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주요 선거·투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종류 | 지난 선거 | 다음 선거 |
대통령 선거 | 제20대 2022년 3월 9일 | 제21대 2027년 3월 3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국회의원 선거 | 제22대 2024년 4월 10일 | 제23대 2028년 4월 12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전국동시지방선거 | 제8회 2022년 6월 1일 | 제9회 2026년 6월 3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재보궐선거 | 2024년 하반기 2024년 10월 16일 | 2025년 2025년 4월 2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부통령 선거 | 1960년 3월 15일 | 폐지*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국민투표 | 제6차 1987년 10월 27일 | 시행 불가** | |
{{{#!folding [ 역대 투표 펼치기 · 접기 ] | |||
* 1960년 6월 15일 제3차 개헌으로 부통령직 폐지 **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용 중 일부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 이후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아 2016년 1월 1일자로 효력을 상실하여 시행 불가능 | }}}}}}}}} |
대한민국 국회 | |||||
{{{#!wiki style="margin: 0 -10px; color:#CFA54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25px" | 임시의정원 |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 |||||
제헌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비상국무회의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제22대 | |
}}} 국회의장 · 국회부의장}}}}}} |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 |||||||||
{{{#!wiki style="margin: -7px -12px;" | 1954년 5월 20일 3대 총선 | → | 1958년 5월 2일 4대 총선 | → | 1960년 7월 29일 5대 총선 | }}} | |||
투표율 | 87.8%▼ 3.3%p | ||||||||
선거 결과 | |||||||||
정당 | 지역구 | 총합 | 비율 | ||||||
[[자유당(1951년)| 자유당 ]] | 127석 | 127석 | 54.50% | ||||||
[[민주당(1955년)| 민주당 ]] | 79석 | 79석 | 33.90% | ||||||
[[통일당| 통일당 ]] | 1석 | 1석 | 0.42% | ||||||
[[무소속| 무소속 ]] | 26석 | 26석 | 11.15% |
[clearfix]
1. 개요
1958년 5월 2일 치러진 민의원의원 선거로 투표율은 87.8%를 기록했다. 소선거구제를 유지했으며 의원정수는 233명이었다. 1952년 발췌 개헌으로 국회 양원제가 도입됨에 따라 민의원 선거와 함께 참의원 선거도 치러져야 했으나, 여당인 자유당의 반대로 인해 민의원의원 선거만 실시되었다. 임기는 1958년 5월 31일부터 1962년 5월 30일까지였으나 4.19 혁명으로 인하여 제4대 국회의 임기는 1960년 7월 28일에 종료됐다.2. 배경
제3대 민의원의원 선거에서 안정적 과반을 확보하여 사사오입 개헌으로 3선에도 성공한 이승만 대통령이었으나 1957년부터 미국의 원조가 감소하기 시작해[1] 원조에 의존하고 있던 경제조차도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다. 이는 이승만 정권에 대한 국민의 불만으로 이어졌다.경쟁률은 3.2대 1이었으며(후보자 841명) 지난 총선보다 더 안정되었으며 참가한 정당과 사회단체는 총 14개이다. 또한 수복지구의 행정권 이양이 완료됨에 따라 수복지구의 선거구가 신설되어 휴전선 이남의 전 지역에 대해 치러진 첫 선거다. 233석이 정원이며 과반 획득을 위한 의석수는 117석이었다.
3. 결과
개표 결과 |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의석수 | |||
[[자유당(1951년)|]] | 3,607,092 | 42.1% | 127석 | |||
| 2,934,036 | 34.2% | 79석 | |||
| 53,716 | 0.6% | 1석 |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 50,568 | 0.6% | 0석 |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857,707 | 21.7% | 26석 | |||
총합 | 9,077,835 | 100% | 233석 |
제4대 민의원의원 선거 지역구 의석 현황 | |||||
지역 | 자유당 | 민주당 | 통일당 | 무소속 | <colbgcolor=#eeeeee,#2d2f34> 합계 |
서울 | 1 | 14 | 0 | 1 | 16 |
경기 | 15 | 8 | 0 | 2 | 25 |
강원 | 15 | 2 | 0 | 3 | 20 |
충남 | 15 | 6 | 0 | 1 | 22 |
충북 | 8 | 4 | 0 | 1 | 13 |
전남 | 18 | 10 | 1 | 3 | 32 |
전북 | 10 | 11 | 0 | 3 | 24 |
경남 | 20 | 15 | 0 | 5 | 40 |
경북 | 25 | 7 | 0 | 6 | 38 |
제주 | 1 | 1 | 0 | 1 | 3 |
합계 | 127 (54.50%) | 79 (33.90%) | 1 (0.42%) | 26 (11.15%) | 233 (100%) |
자유당이 과반을 얻었으나 127석으로 지난 번보다 의석 비율이 줄게 되었다. 군소 정당이 난립하는 경향은 여전히 존재했지만 무소속 의원 수는 26명으로 현저히 줄었다. 반면 조병옥 대표가 이끄는 민주당은 총 79석을 차지하여 제1야당으로서 최초로 개헌저지선을 확보하여 어느 정도 여당을 견제할 수 있는 야당으로 자리매김했다. 원내 정당은 자유당, 민주당, 통일당[2] 3개뿐이었다. 요약하자면 양당제의 경향이 나타난 첫 선거.
여촌야도 현상은 더욱 뚜렷해져 자유당은 서울특별시에서 전멸에 가까운 참패를 당했다. 서울의 16개 의석 중 여당 자유당이 획득한 의석은 단 1곳. 민주당이 14석, 무소속이 1석을 차지해 굴욕을 면치 못했으며 이는 이승만 정권에 대한 서울의 민심이 이미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악화되었음을 의미했다. 다만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영남과 호남에서 자유당이 앞섰기 때문에 최종 의석 수는 꽤 차이가 났다.[3] 특히 총선 직전 해산된 조봉암의 진보당 지지세가 가장 강했던 경상북도에서 자유당이 압승을 거두었다. 만약에 진보당이 총선에 참가할 수 있었다면 결과가 달랐을 수도 있다.
전라남도 보성군에서는 자유당 안용백 후보가 닭죽 사건이라는 부정선거를 일으켰다가 당선무효가 되기도 했다. 근데 재선거 때 또 자유당 후보인 황성수가 당선되었다. 또한 이정재는 원래 경기도 이천군에서 출마하려 했으나 이기붕에게 선거구를 빼앗겼다.
3.1. 선거구별 결과
제4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 항목 참조.4. 여담
- 4대 국회의원 중 마지막 생존자는 2017년 4월 5일 사망한 조광희(상주군 갑) 의원이다.
- 4대 국회의원 중 여성 의원은 박순천(부산시 동 갑), 박현숙(김화군), 김철안(금릉군) 이렇게 3명이다.
- 가장 장수한 4대 국회의원은 장석윤(횡성군), 조광희(상주군 갑)로 향년 99세에 별세했다.
[1] 1958년에는 아예 유상 차관 형식으로 전환해버린다.[2] 김준연이 창당한 민주당 계열의 정당으로 전라남도에서 1석을 얻었다. 5.16 군사정변 직후 해산되었다.[3] 이 당시는 지금과 달리 남쪽에 인구가 몰빵되어 있어 영호남의 의석만 합쳐도 134석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