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c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천문학의 단위에 대한 내용은 킬로파섹 문서 참고하십시오. 한국생산성본부 韓國生産性本部 Korea Productivity Center (KPC) | |
설립일 | 1957년 7월 1일 |
소재지 | 본사 - 서울 종로구 새문안로5가길 32 (경복궁역) 대전세종충청지역본부 -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809, 5층 대구경북지역본부 -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489, 대구무역회관 17층 부산울산경남지역본부 -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180번길 13 호남제주지역본부 -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 176번길27, 507호 연수원 - 경기 이천시 대월면 대장로 162 |
웹사이트 | 한국생산성본부 공식홈페이지[1] ONKPC 한국생산성본부 디지털연수원 KPC 자격 |
SNS | | | | | |
[clearfix]
1. 개요
한국생산성본부는 산업계의 생산성 향상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산업발전법 제32조에 의해 설립된 비영리 특수 법인이다.국가 정책 수립을 위한 생산성 연구조사, 기업·공공부문 생산성 향상을 위한 컨설팅 및 지수조사, 맞춤형 산업교육, 자격 인증 사업으로 국가 생산성 혁신에 기여하고 있다.
산업발전법 제32조(한국생산성본부) ① 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한국생산성본부를 설립한다. ⑤ 한국생산성본부는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업을 한다. \1. 경영 진단 및 지도사업 ⑥ 한국생산성본부는 제1항에 따른 목적 달성에 필요한 경비를 조달하기 위하여 정관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수익사업을 할 수 있다.\2. 교육훈련사업 \3. 생산성 관련 통계 및 조사연구사업 \4. 자동화ㆍ정보화 등 생산성 향상을 위한 관련 기술의 연구개발 및 보급사업 \5.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위탁한 사업 \6. 그 밖에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필요한 사업으로서 한국생산성본부의 정관으로 정하는 사업 ⑦ 한국생산성본부가 아닌 자는 한국생산성본부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하지 못한다.[2] ⑧ 한국생산성본부에 관하여 이 법과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규정된 것을 제외하고는 「민법」 중 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
한국생산성본부 공식 홍보영상 |
2. 기관 연혁
- 1980년대: 국가생산성향상운동 단계별 추진
- 1990-2000: 생산성향상기법 소개 및 경영의 틀 개발 보급
- 2010-2020: 산업 및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생산성향상운동 전개
- 2011년 지방자치단체 행정생산성지수 개발 및 제1회 지방자치단체 생산성대상 시상식 개최
- 2011년 한국형 제조혁신 방법론(KPS) 개발·보급
- 2012년 글로벌 탄소·에너지경영 인증사업 실시
- 2012년 KMPI 멘탈생산성 진단도구 개발
- 2012년 ‘일자리창출지원 유공기관’ 대통령 단체표창 수상
- 2012년 지식서비스 업계 최초 연매출 1,000억 달성
- 2013년 2월, 기타공공기관에서 해제되고 공직유관단체로 지정되었다.[6]
- 2015년 3D프린팅 전문인력 양성 교육 실시
- 2015년 청년취업 확대를 위한 ‘취업연계형 Job 콘서트’ 개최
- 2016년 태국 산업부와 생산성향상을 위한 MOU 체결
- 2016년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운영
- 2017년 방위사업청과 방위산업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MOU 체결
- 2017년 SW코딩자격 개발
- 2019년 사회적가치 비전 선포
- 2019년 디지털혁신본부 발족
- 2020년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시험 운영
- 2020년 자격시험 표준운영방법론(K-STEP) 개발
- 2020년 한국여행업협회와 여행업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MOU 체결
- 2021년 KPC ESG위원회 설치
2.1. 역대 회장
[재단법인] 이은복 1957.8.28-1984.2.26[01대] 박필수 1984.2.27-1988.2.4
[02대] 문희화 1988.3.28-1991.3.27
[03대] 문희화 1991.3.28-1994.3.27 (연임)
[04대] 차상필 1994.3.28-1995.9.21
[05대] 이동훈 1995.10.5-1997.3.16
[06대] 박유광 1997.3.17-1998.5.24
[07대] 채재억 1998.5.25-2001.5.24
[08대] 한준호 2001.5.25-2002.2.1
[09대] 이희범 2002.2.26-2003.4.25
[10대] 김재현 2003.4.25-2006.5.11
[11대] 배성기 2006.5.12-2008.10.28
[직무대행] 박우건 2008.10.28-2008.12.21
[12대] 최동규 2008.12.22-2011.12.21
[13대] 진 홍 2011.12.22-2014.12.21
[14대] 홍순직 2014.12.22-2018.2.13
[15대] 노규성 2018.2.14-2020.12.15
[직무대행] 이규현 2020.12.15-2021.3.31
[16대] 안완기 2021.4.1-2024.10.29.
[17대] 박성중 2024.10.30.-
3. 사업
한국생산성본부는 산업발전법 제32조 제5항에 의거하여 생산성 향상을 위한 사업을 영위할 수 있다. 컨설팅, 교육 훈련, 자격 검정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사업 분야
<rowcolor=#ffffff>생산성 정책 및 연구 | 경영 혁신 | 디지털 전환 |
-생산성 연구 및 통계[7] -생산성 경영체제 보급[8] -생산성 성과확산 | -전략/혁신컨설팅 -조직/인력운영 컨설팅 -인사제도 컨설팅 -대학 컨설팅 | -산업 디지털 전환(DX) 지원 -ICT정책 컨설팅/연구조사 -기업구조 개편 및 사업전환 컨설팅 |
<rowcolor=#ffffff>CX컨설팅 | ESG컨설팅 | 제조경쟁력향상 |
-CX컨설팅 -CS컨설팅 -브랜드 컨설팅 -NCSI[9]·NBCI[10]조사 발표 | -ESG전략 수립 및 수준진단 -공급망 ESG관리 컨설팅 -지속가능보고서 발간 및 ESG 평가 대응 -산업 생태계의 지속가능경영 확산 및 지원 | -제조혁신 컨설팅(PQCD) -스마트 공장 컨설팅 -공급망 경쟁력 강화 |
<rowcolor=#ffffff>고용성장지원 | 기업맞춤인재양성 | 재직자역량강화 |
-스타트업 발굴, 육성 -소상공인 성장지원 -신직업 인큐베이팅 -구직 역량 강화 지원 | -맞춤형 공통,직무역량 교육 -조직문화 구축 및 활성화 교육 -역량 평가 및 역량 교육 -HRD컨설팅 -맞춤형 에듀테크 | -실무 중심 현장 교육 -온앤오프 클래스 -CEO교육 및 전국 CEO네트워크 -해외연수 |
<rowcolor=#ffffff>실무역량인증 | 기후변화&에너지 컨설팅 | 공공서비스혁신 |
-고객사 맞춤형 자격 개발 컨설팅 -자체 개발 국가 공인,민간 자격 운영 | -환경·기후변화 컨설팅 -탄소 경영 컨설팅 -에너지 효율화 컨설팅 -공급망 탄소중립 컨설팅 | -정책 사업 지원 -지역개발 및 활성화 |
컨설팅
전략컨설팅[11]과 오퍼레이션 컨설팅[12]을 모두 하고 있다. 주로 중소기업이나 지방자치단체, 각종 협회나 재단 등의 경영 자문을 수주하여 수행한다.
교육훈련
서울본부 및 각 지역본부에서 운영하는 공개교육 강좌를 운영중이며, 중앙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대중소기업 직원들의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위탁받아서 제공하기도 한다. 계층교육, 리더십교육, 공통역량 교육, 직무역량교육, 조직문화 진단 등 HRD 전반에 걸친 서비스를 제공한다.
자격 인증
1996년부터 자격 사업을 시작했다. KPC 자격 홈페이지
신규 자격 개발, 자격 리뉴얼, 사내 시험평가 개발, 경진대회 기획 등 자격 컨설팅 서비스 및 문제 출제, 시험 운영 등 자격 검정 전반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rowcolor=#ffffff>자격 유형 | 자격명 |
국제공인자격 | ICDL[13] |
국가전문자격 | |
공인민간자격 | ITQ 정보기술자격, GTQ 그래픽기술자격(1,2급), ERP 정보관리사, SMAT 서비스경영자격, IEQ 인터넷윤리자격(지도사) |
등록민간자격 | MMAT 마케팅경영자격, GTQ 그래픽기술자격(3급), IEQ 인터넷윤리자격(2,3급), SW코딩자격, TOPCIT, CAD실무능력평가, 3D설계실무능력평가, DSAC 데이터사이언티스트, PAC 프리젠테이션능력인증, 경영시스템인증심사원 |
4. 지역본부
본원 외 위치는 2024년 기준 다음과 같다. 기업컨설팅을 하는 기관이어서 교통편의성이 높은 지역에 주로 위치한다.[17]부산울산경남지역본부 |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180번길 13 | 부산역, 마산고속버스터미널 |
대전세종충청지역본부 |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809, 5층 | 정부청사역, 충북테크노파크, 두정역 |
대구경북지역본부 |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489, 대구무역회관 17층 | 동대구역 |
호남제주지역본부 |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 176번길27, 507호 | 광주과학기술원, 전라북도경찰청, 제주특별자치도 경제통상진흥원 |
연수원 | 경기 이천시 대월면 대장로 162 | 이천종합버스터미널, 이천역 |
5. 자회사
5.1.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
1994년 1월, 인증 사업을 위해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을 설립했다.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건축물인증 | 녹색건축인증,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인증, 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 에너지절약계획서검토, 장수명주택인증, 결로방지성능평가, 교육시설안전인증, 장애물없는생활환경인증, 친환경주택성능평가 |
경영시스템인증 | ISO인증(ISO 9001(품질), 14001(환경), 45001(안전보건), 37001(부패방지) 등), 바른채용경영시스템, 한국서비스품질우수기업인증, 행정안전부 재해경감우수기업인증, 조달청 품질보증조달물품 지정심사 |
ESG 관련 | 온실가스목표관리제, 탄소배출권거래제, ESG관련 평가 및 인증 |
▲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 공식 홍보영상(인터뷰 Ver.) |
▲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 공식 홍보영상(사업 소개 Ver.) |
5.2. 한국사회능력개발원
1987년 6월, 한국생산성본부 부설 한국기업상담(주)로 설립되었으며 2014년 4월 현재 사명으로 변경하였다. 부동산 운용, 투자, 개발 등 부동산 관련 교육훈련사업과 이러닝 온라인 콘텐츠 개발, 채용대행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5.3. 한생미디어[18]
한국생산성본부의 출판 기획 및 편집 사업을 담당하는 자회사[1] 공식 홈페이지. 온라인 교육과 자격 원서 접수 등은 별도 사이트를 운영중이다.[2] 이를 위반하여 한국생산성본부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한 자는 과태료의 제재를 받는다.(산업발전법 제50조제2항제2호)[3] Asian Productivity Organization, 회원국: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중화민국, 피지, 홍콩, 인도, 인도네시아, 이란, 일본, 대한민국, 라오스, 말레이시아, 몽골, 네팔, 파키스탄, 필리핀, 싱가포르, 스리랑카, 태국, 베트남[4] 제1회 생산성향상 전국촉진대회, 1987년 생산성대상으로 명칭 변경[5] 통계작성승인(협의)번호 작성승인(협의)일: 제344001호 (1976.07.07.)[6] 직원 입장에서는 언론에 날 정도의 사고를 치지 않는 한 어지간해서는 감사를 받지 않기 때문에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공기관들보다 낫다. 일단 공공기관으로 지정되면 소관 부처 감사와 감사원 감사의 위험이 도사리게 된다. 다만, 국가전문자격검정 업무 등 공적 업무는 수행할 수 있다.[7] 생산성통계생산성대상[8] PMSMAINBiz[9] 국가고객만족도NCSI[10]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11] 맥킨지&컴퍼니 등의 전략컨설팅펌은 대기업 일감이 아니면 수주하지 않고, 사실 지불하는 비용도 대기업이 아니면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기에, 전략 컨설팅 분야에서는 중소기업의 진흥을 위해 컨설팅을 제공하는 정도로 볼 수 있다.[12] 인사컨설팅, CX컨설팅, ESG컨설팅, 대학 컨설팅, 공급망 컨설팅, 에너지 효율화 컨설팅 등[13] 1996년부터 해외에 있던 시험이며 2008년 KPC가 한국 주관사로 선정. 2023년 12월 31일부로 ICDL코리아 & 한국생산성본부 KPC와 ICDL 간의 계약이 만료되어 관련 자격증 취득이 신규 취득/발급이 되지 않는다.[14] 2020년부터 2023년까지 화장품법에 근거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위탁하였으나 2024년부터 대한상공회의소로 이관되었다.[15] 2007년부터 있던 시험이나, 2016년부터 국사편찬위원회가 위탁[16] 2022년부터 연구실안전법 근거,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가 위탁[17] 여담으로 블라인드 및 잡플래닛에 따르면 타 기업의 회사원들이 지방에서 서울로 부서 이동하려는 것과 달리, 한국생산성본부에선 지방에 가려는 사람들을 서울 본원이 묶어두는 분위기라고 한다(?).[18] 한국생산성본부 미디어의 줄임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