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헤네시스/빅뱅 이전|헤네시스/빅뱅 이전]]
메이플스토리의 빅뱅 이전 퀘스트 일람 | ||||
메이플 아일랜드(미완성) | 리스항구·플로리나비치 | 헤네시스 | 버섯의 성 | 엘리니아 |
페리온 | 커닝시티 | 슬리피우드 | 노틸러스(미완성) | 오르비스(작성 중) |
엘나스(미완성) | 루디브리엄(작성 중) | 지구방위본부 | 아랫마을(미완성) | 아쿠아로드(미완성) |
1. 개요
게임 메이플스토리의 빅뱅 업데이트 이전 '헤네시스' 지역의 퀘스트를 정리한 것이다.==# 퀘스트 목록표 #==
퀘스트 코드 | 제목 | 업데이트 일자 | 해외판 제목(최초 업데이트 국가 기준) | 한국어 번역 |
2002 | 리스 항구의 테오 (마야와 이상한 약) | ?2003.01.24. (KMS V0.64 추정) | 한국판 제목 참고 | |
2003 | 소피아를 찾아서... (마야와 이상한 약) | |||
2004 | 반짝이는 돌의 재료 (마야와 이상한 약) | |||
2005 | 아르콘의 피? (마야와 이상한 약) | |||
2006 | 아르콘의 피 입수 (마야와 이상한 약) | |||
2007 | 반짝이는 돌 만들기 (마야와 이상한 약) | |||
2008 | 이상한 약 전해주기 (마야와 이상한 약) | |||
2009 | 피아와 파란버섯 | ?2003년 5월 이전 | ||
2014 | 알렉스의 부탁 (가출소년 알렉스) | 2003.05.06. (KMS V1.16) | ||
2015 | 장로 스탄 설득하기 (가출소년 알렉스) | |||
2016 | 어머니의 금시계 (가출소년 알렉스) | |||
2018 | 던전입구를 지키는 경비병 루크 | 2003.08.06. (KMS V1.35) | ||
2035 | 경비병 루크의 모험 결심 | 2003.12.16. (KMS V1.50) | ||
2040 | 마야의 첫번째 수집품 (마야를 위한 수집) | 2003.12.16. (KMS V1.50) | ||
2041 | 마야의 두번째 수집품 (마야를 위한 수집) | |||
2042 | 마야의 세번째 수집품 (마야를 위한 수집) | |||
2043 | 마야의 마지막 수집품 (마야를 위한 수집) | |||
2044 | 빨간 망토 찾아오기 (피아의 친구를 위한 선물) | |||
2045 | 피아가 빌려간 물건 (피아의 친구를 위한 선물) | |||
2046 | 친구를 위한 선물들 (피아의 친구를 위한 선물) | |||
2062 | 밍밍부인의 첫번째 고민 | 2005.07.12. (KMS V1.2.3) | ||
2063 | 밍밍부인의 두번째 고민 (밍밍부인의 두번째 고민) | |||
2064 | 에스텔의 부탁 (밍밍부인의 두번째 고민) | |||
2073 | 카밀라의 유리구슬 | |||
2074 | 메이플 고서를 되찾아라 | |||
2075 | 메이플 고서를 되찾아라2 | |||
2088 | 버섯 몬스터를 연구하는 이유 | 2005.08.23. (KMS V1.2.4) | ||
2092 | 내 딸을 찾고 싶어 1 (내 딸을 찾고 싶어) | |||
2093 | 내 딸을 찾고 싶어 2 (내 딸을 찾고 싶어) | |||
2099 | 잃어버린 카밀라의 편지 (아랫마을을 찾아서…) | 2005.12.21. (KMS V1.2.13) | ||
2100 | 아랫마을로 가는 두 가지 방법 | |||
2101 | 하늘길을 따라서 아랫마을로 | |||
2102 | 바닷길을 따라서 아랫마을로 | |||
2153 | 오래된 달팽이 (달팽이 전설) | 2007.09.20. (KMS V1.2.45) | ||
2154 | 이야기의 주인공 (달팽이 전설) | |||
2155 | 달팽이 사냥 (달팽이 전설) | |||
2156 | 소원을 들어주는 무지개색 달팽이 껍질!? (달팽이 전설) | |||
3400 | 장로 스탄의 편지 | 2005.01.27. (KMS V1.82) | ||
4928 | 미도입 | ?2007.09.17. (GMS V0.42) | Jay's Curiosity | 제이의 호기심 |
4929 | Gwin's Thanks | 그윈의 감사 | ||
4930 | The Rememberer's Passion Part 1 (The Rememberer's Passion) | 기억하는 자의 열정 1 (기억하는 자의 열정) | ||
4931 | The Rememberer's Passion Part 2 (The Rememberer's Passion) | 기억하는 자의 열정 2 (기억하는 자의 열정) | ||
4932 | Grendel The Really Old's Glorious Days | 하인즈의 영광의 나날 | ||
4933 | Cody's Confession | 코디의 고백[미완성] | ||
4934 | Manji's Approval | 만지의 인정[미완성] | ||
4935 | Blackbull's Mistake | 돼지와함께춤을의 실수[미완성] | ||
4936 | Bruce's Research | 브루스의 연구 | ||
4937 | Dances with Balrog's Barbarism Part 1 (Dances with Balrog's Barbarism) | 주먹펴고일어서의 만행1 (주먹펴고일어서의 만행)[미완성] | ||
4938 | Dances with Balrog's Barbarism Part 2 (Dances with Balrog's Barbarism) | 주먹펴고일어서의 만행2 (주먹펴고일어서의 만행)[미완성] | ||
4939 | Winston's Scheme Part 1 (Winston's Scheme) | 윈스턴의 계획1 (윈스턴의 계획)[미완성] | ||
4940 | Winston's Scheme Part 2 | 윈스턴의 계획2 (윈스턴의 계획)[미완성] | ||
8034 | 미도입 | 2005.10.26 (JMS V0.96) | マヤの悩み1 マヤの悩み | 마야의 고민1 (마야의 고민) |
8035 | マヤの悩み2 マヤの悩み | 마야의 고민2 (마야의 고민) | ||
8036 | マヤの悩み3 マヤの悩み | 마야의 고민3 (마야의 고민) | ||
8037 | ライオネルの首輪1 ライオネルの首輪 | 라이오넬의 목걸이1 (라이오넬의 목걸이) | ||
8038 | ライオネルの首輪2 ライオネルの首輪 | 라이오넬의 목걸이2 (라이오넬의 목걸이) | ||
8039 | ライオネルの首輪3 ライオネルの首輪 | 라이오넬의 목걸이3 (라이오넬의 목걸이) | ||
8040 | ライオネルの旅立ち | 라이오넬의 여행 | ||
8041 | 化け物の噂 (化け物の噂) | 괴물의 소문 (괴물의 소문) | ||
8042 | したたかなフォックス曹長 (化け物の噂) | 만만치 않은 폭스 상사 (괴물의 소문) | ||
8043 | ライカンスロープ (化け物の噂) | 라이칸스로프 (괴물의 소문) | ||
8196 | 2007.08.29 (JMS V1.31) | 第1回運動会1 | 제1회 운동회1 | |
8197 | 第1回運動会2 | 제1회 운동회2 | ||
8198 | 第1回運動会3 | 제1회 운동회3 |
2. 장로 스탄 가족
2.1. 한국판 공용 퀘스트
2.1.1. (Lv.0) 장로 스탄의 편지
| ||
장로 스탄의 편지 | ||
시작 레벨 | 20 (2005.1) → 0 (2006.1) → 65 (빅뱅 이후) | |
시작 NPC | 장로 스탄 (빅토리아로드: 헤네시스) | |
조건 | ||
보상 | 7,500메소 | |
비고 | '(Lv.30) 김 박사의 전언'의 선행 퀘스트 |
아무튼 나는 이 편지에 대해 좀 더 조사를 해봐야 겠네. 이곳에서 편히 쉬게나.
- 퀘스트 '장로 스탄의 편지'의 마지막 대사
2005년 1월 27일(V1.82) 루디브리엄과 지구방위본부 업데이트(V1.81) 이후 추가된 퀘스트인데, 수많은 저 레벨 캐릭터들을 나락으로 밀어넣은 주범이자, 리스항구 모범택시의 뒤를 잇는 낚시로 악명높은 퀘스트였다. 장로 스탄이 '초보자 킬러', '장로 사탄'이라는 별명을 얻게 된 계기. 퀘스트 내용은 장로 스탄이 주운 - 퀘스트 '장로 스탄의 편지'의 마지막 대사
레벨 11 궁수가 지구방위본부에 갇혀 있는 모습 | 레벨이 충분해도 물약 값이 없으면 꼼짝 없이 갇히곤 했다 |
<nopad> | <nopad> |
사실 극초창기에는 그나마 레벨 제한이 20 이상이었는데, 최소 2006년 1월 이후부터 레벨 제한이 폐지되면서 지구방위본부에 갇히는 사람들이 더욱 많아졌다. 또한 극초창기에는 장로 스탄이
훗날 8000일 이벤트에서 엘리니아 마법도서관에 '지구방위본부에서 탈출하는 법'이라는 이야기의 책으로 등장하는 것으로 패러디되었다.[14]
2.1.2. (Lv.20) 가출소년 알렉스
| ||
가출소년 알렉스 | ||
시작 레벨 | 20 | |
시작 NPC | 알렉스 (빅토리아로드: 커닝시티) | |
조건 | <colbgcolor=#353535> 1 | 커닝시티의 알렉스와 대화 후 헤네시스의 장로 스탄과 대화 |
2 | ||
3 | ||
보상 | 경험치 총 3,600, |
커닝시티를 방황하는 가출소년 알렉스 | 완고하고 고지식한 장로 스탄 |
<nopad> | <nopad> |
장로 스탄의 대사 | 선택지 | 스탄의 반응 |
어라...? 자네는 누군가? 못보던 녀석이로군. | <colcolor=#0100FF>아... 이거 실례했습니다. 그냥 지나가던 관광객입니다. 신경쓰지 마세요. | 관광객이라고? 이 마을이 무슨 관광지인줄 아는건가!!! 이런 이런 한심한 사람 같으니... 어서 썩 내 앞에서 사라지게! |
실은 알렉스로부터 부탁을 받고 이렇게 찾아왔습니다. 조금만 시간을 내 주세요. | * 다음 대사로 이동 (올바른 선택지) * | |
하하~ 오늘 날씨 참 좋죠? | 그렇군... 정말 날씨가 좋... 은게 아니라! 나는 자네와 이렇게 한가롭게 잡담이나 하고 있을 시간이 없네! 더 이상 날 귀찮게 하지 말고 썩 물러가게! | |
뭐라고! 알렉스라고! 나는 그런 녀석을 아들로 둔 적이 없네! 썩 물러가게! | 아 네... 귀찮게 해 드려서 죄송합니다. 그럼 저는 이만... | 정말 한심한 사람이로군. 알렉스를 안다더니 내 호통소리에 기가 죽어 그대로 가버릴 생각인가? 더 이상 자네와는 말하고 싶지 않네. 그 말대로 어서 사라져! |
알렉스는 이곳으로 돌아오고 싶어 합니다. | 돌아오고 싶어 한다고? 하하하~! 그런 거짓말을 내가 믿을것 같은가? 아마도 집을 나가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게 되었다며 기뻐하고 있겠지... 어때? 내 말이 틀렸는가? | |
이제 그만 하시죠! 알렉스는 진심으로 뉘우치고 있습니다! | * 다음 대사로 이동 (올바른 선택지) * | |
오호라... 이 나에게 정면으로 맞서다니... 보통 녀석이 아니로군! 알렉스는 어떻게 생활하고 있던가? | 알렉스는 여비가 모두 떨어져서 힘들게 생활하고 있습니다. | 힘들게 살고 있다고? 겨우 그런 모습으로 지내려고 이곳을 나가버린 건가? 하하하~! 그럼 자네... 이 말 확실히 전해주게. [계속 그곳에서 힘들게 생활해라. 사는게 얼마나 힘든지 직접 깨달아라.] 라고 말일세. |
알렉스는 방황하는 생활을 지겨워 하고 있습니다. | 지겹다고오오오오~!!! 이런 못된 녀석! 지겨워서 집으로 돌아온다는 건가! 하하하하하하하~! 나는 더 이상 알렉스라는 사람은 모르네! 융통성 없는 자네도 이제 그만 썩 돌아가 주게! | |
알렉스의 생활이 궁금하시다면 직접 그에게 들어보시죠. | * 다음 대사로 이동 (올바른 선택지) * | |
직접 물어보라고? 하하하! 자네는 볼수록 마음에 드는군. 자네... 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나? | 매우 훌륭한 마을의 장로님으로 생각됩니다. | * 다음 대사로 이동 (올바른 선택지) * |
지나치게 엄격하고 고지식하다고 생각합니다. | 이런 이런~ 자네는 상당히 솔직하군. 솔직한 건 좋지만 지금 그 대답... 상당히 거슬리는군! 일부러 나를 화나게 하고 싶은 건가? 자네... 사람을 상대하는 법을 잘 모르고 있는 것 같다 이 말일세! | |
겉모습은 무섭지만 속은 따뜻한 분이라고 생각합니다. | 하하하! 자네는 추리력이 대단하군. 어떻게 이 나를 보고 그런 생각을 했지? 진심인가 아니면 나를 상대로 아첨을 하는 건가? 아무튼 자네와는 더 이상 이야기 하고 싶지 않네. 이만 가주게. | |
그래... 그 말대로야. 나는 이 마을의 장로... 하지만 알렉스가 나가버린 후 장로로서의 위엄이 떨어져 버렸어! | 알렉스는 그 점을 잘 알고 있고 뉘우치고 있습니다. 다시 돌아오려고 하는 겁니다. 넓은 아량으로 부디 알렉스를 용서해 주세요. | 당신은... 알렉스를 잘 알고 있는 사람은 아닌것 같군... 무언가를 대가로 알렉스에게 부탁을 받은 건가? 뭐... 상관없네. 나는 절대로 알렉스를 용서할 수 없네. 그만 돌아가 주게. |
당신은 자신의 아들 보다는 마을에서 자신이 어떻게 보일지가 중요한 겁니까? 자신의 아들보다 마을 사람들의 눈이 더 중요한 겁니까?!?! | 그래... 그 말대로 일지도 모르지... 하지만 자네! 나는 자네보다 수십년은 더 살아온 장로일세. 지금 나를 가르치려 들겠다는 건가? 이제 자네와는 더 할 말이 없네. | |
알렉스는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엄격한 당신 덕에 이렇게 방황하고 있는 겁니다. 당신이 먼저 그를 용서하는 건 어떻습니까? | 그런 일까지 알고 있는 건가? 흠... 확실히 알렉스는 아내 '안나'가 저 세상으로 가버린 후 반항이 심해졌지. 하지만 나는 장로로서의 일이 많아서 어린 녀석을 미쳐 잘 보살펴 주지 못했어. 하긴... 녀석이 그렇게 된 것은 내 탓일 지도 모르지... 고맙네. 자네 덕분에 알렉스와 오해를 풀 수 있을것 같군. 녀석에게 마을로 돌아와도 좋다는 말을 전해주게. 그래도 아까 부탁했던 물건들은 가져가겠네. 그리고... 아참... 이건 녀석의 어머니... 안나의 유품인 오래된 금시계일세. 이걸 전해 준다면 그 녀석도 내 뜻을 알테지... 여기 받아 주게. |
2.1.3. (Lv.20) 밍밍부인의 첫 번째 고민
| ||
밍밍부인의 첫 번째 고민 | ||
시작 레벨 | 20 | |
시작 NPC | 밍밍부인 (빅토리아로드: 헤네시스) | |
조건 | ||
보상 | 경험치 1,000 |
스탄의 가족사는 해당 퀘스트에서 밝혀지기만하고 스토리가 진행되지 않았다가 한참 뒤 데이브 더 다이브 콜라보 챕터 세이브 더 다이버를 통해 회수되며 스탄의 가족사가 완결되었다.
퀘스트 조건이 어려웠지만
2.1.4. (Lv.21) 밍밍부인의 두 번째 고민
| ||
밍밍부인의 두 번째 고민 | ||
시작 레벨 | 20 | |
시작 NPC | 밍밍부인 (빅토리아로드: 헤네시스) | |
조건 | <colbgcolor=#353535> 1 | 헤네시스의 밍밍부인과 대화 후 요구 조건 확인 |
2 | 엘리니아 남쪽 필드의 '에스텔'과 대화 후 | |
3 | ||
보상 | 경험치 총 3,000, |
밍밍부인이 곧 열릴 헤네시스 축제의 요리 재료를 구해 달라고 부탁하는 퀘스트이다. 헤네시스의 식문화를 알 수 있는데, 그냥 돼지고기도 아닌 돼지의 '머리'와 끔찍하게 생긴 옥토퍼스의 다리를 활용해서 요리를 만드는 것을 보면 결코 평범한 식문화는 아닌 듯하다.[19]
리본돼지 머리띠에 투구 체력 주문서를 성공적으로 바른 모습 (2008년 2월 촬영) |
<nopad> |
2.1.5. (Lv.25) 메이플 고서를 되찾아라
| ||
메이플 고서를 되찾아라 | ||
시작 레벨 | 25 | |
시작 NPC | 제이 (빅토리아로드: 헤네시스) | |
조건 | <colbgcolor=#353535> 1 | 헤네시스의 제이와 대화 후 |
2 | 보좌관 티군과 대화 후 헤네시스의 제이에게 복귀 | |
보상 | 경험치 총 3,560, |
<rowcolor=#fff,#2d2f34> 메이플 고서를 획득하는 모습 | ||||||
{{{#!wiki style="margin:-16px -11px" | <nopad> | <nopad> | <nopad> | }}} |
장로스탄의 모자를 착용하고 단체 사진을 찍는 유저들(2007년 8월 촬영) |
<nopad> |
2.2. 해외판 전용 퀘스트
2.2.1. (Lv.10/Lv.40/Lv.80) 제1회 운동회
| ||
제1회 운동회 | ||
시작 레벨 | 10 / 40 / 80 | |
시작 NPC | 제1회 운동회1: 밍밍 부인 (빅토리아로드: 헤네시스) 제1회 운동회2: 장로 스탄 (빅토리아로드: 헤네시스) 제1회 운동회3: 제이 (빅토리아로드: 헤네시스) | |
조건 | <colbgcolor=#353535> 1 | |
2 | ||
3 | ||
보상 | 1 | 경험치 500, |
2 | 경험치 5,000, | |
3 | 경험치 85,000, |
첫 번째 퀘스트는 '밍밍 부인'에게 받을 수 있었다. 밍밍 부인은 제1회 헤네시스 운동회가 개최되었는데 아들 제이가 운동복이 없어서 걱정이었다. 그야 사면 되겠지만 운동회 도시락을 만드느라고 시간이 없다며 대신 복장을 좀 사와 달라고 한다.[25] 리스항구 방어구상점에 가서 밍밍 부인이 말한
다음으로 장로 스탄에게 가면, 운동회 참가 자격을 얻고 싶으면 부족한 도구를 모아오라고 한다. 장애물 경주용으로 무릉도원의 별다람쥐를 처치하고
마지막으로 제이에게 가면 경기 종목인 '대여 전쟁'이 시작되었음을 선포한다. 대여 전쟁이란 운동회에서 부족한 물품을 먼저 빌려 오면 승리하는 게임(...)이라고 한다. 그래서 아무나 붙잡고
2.2.2. (Lv.18) 밍밍부인의 삼계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상해 와이탄(메이플스토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상해 와이탄(메이플스토리)#밍밍부인의 삼계탕|밍밍부인의 삼계탕]][[상해 와이탄(메이플스토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3. (Lv.35) 제이의 호기심
| ||
제이의 호기심 | ||
시작 레벨 | 35 | |
시작 NPC | 제이 (빅토리아로드: 헤네시스) | |
조건 | 드레이크의 밥상에서 Lv.2 몬스터 '밥(Bob)'을 처치하고 | |
보상 | 경험치 800, 인기도 1 |
던전 드레이크의밥상에 초록 달팽이가 출몰한 모습, 간혹 '달팽이 밥'이 섞여 있었다 (GMS, 2007년 9월 촬영) |
<nopad> |
제이는 밥 스네일이 사실은 초록 달팽이였다는 사실에 크게 놀라면서, 메이플스토리의 창세기와 함께 나고 자란 밥 스네일을 모험가가 처치하려고 했다는 사실에는 두 번 놀란다. 그러면서 헤네시스 인근에 메이플 아일랜드의 '달팽이 사냥터1'와 똑같이 생긴 곳을 본 적 있다며 그곳에 밥을 데려다 주면 안전하다고 느낄 것이라고 말한다. 밥 스네일이 달팽이 사냥터1에서 출생했다는 기록이 있다는 말도 덧붙인다. 문제는 퀘스트가 여기서 미완성인 채로 끝나 버려서 그의 정체가 무엇인지는 전혀 알 수가 없게 되었다.
2.2.3.1. (Lv.35) 그윈의 감사
| ||
그윈의 감사 | ||
시작 레벨 | 35 | |
시작 NPC | 그윈 (던전: 또다른입구) | |
조건 | ||
보상 | 경험치 800, 인기도 1 |
그러니까, 밥은 내가 상처를 입었을 때 드레이크의 밥상에서 나를 구출해 주었다네... 내 힘으로 탈출할 수도 이었네만, 달팽이로서 인간을 위해서 그런 일에 나선 밥의 용기와 열정에 아직도 감복했지. ...(중략)... 부디 의도가 분명하지 않은 의심스러운 이들에게 그를 넘겨주지 말게나. 밥은 그를 아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전설로 회자되네. 우리가 아는 어떤 이유에서든지간에 수많은 사람들이 밥을 가지려 할 것임을 확신하네.
2.2.3.2. (Lv.35) 기억하고 있는 자의 열정
| ||
기억하고 있는 자의 열정 | ||
시작 레벨 | 35 | |
시작 NPC | 기억하고 있는 자 (던전: 슬리피우드) | |
조건 | <colbgcolor=#353535> 1 | |
2 | ||
보상 | 경험치 800, 인기도 1 |
]
다시 기억하는 자에게 돌아가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달팽이 밥이 탈출했다면서 다시 밥을 데려다 준다면 보답을 하겠다고 약속한다. 그런데 모험가는 복수를 꾀하면서 평범한
2.2.3.3. (Lv.35) 하인즈의 영광의 나날
| ||
하인즈의 영광의 나날 | ||
시작 레벨 | 35 | |
시작 NPC | 하인즈 (빅토리아로드: 엘리니아) | |
조건 | ||
보상 | 경험치 800, 인기도 1 |
2.2.3.4. (Lv.35) 브루스의 연구
| ||
브루스의 연구 | ||
시작 레벨 | 35 | |
시작 NPC | 브루스 (빅토리아로드: 헤네시스) | |
조건 | ||
보상 | 경험치 800, 인기도 1 |
이 퀘스트는 윈스턴의 계획(Winston's Scheme) 퀘스트와 연계될 예정이었던 것 같지만, 미완성인 채로 끝나 버렸다. 이후에 어떤 내용이 전개되었을지는 알 수 없게 됐다.
2.2.3.5. (Lv.35) 주먹펴고일어서의 만행
| ||
주먹펴고일어서의 만행 | ||
시작 레벨 | 35, 더미 데이터로 수행 불가 | |
시작 NPC | 주먹펴고일어서 (페리온: 전사의성전) | |
조건 | <colbgcolor=#353535> 1 | |
2 | 퀘스트 미완성 (더미 데이터) | |
보상 | 경험치 800, 인기도 1 |
이 위젯 놈들! 그들은 내가 이 춥디 추운 방에 홀로 외롭게 남겨질 것이란 걸 알았을 텐데! 나는 혼자서 이 방에 무척 오랫동안 있어야 하는 데다가, 유일하게 나갈 수 있는 기회는 3차 전직을 위해 전사들을 시험할 때뿐이야. 그마저도 나는 푸르딩딩한 던전에 갇혀서 전사들이 나를 이겨 먹는 걸 기다려야 해. 더군다나 제기랄, 그건 차원의 문을 넘어서 일어나는 일이라고! 아모리아가 출시됐을 때 위젯이 페리온의 여자 족장을 만들었어야 하는 건데... 나와 여자 족장을 이어줄 수 있었어, 그렇지? 아마 그랬다면 혼자서 우울한 밤마다 처량하게 굶주리고 있진 않았을 건데... 혼밥을 해 먹은지가 너무 오래 돼서.... 그럴 듯한 식사를 해 본 게 대체 언제였는지 모르겠네...
Those Wizet guys! They should have known that I’d be left alone in loneliness all by myself in this cold cold room! I’m all alone in this room for so long now and the only chance I get to go out is when warriors are tested for their third job and even then, I am stuck in this greenish dungeon looking place only for those warriors to win me over. And it’s OUT OF DIMENSION for god sakes! They should have made a female chief of Perion when Amoria came out... They could hook me up with her, you know? Maybe then, I might not have been starving every depressing night myself only to find that I cooked too much for a one-man-meal... I don’t know when was the last time I had a decent food on my table...
- 주먹펴고일어서의 대사(더미 데이터)
Those Wizet guys! They should have known that I’d be left alone in loneliness all by myself in this cold cold room! I’m all alone in this room for so long now and the only chance I get to go out is when warriors are tested for their third job and even then, I am stuck in this greenish dungeon looking place only for those warriors to win me over. And it’s OUT OF DIMENSION for god sakes! They should have made a female chief of Perion when Amoria came out... They could hook me up with her, you know? Maybe then, I might not have been starving every depressing night myself only to find that I cooked too much for a one-man-meal... I don’t know when was the last time I had a decent food on my table...
- 주먹펴고일어서의 대사(더미 데이터)
2.2.4. (Lv.55) 어둠 속의 봉제인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쇼와 마을/스토리 및 퀘스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쇼와 마을/스토리 및 퀘스트#어둠 속의 봉제인형|어둠 속의 봉제인형]][[쇼와 마을/스토리 및 퀘스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5. (Lv.70) 어둠에 빼앗긴 영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쇼와 마을/스토리 및 퀘스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쇼와 마을/스토리 및 퀘스트#어둠에 빼앗긴 영혼|어둠에 빼앗긴 영혼]][[쇼와 마을/스토리 및 퀘스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6. (Lv.90) 어둠으로부터의 해방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쇼와 마을/스토리 및 퀘스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쇼와 마을/스토리 및 퀘스트#어둠으로부터의 해방|어둠으로부터의 해방]][[쇼와 마을/스토리 및 퀘스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마야
아픈 마야를 위로하는 유저들 | |||||
<nopad> | |||||
{{{#!wiki style="margin:-16px -11px" | <nopad> | <nopad> | }}} |
3.1. 한국판 공용 퀘스트
3.1.1. (Lv.15) 마야와 이상한 약
| ||
마야와 이상한 약 | ||
시작 레벨 | 15 | |
시작 NPC | 마야 (빅토리아로드: 헤네시스민가) | |
조건 | <colbgcolor=#353535> 1 | 헤네시스민가의 '마야'와 대화 후 리스항구의 '테오'와 대화 |
2 | 페리온 잡화상점의 '소피아'와 대화 후 페리온의 '만지'와 대화 | |
3 | 만지에게 | |
4 | 소피아에게 | |
5 | 테오에게 파일:파워 엘릭서.png 이상한 약 1개 수령 후 마야에게 전달 | |
보상 | 5,000메소, |
저... 그 약을 저에게 주실 수는 없나요? 대신 저에게는 필요 없는 물건을 드리겠어요. 제발... 부탁드려요. 그 약이 필요해요...
- 마야의 대사
2003년 1월 24일(V0.64) 추가된 것으로 추정되는 극초창기 퀘스트이다. 조건이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 마야의 대사
2003년 초 촬영된 마야의 이상한 약 퀘스트 |
<nopad> |
삿갓을 쓰고 커닝시티 파티 퀘스트에 도전하는 유저들 (2007년 8월 촬영) |
<nopad> |
3.1.2. (Lv.55) 마야를 위한 수집
| ||
마야를 위한 수집 | ||
선행 퀘스트 | (Lv.15) 마야와 이상한 약 | |
시작 레벨 | 55, 궁수 직업군만 수행 가능 | |
시작 NPC | 마야 (빅토리아로드: 헤네시스민가) | |
조건 | <colbgcolor=#353535> 1 | |
2 | ||
3 | ||
4 | ||
보상 | 경험치 총 3,900(600+800+1,000+1,500), |
마야의 마지막 대사 |
<nopad> |
3.2. 해외판 전용 퀘스트
3.2.1. (Lv.40) 마야의 고민
| ||
마야의 고민 | ||
선행 퀘스트 | (Lv.15) 마야와 이상한 약 | |
시작 레벨 | 40 | |
시작 NPC | 마야 (빅토리아로드: 헤네시스민가) | |
조건 | <colbgcolor=#353535> 1 | |
2 | ||
3 | ||
보상 | 경험치 3,000[35], 10,000메소 |
그런데 마야는 라이오너가 오르비스의 특수한 독초에 중독되어 눈동자의 초점을 잃고 호흡도 불안정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그래서 특수 해독제의 재료인
마야가 읽은 책에서 라이오너는 생선을 즐겨 먹는데, 신선하지 않으면 입에 대지 않을 만큼 까다로운 식성을 가졌다고 한다. 주니어 페페를 처치하고
3.2.2. (Lv.40) 라이오넬의 목걸이
| ||
라이오넬의 목걸이 | ||
선행 퀘스트 | (Lv.40) 마야의 고민 | |
시작 레벨 | 40 | |
시작 NPC | 마야 (빅토리아로드: 헤네시스민가) | |
조건 | <colbgcolor=#353535> 1 | 마야와 대화 후 리스항구의 테오와 대화 |
2 | ||
3 | 마야와 대화 | |
보상 | 경험치 5,000, |
3.2.3. (Lv.40) 라이오넬의 여행
| ||
라이오넬의 여행 | ||
선행 퀘스트 | (Lv.40) 라이오넬의 목걸이 | |
시작 레벨 | 40 | |
시작 NPC | 마야 (빅토리아로드: 헤네시스민가) | |
조건 | ||
보상 |
갑작스러운 일이었어요. 몬스터 그류핀과 샐리온이 나타나서 라이오넬을 데리고 가 버렸어요. 하지만 강제로 데려간 것은 아니었어요. 그류핀과 샐리온은 라이오넬에게 다가와서는 서로의 몸을 부비고는 꼬리를 흔들었어요. 저는 아, 친구로구나라고 생각했어요. 처음에는 몬스터 그류핀이 집안에 들어와서 싸울 각오를 했지만, 그들은 제게 아무 짓도 저지르지 않았어요. 아니지, 오히려 라이오넬을 데려갈 때 제 앞에 살포시 앉더군요. 라이오넬은 친구들 곁으로 돌아간 거예요. 라이오넬은 보이지 않게 될 때까지 제 쪽을 몇 번이고 돌아보았지요. 저는 눈물을 참고서 웃으면서 배웅해 주었어요. 이런 일이 있었던 거예요. 헥터의 꼬리를 기껏 모아와 주셨는데 죄송해요. 이건 보답이니 받아 주세요. 쓸쓸해지겠지만 당신도 라이오넬의 홀로서기를 축복해 주세요. (마야는 웃고 있지만, 눈가에서는 마침내 눈물이 흐르고 있었다.)
퀘스트 마지막 대사(일본어 번역)
퀘스트 마지막 대사(일본어 번역)
그러나 안타깝게도 다음 퀘스트에서 라이오넬은 비극적인 운명을 맞게 되었음이 밝혀진다.
3.2.3.1. (Lv.80) 괴물의 소문
| ||
괴물의 소문 | ||
선행 퀘스트 | (Lv.40) 라이오넬의 여행 | |
시작 레벨 | 80 | |
시작 NPC | 스카두르 (엘나스 산맥: 엘나스) | |
조건 | <colbgcolor=#353535> 1 | 엘나스의 스카두르와 대화 후 같은 마을의 폭스 상사와 대화 |
2 | 폭스 상사에게 | |
3 | 지구방위본부의 마에스터 장군과 대화 후 | |
보상 |
몇 개월 전의 일일세. 지구방위군이 고용한 과학자가 금기를 위반했다네. 각지에서 모아들인 몬스터들에게 수상한 빛을 쪼이자마자 몬스터가 본 적도 없는 괴물 라이칸스로프로 변해 버렸네. 라이칸스로프의 강력함에 우리 군도 애를 먹고 있는 상황일세. 원래는 얌전해 보이는 라이오너도 껴 있었네만. 목걸이를 차고 있었기 때문에 누군가에게 길러진 것일지도 모르겠군. 그렇게 태어난 100마리의 라이칸스로프는 과학자와 함께 탈출해 버렸다네.
- 마에스터 장군의 고백
장군은 메이플 월드의 안전을 위해서 라이칸스로프들을 처치해 줄 것을 부탁하고, 모험가는 마야를 생각하면서도 결국 세계의 안전을 위해 라이칸스로프들을 처치한다. 퀘스트 완료창에는 "라이칸스로프 중에서 목걸이를 찬 녀석은 없었다. 분명히 이 세상 어딘가에서 살아가고 있을 것이다... 마음만 편하려고 한다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그렇게 믿기로 했다."라는 씁쓸한 말이 적혀 있다.- 마에스터 장군의 고백
4. 피아
헤네시스공원 시계탑 밑의 소녀 피아 |
<nopad> |
4.1. (Lv.10) 달팽이 전설
| ||
달팽이 전설 | ||
시작 레벨 | 10 | |
시작 NPC | 피아 (빅토리아로드: 헤네시스공원) | |
조건 | <colbgcolor=#353535> 1 | 피아에게 |
2 | 헤네시스의 밍밍부인과 대화 후 엘리니아의 요정 윙과 대화 | |
3 | ||
4 | 피아와 대화 후 마노를 처치하여 | |
보상 | 경험치 총 380(5+5+100+270), 30,000메소, 인기도 +3(단, 무지개색 달팽이 등껍질을 사용한 상태로 대화하면 인기도 -1) |
헤네시스의 장난꾸러기 피아는 '무지개색 달팽이 등껍질'에 대한 소문을 듣는다. 이는 메이플 월드에서 가장 오래된 달팽이에게서 얻을 수 있는 보물로 지닌 자의 소원을 들어주는 힘을 지녔다는 것이다. 피아는 헤네시스의 책벌레 제이가 주었다는
제이를 찾아가면, 책 '달팽이 전설'의 저자는 자신의 증조 할아버지인 '알로이'이며 그는 리스항구의 뱃사람이지만 왕성하게 각지를 쏘다니는 모험가라고 밝힌다. 아마도 어머니 밍밍부인이 잘 알 것이라면서 그녀를 찾아가 보라고 한다. 밍밍부인은 한숨을 내쉬며 "정정하신 것도 좋지만 바다를 떠돌며 온갖 사고를 치시니..."라고 말하면서, 최근 그는 엘리니아에 가서 소년 요정 윙과 친구가 되었다고 편지를 보냈다면서, 한번 들러보라고 한다.
엘리니아의 요정 윙을 찾아가면 알로이에 대해 이것저것 떠들어댄다. 그에 따르면,
이 엘리니아에 알로이를 모르는 요정은 한 명도 없을걸? 좋은 의미든 나쁜 의미든 말이야! 그 인간, 무진장 시끄러웠다고! 목소리는 엄청 큰데 말도 엄청 많은 데다가 아무데나 끼어들이 좋아하고!
...흥. 뭐, 그렇다고 싫다는 말은 아니야. 나름대로 재밌는 인간이었어. 소란스러운 것만 빼면 현명하고 지혜로운 자였지. 마노의 등껍질을 얻었다던데... 그래서 그런가? 인간 치고 무척 괜찮은 인간이었어.
- 요정 윙의 알로이 소개
그런데 모험가가 알로이가 아니라 '마노'에 대해 궁금해한다는 것을 눈치 채고는 ...흥. 뭐, 그렇다고 싫다는 말은 아니야. 나름대로 재밌는 인간이었어. 소란스러운 것만 빼면 현명하고 지혜로운 자였지. 마노의 등껍질을 얻었다던데... 그래서 그런가? 인간 치고 무척 괜찮은 인간이었어.
- 요정 윙의 알로이 소개
레벨 22의 해적이 마노를 처치하는 모습, 마노가 추가된 지 3개월 후 해적이 업데이트되었다. (2008년 3월 촬영) |
<nopad> |
다시 피아에게 돌아가면 이제 마노를 퇴치하고 무지개색 등껍질을 구해 달라고 하며 몹시 기대한다. 그런데 정작 껍질을 구해서 돌아가면, 태도가 싹 돌변해서 껍질은 자기가 가지겠다고 하며 이를 빼앗아간다. 이때 반전이 일어나는데, 피아는 달팽이 껍질을 사용하자마자 빨간 달팽이로 변해 버린다. 사실 무지개색 달팽이 등껍질은 사용하면 달팽이로 바뀌어 버리는 마법 용품이었던 것이다. 거꾸로 말하자면 알로이가 바라마지 않던 소원은 달팽이가 되어 보는 것(...)이었다는 말이 된다. 그가 엄청난 괴짜였음을 암시하는 대목이다.
한편 퀘스트를 수행함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는데 달팽이로 변신한 상태에서 피아에게 말을 걸면 인기도를 내려 버린다.[38]
무지개색 달팽이 등껍질을 사용하여 빨간 달팽이로 변신한 모습 (2008년 10월 촬영) |
<nopad> |
4.2. (Lv.20) 피아와 파란 버섯
| ||
피아와 파란 버섯 | ||
시작 레벨 | 20 | |
시작 NPC | 피아 (빅토리아로드: 헤네시스공원) | |
조건 | ||
보상 | 경험치 1,000, |
2003년 추가 당시에는 주문서 지급 퀘스트 중에서 가장 요구 레벨이 낮은 퀘스트였다. 그래서 퀘스트를 깨면 주문서 사용 방법을 자세히 알려 준다. 사실상 주문서 튜토리얼 퀘스트였던 셈이다.
메이플 월드 곳곳의 파란버섯들 | |
파란버섯의 숲 | 헤네시스던전입구 |
<nopad> | <nopad> |
니은숲 | 골렘의사원 |
<nopad> | <nopad> |
4.3. (Lv.55) 피아의 친구를 위한 선물
| ||
피아의 친구를 위한 선물 | ||
선행 퀘스트 | (Lv.20) 피아와 파란버섯 | |
시작 레벨 | 55, 도적 직업군만 수행 가능 | |
시작 NPC | 마야 (빅토리아로드: 헤네시스민가) | |
조건 | <colbgcolor=#353535> 1 | 피아와 대화하여 요구 조건 확인 후 헤네시스의 리나와 대화 |
2 | 리나에게 | |
3 | ||
보상 | 경험치 총 1,500(0+500+1,000), 여자는 |
타우로마시스를 처치하다가 죽은 81레벨 도적 (2003년 9월 촬영) |
<nopad> |
5. 카밀라
NPC 카밀라와 '카밀라'라는 이름의 유저의 만남, 그 자체로 희귀 스크린샷이다 (2006년 7월 촬영) |
<nopad> |
5.1. (Lv.23) 카밀라의 유리구슬
| ||
카밀라의 유리구슬 | ||
시작 레벨 | 23 | |
시작 NPC | 카밀라 (빅토리아로드: 헤네시스) | |
조건 | ||
보상 | 경험치 1,700, |
퀘스트 내용은 초간단, 카밀라가 소꿉친구 유타에게 유리구슬을 생일 선물로 준다는 줄거리가 끝이다. 구슬은 카밀라가 소중히 여기던 것인데, 유타에게 주려고 '나의 친구 유타에게'라는 글귀도 새겨 두었다고 한다. 카밀라가 직접 유타의 돼지농장으로 가고 싶지만, 겁 많은 카밀라는 리본 돼지들이 너무 무서워서 도저히 갈 수가 없다고. 돼지농장은 '헤네시스 동쪽숲'의 왼쪽 위 끝 히든 포탈을 통해서 들어갈 수 있었다.[46]
유타에게 가는 길은 간단한 미로로 되어 있었다. 정답 볏짚 위에서 위(↑) 방향키를 눌러서 미로 끝의 유타에게 도달하면 성공. 미로의 원리는 캐릭터 소환 지점에서 가장 먼 곳에 있는 볏짚을 찾는 것이다. 다음은 미로의 전체 공략본이다.
유타의 돼지농장 공략 |
<nopad> |
돼지도감이 아니라 케이크를 받고 "나뻐"라고 투덜거리는 유저 | "유타의 브라자"라고 말하는 유저, 브래지어에 관심갖는 유저가 상당히 많았다 |
<nopad> | <nopad> |
5.2. (Lv.35) 아랫마을을 찾아서...
| ||
아랫마을을 찾아서... | ||
시작 레벨 | 23 | |
시작 NPC | 카밀라 (빅토리아로드: 헤네시스) | |
조건 | <colbgcolor=#353535> 1 | 카밀라와 대화 후 커즈아이를 처치하고 |
2 | '하늘길을 따라서 아랫마을로' 또는 '바닷길을 따라서 아랫마을로' 퀘스트를 클리어한 후 카밀라에게
| |
보상 | 경험치 2,000(1,000+200+800) |
카밀라는 콩쥐와 펜팔 친구를 맺고 있었는데, 심술궂은 커즈아이들이 콩쥐의 편지를 갈취해 가 버렸다. 커즈아이를 처치하고
2007년 전까지 아쿠아리움의 돌고래 택시를 타려면 티켓 아이템이 필요했다 (2006년 2월 촬영)[47] |
<nopad> |
6. 경비병 루크
던전입구를 지키는 경비병 루크와 비슷한 외형의 모험가 (2005년 11월 촬영) |
<nopad> |
6.1. (Lv.15) 던전입구를 지키는 경비병 루크
| ||
던전입구를 지키는 경비병 루크 | ||
시작 레벨 | 15 | |
시작 NPC | 루크 (빅토리아로드: 헤네시스던전입구) | |
조건 | ||
보상 | 경험치 270, 흑수정을 제외한 보석류(가넷, 자수정, 아쿠아마린, 에메랄드, 오팔, 사파이어, 토파즈, 다이아몬드) 중 랜덤 1종 1개 |
30제 왕푸를 든 전사가 MISS를 내는 모습(2005년 8월 촬영) | 스티지 떼에 둘러싸인 유저(2005년 8월 촬영) |
<nopad> | <nopad> |
6.2. (Lv.55) 경비병 루크의 모험 결심
| ||
경비병 루크의 모험 결심 | ||
선행 퀘스트 | (Lv.15) 던전입구를 지키는 경비병 루크 | |
시작 레벨 | 55, 전사 직업군만 수행 가능 | |
시작 NPC | 루크 (빅토리아로드: 헤네시스던전입구) | |
조건 | ||
보상 | 경험치 1,000, |
극초창기의 퀘스트창에 보이는 '경비병 루크의 모험 결심' (2004년 1월 촬영) |
<nopad> |
이 중 '검은 깃털'은 엘리니아의 요정 아르웬의 부탁을 들어준 후,
모든 재료를 모아가면 루크의 가문에 대대로 내려 오는 투구,
7. 브루스 박사
헤네시스의 브루스 박사 (2007년 2월 촬영) | 페리온의 이얀 (2005년 8월 촬영) |
<nopad> | <nopad> |
7.1. (Lv.10) 버섯 몬스터를 연구하는 이유
| ||
버섯 몬스터를 연구하는 이유 | ||
시작 레벨 | 10 | |
시작 NPC | 브루스 (빅토리아로드: 헤네시스) | |
조건 | ||
보상 | 경험치 230, |
헤네시스의 최강 보스 몬스터였던 머쉬맘 (2004년 3월 촬영) |
<nopad> |
7.2. (Lv.10) 내 딸을 찾고 싶어
| ||
내 딸을 찾고 싶어 | ||
선행 퀘스트 | (Lv.8) 스텀프는 무서워 (Lv.10) 버섯 몬스터를 연구하는 이유 | |
시작 레벨 | 10 | |
시작 NPC | 브루스 (빅토리아로드: 헤네시스) | |
조건 | <colbgcolor=#353535> 1 | 브루스에게 |
2 | ||
보상 | 경험치 230, 500메소 |
퀘스트 설정은 좋았지만 무려 수십 년만에 딸을 찾았는데도 딸을 확인하러 갈 생각은커녕 모험가를 시켜서 페리온으로 보낸다던가, 장난감 칼을 보여주자마자 이얀이 대사 1컷만에 모든 기억을 되찾는 설정은 무리하다. 또한 두 사람은 수십 년만에 서로를 찾았는데도 "너무 기뻐요!", "너무 기쁜 일이야~"와 같은 건조하고 평범한 대사만 남발하고 있는 점도 퀘스트의 감동을 크게 떨어뜨리고 있다. 그렇게 딸을 겨우 찾았는데 다음 퀘스트도 없는 등, 여러모로 아쉬움을 많이 남기는 퀘스트이다.
8. 헤네시스 주민 스크립트 일람
8.1. 클로이: 펫에 관한 질문
| ||
펫에 관한 질문 | ||
<colbgcolor=#c40233> 시작 레벨 | 0 | |
시작 NPC | 클로이 (빅토리아로드: 헤네시스공원) | |
조건 | 클로이와 대화하여 다음 대사를 클릭하여 정보 듣기* 펫에 대해 알려주세요. | |
보상 | 없음 |
아래는 클로이의 대사 전문이다.[56] 원래는 각 펫별 명령어에 대한 탭도 있었지만 현재는 일괄 삭제되었다.[57] 여기에서도 해당 부분은 싣지 않는다.
자네… 혹시 내 아이를 기르고 있는 건 아닌가? 생명의 물을 이용한 마법으로 나는 인형에 생명을 불어넣는 마법을 성공했지. 사람들은 그렇게 생명을 얻은 내 아이들을 펫이라고 부르더군. 혹시 펫을 가지고 있다면 뭐든 나에게 물어보게나.
무엇이 궁금한가?
- 펫에 대해 알려주세요.
펫에 대해 궁금하다는 말이로군. 나는 오래 전 내가 손수 만든 인형에 생명의 물을 뿌리고 마법을 걸어 마법의 동물을 만들어 내는 데 성공했다네. 믿을 수 없겠지만 인형이 살아 있는 생명체가 된 것이지. 사람의 말을 알아듣고 잘 따르는 귀여운 녀석들이라네.
그렇지만 그 생명의 물은 세계수의 가장 밑바닥에서 아주 조금씩만 생겨나고 있기 때문에 그 아이에게 많은 시간을 줄 수가 없다네… 정말 안타까운 일이지… 하지만 인형으로 돌아갔더라도 다시 생명을 줄 수 있으니 함께 있는 동안은 많이 귀여워해 주게나.
아참… 녀석들은 특별한 명령을 하면 뭔가 반응을 보인다네. 야단을 칠 수도 있고 귀여워해 줄 수도 있고… 모든 것은 자네가 하기에 달렸다네. 녀석들은 자네 곁에서 떠나는 것을 두려워할 테니 자주 귀여워해 줘야 할 것일세. 외로움을 많이 타거든…[58]
- 펫은 어떻게 키우나요?
펫은 특별한 명령을 하면 좋아하기도 하고 싫어하기도 하는 등 여러 가지 반응을 보인다네. 만일 펫에게 명령을 해서 주인의 말을 잘 들으면 그때마다 주인과의 친밀도가 올라가게 되지. 펫을 더블클릭 해보면 친밀도, 레벨, 포만감을 확인할 수 있어.
펫에게 말을 걸면서 관심을 가져주면 친밀도가 올라가고 펫의 레벨이 올라가기도 한다네. 친밀도가 어느 정도 상승할 때마다 펫의 레벨이 올라가는데 레벨이 높아지면 사람의 말을 하기도 하니까 열심히 키워 보게나. 물론 쉽지는 않겠지만 말일세…
비록 인형이라고는 하나 이놈들도 생명을 가지고 있어서 배고픔을 느낀다네. 포만감은 배고픈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100이 최고이고 어느 정도 내려가면 펫이 말을 잘 듣지 않는 등 신경질적으로 반응할 수도 있다네. 그러니 각별히 신경써 주게나.
그렇지! 펫은 사람이 먹는 음식은 잘 먹지 못한다네. 그 대신 내 제자인 큐트가 헤네시스 시장에서 펫의 먹이를 팔고 있으니 먹이가 필요하다면 헤네시스로 가 보도록 하게나. 펫이 힘을 잃기 전에 미리미리 먹이를 사 두는 게 좋을 것이야.[59]
아참! 펫은 오랫동안 먹이를 주지 않으면 스스로 집으로 들어가 버린다네. 다시 꺼내서 먹이를 주면 되긴 하지만 펫의 건강에 별로 좋은 일이 아니니 이런 일은 생기지 않도록 매 끼니 때마다 밥을 잘 줘야겠지? 그럼 이 정도면 설명이 되었을 거라고 믿네.
- 펫도 죽나요?
죽는다라… 사실 이 녀석들은 정말 살아있는 놈들이 아니기 때문에 죽는다고 말하는 게 옳은지는 나도 잘 모르겠군. 이 녀석들은 나의 마법의 힘과 생명의 물의 힘을 인형에 불어넣어서 만들어진 녀석들이거든. 물론 움직이는 동안은 동물과 다를 것이 없지만 말야…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그렇지…! 이놈들은 멈춰버리게 된다네. 원래대로 인형으로 돌아가 버리는 거지. 마법의 효력이 다하고 생명의 물이 마르게 되면 말야… 하지만 영원히 멈춰버리는 건 아니라네. 다시 생명의 물을 발라주면 살아나게 되거든.
다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하더라도 역시 멈추는 건 슬픈 일이야… 그러니 움직이는 동안은 진심으로 녀석들을 귀여워해 주게나. 밥도 꼬박꼬박 잘 주고 말이야. 그래도 자네만을 따르고 바라보는 생명이 있다는 건 즐겁고 기분 좋은 일이 아닌가?
이 설명은 루디브리엄 에오스탑 입구의 '위습'에게서도 말투만 바뀐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 그런데 위습의 경우 대사 수정이 이루어져 '펫에 대해 알려주세요' 스크립트는 삭제되어 완전히 유실되었고[60], '생명의 물을 발라주면'이라는 대사가 '프리미엄 생명의 물을 발라주면'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위습이 요정 마르의 소환체라는 대사 역시도 완전히 삭제되었다.무엇이 궁금한가?
- 펫에 대해 알려주세요.
펫에 대해 궁금하다는 말이로군. 나는 오래 전 내가 손수 만든 인형에 생명의 물을 뿌리고 마법을 걸어 마법의 동물을 만들어 내는 데 성공했다네. 믿을 수 없겠지만 인형이 살아 있는 생명체가 된 것이지. 사람의 말을 알아듣고 잘 따르는 귀여운 녀석들이라네.
그렇지만 그 생명의 물은 세계수의 가장 밑바닥에서 아주 조금씩만 생겨나고 있기 때문에 그 아이에게 많은 시간을 줄 수가 없다네… 정말 안타까운 일이지… 하지만 인형으로 돌아갔더라도 다시 생명을 줄 수 있으니 함께 있는 동안은 많이 귀여워해 주게나.
아참… 녀석들은 특별한 명령을 하면 뭔가 반응을 보인다네. 야단을 칠 수도 있고 귀여워해 줄 수도 있고… 모든 것은 자네가 하기에 달렸다네. 녀석들은 자네 곁에서 떠나는 것을 두려워할 테니 자주 귀여워해 줘야 할 것일세. 외로움을 많이 타거든…[58]
- 펫은 어떻게 키우나요?
펫은 특별한 명령을 하면 좋아하기도 하고 싫어하기도 하는 등 여러 가지 반응을 보인다네. 만일 펫에게 명령을 해서 주인의 말을 잘 들으면 그때마다 주인과의 친밀도가 올라가게 되지. 펫을 더블클릭 해보면 친밀도, 레벨, 포만감을 확인할 수 있어.
펫에게 말을 걸면서 관심을 가져주면 친밀도가 올라가고 펫의 레벨이 올라가기도 한다네. 친밀도가 어느 정도 상승할 때마다 펫의 레벨이 올라가는데 레벨이 높아지면 사람의 말을 하기도 하니까 열심히 키워 보게나. 물론 쉽지는 않겠지만 말일세…
비록 인형이라고는 하나 이놈들도 생명을 가지고 있어서 배고픔을 느낀다네. 포만감은 배고픈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100이 최고이고 어느 정도 내려가면 펫이 말을 잘 듣지 않는 등 신경질적으로 반응할 수도 있다네. 그러니 각별히 신경써 주게나.
그렇지! 펫은 사람이 먹는 음식은 잘 먹지 못한다네. 그 대신 내 제자인 큐트가 헤네시스 시장에서 펫의 먹이를 팔고 있으니 먹이가 필요하다면 헤네시스로 가 보도록 하게나. 펫이 힘을 잃기 전에 미리미리 먹이를 사 두는 게 좋을 것이야.[59]
아참! 펫은 오랫동안 먹이를 주지 않으면 스스로 집으로 들어가 버린다네. 다시 꺼내서 먹이를 주면 되긴 하지만 펫의 건강에 별로 좋은 일이 아니니 이런 일은 생기지 않도록 매 끼니 때마다 밥을 잘 줘야겠지? 그럼 이 정도면 설명이 되었을 거라고 믿네.
- 펫도 죽나요?
죽는다라… 사실 이 녀석들은 정말 살아있는 놈들이 아니기 때문에 죽는다고 말하는 게 옳은지는 나도 잘 모르겠군. 이 녀석들은 나의 마법의 힘과 생명의 물의 힘을 인형에 불어넣어서 만들어진 녀석들이거든. 물론 움직이는 동안은 동물과 다를 것이 없지만 말야…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그렇지…! 이놈들은 멈춰버리게 된다네. 원래대로 인형으로 돌아가 버리는 거지. 마법의 효력이 다하고 생명의 물이 마르게 되면 말야… 하지만 영원히 멈춰버리는 건 아니라네. 다시 생명의 물을 발라주면 살아나게 되거든.
다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하더라도 역시 멈추는 건 슬픈 일이야… 그러니 움직이는 동안은 진심으로 녀석들을 귀여워해 주게나. 밥도 꼬박꼬박 잘 주고 말이야. 그래도 자네만을 따르고 바라보는 생명이 있다는 건 즐겁고 기분 좋은 일이 아닌가?
더 심각한 문제는 요정 마르의 경우인데, 마르를 클릭하면 엘리니아 숲에서 수백 년간 살아온 요정 운운하는 스크립트가 오랫동안 존재했으나 현재 발견되지 않고 있다. 지금으로서는 완전히 실전된 셈이다.[61]
8.2. 카이지: 미니게임 아이템 만들기
| ||
미니게임 아이템 만들기 | ||
<colbgcolor=#c40233> 시작 레벨 | 0 | |
시작 NPC | 카이지 (빅토리아로드: 헤네시스게임공원) | |
조건 |
| |
보상 |
- 2004.1.13.(V1.54) 오목 시스템 구현, 오목알 2종 추가(슬라임, 버섯), 헤네시스게임공원에서만 플레이 가능
- 2004.2.17.(V1.56) 같은그림찾기 시스템 구현, 오목알 2종 추가(옥토퍼스, 돼지)
- 2004.6.22.(V1.66) 미니게임을 모든 맵에서 플레이 가능하게 수정
- 2005.12.20.(V1.81) 루디브리엄 업데이트와 함께 루디브리엄에 미니게임 제작 NPC 추가
- 2005.1.27.(V1.82) 루디브리엄 전용 오목알 4종 추가(핑크테니, 팬더테니, 블록퍼스, 트릭스터)
- 2005.2.24.(V1.85) 자유시장 대기맵에서 미니게임 개설이 불가하게끔 수정
미니게임이 열리지 않아 답답해하는 모습 (2004년 2월 촬영) |
<nopad> |
길드에서 자체적으로 오목 대회를 열고 있다 (2005년 12월 촬영) |
<nopad> |
- ◆ 카이지의 대사 전문 [열기·닫기]
- > 이봐, 너! 사냥에 지친 것 같아 보이는군 그래? 즐기며 살자는 것이 나의 신조지. 어때? 몇 가지 아이템만 있으면 이 내가 미니게임을 할 수 있는 아이템으로 교환해 주겠어. 자… 뭘 도와줄까?
- 미니게임 아이템 만들기
미니게임 아이템을 만들고 싶다고? 미니게임은 그냥 할 수 있는 게 아니야. 어떤 미니게임을 하고 싶다면 특정한 아이템이 필요하지. 어떤 미니게임 아이템을 만들고 싶지?
오목세트
오목을 해보고 싶은 모양이지? 오목을 하려면 오목세트라는 아이템이 필요해. 이 아이템을 가지고 있는 사람만 오목을 할 수 있는 방을 열 수가 이지. 거의 모든 장소에서 자유롭게 오목 방을 열 수 있지만 자유시장 대기맵과 같은 곳에서는 제한될 수도 있으니 참고하길 바래.
오목세트도 어떤 돌을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나뉘지. 어떤 오목세트를 만들고 싶어?
- 슬라임, 버섯 오목세트
- 슬라임, 옥토퍼스 오목세트
- 슬라임, 돼지 오목세트
- 옥토퍼스, 버섯 오목세트
- 돼지, 옥토퍼스 오목세트
- 돼지, 버섯 오목세트
슬라임, 버섯 오목세트를 만들고 싶다는 말이지? 흐음… 재료만 있다면 이 내가 만들어 줄 수도 있지. 잘 들으라고. 재료는 슬라임 오목알, 버섯 오목알, 바둑판이 필요해. 아마 몬스터들이 떨어뜨릴 것 같은데…[63]
아니! 이건 분명 슬라임 오목알, 버섯 오목알, 바둑판이잖아? 호오… 필요한 아이템을 용케도 모두 모아왔군 그래? 좋았어. 조금만 기다려 달라고~ 금방 만들어 줄 테니 말야. 웃차 웃차~
슬라임, 버섯 오목세트 하나 잘 받았겠지? 앞으로 이것만 있으면 어디서든 오목 방을 열 수 있어. 이곳에서 방을 열고 여러 사람들과 오목을 즐기면 되는 거야. 좋은 성적을 거두면 필시 굉장한 일이 생길지도 모르지. 나도 이곳에서 응원해 줄 테니 열심히 해보라고.
아참. 오목에 대해 궁금한 점이 생긴다면 언제든지 내게 물어보라고. 당분간은 계속 이곳에 머물 생각이니까 말야. 그럼 열심히 해서 날 능가하는 미니게임의 최강자가 되어 보라구. 물론 그럴 일은 없겠지만 말야… 자… 난 바빠서 이만~
같은그림찾기
같은그림찾기세트를 만들고 싶다는 말이지? 흐음… 같은그림찾기세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장의 몬스터 카드가 필요해. 몬스터 카드는 섬 이곳 저곳에 있는 몬스터들을 쓰러뜨리다 보면 얻을 수 있을 거야. 몬스터 카드를 15장 모아다 주면 같은그림찾기세트를 만들 수 있지.[64]
아니! 이건 분명 몬스터 카드 15장이잖아. 쉽지 않았을 텐데 대단한걸? 좋았어! 오랜만에 능력발휘 해볼까? 조금만 기다려 달라고~ 같은그림찾기세트를 금방 만들어 줄 테니 말야. 웃차 웃차~
같은그림찾기세트 하나 잘 받았겠지? 방을 열고 여러 사람들과 즐기면 되는 거야. 거의 모든 장소에서 자유롭게 같은그림찾기 방을 열 수 있지만 자유시장 대기맵과 같은 곳에서는 제한될 수도 있으니 참고하길 바래. 좋은 성적을 거두면 필시 굉장한 일이 생길지도 모르지. 나도 이곳에서 응원해 줄 테니 열심히 해보라고.
아참. 같은그림찾기에 대해 궁금한 점이 생긴다면 언제든지 내게 물어보라고. 당분간은 계속 이곳에 머물 생각이니까 말야. 그럼 열심히 해서 날 능가하는 미니게임의 최강자가 되어 보라구. 물론 그럴 일은 없겠지만 말야… 자… 난 바빠서 이만~
- 미니게임에 대한 설명 듣기
미니게임에 대한 설명을 듣고 싶은가? 좋았어! 뭐든 물어만 보게나. 어떤 미니게임에 대한 설명을 듣고 싶은가?
오목
지금부터 오목의 룰에 대해 말해 주지. 잘 들어. 오목은 상대방과 번갈아가며 한 번씩 오목알을 바둑판 상에 두어 먼저 세로, 가로, 대각선 어느 쪽으로든 먼저 5개를 나란히 놓는 사람이 이기는 게임이야. 이 정도야 다들 아는 거겠지. 우선 기본적으로 슬라임, 버섯 오목세트를 가지고 있는 사람만이 오목방을 개설할 수 있어. 오목방은 게임공원 외에 다른 곳에서도 개설이 가능하니까 얼마든지 즐길 수 있지.
오목을 한 게임 할 때마다 100 메소가 필요해. 만일 슬라임, 버섯 오목세트를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개설된 게임 안에 들어가 참여할 수 있어. 하지만 100 메소가 없다면 방에 들어가는 게 불가능해. 방을 개설하는 사람도 마찬가지라서 슬라임, 버섯 오목세트가 있어도 100 메소가 없으면 개설이 안 되니까 주의하도록 해. 게임 중에 메소가 다 떨어지면 무조건 방에서 강제로 퇴장된다구.
일단 방에 들어가서 준비가 되었으면 Ready 버튼을 누르도록 해. 참여한 사람이 Ready를 누르면 방장이 Start 버튼을 눌러 게임을 시작할 수 있어. 만일 같이 게임하고 싶지 않은 사람이 들어왔다면 방장은 그 사람을 강퇴(강제 퇴장) 시킬 수 있어. 그 사람 오른쪽 위에 x가 새겨진 네모난 박스가 있을 거야. 그걸 누르면 그 사람과는 바이바이~ 알겠지?
방이 처음 개설돼서 첫 게임이 시작되면 방장이 먼저 둘 수 있어. 또한 자기 차례가 되어 제한 시간 내에 두지 않으면 상대방 차례로 바뀌니까 조심해. 기본적으로 3 x 3은 안 되지만 그 자리에 놓지 않으면 게임이 끝나버릴 수 있는 자리일 경우에는 놓을 수 있어. 수비에 꼭 필요하면 삼삼도 인정된다는 말씀! 아참! 5개가 아닌 6개, 7개는 오목으로 인정되지 않는다구~
질 것이 뻔한 상황이라면 무르기를 신청할 수 있어. 그래서 만일 상대가 인정한 경우 신청한 사람이 마지막에 놓은 돌까지 취소되고 다시 시작하게 되지. 또 갑자기 화장실이 가고 싶다거나… 이렇게 급한 상황이라면 무승부를 신청할 수 있어. 그래서 상대가 그걸 인정하면 무승부로 게임이 종료되지. 우정파괴를 피하고 싶다면 무승부도 추천할 만한 방법이야.
게임이 끝난 후 다시 시작하면 진 사람부터 두게 돼. 아참, 게임 도중에는 나갈 수 없어. 만일 도중에 나가고 싶다면 기권, 무승부 같은 걸 신청해야만 해. 기권을 신청하면 자동으로 신청한 사람이 지는 게 되니까 조심해. 그리고 게임 도중 나가기를 눌러 나가기 예약을 하면 게임이 끝난 뒤 바로 오목방에서 나오게 되니까 이걸 이용하는 게 가장 좋을 거야.
과연… 나를 능가할 녀석이 있는지 기대되는걸? 오목에 대한 설명은 여기까지야. 나중에 또 뭔가 궁금한 것이 생기면 언제든지 날 찾아오라구~
같은그림찾기
지금부터 같은그림찾기의 룰에 대해 말해 주지. 잘 들어. 같은그림찾기는 이름만 들어도 알겠지만… 바닥에 놓여진 여러 장의 몬스터 카드 중에서 같은 그림을 가진 한 쌍의 카드를 찾아내는 게임이야. 그렇게 짝을 찾아 나가다가 모든 카드의 짝이 정해졌을 때 더 많은 카드를 찾아낸 사람이 이기게 되지. 오목과 마찬가지로 같은그림찾기세트를 가지고 있는 사람만이 게임을 개설할 수 있고 게임공원이 아닌 곳에서도 개설이 가능해…
같은그림찾기는 한 게임 할 때마다 100 메소가 필요해. 만일 같은그림찾기세트를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개설된 게임 안에 들어가 참여할 수 있어. 하지만 100 메소가 없다면 방에 들어가는 게 불가능해. 방을 개설하는 사람도 마찬가지라서 세트 아이템이 있어도 100 메소가 없으면 개설이 안 되니까 주의하도록 해. 게임 중에 메소가 다 떨어지면 무조건 방에서 강제로 퇴장된다구.
일단 방에 들어가서 준비가 되었으면 Ready 버튼을 누르도록 해. 참여한 사람이 Ready를 누르면 방장이 Start 버튼을 눌러 게임을 시작할 수 있어. 만일 같이 게임하고 싶지 않은 사람이 들어왔다면 방장은 그 사람을 강퇴(강제 퇴장) 시킬 수 있어. 그 사람 오른쪽 위에 x가 새겨진 네모난 박스가 있을 거야. 그걸 누르면 그 사람과는 바이바이~ 알겠지?
아참… 같은그림찾기는 오목과는 달리 방을 개설할 때 몇 장의 카드로 할 것인지 설정하는 것이 추가적으로 필요해. 3x4, 4x5, 5x6 이렇게 3가지 모드가 있어서 각각 12, 20, 30 장의 카드로 같은 그림 찾기를 할 수 있지. 다만 이건 한 번 방이 열리면 도중에 바꿀 수 없으니까 바꾸고 싶으면 방을 닫았다가 다시 개설하는 수밖에 없어.
방이 처음 개설돼서 첫 게임이 시작되면 방장이 먼저 카드를 뒤집을 수 있어. 또한 자기 차례가 되어 제한 시간 내에 카드를 뒤집지 않으면 상대방 차례로 바뀌니까 조심해. 자기 차례가 되었을 때 같은 그림 한 쌍을 찾아내면 한 번 더 카드를 뒤집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니까 암기력을 발휘해서 연속으로 뒤집는 것이 승부의 관건이야.
맞춘 카드의 쌍의 수가 똑같을 경우에는 연속으로 맞춘 횟수가 많은 사람이 기기게 되지. 그리고 갑자기 화장실이 가고 싶다거나… 질 것이 뻔한 상황이라면 무승부를 신청할 수 있어. 그래서 상대가 그걸 인정하면 무승부로 게임이 종료된다구. 우정파괴를 피하고 싶다면 무승부도 추천할 만한 방법이야. 싸우는 것보다는 낫지 않겠어?
게임이 끝난 후 다시 시작하면 진 사람부터 두게 돼. 아참, 게임 도중에는 나갈 수 없어. 만일 도중에 나가고 싶다면 기권, 무승부 같은 걸 신청해야만 해. 기권을 신청하면 자동으로 신청한 사람이 지는 게 되니까 조심해. 그리고 게임 도중 나가기를 눌러 나가기 예약을 하면 게임이 끝난 뒤 바로 방에서 나오게 되니까 이걸 이용하는 게 가장 좋을 거야.
과연… 나를 능가할 녀석이 있는지 기대되는걸? 같은그림찾기에 대한 설명은 여기까지야. 나중에 또 뭔가 궁금한 것이 생기면 언제든지 날 찾아오라구~
8.3. 바르토스와 프로드: 펫 훈련
| ||
펫 훈련 | ||
<colbgcolor=#c40233> 시작 레벨 | 0, | |
시작 NPC | 바르토스 (빅토리아로드: 펫산책로) 위버 (루디브리엄: 루디 펫 산책로) | |
조건 | 바르토스에게 | |
보상 | 소환한 펫의 친밀도 +4 | |
비고 | 반복 수행 가능 |
프로드가 친밀도를 올려주고 있다 (2006년 9월 촬영) |
<nopad> |
|
<nopad> |
이들 펫 산책로는 다른 장애물 퀘스트보다도 가볍게 클리어하기 좋아서 유저들의 길드 이벤트나 운영자 이벤트에 가끔 활용되곤 했다.
김박사의 보안본부배 체력증진대회 이벤트가 펫 산책로에서 개최되고 있다 (2009년 7월 촬영) |
<nopad> |
8.4. 리나: 먼 옛날 있었던 큰 전쟁
이 마을은 먼 옛날 세계를 떠돌던 궁수들이 모여서 만들어졌답니다. 기후도 따뜻하고 몬스터의 위협도 적어서 살기 좋은 곳이에요. 마을 중심부에 있는 헬레나님께 가보세요. 궁수로 전직하고 싶으시다면 말이죠… 도와주실 거예요. 어머? 아직 헬레나님을 모르신다는 말씀이세요? 그 분은 먼 옛날 있었던 큰 전쟁에서 우리 마을을 지켜주신 분이랍니다. 하지만 지금 이곳은 평화롭기만 하니 안심하세요. 전쟁은 더 이상 없을 테니까요. 정말 대단하신 분이시죠…
- 리나의 클릭 시 대사
2003년 초 극초창기 때부터 있었을 것으로 짐작되는 스크립트이다. 헤네시스의 기원과 대전쟁 설정, 헬레나의 중대한 역할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대사로, 현재까지도 리나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다.[66] 이 중 대전쟁 설정은 빅뱅 이전에는 '(Lv.55) 마야를 위한 수집' 퀘스트와 ''(Lv.55) 고대의 책을 찾아서'에서 언급되었지만 활용되지 못하고 잊혔다가, 오히려 빅뱅 이후에 '300년 전 전쟁'이라는 설정으로 정립되어 특히 팬텀 직업 스토리에서 스우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역할을 부여받았다.- 리나의 클릭 시 대사
한편 리나의 대사 중 '헤네시스'의 기원에 대한 설명은 극초창기 설정과 관련되어 있다. 다음은 2003년 2월 이전 공식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던 마을 소개인데, 방랑하던 궁수들이 세운 마을이라는 설정이 NPC 리나의 입을 빌려 설명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빅토리아 아일랜드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는 헤네시스 마을로 들어가 보자. 헤네시스는 세계를 떠돌며 방랑 생활을 하던 궁수들이 정착할 곳을 찾아 세웠다는 마을이다. 마을 가운데 헤네시스 공원으로 가는 길이 있고, 헤네시스 공원 오른쪽 끝에 궁수 길드가 있는데 길드 내 직원에게 말을 걸면 궁수로의 자격을 심사 받게 되고 자격을 갖추었다면 궁수로 전직할 수 있다.
2003년 공식 홈페이지의 헤네시스 소개
2003년 공식 홈페이지의 헤네시스 소개
[미완성] 미완성 퀘스트(더미 데이터)[미완성] [미완성] [미완성] [미완성] [미완성] [미완성] [8] 엘리니아와 오르비스를 오가는 배 티켓은 레벨 10 이상이어야 구입이 가능했는데 편도 요금이 3,000메소였고 오르비스와 루디브리엄을 오가는 기차는 편도 1,000메소였다. 즉 엘리니아와 루디브리엄 왕복 비용은 최소 8,000메소였으며 2차 전직 후에는 두 구간의 요금이 5,000메소와 3,000메소로 인상되어 2배인 16,000메소로 불어났다.[9] 당시 블록골렘은 레벨 42, 킹 블록골렘은 45, 롬바드는 47이었다.[10] 당시에는 경매장이 없어, 자유시장 때문에 1서버에 가장 많은 유저가 몰려 있었다.[11] 만약 마법사 유저였다면 더욱 고통에 몸부림쳤을 것이다. 힘(STR)과 민첩(DEX)을 전혀 찍지 않고 힘들게 키운 마법사를 삭제해야 하는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열불이 난다.[12] 하지만 레벨 10이라면 다크사이트에 투자할 스킬포인트가 없었다.[13] 그래서 공짜 귀환 주문서라면서 주문서만 받고 정작 퀘스트는 안 깨는 사람도 많았다. 속는 것은 갓 메이플스토리에 정착한 진짜 초보자들뿐...[14] 장로 스탄의 편지가 운영진에 의한 트롤링이라면, 유저들에 의한 대표적인 트롤링 행위였던 커닝시티 대참사도 '커닝시티에 출몰한 발록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패러디되었다.[15] 당시에는 밍밍 부인, 차남 제이라는 설정이 없었다. 장로 스탄은 아내 '안나'를 잃고 외동아들인 '알렉스'는 반항기로 집을 나가 있어 몹시 외로운 처지에 놓여 있었다.[16] 장로 스탄이 어떻게 아들의 위치를 알고 있는 것인지는 정확히 나오지 않는다. 어쩌면 스탄도 어린 시절 비슷한 방황을 겪었을 수도 있고, 소문으로 아들의 소식을 듣고 있었을 수도 있겠다.[17] '메이플 고서를 되찾아라' 퀘스트에서 제이가 스탄의 아들이라는 사실은 확실히 언급되지만 밍밍부인이 스탄의 와이프란 내용은 없다.[18] 이 퀘스트를 통해 '밍밍부인'='스탄의 재혼한 아내', '알로이' = '스탄의 장인어른'이라는 설정이 정리되었다. 한편 헤네시스의 '클로이'가 스탄과 가족 관계란 말이 있지만, 알로이와 클로이를 헷갈린 것으로 둘은 전혀 상관이 없다.[19] 반론하자면 과거 한국에도 돼지 머리는 부의 상징이었고 잔치때도 쓰던 거였다. 그리고 머리고기 는 지금도 별미로 손질해서 먹는 사람이 존재한다.[20] 기술시대(전문기술) 업데이트 전에는 원석을 보상으로 주는 극소수의 퀘스트를 제외하면 몬스터 사냥만으로 원석을 10개 모아 만들어야만 했기 때문이다.[21] 오르비스행 배 선실 안 상자 리액터를 공격하여 획득[22] 엘리니아 마법도서관의 상자 리액터를 공격하여 획득[23] 루더스 호수 시간의 길의 몬스터 크로노스를 처치하여 획득[24] 더욱이 비행선에서는 크림슨 발록이 출현했던 것을 떠올려보자.[25] 그러나 돈은 주지 않는다.[26] '맴맴 (매미가) 참 시끄럽네'와 '밍밍 부인이 시끄럽네'의 2가지로 해석된다.[27] 달팽이 밥의 껍질은 빼앗겨서 돌려받을 수 없다. 드레이크의 밥상에 가서 다시 얻어야 한다.[28] 커닝시티 파티 퀘스트 '첫 번째 동행'을 클리어하거나 몬스터 드롭을 통해 얻을 수 있었다.[29] 각각 레벨 1, 2, 2, 4[30] 각각 레벨 32, 15, 10, 35[31] 각각 레벨 37, 40, 46, 42[32] 각각 레벨 48, 58, 62, 70[33] 심지어 55레벨 궁수로 와일드카고를 사냥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했다.[34] 빅뱅 이후 삭제[35] 빅뱅 이후 경험치 4,320으로 조정[36] 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메이플 월드에는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기이한 생물들이 있다. 어린 시절, 나는 마을 주변에서 그러한 생물들 중 하나를 보게 되었다. 보통 달팽이와 비교도 할 수 없을 만큼 거대하고 늙은 달팽이... 그것은 바로 이 메이플 월드에서 가장 긴 수명을 가진 달팽이였다. 생전 처음 보는 기묘한 생물에 호기심을 가졌던 어린 시절의 나는 달팽이에게 다가갔고, 우연히 어떤 신기한 것을 보게 되었다. 거대한 달팽이가 사라진 자리에 남은 초록색, 파란색, 빨간색의 달팽이 껍질들 사이에, 유난히 눈에 띄는 이상한 달팽이 껍질이 한 개 놓여져 있었다. 여러 가지의 색이 아름답게 녹아 들어 있는 무지개색의 달팽이 등껍질, 그것을 본 순간, 나는 그것이 매우 가치 있는 물건임을 직감하게 되었다. 세상의 어떤 보물과도 바꾸지 않을 귀중한 보물일 것이다. 어렸을 때부터 보물에 관심이 많았던 나는 즉시 그것을 가져와 소중히 간직했다.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나는.... 내가 가장 원하던 일을 행할 수 있게 되었다. 무지개색 달팽이 껍질은 오랫동안 바라마지 않던 소원을 들어 주었다! 그 소원은 바로...!!"[37] 이카루스가 달팽이 세마리 스킬을 익히게 하기 위해서라고. 둘은 절친한 친구 사이이다. 자세한 내용은 커닝시티/빅뱅 이전/스토리 및 퀘스트 문서 참고.[38] 퀘스트 대사 스크린샷은 구하지 못하였으나, 욕심을 부리지 말랬는데 왜 달팽이 껍질을 함부로 사용했느냐고 질책하는 내용으로 확인된다.[39] 각각 레벨 20과 15다.[40] 패치 노트에 적혀 있지 않아서 정확한 추가 일자를 확인하기 어렵다.[41] 여담이지만 피아는 여성 캐릭터이다. 퀘스트창에 "그녀"라는 표현이 있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은 메이플스토리/NPC/빅토리아 아일랜드 문서 참고.[42]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43] 다크스톤골렘이 낮은 확률로 드롭[44] 1회에 15개씩 제작해 주었으므로 최소 3회 이상 제조[45] 그런데 정작 한손둔기는 팔라딘을 제외하면 사용하지 않아서 별 의미는 없었다. 순수 '뽀대용' 아이템이었던 셈이다.[46] 퀘스트를 수행중이지 않을 때(퀘스트를 받기 전이나 완수한 후) 입장을 시도하면 '어딘가로 향하는 포탈이 있지만 어떻게 해도 들어갈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대화창에 출력된다.[47] 티켓 아이템은 이 퀘스트 말고도 '(Lv.37) 켄타의 바다생물 조사3'에서 10장 더 얻을 수 있었다. 즉, 한 캐릭터당 얻을 수 있는 티켓 수는 13장에 불과했던 셈이다. 다만 2006년 어린이날 이벤트 퀘스트에서 다시 풀리기도 했다. 2007년 상반기에 1,000메소만 주면 태워 주는 것으로 변경되었다.[48] 비행선 무료화 이후로는 비행선 티켓은 주지 않았다.[49] DEX를 많이 찍게 되는 궁수, 도적은 레벨 20 중반이면 잡을 수 있지만, DEX를 비교적 적게 찍는 전사는 레벨 40이 되어도 미스가 뜰 때가 많다.[50] 다만 플로리나 비치에서도 판매하고 있었다.[51] 드레이크류 몬스터를 처치하고 낮은 확률로 획득[52] 청동 1개, 강철 1개로 15개 제작 가능, 총 3회 제작[53] 주니어 샐리온이나 레드 드레이크가 낮은 확률로 드롭[54] 엘리니아의 아르웬/엘나스의 보겐/루디브리엄의 파이에게 제련된 광석 모든 종류 1개씩 모아가서 조합[55] 빅뱅 이후로 개발진이 과거 대사를 수정한 경우가 매우 잦은데, 이 과정에서 변경 후 스크립트를 빅뱅 이전 초창기 자료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일종의 자료 오염으로 진단할 만하다.[56] 단, 맞춤법 오류의 경우 정정하였다.[57] 클로이의 명령어 정보는 한동안 '펫 안내서'라는 아이템으로 대체되었으나 현재는 펫 안내서도 구할 수 없다.[58] 이 스크립트는 황당하게도 개발진의 실수 때문에 현재까지 전해진 듯하다. 사실 현재 클로이를 클릭하면 '펫에 대해 알려주세요' 탭은 삭제되고 없다. 대신에 '펫을 되살리고 싶어요.'라는 탭이 있는데, 이것을 클릭하면 황당하게도 극초창기 스크립트 '펫에 대해 알려주세요' 대사가 뜬다. 원래는 '펫에 대해 알려주세요'를 삭제하고 대신 캐시샵으로 연결시켜 주는 '펫을 되살리고 싶어요.'를 넣으려던 것 같은데(루디브리엄 NPC 위습이 현재 이 상태이다) 실수로 꼬여 버린 것 같다…[59] 루디브리엄 위습의 대사는 조금 달랐다. "그 대신 루디브리엄의 곰인형인 페트리샤가 펫의 먹이를 팔고 있으니 혹시라도 펫이 배고파한다면 그에게 가보도록 하세요. 펫이 힘을 잃기 전에 미리미리 먹이를 사 두는 게 좋을 거예요.[60] 대사를 촬영한 스크린샷이 1장도 남아 있지 않다. 다만, 대사는 말투만 해요체로 변경된 상기 내용일 것이 분명하다.[61] 다만 요정 마르를 촬영한 스크린샷은 많으므로 발견은 시간 문제일 수도 있다.[62] 그 외의 오목판은 업데이트 1개월 뒤 추가된 것이다.[63] 필요 아이템이 부족한 경우 여기에서 대화 종료[64] 필요 아이템이 부족한 경우 여기에서 대화 종료[65] 익숙해지면 1분 안쪽으로 올라갈 수도 있다.[66] '마을 중심부에 있는'이 '궁수 교육원에 있는'으로 변경된 것 외에는 완전히 동일하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메이플스토리/빅뱅 이전/퀘스트|메이플스토리/빅뱅 이전/퀘스트]]}}}{{{#!if external != "o"
[[메이플스토리/빅뱅 이전/퀘스트]]}}}}}}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메이플스토리/빅뱅 이전/퀘스트?uuid=0ce6369a-d3fe-43cb-a854-cfe2f261d9e0|r114]]}}}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메이플스토리/빅뱅 이전/퀘스트?uuid=0ce6369a-d3fe-43cb-a854-cfe2f261d9e0#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메이플스토리/빅뱅 이전/퀘스트?from=114|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메이플스토리/빅뱅 이전/퀘스트|메이플스토리/빅뱅 이전/퀘스트]]}}}{{{#!if external != "o"
[[메이플스토리/빅뱅 이전/퀘스트]]}}}}}}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메이플스토리/빅뱅 이전/퀘스트?uuid=0ce6369a-d3fe-43cb-a854-cfe2f261d9e0|r114]]}}}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메이플스토리/빅뱅 이전/퀘스트?uuid=0ce6369a-d3fe-43cb-a854-cfe2f261d9e0#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메이플스토리/빅뱅 이전/퀘스트?from=114|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