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3 14:20:30

후모후모 시리즈


파일:Touhou_Projectlogo.png
上海アリス幻樂団 · ZUN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정규 작품
구작
TH01
TH02
TH03
TH04
TH05
신작[1]
1세대 TH06
TH07
TH08
TH09
2세대 TH10
TH11
TH12
이후 TH13
TH14
TH15
TH16
TH17
TH18
TH19
TH20
외전 작품
탄막 슈팅
{{{#!wiki style="margin: -15.5px -10.9px -17px;" TH09.5
동방문화첩
TH12.5
더블 스포일러
TH12.8
요정대전쟁
TH14.3
탄막 아마노자쿠
TH16.5
비봉 나이트메어 다이어리
TH18.5
불릿필리아들의 암시장
}}}
탄막 격투
{{{#!wiki style="margin: -15.5px -10.9px -17px;" 지상 TH07.5
동방췌몽상
TH10.5
동방비상천
TH12.3
동방비상천칙
공중 TH13.5
동방심기루
TH14.5
동방심비록
TH15.5
동방빙의화
}}}
탄막 액션
TH17.5
동방강욕이문
공식 관련
<colbgcolor=#DCDCFF> 제작진 ZUN(상하이앨리스환악단)
황혼 프론티어
인물 캐릭터 · 이명 · 능력
세계관 지역 - 환상향 · 인간 마을 · 바깥 세계
세력 · 종족
설정 및 용어 설정 · 설정 오해
용어 - 이변 · 환상들이 · 소녀기도중
스펠 카드(목록) - 라스트 스펠 · 라스트 워드 · 버티기 스펠
플레이 공략 · 해금 코드 · 아이템 · 잔기
난이도 · 그레이즈 · 피탄봄 · 전통
막장 플레이(노봄 · 풀스펠)
스코어보드 · 전일기록
한글화 동방 패치 센터 · thcrap
기타 역사 · 작품별 약칭 · thprac · 죠죠 패러디
동인계 및 공인 상업화 관련
2차 창작 2차 창작물(공인 작품 · 스팀 게임)
동인 작가 · 2차 창작 가이드라인
상업화 하쿠레이 신사 숭경회
공인 작품 · 콜라보 · 피규어
캐릭터 동인 설정 · 커플링 · 이명(동인)
동인 캐릭터 · 기념일
행사 행사
온리전 일본 - 예대제 · 홍루몽 · 명화제
한국 - 봉래제 등
콘서트 일본 - 하쿠레이 신사 가요제
초동방 라이브 스테이지
한국 - 동방프로젝트 오케스트라 콘서트
전시회 하쿠레이 신사 계절 축제
대·동방Project전
인터넷 동방 프로젝트 인기투표(결과)
동방니코동제
커뮤니티 커뮤니티
동갤상갤(용어) · 동챈
- 윳쿠리 · 볼짤 · 후모
기타 동인 용어 · 만년 떡밥
MMD 모델 · 무겐 캐릭터
사건 사고 · 동프빠 · 동방경찰
기타 개별 문서
}}}}}}}}}
게임 · 출판물 · 음악집 · 사운드 트랙 · 2차 창작 · 프로젝트
후모후모
ふもふも / FumoFumo
<nopad> 파일:후모후모.jpg
하쿠레이 레이무키리사메 마리사의 봉제인형[1]
공식명칭 東方ぬいぐるみシリーズ ふもふも[2]
발매사 Gift
디자인 ANGELTYPE
첫 출시 2008년
홈페이지 공식 홈페이지
1. 개요2. 발매 라인업3. 다른 사이즈
3.1. 데카후모3.2. 만나카 (まんなか) 사이즈 후모3.3. 이치나나 (いちなな) 사이즈 후모
4. 인형 이외의 후모 굿즈5. 구매법
5.1. 과거엔 속도, 지금은 돈5.2. 예대제 직구의 치르노 티켓5.3. 아미아미 오프라인 직속/콜라보 판매점5.4. 중고 거래
6. 인기7. 비판
7.1. 비교적 비싼 가격7.2. 로스트워드에 편향된 후모 생산7.3. 지나치게 많아저버린 비동방 파생 후모 시리즈
8. 다른 동방 봉제인형9. 정품 후모 구별법10. 기타

1. 개요

Gift에서 발매하는 봉제인형 제품 및 규격이다. 원안은 동인서클 ANGELTYPE. 제품명인 '후모후모(ふもふも)'는 털이 많아 부드러운 느낌을 나타내는 의태어[3] '모후모후(もふもふ)'를 거꾸로 한 것으로 생각된다.

2008년 8월에 하쿠레이 레이무, 키리사메 마리사를 시작으로 여러 캐릭터의 인형이 출시되어 있다. ᗜˬᗜ 형태의 얼굴[4]로 대표되는 ANGELTYPE의 SD 디자인이 특징이며, 이게 인기를 끌어 이 원형에 기반한 굿즈 및 다른 작품의 봉제인형도 나오고 있다. 일부 캐릭터는 변형 버전도 있다.

정품 후모를 구할 수 있는 곳은 아미아미가 유일하다. 한 번 구매할 때 제품 한 개당 최대 3개까지 살 수 있다.[5]

2. 발매 라인업

2.1. 동방 프로젝트

인형의 이미지는 여기 참조 바람.

구버전 인형은 ♤ 표시.


이 외에도 많은 동방 캐릭터의 인형들이 나오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현재 아미아미 공식 사이트의 판매 라인업에 없는 후모 인형들은 모두 팬들이 자체 제작한 것들이다.[16] ZUN모자는 향림당 버전 레밀리아, 에이린, 죠온을 제외하고 모두 탈착이 가능하다. 물론, 헤카티아 같은 일부 후모들은 아예 모자가 일체화가 되어 있기에 탈착이 안되며, 후모보다 덩치가 더 큰 배낭이나 가방을 구해야 되는 경우도 있으니 유의해야 된다.

일부 후모의 경우 탈부착이 가능하거나 아에 별도의 장신구나 소품이 같이 동봉되기도 한다. 코가사의 우산이나 사나에의 불제봉이 대표적인 예시이며, 특히 이 부분에서 컬트적인 인기를 끄는 건 오키나의 의자가 있다.

구작의 경우 몽시공 디자인의 레이무/마리사를 제외하면 나온 적이 없다. 심지어 저 둘도 사실상 레귤러 캐릭터라는 걸 감안하면 구작만의 캐릭터는 아직 출시되지 않은 상태이다.

2025년 춘계 예대제에서 소악마, 대요정 후모가 예고되면서, 홍마향 시리즈 내 전 캐릭터는 후모가 존재하게 되었다.

2.2. 다른 작품

후모후모는 본래 동방 프로젝트 캐릭터만 출시되었으나, 인형이 크게 인기를 끌자 2023년부터 다른 작품의 후모도 출시하였다.

일부 유저층의 경우 동방 프로젝트 이외의 후모 출시에 대해 달갑지 않게 여기는 경우도 있다. 이런 현상에 대해 걱정하는 경우는 안그래도 종류가 많은, 그러나 아직 나와야 할 캐릭터도 많이 남아있는 동방 프로젝트 캐릭터의 후모 인형의 복각/신규 출시 로테이션이 꼬이지 않나 하는 걱정 요소가 크다.[17]

2.2.1. VOCALOID

대표적인 보컬로이드 캐릭터인 크립톤 퓨처 미디어하츠네 미쿠, 카가미네 렌, 카가미네 린, 메구리네 루카, KAITO, MEIKO 등 6종의 후모를 발매하였다. 본래 다른 인형으로 팔고 있었지만, 후모로 출시한 것은 이것이 처음이다.

2.2.2. RWBY

RWBY의 주연 캐릭터 루비 로즈, 와이스 슈니, 블레이크 벨라도나, 양 샤오롱의 후모를 예약 판매.

2.2.3. 벽람항로


총 5종으로, 2023년 12월 초판이 발매되었다. 네지키리오는 벽람항로 게임 내 컨텐츠인 쥬스타그램의 일러스트를 담당 중이기도 하다.

2.2.4. 아미코

정품 후모의 유일한 판매처인 아미아미의 간판 캐릭터인 '아미코'의 후모 인형을 수주제작 방식으로 판매하고 있다.
이 인형의 경우에는 아키하바라의 아미아미 라디오회관점에서도 전시는 물론, 수시로 판매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2.5. 봇치 더 록!

엄밀히 말하면 기프트가 아닌 CloverWorks에서 제작된 상품이기는 하나, Cooperation으로 Gift가 참여한 제품이다.#[18] 2024년 6월 공개되었다.

2.2.6. 리틀 위치 노베타

2.2.7. 학원 아이돌 마스터


2025년 8월 기준 9종이 공개된 상태이며, 이 중 Re;IRIS의 멤버인 하나미 사키, 츠키무라 테마리, 후지타 코토네는 2025년 8월 25일부로 예약 판매가 시작되었다.

3. 다른 사이즈

원본 후모보다 크기가 더 큰 만나카 사이즈와 데카후모, 그리고 작은 사이즈인 이치나나사이즈가 존재한다.

3.1. 데카후모

크고 귀여운 대형 후모후모 봉제인형이다. 높이가 70cm로 크기는 성인 상반신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의자를 꽉 채울 정도로 크다! 가격은 세금 별도 55,000엔. 이렇다보니 전세계인 중에서도 데카후모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국내는 말할 것도 없고. [19]

2020년 중순에 향림당 버젼의 레이무, 마리사 데카후모가 출시되었다.

2021년 3월에 사토리, 코이시 데카후모가 공개되었다. 2021년 9월에 판매 예정이다.

2021년 10월에 새로운 데카후모 3종이 공개되었다.

2024년 10월 2일 데카치르노가 공개되었다.

옛날에는 레이무, 마리사, 레밀리아, 플랑드르, 치르노 총 5개의 데카후모가 있었지만 초기 제품답게 얼굴이 찐빵 같다던가 하는 퀄리티지만 그걸 매력으로 느끼는 팬도 있으며 현재는 중고 가격이 상당한 편이다.

3.2. 만나카 (まんなか) 사이즈 후모

2022년 18회 예대제에서 새로 등장한 제품군으로, 일반 후모보다는 크지만 데카후모보다는 작은 것이 특징. 정확한 높이는 40cm.

2022년 18회 예대제에 치르노, 사토리, 코이시 샘플이 등장했고, 동년 9회 예대제에서 현장&통신 판매될 예정. 가격은 세금 포함 16,500엔이다.

2023년 20회 예대제에서 현장&통신으로 요우무,유유코 만나카후모가 판매될 예정. 가격은 세금 포함 16,500엔이다.

3.3. 이치나나 (いちなな) 사이즈 후모

2025년 춘계 예대제에서 처음 공개되고 당해 7월 11일 열리는 Bilibili World 2025에서 판매되는 신규 후모후모 사이즈이다.

기존의 만나카/데카와는 달리 오히려 더 작은 사이즈이며, 이름인 "이치나나 = 17"이라는 의미대로 17cm 사이즈의 후모후모이다.

처음 시작은 코메이지 사토리, 코메이지 코이시로 시작된다.

4. 인형 이외의 후모 굿즈

봉제인형 이외의 후모 캐릭터가 그려진 굿즈도 판매한다. 캔 배지[20], 쿠션, 아크릭 스탠드, 클리어 파일 등. 모두 예약 후 제작하는 방식이다.

또한 후모후모 시리즈는 아니나, 후모후모 판매 시즌에 맞춰서 미니 사이즈의 동방 캐릭터 봉제 인형을 판매하기도 한다. 판매 시에도 후모후모 시리즈 판매 글에 같이 소개되어 준 후모 취급되기도 한다. 단 디자인은 후모후모 시리즈와는 다르다.

그 외에도 윳쿠리 쿠션 또한 판매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 구매법

해당 문서는 기본적으로 동방 프로젝트 후모 구매 위주로 설명된다.

통상 후모후모의 가격은 2025년 통상 인형 기준 6,600엔 가격에 판매되며, 오키나 등 부속품의 비중이 상당한 경우 정가가 더 올라갈 수 있다.[21]

2023년 기준 정식 구매법은 아미아미 글로벌 사이트에서 예약제로 구입할 수 있다. 다만 모든 캐릭터를 상시 판매하는 건 아니니 Gift 공식홈페이지나 트위터, 동방 커뮤니티등에서 정보를 얻어 원하는 캐릭터가 나올때 꼭 구입하도록 하자.

그외의 방법으로는 한국의 중고거래 사이트에서 '후모,동방,누이'등을 키워드 등록하여 가끔 나오는 물건을 노리거나, 일본 야후옥션, 스루가야, 메루카리등에서 구입하는 방법이 있다. 후자의 경우엔 정가보다 비싸게 올라오는 편이고, 구매대행비용도 있어서 비싸게 살 수밖에 없지만...바로 구하고 싶다면 어쩔 수 없다.

아래는 2023년 현 구매법과 전혀 상관없는 예전 이야기다.

이렇게 원래부터 구하기 힘든 편이지만, 2021년도 초반에 들어 미국과 중국에서 동방 프로젝트와 후모후모 시리즈의 인기가 급상승해 구하기가 더욱 힘들어졌다.[22][23] 단적인 예시로 2021년 8월 27일 AmiAmi에서 진행한 후모 재판매[24]에서는 후모후모 1 종류당 300개가 넘는 재고가 쌓여 있었으나[25] 사람이 너무 많이 몰려 잦은 서버 오류는 물론이고, 1시간만에 모든 후모가 품절되었다.[26]

요약하자면, 2021년 상반기만 해도 기프트샵의 서버가 좋아서 후모를 많이 쉽게 구할 수 있었으나, 2021년 하반기로 들어서자 코로나로 인한 외국인의 예대제 접근 불가[27]+외국에서 급상승한 후모 인기+아미아미의 불안정한 서버라는 3중 세트가 합쳐져서 급격하게 후모를 구하기가 어려워지게 되었다. '연 2회만 생산한다'는 특징 때문에 일본인 친구에게 사달라고 요청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그런데 2022년 5월 하순 흑요우무 출시와 더불어 마리사, 레이무, 흑요우무 후모의 판매를 최초로 선 주문 후 제작 방식으로 판매하기 시작했다. 이 경우 선착순이 아니고 주문한 사람 모두 후모를 가져갈 수 있기 때문에 공급 부족의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아미아미 사이트에선 아주 장기간 주문이 가능했다. 이 방법이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는지, 이후의 제품은 모두 선 주문 후 제작(수주판매) 방식으로 판매한다. 그러나 미니후모의 경우 여전히 수주판매가 아니라, 이것들의 경우 판매 개시시 빠르게 매진되는 편이다.

참고로 예대제 뿐만 아니라 코미케 기간에서도 후모후모 인형을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이 경우에는 대부분 동방 프로젝트 시리즈가 아닌, 벽람항로 위주의 판매가 진행되기 때문에 동방 프로젝트 후모를 찾을 목적으로는 권장되지 않는다. 다만 가끔식 동방 프로젝트 후모 판매를 진행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기프트 계정 정보를 수시로 확인하는 것을 권장한다.

5.1. 과거엔 속도, 지금은 돈

과거엔 기프트가 일부러 후모후모의 희소성을 높이기 위해 물량을 의도적으로 적게 푸는 거라는 의견도 존재했다. 특히 데카후모쪽이 매우 심각하다. 하나 구하는데 운빨싸움인 힘겨운 전쟁을 해야 하고 재판을 안 한 것을 하나 구하려면 언제 다시 팔지 모르는 재판을 몇년간 기다려야 했으니.

대부분의 후모가 수주 생산으로 돌아간 현재는 상황이 많이 나아진편이지만, 가격이 많이 올랐다.

아키하바라등 일본 오프라인매장에서 파는 후모후모의 가격은 돈 많은 외국 관광객 (특히 중국인)을 노리고 엄청나게 비싸게 파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런건 사지 말도록 하자. 시간은 걸리지만 정가로도 직구로 살 수 있는 방법이 있으니.

5.2. 예대제 직구의 치르노 티켓

2024년 5월 3일 예대제 구매를 기준으로는 후모를 구하는 난이도가 상승하였다. 이유는 바로 치르노의 "내가 가장 빨라" 티켓.

해당 티켓은 2024년 예대제에 새롭게 추가된 티켓으로, 일반 티켓보다 먼저 입장할 수 있는 선행 입장권이다. 예대제에서 환악단과 기프트 부스에 가장 사람이 몰린다는 걸 감안하면 환악단 물품이나 후모를 매진되기 전에 사기 위해선 해당 티켓이 필수가 될 수도 있다. 실제로 직전 예대제에서의 후모 대기줄이 굉장히 길었던 걸 보면, 이후 행사에서도 예대제 줄 경쟁이 치열해 질 예정이기도 하다.

참고로 처음 시도된 2024년 봄 예대제 기준 해당 티켓은 30분만에 매진되었으며, 당해 추계예대제부터는 추첨제로 티켓이 풀린다.

물론 치르노 티켓을 구했을 경우에는 역으로 후모 구입이 매우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겠으나, 이 경우에도 결국 추첨에 따른 행운을 노려야 한다.[28] 만약 이를 놓칠 경우 약 1000명의 선발대가 지나간 이후인지라 상대적 난이도 상승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선주문 후제작 방식대로 아미아미에서 사는 것은 문제가 없다. 시간이 6개월 걸리는 단점은 여전히 남아있기야 하다.

5.3. 아미아미 오프라인 직속/콜라보 판매점


아미아미는 기본적으로 아키하바라의 라디오 회관에도 오프라인 직속 매점이 입점한 상태이며, 특히 후모와 같이 자신들이 직접 판매하는 상품은 정가 그대로 판매하는 편이다.[29][30]

물론 상시 판매를 하는 것은 아니며, 특정 이벤트 기간에 매장 내 후모후모 전용 공간에서 판매가 진행되는 구조이다. 판매 목록과 기간은 트위터에 미리 공지되니 확인하는 것을 권장한다.

당연히도 공간에 비해 수요가 폭발적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당일 입장은 현장 예약을 통해 입장이 가능한 구조이다.[31] 그래도 수요가 어느 정도인지 가장 잘 아는 입장에서 판매되는 만큼 피크 기간이 좀 지나고서도 매물이 남은 편이며, 그 시기에는 인원도 몰리지 않아 자유로운 시간에 입장이 가능하다.

일본 거주자가 아닌 입장에서 예대제 대비 오프라인 매장의 가장 큰 장점이라면 세금 면제 혜택을 들 수 있다. 기업체 판매이다보니 외국인 방문객 대상으로 면세 적용이 가능하며, 마침 인형 하나의 가격이 6500엔이여서 면제 최소한도인 5500엔을 진작에 넘겨 다른 수단 대비 무려 10%나 저렴하게 구입이 가능하다.

한편 아미아미측에서 콜라보를 통해 외부에 후모후모 인형을 판매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2024년 8~9월간 진행된 한국의 투니크 유니버설점과의 콜라보 진행이 있었다.# 다만 콜라보의 경우 대상 매점을 한 번 더 거치게 되며, 추가적으로 세관 이슈도 겹쳐져서 정가에 비해 비싸진다는 단점도 생기게 되기에[32] 차후 이동 비용과 즉시성에 따라 비교하는 것을 권장한다.

5.4. 중고 거래


당연하지만 장기 보존이 가능한 인형 특성상 중고 거래도 비교적 활발한 편이다. 현재 로테이션에 없는 후모는 사실상 이 방법이 유일하다. 판매가는 로테이션 여부 및 인기 여부에 따라 천차만별로 달라지며, 프리미엄이 잔뜩 붙은 캐릭터의 경우 중고 기준으로 1만 5천 엔~4만 엔 급은 각오해야 한다.

중고 거래 특성상 당연히 사기 거래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유의해야 하며, 가급적 믿을 만한 커뮤니티나 지인을 통한 거래가 권장된다.

6. 인기

파일:아미아미 누이구루미 랭킹 후모후모.png
아미아미 누이구루미(Plush Dolls) 카테고리 판매 랭킹[33]
원래 2010년대까지만해도 동방 캐릭터 상품중들에서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높긴 해도, 동인과 상업제품경계쯤에 위치한 흔한 동방 머천다이즈중 하나였으나, 하술할 문제점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동방가라쿠타총지 칼럼에서도 말하듯이 현재 2024년 기준 후모후모의 인기는 동방프로젝트가 흥하는 나라일 경우 국적불문 최상을 달린다고 봐도 무방하다. 각종 연예인, 유명인들이 후모 인증을 하는 건 기본 중 기본이고, 후모만 붙였다 하면 묻힐 것도 흥하게 만들어버리며,[34] 관련된 사례를 전부 소개하고 싶어도 여백이 부족하여 이를 전부 제시하는 게 불가능하다. 너무 유명해서 그런지 2024년 기준 공식 아미아미 사이트 기준으로 유일하게 별도의 홍보 배너를 사이드칸에 붙여놓고 있지 않을 정도면 짐작이 갈 것이다.
제일 큰 원인은 역시 2020년에 들어 갑자기 늘어난 후모 들이라 할 수 있다. 밈이 퍼지기 이전까지는 동방 팬들이나 알음알음 알던 후모지만, 디스코드나 트위터, 4chan 등의 커뮤니티에서 후모 밈들이 큰 인기를 탔고, 인기 있는 밈들이 언제나 그렇듯이 이른바 "Normie" 들까지 유입되면서 평소에 동방을 잘 모르던 사람들에게도 널리 알려진 것. Yumemey라는 후모를 주로 다루는 유튜버의 영상들도 꽤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어린 유저층들에 의해 각종 영미권 후모 디코에서 상단 Yumemey의 움짤이나 영상이 매우 잦게 업로드된다. 이쯤되면 후모버전 스토리(유튜버) 심지어 공인 2차 창작 모바일 게임인 동방 로스트워드와의 콜라보도 진행할 정도.[35]

늘어난 후모 밈들에 더불어, 2021년에 등장한 Become Fumo로블록스 커뮤니티에서 큰 인기를 몰았다.[36] 특히 접근성이 매우 좋다는 로블록스의 특징으로 인해 저연령층 팬들까지 유입되어[37] 후모의 수요가 빠르게 늘어났다. 심지어 공식 후모후모 구매처인 아미아미의 배송 박스마저도 일종의 굿즈가 되어버린 상황이다. 사실 굳이 박스까지 안가도, 외국에선 후모 하나때문에 아미아미의 트위터 계정을 팔로우하는 경우도 있다. 그야 후모 정보를 놓칠순 없으니 실제로 외국 후모 매니아들의 경우, 높은 확률로 아미아미가 팔로우 되어있다. 물론 예대제가 아닌 이상 아미아미가 유일한 판매처이기에 당연하다면 당연하지만....

동방가라쿠타총지 칼럼에 의하면, 후모 밈,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 그리고 후모후모 인형을 자작할 수 있는 것이 인기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하쿠레이 신사 예대제, 봉래제, 대동방전 같은 곳을 가보면, 상당한 빈도로 참가자들의 후모를 볼 수 있다. 특히 예대제 당일 도쿄 빅사이트역유리카모메를 타면 후모후모가 보이는 경우도 있다.

한술 더 떠 최근에는 움직이는 후모마저 인기를 끌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동력을 받는 외골격으로 움직이는 구조로서, 해당 외골격은 공식적인 판매 상품은 아니다.
하쿠레이 신사 예대제 협찬사 배너에서는 언제나 최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심지어 생성형 그림 인공지능NovelAI/이미지 제네레이터의 버전4의 제한적으로 학습된 실사 데이터가 후모후모 인형 관련이다. [38]

7. 비판

7.1. 비교적 비싼 가격

원래 후모는 그렇게 비싸지 않았다. 아미아미에 판매 대행을 맡기면서 수수료가 추가로 생기는 것과 코로나 이후 중국 제작 단가가 급격히 오른 덕분인지 2020년 즈음부터 가격이 급격히 오르기 시작하더니 2024년 현재는 6,600엔까지 올랐다. 비교군인 굿스마일의 쵸코푸니 인형의 경우 4,500엔 정도의 가격인 것을 감안하면 약 40~50%정도 더 비싼 편이다.

후모후모 자체의 퀄리티가 부족하지는 않기에 합당한 가격이라 생각들 수는 있으나, 이런 굿즈들이 으레 그렇듯 수집을 하다 보니 가격 부담이 은근히 큰 편이다.

7.2. 로스트워드에 편향된 후모 생산

#
2020년대 이후 레딧에서 나온 비판점. "왜 다른 팬게임(예를 들면 야작식당 같은 것) 후모는 안내먼서 로스트워드 후모는 잦게 내냐" 이 점이 해외에서 비판점이 되었다. 실제로 가면 갈수록 라인업을 로워에게 잠식되는 것도 어느 정도는 사실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기프트는 2차 창작 기반 후모는 로워 기반 후모 위주로만 생산한다는 불만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2024년 12월에도 현재진행형이다.

다만 비판과는 별개로 로스트워드 기반 후모도 특정 버전의 캐릭터는 잘나왔다는 반응이 다수인 경우도 많기에 로스트워드 기반의 후모 생산은 앞으로도 꾸준히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비판의 요소도 '원작 출신인 캐릭터 후모의 출시가 로워에 의해 턴이 밀리는 경우' (Ex: 24년 12월 말 기준 출시 되지 않은 수왕원 신캐들 등등) 이거나 '다른 팬게임 기반 디자인보다도 로스트워드 기반 위주로만 생산' 되는 점에 대한 비판이지, 로스트워드 쪽 디자인 중에서도 잘 뽑힌 경우에는 우호도가 높은 편이다. 또한 일부 스킨은 췌몽상이나 비상천 등의 2P 컬러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경우도 있다보니, 이런 경우에는 우호도가 대폭 증가하기도 한다.[39]

후술할 쵸코푸니 인형도 공유될 문제로 보이는데, 이쪽은 심지어 개발사가 그 로스트워드의 유통사인 굿스마일이여서 로스트워드 위주의 생산 당위성마저도 충분하고, 아에 인형군 이름도 동방 로스트워드로 정하여 로워 인형의 비율이 후모후모보다도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분명한 것은, 후모에게는 끝없는 가능성이 열려있지만, 바꿔말하면 어떤 후모가 나올지 모른다는게 장점 겸 단점이라서 로워가 나오냐 신캐가 나오냐 기프트에게 소원을 비는 경우도 있다. 특히 구작 후모

7.3. 지나치게 많아저버린 비동방 파생 후모 시리즈

2025년 이후로 기프트 측에서 예고한 비동방 파생 후모가 10개 이상으로 늘어나면서 해외에서 지적된 신규 문제점. 위의 로워 편향 문제는 그래도 같은 식구인 동방이라 이해라도 간다는 반응이 다수지만, 이쪽의 경우는 기프트와 관련도 없는 장르들이 대거 후모화 되어서 이것에 대한 의견이 갈린다.[40]

8. 다른 동방 봉제인형

이렇듯 후모의 개수도 적고 가격도 너무 비싸기 때문에, 반드시 후모를 구매할 경우가 아니라면 다음 봉제인형을 대체품으로 삼을 만하다. 다만, 이 인형들도 가격이 만만하지는 않다.

이외에도 짝퉁 제품이 존재한다. 정품만 한 품질은 못 되겠지만, 정품에 비해서는 압도적으로 싸다.

참고로 이러한 짝퉁 후모 중에서도, 외관상 누가 봐도 짝퉁인 경우에는 fumbo, fumba등으로 좀 뒤틀린 발음으로 불린다. 기괴한 비율과 왜곡된 얼굴 때문에 누가 봐도 짝퉁이지만, 그러한 망가진 구성 때문에 오히려 네타거리가 되는 경우도 있다.

결론적으로 대체품들이 적혀 있기는 하나 2023년 작성 기준에선 만족스럽게 대체될 만한 것이 movic의 제품이나 스쿠스쿠를 제외하면 없다. 2025년 기준으로는 이미 블루 아카이브 IP에서도 유행이 탄 쵸코푸니의 동방 버전 등장이 주목되기는 하나, 이쪽도 개당 4500엔으로 결코 저렴하다 보기는 힘들다. 번듯한 기업체 + 동방 IP 활용 모바게 중 선방한 로워의 퍼블리셔로서 후모후모만큼의 수명이 보장된 건 다행이긴 하다.

9. 정품 후모 구별법

정품 후모가 너무 비싼지 짝퉁 후모가 존재한다. 겉모습은 정품과 유사하지만 품질이 떨어진다. 품질 면에서는 짝퉁과 정품 비교 영상을 참고하자.

다음은 정품(신품)에만 존재하는 특징이다. 다만, 중고로 구매할 경우 둔부의 태그를 제외하면 다음 중 하나는 빠져 있을 수 있다.

10. 기타

시점과 관련이 있는 것을 먼저 시간순으로 정렬. 공식 관련 사항들을 먼저 서술.

[1] 사진의 것은 구판이고, 2022년 5월에 1.5버전으로 신제품을 출시하였다.[2] 동방 봉제인형 시리즈 후모후모[3] 한국어로 비슷한 단어를 찾자면 '복슬복슬' 정도가 있다.[4] 특정 캐릭터는 송곳니가 나있거나, 무표정한 ᗜ_ᗜ을 짓기도 한다.[5] 예대제 등 특정 조건에서는 모든 제품 총합 10개라는 제한이 추가로 걸리기도 한다.[6] 동방성련선에서의 복장[7] 이로서 마리사는 1, 1.5, 2버전 모두 나오게 되었다.[8] 특유의 의자도 같이 포함되어있다.[9] 원래는 팬메이드, 혹은 아미아미가 아닌 타 회사에서 발매된 후모만 존재 했었으나 24년 하반기에 들어서 기프트산 히나 후모가 정식으로 발매 되었다.[10] 전반적으로는 수왕원의 디자인을 따르고 있으나, 송곳니 특성으로 간접적으로 강욕이문의 디자인을 포함하기는 하였다.[11] 넘버링 98번 공개 전에 99번으로 먼저 공개되었다. 이유는 당연히 네타[12] 상품화 예정 없이 샘플로만 전시. ZUN 본인이 해당 후모를 들고 찍은 사진이 있다. 참고로 이렇게 생겼다.[13] 이 히나 후모의 경우에는 정식 후모 보다도 오래 전에 타 회사에서 먼저 출시 된 특이한 경우 라고 할 수 있다. Sweet lapine 이라는 회사에서 제조. 관련 플래시게임도 존재한다.[14] 이누사쿠야는 기프트에서 제조만 할 뿐 판매는 ANGELTYPE 서클 자체에서 한 번만 실시하였다. 참고로 타 후모후모보다 다소 작은 크기이다. 후모후모 인형이 나오기 전 동인 굿즈로, 후모후모 인형의 원형, 즉 프로토 타입 이라 할 수 있다.[15] 제조사는 같지만 핑크컴퍼니라는 곳에서 예대제6에서 한 번만 나왔다.[16] 유튜브에서 making fumo로 검색해보면 후모를 직접 제작하는 영상이 몇 개 나온다.[17] 동방 프로젝트 내의 캐릭터라 하더라도, 로스트워드와 같은 2차 창작 기반의 후모 출시의 경우 마찬가지의 이유로 달갑지 않게 여기는 유저들도 보이는 편이다.[18] 자세히 보면 눈 모양, 홍조 등 통상 후모와 세부묘사가 다르다.[19] 봉래제 등 국내 동방 행사에서 데카 후모를 가져오는 경우가 몇몇 목격된 점으로 보아 일단 국내에도 보유자는 확실히 존재한다.[20] 후모를 구입하면 기본적으로 따라오는 배지와는 다른 배지이다.[21] 2008년 최초 출시가는 2,700엔[22] 동방 시리즈 전체의 인기 차트이기 때문에, 참고용으로만 보자. 파일:TouhouinterestUS1.png[23] 하지만 정황상 후모의 인기 자체는 진작에 2019~2020년부터 상승했고, Roblox 게임인 Become Fumo도 매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1 2 3 4 이 예시들은 최근에 후모의 인기가 올라갔다는 사실을 언급하고 있다. 비컴 후모 언급 1 비컴 후모 언급 2 대형 유튜버의 영상에 등장한 비컴 후모. 4분 12초부터 등장한다.[24] 8월 27일부터 9월 7일까지 진행될 예정이었다. 링크[25] 외국의 후모 서버의 한 유저가 아미아미 내부 재고 수를 확인한 결과, 정확히 한 종류당 333개였다고 한다.[26] 신규 후모 4종만 판매한 2차판매는 1인당 1개 제한까지 걸었지만 모든 후모가 약 2분 정도의 엄청난 속도로 품절이 나버렸다.[27] 오프라인 구매가 불가능하니 사람들이 온라인으로 몰리게 된다.[28] 처음 나왔을 때 당시에는 빨리 티켓을 구매하기만 하면 되었으나, 이 경우 사이트 지연 문제와 대규모 인원 몰림 이슈로 인해 30분 내로 구매하지 못하면 포기해야 했다.[29] 같은 건물 내 K-Books나 다른 매장에서는 기존 대비 최소 5~10배 이상의 가격으로 판매되니, 이 가격으로라도 구해야겠다는 절박한 상태가 아니면 절대 추천되지 않는다.[30] 아키바하비처럼 극소수이기는 하나 아미아미 스토어와 동일한 가격에 판매되는 매장도 존재하기는 한다. 다만 이 경우 물량이 턱없이 부족하며, 마찬가지로 시즌이 아니면 구하기 어렵다. 또한 이 경우 캔뱃지가 없는 경우도 존재한다.[31] 코미케 기간 등 사람이 몰릴 경우, 최악의 경우 오전 11시에 갔더니 마감 직전 시간인 19시 50분 입장 예약을 받을 수도 있다.[32] 환율과 비교하면 1.2배 정도 가격이기는 하다.[33] 유일하게 10위인 스와코 인형만 후모후모와는 별개의 Gift 미니인형 규격이다. 이 규격으로는 주로 동방보단 동방 이외의 작품 (특히 아이돌 마스터 시리즈) 캐릭터 상품들이 나오며, 소녀전선의 공식 봉제인형 상품도 이쪽 규격으로 나온 적이 있다.[34] 실제로 몇몇 해외 인디게임 개발자들은 동방과 1도 관련없는 게임에 후모를 마케팅 요소로 쓰기도 한다.[35] 하도 로스트워드랑 콜라보를 하다보니 이를 달갑지 않게 여기는 유저들도 있다.[36] Become fumo의 파생 게임인 Scuffed become fumoFumo horrors가 있는데 원본과는 다른 재미로 차별화를 꾀했다. 전자는 Become fumo에 등장하지 않는 동방 캐릭터를 등장시키고 후모화된 판권 캐릭터를 추가시켰으며 후자는 Become fumo에다 프로젝트 문 세계관을 섞은 디펜스 게임으로 만들었다. 후모후모=환상체[37] 미국의 유명 로블록스 유튜버도 다룰 정도. #[38] 이와 별개로 생성형 상업 인공지능 서비스가 아닌 민간(?)차원에서 학습된 후모후모 LoRA들은 이미 존재한다[39] 대표적으로 레이무의 신을 불러내는 기도사 ver. 후모는 영락없는 췌몽상 2P 컬러 청레이무이기도 하다. 로스트워드 후모 생산의 본격화의 계기가 된 흑 요우무도 비상천칙의 2P 컬러 기반이다.[40] 여기에는 서브컬쳐 모바일 게임 판에서 유명한 승리의 여신 니케도 있다.[41] 깜짝 놀람을 뜻하는 '빗쿠리(びっくり)'와 봉제인형을 뜻하는 '누이구루미(ぬいぐるみ)'의 합성어. 깜짝 놀란 듯 두 눈을 동그랗게 뜬 표정이 특징이다.[42] 지루하다를 뜻하는 '다루이(だるい)'와 봉제인형을 뜻하는 '누이구루미(ぬいぐるみ)'의 합성어. 지루해하는 듯 두 눈을 감은 표정이 특징이다.[43] 블루 아카이브, 어떤 과학의 초전자포의 봉제인형 굿즈가 이 브랜드로 나왔었다.[44] 로스트워드 일러스트 특유의 무지갯빛 반사광을 구현한 모습을 볼 수 있다.[45] 후모후모 시리즈와는 달리, 굿스마일은 로스트워드의 유통사이기도 하기에 로스트워드 위주 생산의 당위성은 충분하다. 다만 그 이유로 또 로스트워드 기반 봉제 인형이 양산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생기기도 한다.[46] 뒷면에 바코드가 적혀있다.[47] 제조사측으로부터 정식으로 OEM받은 공장이 아닌 경우, 쉽게 말해 짝퉁을 의미한다.[48] 후모후모 인형 시리즈 자체는 2008년부터 나왔지만, 그 원안인 이누사쿠야는 2005년부터 나왔다.[49] 이러한 현상은 굳이 후모가 아니더라도 스쿠스쿠쪽이 이미 보여준 적이 있으며, 동방 외 타 장르도 누이구루미가 나오는 장르라면 짤에 그 인형이 들어가는 경우가 간혹 있다. 벽람항로뱅드림(특히 마이고) 등이 그 예시.[50] 보통 이런 유저들은 역으로 후모짤이 없으면 그 반대로 적은 좋아요수가 오고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