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31 22:25:21

212급 잠수함

212급에서 넘어옴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잠수함의 계보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0,#e5e5e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제2차 세계대전 독일의 주력 잠수함
훈련함 → 전투함

Type I 유보트


 
훈련함 / 전투함

Type II 유보트


 

 

 
기뢰부설 / 수송함

Type X 유보트


 

 

 

 

파일:독일 국기.svg 전후 독일의 잠수함 계보
전투함(조기퇴역)

Type 201 잠수함


 

 

 
수출용 전투함

Type 207 잠수함


 
수출용 전투함

Type 209 잠수함


 
수출용 전투함

TR-1700 잠수함


 
수출용 전투함

Type 210 잠수함


 

 
수출용 전투함

돌핀급 잠수함


 
수출용 전투함

Type 214 잠수함


 
수출용 전투함 건조계획

Type 216 잠수함


 
수출용 전투함

Type 218 잠수함


 
수출용 전투함

다카르급 잠수함


 
}}}}}}}}}}}}
파일:212급-2.jpg
파일:212급-4.jpg
Die U-Boote der Klasse 212 A

1. 개요2. 제원3. 개발 및 건조 역사4. 특징
4.1. 설계상 특징4.2. AIP4.3. 무장 구성
5. 파생형6. 동형함 목록7. 기타8. 관련 문서9. 둘러보기

1. 개요

독일 언론 NDF에서 제작한 다큐멘터리, "잠수함에서의 여정 도중(Unterwegs im U-Boot)"에서 묘사된 212급 잠수함 U-31함. 영국 해군과의 합동훈련을 위해 플리머스 항으로 가는 여정이 담겼다.

독일독일 해군에 배치하기 위해 개발한 재래식 잠수함으로, 세계 최초의 연료전지 AIP 재래식 잠수함이다.[1] 현재 독일 해군이탈리아 해군이 운용 중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의 시작과 함께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가 창설되고, 옛 추축국이었던 서독이 이에 가입했다. 서독이 NATO의 일원으로써 역할은 잘 해주었지만, 아무래도 잘못을 저질렀던 나라라 아무 제한을 안 걸기는 꺼림칙했는지, NATO는 독일 해군의 잠수함은 500톤급 이상으로 건조하지 못하도록 규정을 만들어놨었다.[2] 212급 잠수함은 이 규정이 풀리고 건조된 잠수함이다. 즉, 본격적으로 만든 자국용 잠수함이란 소리. 확실히 규정에 얽매인 채 만든 잠수함인 201급 잠수함, 205급 잠수함 등은 주변국 잠수함에 비해 그저 그런 평범한 성능이었지만[3], 500톤 제한 규정이 풀리고 만든 이 212급 잠수함은 확실히 당시 기준으론 혁신적이고 고성능으로 평가되었다.

2. 제원

212급 잠수함
Type 212 Submarine
건조 업체 HDW
핀칸티에리
전장 56m (BATCH-I)
57.20m (BATCH-II)
전폭 6.8m
흘수선 6.4m
수상 배수량 1,524톤
수중 배수량 1,830톤
동력 방식 AIP
기관 MTU 16V-396 디젤 엔진 x1기
지멘스 페르마신 1,700 kW급 전동모터 x1기
HDW/지멘스 30~40 kW급 PEM 연료전지[4] x9기
HDW/지멘스 120 kW급 PEM 연료전지[5] x2기
추진 전동모터 프로펠러 1축 추진
수중속력 12노트
수중속력 20노트
항속거리 8노트로 수상 항해시 14,800km
작전기간 AIP 시스템 가동시 3주 잠항가능 / 최대 12주 작전
잠수함 승조원 23~27명
잠항심도 250~700 m
소나 소나체계 STN 아틀라스 DBQS40 소나 체계
함측 소나 FAS-3 중 / 저주파 패시브 소나[6]
EFAS 소나[7]
예인 소나 TAS-3 저주파 예인 소나
기뢰 탐지 MOA 3070 소나
레이더 켈빈 휴즈 Type 1007 I 밴드 항법 레이더
항법체계 아비오 GAUDI 자동 조종 / 유압 시스템
전투체계 콩스버그 MSI-91 전투 시스템[8]
아틀라스 일렉트로닉 ISUS [9]
탐지체계 리바 칼조니 잠망경 시스템
Carl Zeiss SERO 14 FLIR/거리계
Carl Zeiss SERO 15 레이져 거리계
WASS 수중청음기
대응체계 ECM/ESM EADS FL 1800U ESM[10]
EADS MRBR 800 ESM[11]
어뢰 대응책 TAU 2000 어뢰 방어 시스템
무장 533mm 어뢰 발사관 6문
DM2A4 중어뢰[12]
블랙샤크 중어뢰[13]
IDAS 잠대공 미사일 (개발중)
외부 부착형 기뢰 24기 (옵션)

3. 개발 및 건조 역사

1990년대 초, 독일 해군206급 잠수함을 대체할 신형 재래식 잠수함이 필요함을 느꼈고, 209급 잠수함을 기반으로 AIP 체계를 갖춘 신형 잠수함을 설계하기 시작한다. 해당 설계에 212급(Type 212) 잠수함이라는 급명을 부여하고, 기초연구를 시작했다.

1994년 들어서 이탈리아가 관심을 보여 설계에 참여했다. 마침 이탈리아 해군도 새 잠수함이 필요했던 탓이었다. 두 국가는 212급 잠수함의 운용 성능을 발트해 같은 얕고 좁은 연안에서부터 지중해의 심해까지 운용가능한 전천후 재래식 잠수함을 만들기로 했다. 하지만 두 운용 환경에 모두 적합한 잠수함을 만들기란 힘들었던 나머지, 일단 절충안으로 설계하기로 했다. 이후 명칭이 212A급 잠수함으로 변경되었다.

1996년 4월 22일에 양국은 독일 해군용 4척, 이탈리아 해군용 2척에 추후 2척 추가 건조하기로 합의하고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1998년 독일 정부는 4척의 212급 잠수함을 주문했고, 독일 잠수함 컨소시움이 HDW사의 조선소와 TNSW사의 엠덴 조선소에서 건조를 시작했다. 양쪽에서 절반의 모듈을 생산하고, 나머지 반을 상대 조선소에 맡기는 형식으로 두 조선소가 건조 경험을 충분히 쌓을 수 있게 했다.

동년에 이탈리아 정부도 2척을 주문했고 핀칸티에리사가 Muggiano 조선소에서 건조했다. 이탈리아 해군용 212급 잠수함의 함급명은 토다로급 잠수함.

이후 2006년 독일 해군은 개량형 212급 잠수함 2척을 주문했다. 전장을 1.2미터 늘려서 탐색 잠망경을 추가한 버전이다. 2012년에 두 척을 인도했다. 이탈리아 해군도 2척을 추가 주문했다. 이 추가주문 분량은 소프트웨어에 상용 기술을 적용하되, 기본 함체는 적정선에서 유지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 했다고 한다.

209급 잠수함의 선체를 베이스로 212급 잠수함의 기술을 적용하여 설계한 수출용 잠수함이 바로 214급 잠수함이다. 대한민국 해군, 그리스 해군, 튀르키예 해군, 포르투갈 해군 등에 수출되었다.

2015년 12월 22일 이탈리아 해군이 3차선(BATCH-III) 사양으로 2척을 추가 건조할 것임을 발표했다.

2020년대 새로운 파생형으로 212CD급 잠수함이 발표되었다.

4. 특징

4.1. 설계상 특징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FGS%20U%2031%20(S181)%20Type%20212%20Howaldtswerke-Deutsche%20Werft%20AG%2027-09-07.jpg
212급 잠수함의 함미타. 통상적인 十자 함미타가 아닌 X자 함미타를 사용한다.

함미타를 X형으로 설계하여, 선회력을 증가시키고 연안 접근력을 최대화했다. 동시대의 잠수함들과 비교해, 212급 잠수함은 17미터의 수심에서도 작전이 가능한 경이로운 연안 접근력을 보유하고 있다. 덕분에 특수작전을 수행할 경우 특수전 요원들이 해안까지 헤엄쳐가는 거리를 단축시켜 작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다른 설계상 특징으로는 함체 골격에 각기동형 골격을 사용하였고, 사령탑을 유선형으로 설계하여 수중 정숙도를 높였다. 또한 201급 잠수함부터 시도하여 206급 잠수함에 이르러 실전 배치에 성공한 비자기성 강철을 선체 재질로 사용하여, 자기탐지기나 자기 기뢰에 접촉될 확률을 줄였다.

상기한 대로 선체 재질로 비자기성 강철을 사용한 것이 주요 특징인데, 같은 212급 잠수함이라도 독일 해군용과 이탈리아 해군용은 각각 다른 재질을 사용하고 있다. 얕은 바다인 발트해에서 작전하는 독일 해군용의 212급 잠수함에는 강도는 떨어지나 피탐지성이 낮은 스테인리스강이 쓰이고 있고[14], 이보다 깊은 지중해에서 작전하는 이탈리아 해군용의 212급 잠수함에는 HY-80 고장력강이 사용되었다.

4.2. AIP

가장 대표적인 특징을 꼽자면 역시 세계 최초의 연료전지 AIP 재래식 잠수함이라는 점이다. 산소수소를 이용한 무급기 추진방식이 제1차 세계 대전 무렵부터 검토되긴 했지만, 화재나 폭발 위험 때문에 사장되기 일쑤였다. 212급 잠수함은 연료와 산소탱크를 잠수함 승조원 거주구역 바깥, 즉 압력선체와 외부 선체 사이에 설치해서 위험을 줄였다. 산소는 배관을 통해 압력선체 내부의 연료전지로 전달되어, 전기를 발전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설계로 그동안 시도는 많았으나 실용화되지 못한 연료전지 AIP 재래식 잠수함이 실용화된 것이다.

4.3. 무장 구성

주무장인 어뢰의 경우 독일제 어뢰 DM2A4 중어뢰가 세계 최초의 광섬유 유선 유도 어뢰라는 점을 제외하면 특별한 점은 없다. DM2A4 이외에도 이탈리아제 A184 중어뢰나 블랙샤크 중어뢰 역시 사용한다.

특이한 점이라면 개발중인 IDAS 잠대공 미사일이 향후 대공용 무장으로 탑재될 예정이라는 것이다. 제대로 개발해서 배치에 성공할지는 아직 미정이다.[15]

한때 수납형 기관포(!) 탑재가 검토되었던 적이 있다. 라인메탈의 RMK30 30mm 기관포를 잠수함 마스트형으로 개조하여 잠수함에 탑재한다는 일명 '무레나 프로젝트(Project Muraena)'가 있었다. ~21형 유보트(이쪽도 20밀리 기관포를 수납형으로 장착)도 아니고~ 어뢰가 발달했다지만 작고 빠른 고속정을 상대하기란 어렵고, 특수작전 지원을 위해 장착을 검토하였으나 소식이 없다. 아마 사장된 듯(...).

잠대공 미사일이나, 수납형 기관포나 참으로 혁신적인 발상이었으나 아직 둘 중 실전배치된 것이 없기에, 적어도 현 시점에선 212급 잠수함은 어뢰를 주무장 삼는 평범한 재래식 잠수함이 되었다.

5. 파생형

5.1. 212NFS

U212NFS (Near Future Submarine)

이탈리아 해군이 기존 사우로급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하는 3차선(BATCH-III) 사양으로 새롭게 도입하는 212급 잠수함이다. 기존에 운용 하던 212급 잠수함 대비 길이가 1.2m 가량 길어지고 이탈리아에서 개발된 리튬 이온 전지를 탑재하고, MK2/E TESEO 잠대지 순항 미사일을 탑재할 예정이다.

5.2. 212CD급 잠수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12CD급 잠수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U212CD (Common Design)

노르웨이 해군독일 해군이 공동으로 도입할 212급 잠수함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6. 동형함 목록

독일 연방해군
함번 함명 기공일 진수일 취역일 퇴역일 상태
Die U-Boote der Klasse 212 A (U-Boot-Klasse 212 A)
S181 U-31 1998.7.1 2002.3.20 2005.10.19 - 현역
S182 U-32 2000.7.11 2003.12.4 2005.10.19 - 현역
S183 U-33 2001.4.30 2004.9 2006.6.13 - 현역
S184 U-34 2001.12 2006.7 2007.5.3 - 현역
S185 U-35 2007.8.21 2011.11.15 2015.3.23 - 현역
S186 U-36 2008.8.19 2013.2.6 2016.10.10 - 현역
이탈리아 해군
함번 함명 기공일 진수일 취역일 퇴역일 상태
U-212
S 526 살바토레 토다로 (Salvatore Todaro)[16] 1999.7.3 2003.11.6 2006.3.29 - 현역
S 527 시레 (Scirè)[17] 2000.5.27 2004.12.14 2007.2.19 - 현역
S 528 피에트로 베누티 (Pietro Venuti) 2009.12.9 2014.10.9 2016.7.6 - 현역
S 529 로메오 로메이 (Romeo Romei)[18] 2012 2015.7.4 2017.5.11 - 현역
U-212 NFS
- 2022.1.11 - - - 건조 중
- - - - - 건조 예정
- - - - - 건조 예정
- - - - - 건조 예정

7. 기타

김경진 작가의 소설 동해에서 장문휴급 잠수함이 212급 잠수함이다. 국뽕으로 악명높은 작가답게 배수량 2000톤 미만 재래식 잠수함이면서 미중일러 최신 잠수함들을 압도하는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지금까지도 개발이 완료되지 않은 잠대공 미사일을 탑재하여 대잠초계기까지 격추시킨다. 미국은 이 동맹국 재래식 잠수함의 성능을 경계해 공작을 가해 제거하려 했으며 종국에는 미중일러 4개국 해군과 맞서 싸운 뒤 침몰한다. 초판에는 212급 잠수함이었으나 대한민국 해군214급 잠수함(손원일급 잠수함) 도입이 확정된 이후로 214급 잠수함으로 수정되었다. 작중 외관 묘사도 214급 잠수함의 외형을 묘사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8. 관련 문서

9. 둘러보기

파일:독일 국기.svg 현대의 독일 연방해군 함정 파일:독일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독일 연방해군 (1956~현재)
Bundesmarine
<colbgcolor=#808080> [[잠수함|
잠수함
]]
<colbgcolor=#808080> '''[[잠수정|
SSM
]]'''
202급V/R | 240급R
SS {212CD급} | 212급 | 206급R | 205급R | 201급R
구잠정 421 한스 뷔르크너급R | 420 테티스급R
어뢰정 (PT) S149 질버뫼베급R | S142 조벨급R | S141 지아들러급R | S140 야구어급R | S153 페일급V/R | S152 나스티급V/R
'''[[미사일 고속정|
미사일 고속정 (FACG)
]]'''
S148 티거급R | S143A 게파트급R | S143 알바트로스급R
'''[[초계함|
초계함
]]'''
'''
PCG
'''
K130 브라운슈바이크급
'''[[호위함|
호위함
]]'''
FF F121 프리가트 70급 | F120 쾰른급R
'''
FFG
'''
{F127급} | {F126 니더작센급} | F125 바덴-뷔르템베르크급 | F124 작센급 | F123 브란덴부르크급 | F122 브레멘급R
[[구축함|
구축함
]]
DD Z101 함부르크급R | Z119 체르슈퇴러 1급R
'''
DDG
'''
Z103 뤼첸스급R
기뢰전함 '''[[기뢰함|
기뢰함 (MLS)
]]'''
370급R
'''
소해함 (MSH)
'''
352 엔스도르프급 | 351 울름급R | 343 하멜른급R | 341 스콜피온급R | 340 크레브스급R | 362급R | 369급R | 368급R | 359 슈츠급R | 319급R
'''[[소해함|
연안 소해함 (MSC)
]]'''
321 페게자크급R | 320 린다우급R
'''
기뢰 탐색함 (MCM)
'''
333 쿨름바흐급R | 332 프랑켄탈급 | 331 풀다급R | 339급R
'''
수로 소해함 (MSI)
'''
394 프라우엔롭급 | 393 아리아드네급R | 392 한자급R | 391 니오베급R | 390 호니스급R
상륙함 '''
LSD
'''
555급R
'''
LSM
'''
551급R | 550급R | 502급R
상륙정 '''
LCM
'''
521급R | 520 바르베급R
'''[[군수지원함|
지원함
]]'''
'''
수송함 (AP)
'''
762 작센발트급R | 764급R | 760 베스터발트급R
모함 404 엘베급 | 403 란급(AS)R | 402 모젤급R | 401 라인급(AGP)R | 419 오스트급R
'''
급유함 (AO)
'''
{707급} | 704 뢴급 | 703 발첸제급R | 702 베를린급 | 701 뤼네부르크급R
'''
급탄함 (AE)
'''
706 슈바르츠발트급R
'''
수리함 (AR)
'''
708급R
'''
청수함 (AW)
'''
705급R
'''
어뢰 회수정 (AVR)
'''
430급R | 439급R | 438급R
'''
해상 크레인 (YD)
'''
711 히에프급 | 719 멤메르트급R
'''
정보 수집함 (AGS)
'''
{424급} | 423 오스테급 | 422급R
지원정 725 노드스트란트급(YTB) | 724 쥘트급(YTB) | 723 뤼체 호른급(YTL)R
예인선 (AT) 722 방어루그급 | 720 헬골란트급R | 729 파사트급R
다목적함 748 슈베데넥급 | 745 스톨러그룬트급
훈련함 {442급} | 441 고르히 포크 | 440 도이칠란트R | 138급R (블랙 스완급/헌트급) | 241 빌헬름 바우어R
무인함
'''[[USV|
USV
]]'''
소노봇 5
'''[[UUV|
UUV
]]'''
시캣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V: 시험평가용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개발 취소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현대의 이탈리아 해군 함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잠수함/정 <colbgcolor=#fefefe,#393b42>플루토급RM/R, 아차이오급RM/R, 타졸리급R, 토리첼리급R,
가자나 프리아로자급R, 리비오 피오마르타급R, 엔리코 토티급R, 사우로급, 토다로급
어뢰정 MS472급R, 스피카급RM/R, PT 보트R
고속정 풀미네급R, 프레시아급R, 폴고레급R, 람포급R, 에스플로라토레급
미사일 고속정 스파르비에로급R
원양초계함 시리오급, 카시오페아급, 코만단티급
초계함 가비아노급RM/R 피에트로 드 크리스토파로급R,
알바트로스급R, 미네르바급R, 타온 디 레벨(PPA)급
호위구축함 알데바란급R
호위함 경호위함 루포급
대잠호위함 첸타우로급R, 카를로 베르가미니급(1962)R, 알피노급R, 마에스트랄레급
방공호위함 카를로 베르가미니급, {FREMM EVO}
구축함 구축함 산 조르지오급RM/R 임페투오소급R, 판테급R, 아르티에르급R, 아비에르급R
방공구축함 임파비도급R, 아우다체급R, 뒤랑 드 라펜급, 오리존테급, {DDX}
순양함 두카 델리 아브루지급RM/R, 안드레아 도리아급R, 비토리오 베네토급R,
상륙정 MTP(LCVP)R, MTM(LCM)-2/3/6급R, SR.N6급 호버크래프트R
MTP96급, MTM217급, LCM62급
상륙함 LPH 산 조르지오급, 트리에스테급
LST 안테오R, 에트나R, 안드레아 바필레R,
그라도급R, 콰트로급R
소해함 레리치급, 가에타급
수송함 폰자급, 고르고나급
군수지원함 스테로페R, 에트나급, 스트롬볼리급, 파네레아급, 불카노급
정보수집/연구함 스테뻬타R, 오스티아R, 바르바라R, 아미랄료 마나기,
알리안스, 레오나르도, 로세티급, 니페급, 일레트라급
경항공모함 주세페 가리발디급, 콘테 디 카보우르급
훈련함 아메리고 베스푸치, 아라고스타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RM: 이탈리아 왕립해군(Regina Marina) 소속이었던 것을 개장한 함선들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War_Ensign_of_Germany_1903-1918.svg.png
독일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정부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제2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682px-Naval_Ensign_of_Poland_%28normative%29.svg.png
폴란드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00px-Military_Flag_of_Finland.svg.png
핀란드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중화민국
파일:만주군기.svg
만주국
파일:19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제2세계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해군기.svg
동독
파일:Naval_Ensign_of_Poland_(1980-1993,_normative).svg
폴란드
제3세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685050>북미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멕시코
-
'''
중미/카리브
'''
파일:쿠바 함수기.svg
쿠바
남미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브라질
파일:칠레해군기.png
칠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해군기.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해군 표준기.png
콜롬비아
서유럽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Jack_of_the_Netherlands.svg.png
네덜란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Belgium.svg.png
벨기에
중부유럽파일:독일 해군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해군 함미기.png
폴란드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군함기.pn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1024px-Naval_Jack_of_Portugal.svg.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선수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해군 선수기.png
루마니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Naval_Ensign_of_Bulgaria.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파일:크로아티아 해군기.svg
크로아티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해군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해군기.png
핀란드
파일:라트비아 해군기.svg
라트비아
동유럽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중국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대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ensign_of_North_Korea.svg.pn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nsign_of_Vietnam_People%27s_Navy.png
베트남
파일:태국 해군 함선기.svg
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the_Philippines.svg.png
필리핀
파일:Naval_Ensign_of_Singapore.png
싱가포르
파일:브루나이 해군기.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해군기.svg
미얀마
남아시아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5px-Naval_Ensign_of_India.svg.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파키스탄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스리랑카
서아시아파일:Naval_Ensign_of_Israel.svg.png
이스라엘
파일:800px-Naval_Jack_of_Iran.svg.png
이란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파일:800px-Naval_base_flag_of_the_Royal_Saudi_Navy.svg.pn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파일:아랍에미리트 해군기.png
{{{#!wiki style="margin: -0px -9px"]]
파일:640px-Flag_of_the_Royal_Bahrain_Naval_Force.svg.pn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오세아니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아프리카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Naval_Ensign_of_Egypt.svg.png
이집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Algeria.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해군기.svg
모로코
파일:Naval_Ensign_of_South_Africa.svg
남아공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전함 | 잠수함
}}}}}}}}}}}}



[1] 최초의 AIP 잠수함은 스웨덴고틀란트급 잠수함이다. 스털링 엔진을 장착했고, 212급 잠수함은 첫 연료전지 잠수함이다.[2] 물론 수출용인 209급 잠수함은 1천톤대였다. 어디까지나 독일 해군재래식 잠수함을 500톤 이하로 제한한 것.[3] 209급 잠수함은 가격 대비 성능이 수준급이라 세계 각지에 팔려나가긴 했지만 독일 해군은 도입하지 않았다.[4] U-31[5] U-32/U-33/U-34[6] S 181~S 184[7] S 185~S 186[8] S 181~S 184[9] S 185~186[10] S 181~S 185[11] S 185~S 186[12] 독일 해군에서 사용[13] 이탈리아 해군에서 사용[14] 발트해는 얕은 바다라서 대잠초계기자기탐지기의 효율이 극대화된다. 이 MAD에 대한 피탐성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MAD에 강한 스테인리스강을 선택한 것이다.[15] 이 잠대공 미사일 썰 때문에 2000년대 대한민국에서 나온 밀리터리 소설들은 잠대공 미사일로 대잠초계기를 잡는 내용이 가끔씩 나왔다. 대표적으로 김경진동해, 서종건의 검은 전쟁.[16]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대서양 전투에서 활약한 잠수함 함장. 약 30,000톤의 격침톤수를 기록했다. 하지만 그보다도 적함을 격침할때마다 생존자들을 가장 가까운 육지에 내려주는 기사도 정신으로 유명했다. 인간성과 관대함을 지닌 이었지만 자신의 잠수함이 공격당할 위험에도 적 생존자들을 구출하는 다소 비이성적인 모습 때문에 "바다의 돈키호테"라는 별명을 가졌다고 한다. 1942년 12월 14일 영국군의 공습으로 전사.[17]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당시 있었던 시레 전투.[18]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지중해에서 활동한 잠수함 함장이자 군사용맹장 금장 수여자. 1941년 3월 31일 영국 잠수함 로퀄의 공격으로 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