 방에 가두고 자신의 참모들에게 강간당하게 하려는 미친 계획을 세우기까지 했다. 결국 이를 버티지 못한 아우구스테는 다른 사람도 아닌 프리드리히의 사돈인 예카테리나 2세[8]의 도움으로 도망가서 이혼은 하지 않았지만 프리드리히와 죽을 때까지 재회하지 않았다. 아우구스테의 사후 재혼한 프린세스 로열 샬럿도 학대했다.
[1] 현 폴란드 트제비아토프(Trzebiatów).[2]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프리드리히 빌헬름의 아들이자 프로이센 초대 국왕 프리드리히 1세의 이복동생.[3] 조지 1세의 딸.[4] 네덜란드의 소피아 왕비 등[5] 카를 1세 등.[6] 러시아의 옐레나 파블로브나 대공비 등.[7] 보리스 존슨의 가계도에서 Hubert Theodor Marie Karl Christian von Pfeffel 부분을 확인하면 프리드리히의 이름을 찾을 수 있다.[8] 프리드리히의 여동생 조피 도로테아의 시어머니. 인척 관계였던 예카테리나 2세조차 아우구스테를 학대하는 프리드리히의 행각에 경악을 금치 못했고 이러다간 진짜 아우구스테가 죽을 수도 있다고 걱정하며 그녀를 보호하기 위해 여러모로 노력했고 아우구스테의 도주 당시 은신처도 제공해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