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가노 전철에 양도된 편성에 대한 내용은 나가노 전철 2100계 전동차 문서 참고하십시오.
하위 문서: 253계 전동차/현황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 JR 동일본 253계 전동차 JR 東日本 253系 電車 JR East 253 Series (EMU) | }}} | |||
전성기인 특급 나리타 익스프레스로 활동했던 시절 | |||||
특급 '닛코'로 운행중인 253계 1000번대 | |||||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 특급형 전동차 | ||||
구동 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대수 | 6량 1편성, 3량 1편성 | ||||
운행 노선 | 특급 닛코, 키누가와 | ||||
운행 노선(과거) | 특급 나리타 익스프레스 | ||||
소속 | JR 동일본 오미야 종합 차량센터 히가시오미야 센터 (4편성 40량) | ||||
신호 방식 | ATS-P, ATS-SN, ATC-5 (0번대/200번대) ATS-SN, ATS-P, 도부형 ATS (1000번대) | ||||
제작 회사 | 도큐차량제조 킨키차량 | ||||
도입 연도 | 1990년 ~ 2002년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 제어 방식 | 계자첨가 여자제어[1] 도요전기제 VVVF-IGBT(1000번대 한정) | |||
동력 장치 | 직류직권전동기 MT61형 120kW (0번대/200번대) 농형 3상 유도전동기 MT74A형 120kW (1000번대 한정) | ||||
구동 방식 | 중공축 평행카르단 구동방식 | ||||
제동 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2] | ||||
급전 방식 | 직류 1500V | ||||
영업 속도 | 130㎞/h | ||||
최고 속도 | 130㎞/h | ||||
전동차 비 | 4M2T, 2M1T | }}}}}}}}} |
[clearfix]
1. 개요
<colbgcolor=#008900><colcolor=#fff> |
나리타 익스프레스 시절 열차 소개 및 주행영상(1991년)[3] |
도입 초기에는 3량짜리의 조그마한 꼬마열차였지만, 1992년부터 1996년 사이에 12편성을 추려내 중간차를 추가 생산, 편성편입하여 6량 편성을 만들었고, 이후 2002년에 생산된 추가 증비분은 200번대로 명명하여 전 편성이 6량차로 생산되었다. 덕분에 3량 편성 3량을 묶어 9량을 만든다거나, 6+3량으로 9량 조합, 6+6량으로 12량 조합, 3+3+6의 12량 조합 등 의외의 변태적인 조합이 가능했다고 한다. 하지만 E259계 전동차가 투입되는 시점이자 차량 교체 과도기인 2009년에는 무조건 12량을 만들어 운용했다.
2. 형식
2.1. 0번대
기본 번대. 총 5차차까지 도입되었으며 각각 1990년(영업운전 투입은 1991년), 1994년, 1996년에 도입되었다. 나가노 전철에 양도한 2편성을 제외한 모든 차량이 가차없이 폐차되었다.
2.2. 200번대
2002년 한일 월드컵 대비 증비분으로 도입된 차량이다. 차량 제작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 무사시노선에서 운행하던 205계 전동차가 도요전기제 VVVF - IGBT로 개조공사를 받으면서 남은 계자첨가 여자제어 장치, 직류전동기 등을 유용하여 제작되었다. 나리타 익스프레스에서 은퇴한 이후 폐차된 0번대와는 달리 2010~2011년에 1000번대로 개조되면서 살아남았다.2.3. 1000번대
대폐차에서 살아남은 200번대에 제어장치 교체, 지하구간 입선[5] 대비용 관통문 제거 후 LED 행선 안내기 장착, IGBT-VVVF로의 갱신, 그린석 개인실의 승무원실화 등의 개조공사를 거쳐 한솥밥 먹는 도부 철도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 그동안 도부 닛코선, 키누가와선 직통용으로 사용되던 구형 189계 전동차의 대체분으로 투입되었다.
2.4. 나가노 전철 2100계
0번대 차량의 일부를 나가노 전철로 매각하여 운행하고 있다.자세한 내용은 나가노 전철 2100계 전동차 문서 참고하십시오.
3. 몰락과 부활
나리타 익스프레스로 활약하면서 의외의 좋은 평가를 받던 차량이었지만, 후계차인 E259계 전동차가 예상외로 빨리 등장한 것도 있고, JR 동일본이 구형 차량, 특히 사이리스터 초퍼제어와 계자첨가 여자제어를 제어장치로 사용하고 있는 차에 대해 무자비한 숙청 맛을 보여주기 시작하면서 최초 모델과 최후 모델이 각각 1991년과 2002년[6]에 생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자첨가 여자제어를 사용하고 있던 253계는 대차하지 않으면 안될 차량으로 간주되어 급속도로 JR 동일본의 눈밖에 나기 시작한다.그래서 E259계가 나리타 익스프레스로써 현역에 투입되기 시작한 시점인 2009년 10월 1일을 기점으로 하여 JR 동일본은 바로 전날까지 멀쩡하게 운용을 마친 차량들을 하나둘 씩 차량을 나가노로 끌고 가 폐차시켜 버렸고, 이후 1년 뒤인 2010년 9월말까지 0번대, 즉 초기형 차량에 대해서는 더 봐줄 여지도 없다는 듯 몽땅 폐차시켜 버렸다. 하지만 이때 끌려간 차량 중 3량씩 2편성, 총 6량은 폐차시키지 않고 약간의 개조를 거쳐 2010년에 사철인 나가노 전철에 팔아버렸다. 참고로 팔려간 이후에도 도색은 바뀌지 않았다고.
2002년에 추가로 증비된 200번대 차량 역시 다행스럽게도 이 시기 있었던 대량 폐차를 면했다.[7] 대신 각종 개조를 거쳐 1000번대로 번대를 바꾸고 닛코선을 두고 경쟁관계에 있는 도부 철도와 직통운행하는 189계 전동차의 대차분으로 잘 써먹고 있는 중이다. 한 나라의 얼굴마담으로서 활약하던 열차 치고는 여러 모로 쓸쓸한 말년인 셈. 사실상 JR이 도부 닛코선에 직통하여 JR 닛코선을 엿먹이려고 하는 거다. 도부, JR 둘 다 좋은 일.
4. 기타
용자특급 마이트가인의 등장 메카 버드 봄버의 모델이다. 더불어 작중 용자특급대 로봇들의 모델이 된 열차들 중에 유일하게 현역인 열차이다.5. 관련 문서
[1] 쉽게 말하자면, 저항제어와 위상제어와 초퍼제어의 혼용을 의미함.[2] 억속제동 포함[3] 영상 정보에 따르면 1991년 6월 25일에 VHS로 발매되었으며, 주행영상은 운행개시 1달여가 지난 동년 4월 22일에 촬영되었다고 한다.#[4] 헌데 대체로 일본의 차량들이 이 상을 휩쓸어가는 편이다.[5] 나리타 익스프레스로 운행되던 시기 시나가와역-킨시쵸역 구간 사이의 지하 구간에 대비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며, 이 덕분에 개요 문단에 나온 병결운행도 가능했다.[6] 연도를 보면 유추할 수 있겠지만, 2002년 한일 월드컵 대비 증비분이다.[7] 아무리 대차주기가 빠른 동일본이라고 해도 10년도 안쓴 열차를 폐차시키기는 어려웠던 모양이다. 당장 신칸센도 20년은 쓰는게 보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