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황해 | 평북 | 평남 | 함북 | 함남 | |
기덕영 | 이세웅 | 정경조 | 지성호 | 손양영 | ||
광역자치단체 시·도지사 일람 | }}}}}}}}} |
함경북도지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서상용 | 제2대 심상열 | 제3대 최병협 | 제4대 강측모 | 제5대 김동석 |
제6대 고황 | 제7대 지창훈 | 제8대 최영 | 제9대 차상필 | 제10대 조철화 | |
제11대 남성관 | 제12대 오무영 | 제13대 신효헌 | 제14대 김동명 | 제15대 박기정 | |
제16대 안충준 | 제17대 김재홍 | 제18대 이훈 | 제19대 지성호 |
<colcolor=#ffffff> 함경북도지사 咸鏡北道知事 Governor of Hamgyeongbuk-do Province | |
현직 | <colbgcolor=#ffffff,#1f2023>지성호 (池成浩 ) / 제19대 (관선) |
내정(임명) | 2024년 8월 2일 |
취임일 | 2024년 8월 14일 [1] |
[clearfix]
1. 개요
이북5도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 2017.07.26.] [법률 제14839호, 2017.07.26., 타법개정]
제3조(도청의 임시 위치) 이북5도의 임시 사무소는 해당 관할지구가 수복될 때까지 서울특별시에 둔다.
[전문개정 2010.03.12.]
제5조(도지사)
① 이북5도에 도지사를 둔다.
② 제1항의 도지사는 행정안전부장관의 제청으로 국무총리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되 정무직으로 한다.<개정 2013.03.23., 2014.11.19., 2017.07.26.>
③ 미수복 시ㆍ군에 관한 제4조 각 호의 사무는 제1항의 도지사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도지사가 관장한다.<신설 2015. 5. 18.>
[전문개정 2010. 3. 12.]
함경북도지사는 함경북도를 대표하고, 행정사무를 처리하는 이북 5도의 정무직 공무원이다.[시행 2017.07.26.] [법률 제14839호, 2017.07.26., 타법개정]
제3조(도청의 임시 위치) 이북5도의 임시 사무소는 해당 관할지구가 수복될 때까지 서울특별시에 둔다.
[전문개정 2010.03.12.]
제5조(도지사)
① 이북5도에 도지사를 둔다.
② 제1항의 도지사는 행정안전부장관의 제청으로 국무총리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되 정무직으로 한다.<개정 2013.03.23., 2014.11.19., 2017.07.26.>
③ 미수복 시ㆍ군에 관한 제4조 각 호의 사무는 제1항의 도지사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도지사가 관장한다.<신설 2015. 5. 18.>
[전문개정 2010. 3. 12.]
일반적인 광역자치단체장인 도지사와 다르게 이북5도에는 대한민국의 행정권이 미치지 못한다. 이에 따라서 함경북도 청진시 나남본동에 소재하여야 할 도청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구기동에 있으며, 여기서 대신 업무를 본다. 행정안전부 장관의 제청으로, 대한민국 대통령이 직접 임명한다. 즉, 민선직이 아니라 관선직 공무원이다.
2. 함경북도 지사 목록
2.1. 일제강점기
# | 호적 | 이름 | 임기 | 비고 |
장관 | 내지인 | 다케이 도모사다(武井 友貞) | 1910년 10월 1일 \~ 1913년 2월 14일 | 함경북도 장관 |
장관 | 내지인 | 호아시 준조(帆足 準三) | 1913년 2월 14일 \~ 1913년 10월 3일 | 함경북도 장관, 사망 |
장관 | 내지인 | 구와하라 야쓰시(桑原 八司) | 1913년 11월 4일 \~ 1918년 9월 23일 | 함경북도 장관 |
1 | 내지인 | 간바야시 게이지로(上林 敬次郎) | 1918년 9월 23일 \~ 1921년 8월 5일 | 장관, 1919년 8월부터 함경북도지사 |
2 | 내지인 | 사이토 레이조(斉藤 礼三) | 1921년 8월 5일 \~ 1923년 2월 24일 | |
3 | 내지인 | 나카노 다사부로(中野 太三郎) | 1923년 2월 24일 \~ 1926년 8월 14일 | |
4 | 조선인 | 박영철(朴榮喆)[2] | 1926년 8월 14일 \~ 1927년 5월 18일 | |
5 | 조선인 | 박상준(朴相駿) | 1927년 5월 18일 \~ 1928년 3월 29일 | |
6 | 내지인 | 아다치 후사지로(安達 房治郎) | 1928년 3월 30일 \~ 1929년 11월 28일 | |
7 | 내지인 | 후루와시 다쿠시로(古橋 卓四郎) | 1929년 11월 28일 \~ 1931년 9월 23일 | |
8 | 내지인 | 안도 게사이치(安藤 袈裟一) | 1931년 9월 23일 \~ 1934년 11월 5일 | |
9 | 내지인 | 도미나가 후미카즈(富永 文一)[3] | 1931년 10월 7일 \~ 1934년 11월 5일 | |
10 | 내지인 | 다케우치 다케로(竹内 健郎) | 1934년 11월 5일 \~ 1936년 7월 30일 | |
11 | 내지인 | 고지마 다카노부(児島 高信) | 1936년 7월 30일 \~ 1940년 3월 9일 | |
12 | 내지인 | 오노 겐이치(大野 謙一) | 1940년 3월 9일 \~ 1942년 10월 23일 | |
13 | 내지인 | 후루카와 가네히데(古川 兼秀) | 1942년 10월 23일 \~ 1945년 6월 26일 | |
14 | 내지인 | 와타나베 리쓰로(渡部 肆郎) | 1945년 6월 26일 \~ 1945년 8월 15일 | 8.15 광복 |
2.2. 대한민국 명예 함경북도지사
대수 | 성명 [4] | 재임기간 [5] | 출신 시•군 [6] | 비고 |
1 | 서상용(徐相庸)[7] | 1949년 2월 15일 ~ 1960년 1월 | 길주군[8] | |
2 | 심상열(沈相烈)[9] | 1960년 1월 ~ 1962년 4월 | ||
3 | 최병협(崔秉協)[10] | 1962년 4월 30일 ~ 1966년 9월 | 함흥시 | 국민학교 교원. 함북도 시학. 경기도 사회교육과 근무. 충북도 시학 兼 도속. 옥천군수, 영동군수, 조선농회 교화부장 及 총무부장 |
4 | 강측모(姜則模)[11] | 1966년 9월 8일 ~ 1980년 9월 | 경원군 | |
5 | 김동석(金東石)[12] | 1980년 9월 ~ 1985년 8월 | 명천군 | |
6 | 고 황(高 煌)[13] | 1985년 8월 ~ 1988년 6월 | 함경남도 북청군 | 이북5도위원회 유일한 2개 도(道) 지사 역임, 제8대 함경남도지사 |
7 | 지창훈(池昌勳)[14] | 1988년 7월 1일 ~ 1993년 3월 | 성진시 | |
8 | 최 영(崔 榮) | 1993년 3월 ~ 1995년 9월 | 명천군 | |
9 | 차상필(車相弼)[15] | 1995년 9월 ~ 1997년 11월 | 회령군 | 상공부 제2차관보,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 한국생산성본부 회장 |
10 | 조철화(趙哲華)[16] | 1997년 12월 6일 ~ 1999년 7월 | 회령군 | 한국유네스코협회[17] 부회장 |
11 | 남성관(南星寬)[18] | 1999년 7월 12일 ~ 2003년 5월 | 무산군 | 무산군수, 함경북도 중앙도민회 부회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함북위원, 이북5도위원회 위원장(겸직) |
12 | 오무영(吳武英)[19] | 2003년 5월 ~ 2006년 6월 | 청진시 | 재무부 감사관, 단국대 교수, 前 BC 카드 사장, 오도민 신문 회장, [20] |
13 | 신효헌(申孝憲)[21] | 2006년 6월 22일 ~ 2009년 11월 16일 | 청진시 | 前 주 가나, 사우디, 호주, 아르헨티나 대사 [22], 이북5도위원회 위원장(겸직) |
14 | 김동명(金東明)[23] | 2009년 11월 17일 ~ 2013년 9월 16일 | 명천군 | [24] 육사28기, (사)흥남철수작전기념사업회 부회장, 이북5도위원회 위원장(겸직) |
15 | 박기정(朴紀正)[25] | 2013년 9월 17일 ~ 2016년 9월 27일 | 청진시 | 전국지방신문협의회 회장, 한국언론재단 이사장, 전남일보 고문 |
16 | 안충준(安忠濬)[26] | 2016년 9월 28일 ~ 2019년 8월 | 회령군 | 육군사관학교 출신. 이북5도위원회 위원장(겸직), [27] |
17 | 김재홍(金在洪)[28] | 2019년 8월 ~ 2022년 7월 26일 | 청진시 | 독립운동가인 김약연(金躍淵) 선생의 증손자 |
18 | 이훈(李薰)[29] | 2022년 7월 27일 ~ 2024년 8월 2일 | 성진시 | 오두산통일전망대 대표, 이북5도위원회 위원장(겸직) |
19 | 지성호(池成浩)[30] | 2024년 8월 14일 ~ 현직 | 회령군 | 북한이탈주민 출신, 前 21대 국회의원 [31] |
3. 관련 문서
[1] 윤석열 정부 정부 인사 발령에 따른 조치에 따라 8월 2일에 내정(內定)함[2] 생몰은 1879.02.02~1939.03.10(향년 61세). 대한제국의 군인으로 일제강점기에는 관료를 지냄. 여러 친일 단체에서 활동함. 유명한 밀정 배정자의 남편.[3] 생몰은 1890.01.31~몰년 미상. 일본의 관료. 1890년 1월 도쿠시마현 도쿠시마시 출생. 도쿄 제국대학 법과에 재학 중 1915년 10월, 문관 고등시험 합격. 1916년 5월에 대학 졸업, 6월에 조선총독부 시보(試補)가 되어 조선으로 건너옴[4] 출생 및 몰년[5] 취임식 기준[6] 실향민 2,3세[7] 1873.05.16~사망[8] 동해면 사계동[9] ~1999.01.13 향년(세)[10] 1890.00.00~1966.07.30 향년(59세)[11] 1916.09.01~사망[12] 1923.08.23~2009.03.26 향년(87세)[13] 1932.00.00~[14] 1927.00.00~2015.09.15 향년(89세)[15] 1934.11.17~[16] 1931.09.23~[17] 現 유네스코한국위원회[18] 1933.08.05~[19] 1941.09.06~2018.04.29 향년(78세)[20] 제6대 일천만이산가족위원회 정책자문위원[21] 1941.12.22~[22] 네덜란드, 스위스, 파푸아뉴기니, 미국, 인도네시아 근무[23] 1953.00.00~[24] 부친은 38선 돌파한 김백일 장군(1917~1951), https://blog.naver.com/donghlee1001/221580972141[25] 1942.03.01~2020.02.26 향년(79세)[26] 1945.00.00~[27] 미국 험볼트 주립대학원 졸. 1군 사령부 인사처장(준장). 보병제3사단장(소장). 인도·파키스탄 평화유지군 사령관 및 UN 사무총장 대리특사. 육군교육사령부 부사령관. 경기대 국제정치학 박사[28] 1948.04.10~[29] 1956.03.00~[30] 1982.04.03~[31] 이북5도위원회 제19대 평안남도지사를 역임한 조명철 前 지사에 이은 탈북민 출신 2호, 함경북도 지사 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