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장인물 • 발매 현황 • 애니메이션 (1기 · 2기) |
타케시타 료헤이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bgcolor=#fff,#2d2f34>
||<bgcolor=#fff,#2d2f34>
||<bgcolor=#fff,#2d2f34> [[히카루가 죽은 여름(애니메이션 1기)|[[파일:히카루가 죽은 여름 로고.png|width=70
0%]]]] ||에로망가 선생 (2017) 밤의 해파리는 헤엄칠 수 없어 (2024) 히카루가 죽은 여름 (2025)
상세 정보 링크 열기
NETFLIX 시리즈 히카루가 죽은 여름 (2025) 光が死んだ夏 The Summer Hikaru Died | |||
<nopad> | |||
{{{#00afec,#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ffffff,#00afec><colcolor=#00afec,#ffffff> 장르 | 바디 스내처, 공포, 크리처, 고어, 드라마, 청춘, 서스펜스, 브로맨스, 남주 | |
원작 | 모쿠모쿠 렌 | ||
감독 | 타케시타 료헤이 | ||
시리즈 구성 | |||
캐릭터 디자인 | 타카하시 유이치 | ||
총 작화감독 | |||
서브 캐릭터 디자인 | 와타나베 마이(渡辺 舞) 사이간 히로코(西願宏子) 나가사와 쇼코(長澤翔子) | ||
프롭 디자인 | 오우치 류노스케(應地隆之介) | ||
질척질척 애니메이터 | 히라오카 마사노부 | ||
미술 설정 | 타다 슈헤이(多田周平) 타카하시 타케유키(高橋武之) 소노 요시히로(曽野由大) | ||
미술 감독 | 혼다 코헤이(本田こうへい) | ||
색채 설계 | 나카노 나오미 | ||
3D 감독 | 나카노 히로노리(中野祥典) | ||
촬영 감독 | 마에다 토모히로(前田智大) | ||
2D 디자인 | 나가라 유스케(永良雄亮) 에즈 유리(津江優里) | ||
편집 | 키무라 카시코(木村佳史子) | ||
음향 연출 | 카사마츠 코지(笠松広司) | ||
음향 제작 | dugout | ||
음악 | 우메바야시 타로(梅林太郎) | ||
음악 제작 | KADOKAWA | ||
기획 | 쿠도 다이죠(工藤大丈) 타나카 쇼(田中 翔) 야마우치 타카히로(山内隆裕) 쿠와바라 유조(桑原勇蔵) 타케나카 노부히로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카사하라 슈조(笠原周造) 아오무라 요스케(青村陽介) 오오사와 히로코(大澤弘子) 키요다 조지(清田譲二) | ||
프로듀서 | 후지와라 토시키(藤原利紀) 쿠라카네 치아키(倉兼千晶) 카바시마 마나미(椛嶋麻菜美) 미야코시 유타(宮城雄大) 미야하라 케이타(宮原慶太)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우에우치 켄타(上内健太) | ||
애니메이션 제작 | CygamesPictures | ||
제작 | 히카루가 죽은 여름 제작위원회 | ||
방영 기간 | 2025. 07. 06. ~ 2025. 09. 28. | ||
방송국 | |||
스트리밍 | [[넷플릭스| NETFLIX ]]
/ (일) 01:55 | ||
편당 러닝타임 | 23분 | ||
화수 | 12화 | ||
시청 등급 | |||
관련 사이트 |
1. 개요
ニセモノでもそばにいて 가짜더라도 곁에 있어줘. |
帰ってきた親友は、知らない”ナニカ”だった 돌아온 친구는 모르는 ”무언가”였다. |
2. 공개 정보
- 2024년 5월 24일, 애니메이션화가 발표되었다. #
- 2024년 11월 27일, 오전 10시에 티저 비주얼과 티저 PV, 캐스팅이 공개되었다.
- 타케시타 료헤이 감독은 최근 작화에 연출이 묻히는 애니가 많다고 생각해 이 애니는 작화보다 연출에 힘을 주는 방식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연출이 작품을 주도함으로써 작화가 아닌 모든 애니메이션 공정이 힘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물론 작화도 신경을 안 쓰는 건 아니라고 한다. 또한 모든 연출가가 미에현에 방문하고 작품을 만든다고 한다. #
- 타케나카 노부히로 프로듀서가 제작을 추진했다. 자신이 선정한 작품은 아니고 "우리 회사는 여성 타겟 애니메이션이 필요하다." 라고 했더니 어느 여성 사원 애니메이터가 "이걸로 하죠." 라고 해서 보았고, 성공 가능성이 보여서 추진했다고 한다.
2.1. PV
2.1.1. 대한민국
넷플릭스 코리아 공식 티저 예고편 |
|
넷플릭스 코리아 공식 예고편 1 |
|
넷플릭스 코리아 공식 예고편 2 |
|
2.1.2. 일본
=====# 본편 #=====티저 PV |
메인 PV 제1탄 |
메인 PV 제2탄 |
=====# 캐릭터 #=====
츠지나카 요시키 (CV. 코바야시 치아키) |
인도우 히카루 (CV. 우메다 슈이치로) |
야마기시 아사코 (CV. 하나모리 유미리) |
타나카 (CV. 코바야시 치카히로) |
=====# 캐스트 #=====
코바야시 치아키×우메다 슈이치로×TOOBOE 특별 대담 |
=====# 메이킹 #=====
메이킹 시리즈 <호러 편> |
메이킹 시리즈 <애프터 레코딩 편> |
메이킹 시리즈 <히카루와 요시키 편> |
===# CM #===
선전 CM |
Blu-ray & DVD 발매 CM |
2.2. 키 비주얼
| | ||||||
<rowcolor=#00afec,#ffffff> 티저 비주얼 | 키 비주얼 | ||||||
<rowcolor=#00afec,#fff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일본어 ▼ {{{#!wiki style="margin: -5px -1px"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논텔롭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논텔롭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 | }}}}}}}}}}}} |
|
스토리 비주얼 |
3. 줄거리
어느 마을에서 어릴 적부터 늘 함께 자라온 동갑내기 요시키와 히카루. 내리쬐는 태양, 귓가에 들러붙는 참매미 소리, 집에 가는 길에 먹는 아이스크림. 별것 아닌 일로 함께 웃는 평소와 다름없는 어느 여름날. 「……너, 역시 히카루 아니지?」 반년 전, 산에서 실종된 히카루는 일주일 후 아무 일 없다는 듯 돌아왔다. 목소리도 모습도 히카루처럼 보이는 존재 그 안에서 꿈틀거리고 있던 것은── 「히카루는 이제 없어…… 그렇다면」 친구의 모습을 한 ‘무언가’와 함께 나아가기 시작하는 ‘평소와 다름없는’ 일상. 그러나 그와 동시에 기이한 사건이 마을을 덮치기 시작한다. 미지의 ‘무언가’에 빠져드는 청춘 호러 이야기의 막이, 지금, 오른다── |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카루가 죽은 여름/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카루가 죽은 여름/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owcolor=#00afec,#ffffff> 등장인물 | 성우 |
츠지나카 요시키 | 코바야시 치아키 |
인도우 히카루 | 우메다 슈이치로 |
야마기시 아사코 | 하나모리 유미리 |
쿠레바야시 리에 | 코와카 와카나 |
타나카 | 코바야시 치카히로 |
마키 유우타 | 나카지마 요시키 |
타도코로 유우키 | 와카야마 시온 |
5. 음악
5.1. 주제가
5.1.1. OP
OP 再会 재회 | |||
TV ver.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00afec><colcolor=#00afec,#ffffff> 노래 | Vaundy | ||
작사 | |||
작곡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fff,#00afec><colcolor=#00afec,#ffffff> 콘티 | 타케시타 료헤이 | |
연출 | |||
편집 | |||
작화감독 | 타카하시 유이치 | ||
원화 | 코지마 타카시, 히라오카 마사노부, 타카하시 유이치, BS_kim 등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One more time もう少しで起こすよmagic 조금만 더 하면 마법을 일으킬 거야 超try super try 光を貸してbody 빛을 빌려줘 body どうにかしてでも 어떻게 해서든 一つ願い、聞いてくれ 부탁 하나만 들어줘 どうこうよりも 이러쿵저러쿵 하기보다 一つ想い、悟ってくれ 부디 마음 하나만 알아줘 宇宙一の悲しみと 우주에서 제일 슬픈 감정과 霧覚める静けさと 안개가 걷히는 듯한 고요함과 僕の心拍で 내 심장 박동으로 もし 만약 もしもここから 만약 여기서부터 また出会えるのなら 우리가 다시 만날 수 있다면 この先は 앞으로는 一瞬も一寸の隅も 단 한순간도, 한 치의 틈도 忘れず全部覚えておこう 잊지 않고 전부 기억해두자 目を閉じあうたび 눈을 감을 때마다 まぶたで久しく 눈꺼풀 너머에서 오래도록 君に出会えるから 널 만날 수 있으니까 また[ruby(夏, ruby=ここ)]で話そう 다시 여름이 오면 여기서 이야기하자 ⸻ One more night もう少しで起こすよmagic 조금만 더 하면 마법을 일으킬 거야 超high super high もうすでに力んでるマジ 이미 전력을 다하고 있어 どう見たってもう 아무리 봐도 이젠 無謀のコース蠱毒みたいだね 무모한 길, 마치 독한 저주처럼 보여 どうこうよりも 이러쿵저러쿵 하기보다 秘匿の情を掘りおこしてくれ 숨겨둔 마음을 꺼내 보여줘 宇宙一の快感と 우주에서 제일 강렬한 쾌감과 咳き込める重圧と 숨이 턱 막힐 정도의 중압감과 僕の情熱で 내 열정으로 もし 만약 黄泉の果て繋ぐ呪文と航路の 황천의 끝을 잇는 주문과 항로의 在処など僕が知らなかったら 위치를 내가 모른다 해도 君はそれでも、胸の奥僕の何かの 그래도 너는, 내 마음 깊은 어딘가에 있는 在処をそれでも、探すだろうか 그 무언가를 그래도 찾아내려할까 ねぇ、もしも 있지, 만약에 もしもここから 만약 여기서부터 また出会えるのなら 우리가 다시 만날 수 있다면 これまでの 지금까지의 一瞬も一寸の隅も 단 한순간도, 아주 작은 틈도 忘れず全部覚えておこう 잊지 않고 전부 기억해두자 目を閉じあうたび 눈을 감을 때마다 まぶたで久しく 눈꺼풀 너머에서 오래도록 君に出会えるから 널 만날 수 있으니까 また[ruby(夏, ruby=ここ)]で話そう 다시 여름이 오면 여기서 이야기하자 |
||<tablealign=center><tablewidth=650><tablebordercolor=#ffffff,#1c1d1f><bgcolor=#ffffff,#1c1d1f><color=#00afec,#ffffff>이번에 「히카루가 죽은 여름」의 오프닝 테마 「再会」를 새로 썼습니다.
원작 만화를 읽었을 때 느꼈던,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르는 불안감을 그대로 곡으로 만들었습니다.
앞으로의 애니메이션 음악에 도전하는 듯한 한 곡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당신이 다시 한 번 만난다면 누구를 만나고 싶습니까? ||
원작 만화를 읽었을 때 느꼈던,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르는 불안감을 그대로 곡으로 만들었습니다.
앞으로의 애니메이션 음악에 도전하는 듯한 한 곡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당신이 다시 한 번 만난다면 누구를 만나고 싶습니까? ||
5.1.2. ED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あなたはかいぶ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あなたはかいぶ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ED あなたはかいぶつ 당신은 괴물 you are my monster | |||
TV ver.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00afec><colcolor=#00afec,#ffffff> 노래 | TOOBOE | ||
작사 | |||
작곡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fff,#00afec><colcolor=#00afec,#ffffff> 콘티 | 타케시타 료헤이 | |
연출 | |||
편집 | |||
작화감독 | 타카하시 유이치 | ||
원화 | 오다시 등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眩しい日差しが また この身を 焼きつくしたから 마부시이 히자시가 마타 코노 미오 야키츠쿠시타카라 눈부신 햇살이 또 다시 이 몸을 태워버렸으니까 幻みたいな貴方の嘗ての笑顔が見たくて 마보로시 미타이나 아나타노 카츠테노 에가오가 미타쿠테 환상같은 당신의 예전 미소가 보고 싶어서 私は ずっと 立ち尽くした 와타시와 즛토 타치츠쿠시타 나는 계속 서 있었어 幼い頃の 些細な幸せも 오사나이 코로노 사사이나 시아와세모 어린 시절의 사소한 행복도 二人だけの 秘密も 후타리다케노 히미츠모 둘만의 비밀도 貴方が消えた その瞬間に 아나타가 키에타 소노 슌칸니 당신이 사라진 그 순간에 あやふやになってしまった 아야후야니 낫테시맛타 희미해져 버렸어 サヨナラ 貴方じゃなくたっていいから 사요나라 아나타쟈 나쿠탓테 이이카라 안녕히, 당신이 아니어도 좋으니까 その手の温度さえ 変わらないで 소노 테노 온도사에 카와라나이데 그 손의 온도만은 변하지 말아줘 サヨナラ 私の心のグロさも 사요나라 와타시노 코코로노 구로사모 안녕히, 내 마음 속의 추악함조차도 物足りないくらいに 夏が暑くて 모노타리나이 쿠라이니 나츠가 아츠쿠테 부족할 정도로 여름이 뜨거워서 大事なものなら 面影に 閉じ込めているから 다이지나 모노나라 오모카게니 토지코메테이루카라 소중한 것들은 추억 속에 가둬두고 있으니까 未だ前に進めない私は ただの人間みたいだ 마다 마에니 스스메나이 와타시와 타다노 닌겐 미타이다 아직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나는 그저 보통 인간인 것 같아 茶番の様な くだらないやり取りも 차반노 요오나 쿠다라나이 야리토리모 하찮고 쓸데없는 말다툼도 破り捨てた約束も 야부리스테타 야쿠소쿠모 찢어버린 약속도 分かり合えない その感触が 와카리아에나이 소노 칸쇼쿠가 서로 이해할 수 없는 그 감촉이 何より遠くある 나니요리 토오쿠 아루 무엇보다 멀리 느껴져 これから何度となく過ぎる夏の 코레카라 난도토 나쿠 스기루 나츠노 앞으로 몇 번이고 지나갈 여름의 想い出となるには 恐ろしく 오모이데토 나루니와 오소로시쿠 추억이 되기엔 너무 두려워서 気づけば いつしか 貴方は誰 키즈케바 이츠시카 아나타와 다레 문득 깨달으면 어느새 당신은 누구? サヨナラ 貴方じゃなくたっていいから 사요나라 아나타쟈 나쿠탓테 이이카라 안녕히, 당신이 아니어도 좋으니까 その手の温度さえ 変わらないで 소노 테노 온도사에 카와라나이데 그 손의 온도만은 변하지 말아줘 サヨナラ 心のグロさも 사요나라 코코로노 구로사모 안녕히, 내 마음 속의 추악함조차도 物足りないくらいに 夏が暑くて 모노타리나이 쿠라이니 나츠가 아츠쿠테 부족할 정도로 여름이 뜨거워서 もしも心の中に 怪物が潜んでいて 모시모 코코로노 나카니 카이부츠가 히손데이테 만약 마음 속에 괴물이 숨어 있어서 それが貴方自身になってしまっても 소레가 아나타 지신니 낫테시맛테모 그게 당신 그 자체가 되어버린다 해도 ただただ この夏が 何事もなく 過ぎればいいのに 타다타다 코노 나츠가 나니고토모 나쿠 스기레바 이이노니 그저, 그저 이 여름이 아무 일 없이 지나가면 좋을텐데 |
||<tablealign=center><tablewidth=650><tablebordercolor=#ffffff,#1c1d1f><bgcolor=#ffffff,#1c1d1f><color=#00afec,#ffffff>엔딩 주제가를 맡았습니다. TOOBOE입니다.
제작에 앞서 원작을 깊게 읽고, 지금 있는 이웃이, 자신이 믿었던 "진짜" 이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을 때,
추억이나 약속을, 나는 어떻게 씹어 넘길까 하고 생각했습니다.
요시키의 마음을 이해하려고 하면 할수록 순수하고 슬프고 비참하고,
완성된 「あなたはかいぶつ」라는 곡은 제가 등장인물에 대한 용서를 주는 노래가 되었습니다.
멋진 이야기를 조금이라도 선명한 색채의 하나로 함께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
제작에 앞서 원작을 깊게 읽고, 지금 있는 이웃이, 자신이 믿었던 "진짜" 이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을 때,
추억이나 약속을, 나는 어떻게 씹어 넘길까 하고 생각했습니다.
요시키의 마음을 이해하려고 하면 할수록 순수하고 슬프고 비참하고,
완성된 「あなたはかいぶつ」라는 곡은 제가 등장인물에 대한 용서를 주는 노래가 되었습니다.
멋진 이야기를 조금이라도 선명한 색채의 하나로 함께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
5.1.3. 7화 ED
7화 ED 日々の影 일상의 그림자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00afec><colcolor=#00afec,#ffffff> 노래 | 히카루 & 요시키 | |
작사 | Leo Imai | |
작곡 | 우메바야시 타로(梅林太郎) | |
편곡 | 모리타 카오리(森田花央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静かに 夢を見てごらん 조용히 꿈을 들여다봐요 密かに 探し求めてごらん 남몰래 찾아봐요 過ぎ去った明かりは戻らなくとも 지나간 불빛은 돌아오지 않아도 この胸を躍らせる未来こそ 이 가슴 설레는 미래야말로 今 지금 嬉しさよ友よ 기쁨이여, 친구여 耀う あの日々の影 빛나는 그 일상의 그림자 追いかけ回る 쫓아다니네 虚しさよ友よ 허무함이여, 친구여 彷徨う 心を描いて 헤매는 마음을 그려 追いかけ回る 쫓아다니네 幸せよ友よ 행복이여, 친구여 彷徨う 心を開いて 헤매는 마음을 열어 忘れず追い続けて行く 잊지 않고 쫓아나갈 거야 |
5.2. 삽입곡
1화 삽입곡 日々の影 일상의 그림자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00afec><colcolor=#00afec,#ffffff> 노래 | 가나가와현립 쇼난 고등학교 합창부 |
작사 | Leo Imai |
작곡 | 우메바야시 타로(梅林太郎) |
편곡 | 모리타 카오리(森田花央里) |
1화 삽입곡 Rêve de ballon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00afec><colcolor=#00afec,#ffffff> 연주 | 도카이대학 부속 다카나와다이 고등학교 취주악부 |
작곡 | 우메바야시 타로(梅林太郎) |
편곡 | 타무라 슈헤이(田村修平) |
1화 삽입곡 ぼくはたい焼き 나는 붕어빵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00afec><colcolor=#00afec,#ffffff> 노래 | 아사쿠라 사야(朝倉さや) |
작사 | 모리타 카오리(森田花央里) |
작곡 | 우메바야시 타로(梅林太郎) |
편곡 | 하야시베 토모노리(ハヤシベトモノリ) |
7화 삽입곡 日々の影 일상의 그림자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00afec><colcolor=#00afec,#ffffff> 노래 | 가나가와현립 쇼난 고등학교 합창부 |
작사 | Leo Imai |
작곡 | 우메바야시 타로(梅林太郎) |
편곡 | 모리타 카오리(森田花央里) |
6. 회차 목록
- 2025년 8월 31일 방영분은 휴방되었다. #
<rowcolor=#00afec,#ffffff> 회차 | 제목[1]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제1화[2] | 代替品 대체품 | 타케시타 료헤이 | 타카하시 유이치 | 타카하시 유이치 | 日선행: 2025.06.29. 日/韓: 2025.07.06. | ||
제2화[3] | 疑惑 의혹 | 무라야마 오키 (村山 沖) | 오오사코 미츠히로 | 와타나베 마이 (渡辺 舞) 오우치 류노스케 (應地隆之介) | 日/韓: 2025.07.13. | ||
제3화 | 拒絶 거절 | 타케시타 료헤이 | 요코야마 아사카 (横山麻華) | 키도 코헤이 (城戸康平) 우와노 아유무 요코야마 아사카 | 야나가 사오리 (矢永沙織) 오우코쿠넨 (王國年) 맥파이 아카네 (鵲あかね) 사이간 히로코 (西願宏子) | 日/韓: 2025.07.20. | |
제4화 | 夏祭り 여름 축제 | 무라야마 오키 | 시라하타 요시유키 (白幡良志之) | 오카자키 코우 (岡崎 滉) 니헤이 레이아 (二瓶令暁) 오우코쿠넨 마에카와 아오이 (前川 葵) 寧波麦冬映画 | 日/韓: 2025.07.27. | ||
제5화 | カツラのオバケ 가발 요괴 | 타케시타 료헤이 | Wang Chihsia 카와하라 류타 | 오우코쿠넨 와타나베 마이 니헤이 레이아 오카자키 코우 노우미 치카 (能海知佳) 무라타 슌 (村田 駿) Chen Zitu 이토 마사시 (伊藤正士) | 오우치 류노스케 타카하시 유이치 | 日/韓: 2025.08.03. | |
제6화 | 朝子 아사코 | 무라야마 오키 | 카타오카 후미아키 (片岡史旭) | 카타오카 후미아키 카와베 신야 (川部真也) | KAGO 야나가 사오리 타키 고로 (滝 吾郎) 맥파이 아카네 마에카와 아오이 사이간 히로코 이노우에 렌타 (井上簾太) Chen Zitu | 타카하시 유이치 | 日/韓: 2025.08.10. |
제7화 | 決意 결의 | 타케시타 료헤이 | 하시모토 유카 (橋本有加) | 니이무라 쿄코 (新村杏子) 이노우에 렌타 | 日/韓: 2025.08.17. | ||
제8화 | 接触 접촉 | 무라야마 오키 | 안도 료 | 오우치 류노스케 와타나베 마이 니헤이 레이아 하시모토 유카 오카자키 코우 야나가 사오리 Chen Zitu 사이간 히로코 니이무라 쿄코 | 타카하시 유이치 오우치 류노스케 | 日/韓: 2025.08.24. | |
제9화 | 武田の爺さん 타케다 할아버지 | 오오사코 미츠히로 Wang Chihsia 만자와 슈 (萬澤 周) | 오오사코 미츠히로 우와노 아유무 | 岳明鋒 劉爽 | 타카하시 유이치 | 日/韓: 2025.09.07. | |
제10화 | 真相 진상 | 우에무라 유타카 타니구치 히로미 | Wang Chihsia 키도 코헤이 | 오카자키 코우 와타나베 마이 사이간 히로코 마에카와 아오이 니이무라 쿄코 Chen Zitu | 日/韓: 2025.09.14. | ||
제11화 | 忌堂の扉 인도의 죄 | 야마우치 아이미 | 아카미 (あかみ) 우시오 유이 (牛尾優衣) 하시모토 유카 마키타 미치코 야나가 사오리 KAGO 타카하시 미즈카 (高橋瑞香) 니헤이 레이아 kiki 와타나베 마이 何文 이노우에 렌타 마에카와 아오이 사이간 히로코 니이무라 쿄코 Chen Zitu | 타카하시 유이치 오우치 류노스케 | 日/韓: 2025.09.21. | ||
제12화 | 居場所 있어야 할 곳 | 타케시타 료헤이 | 오카자키 코우 와타나베 마이 이토 마사시 니이무라 쿄코 사이간 히로코 마에카와 아오이 Chen Zitu | 타카하시 유이치 | 日/韓: 2025.09.28. |
7. 회차별 WEB 예고편
<colbgcolor=#ffffff,#00afec><colcolor=#00afec,#e0e0e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2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3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4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5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6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7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8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9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0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1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2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8. 해외 공개
넷플릭스에서 일본[4]을 제외한 전 세계 독점 송신권을 가져가 일본 현지 TV 방영 직후 스트리밍을 개시한다.9. 평가
9.1. 방영 전
공개된 제작진에서 큰 기대를 모았다. 감독 타케시타 료헤이는 영상미는 믿고 볼 수 있을 정도로 연출력이 뛰어난 인물이고, 캐릭터 디자인이자 총 작화감독 타카하시 유이치도 전작 Vivy -Fluorite Eye’s Song-에서 보여주듯 실력과 경력이 검증된 베테랑이다. 이펙트나 징그러운 작화로 참가할 히라오카 마사노부도 실력자이며,[5] 제작사 CygamesPictures도 실력이 뛰어난 연출가와 애니메이터들이 포진된 곳이다. 또 타케시타 감독은 비록 전작 밤의 해파리는 헤엄칠 수 없어에서 엉성한 각본으로 혹평을 받은 바 있지만[6], 해당 작품은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이었으며, 본작은 스토리의 베이스가 되는 원작이 존재하는 만큼 스토리 문제가 불거질 우려는 적은 상황이다. 주어진 요소만 본다면 평작 이상의 완성도를 보일 잠재력이 있는 작품이다.9.2. 방영 후
훌륭한 퀄리티로 나왔으며, 작화도 작화지만 특히 호러 서스펜스라는 원작의 장르를 연출로 잘 승화했다는 호평이 많다. 특히 2010년 시귀 이래로 15년 만의 제대로 된 동양 호러 애니메이션이라는 점에서 관련 팬들은 환호했다. 전반적으로 일본식 동양 호러 영화에 나오는 각종 호러 연출을 애니메이션에 맞게 잘 차용했는데, 인도우 히카루로 의태한 괴물이 인간 사회에 숨어 산다는 배경 설정을 마을과 주변 인물들의 괴기하고 공포 서린 표정으로 생생하게 드러냈으며, 소품, 색채, 음향 등 여러 부가 요소에도 신경을 써서 작품 전체의 불온한 분위기를 한껏 조성하였다. 2화도 아날로그 호러스럽거나 실사를 섞는 등의 호러 연출, 고전 애니/비디오 테이프를 방불케하는 엔딩 연출 등 다양한 연출이 돋보였다. 특히 몇몇 소름 돋는 장면들[7]은 원작 초월 수준이라는 평도 있다.원작 팬들 사이에서는 만화와는 다른 다소 빠른 전개가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첫 장면부터 히카루가 유언을 말하는 장면이고,[8] 주요인물인 키보가야마 고등학교 친구들과 쿠레바야시 리에, 타나카가 모두 1화에 등장한다. 특히 나머지 인물들은 곧 등장할 뿐더러 이야기가 더 매끄럽게 진행된다고 할 수 있겠지만, 타나카만큼은 3권 12화가 되서야 등장하기 때문에 등장씬들이 메인 스토리와 거리가 있는데다 분량을 위해 주인공 일행의 몇몇 장면들이 빠졌다. 일상물인 앞 부분을 그대로 애니화하면 지루해질 수 있어서 시청자층 포섭을 위해 미스터리 요소에 집중해 이렇게 구성된 것으로 보인다.
단 원작부터 BL 요소가 있는 작품이라 해당 분위기에 거부감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호불호가 갈린다. 다만 장르가 BL이라기보단 동성애적으로 보이는 요소가 가미된 호러물에 더 가까운 작품이어서[9] 원작과 마찬가지로 초반의 특유의 분위기와 암시적인 장면들이 있지만 직접적인 로맨스 요소는 없다. 장르가 장르인지라 브로맨스적 요소가 BL물만큼 돋보이지 않는다는 등 이에 관해 여러 의견이 존재하고 있다.
한국에서의 반응도 꽤 긍정적이다. 넷플릭스 단독 송신작인 만큼 넷플릭스에서도 높은 순위에 랭크되었는데, 데뷔 순위 5위로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다.[10]
넷플릭스에서 단다단과 도원암귀 함께 글러벌 논-영어 Top10에 랭크되었다. 일본 넷플릭스에서는 3분기 애니메이션 중 단다단에 이어 2위를 유지하다가 괴수 8호가 2위가 되면서 3위를 유지하고 있다.
10. 외부 링크
- 일본 한정 스트리밍 플랫폼
- \
[[ABEMA|ABEMA]] ▶ / (일) 01:55
[1]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스트리밍사인 넷플릭스 판을 기준으로 한다.[2] 원화: 히라오카 마사노부, 우치다 모모카, 10十10, 오다시 등.[3] 원화: 코지마 타카시, 오오사코 미츠히로 등.[4] 일본에서는 넷플릭스와 ABEMA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로 공개된다.[5] 히라오카의 이펙트 작화 실력을 보고 싶으면 그가 같이 일하는 연출가 카미야 유키 항목의 영상 참조.[6] 이쪽은 각본가 야쿠 유우키에게 근본적인 책임이 있기는 하다. 물론 그 각본을 통과시킨 타케시타에게 책임이 없는 것은 아니다.[7] 마트 점원 아주머니가 요시키에게 가족에 대해 캐묻는 장면 등[8] 때문에 히카루가 인간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장면이 덜 충격적으로 다가온다는 것.[9] 원작자도 원안을 만들 때 장르를 BL로 계획했으나 주인공의 성장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다른 방향으로 연재했다 발언한 바 있다.#[10] 넷플릭스 7월 2주차 순위를 보면 글로벌적으로 단다단 2기가 4위, 히카루가 죽은 여름이 8위로 단다단 2기가 순위가 높지만# 한국에서는 히카루가 죽은 여름이 8위, 단다단 2기가 10위로 히카루가 죽은 여름이 순위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