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11 23:42:46
}}}}}}}}} || BGF그룹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순위 변동 집단명 동일인 계열사 수 자산총액 (조 원)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대기업) 1 (-) 삼성 이재용 63 566.8 2 (-) SK 최태원 219 334.3 3 (-) 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70 281.3 4 (-) LG 구광모 60 177.9 5 (▲1) 포스코그룹 포스코홀딩스 (주) 47 136.9 6 (▼1) 롯데 신동빈 96 129.8 7 (-) 한화 김승연 108 112.4 8 (▲1) HD현대 정몽준 29 84.7 9 (▼1) GS 허창수 99 80.8 10 (-) 농협 농업협동조합중앙회 73 78.4 11 (-) 신세계그룹 이명희 53 62.0 12 (▲2) 한진그룹 조원태 42 53.0 13 (▼1) KT (주)KT 48 46.8 14 (▼1) CJ 이재현 55 39.8 15 (-) 카카오 김범수 128 35.1 16 (-) LS그룹 구자은 67 31.9 17 (-) 두산그룹 박정원 22 26.9 18 (-) DL그룹 이해욱 45 26.7 19 (▲8) 셀트리온 서정진 8 25.6 20 (▼1) HMM HMM(주) 5 25.5 21 (▼1) 중흥그룹 정창선 53 24.9 22 (▲2) 미래에셋금융그룹 박현주 30 23.2 23 (-) 네이버 이해진 54 22.8 24 (▼3) 현대백화점그룹 정지선 27 22.1 25 (▲2) S-OIL (주)S-OIL 2 21.6 26 (▼3) 부영그룹 이중근 21 21.0 27 (▲18) 쿠팡 쿠팡(주) 13 17.6 28 (-) 하림그룹 김홍국 45 17.3 29 (▲2) SM그룹 우오현 58 17.0 30 (-) HDC 정몽규 35 16.9 31 (▼2) 영풍그룹 장형진 28 16.8 32 (-) 효성그룹 조현준 57 16.5 33 (▲1) 호반그룹 김상열 39 16.0 34 (▲14) DB그룹 김준기 25 15.7 35 (-) KT&G (주)KT&G 14 14.9 36 (-) KCC그룹 정몽진 14 14.2 37 (-) 장금상선 정태순 27 14.2 38 (▲14) 교보생명 신창재 14 13.2 39 (-) 코오롱 이웅열 48 13.0 40 (▼2) OCI그룹 이우현 24 12.7 41 (▼1) 태영그룹 윤세영 82 12.3 42 (▲1) 넥슨 유정현 19 11.9 43 (▼1) 세아그룹 이순형 26 11.7 44 (-) LX그룹 구본준 17 11.3 45 (▼4) 넷마블 방준혁 35 11.3 46 (▲16) 에코프로 이동채 23 11.2 47 (▼2) 이랜드그룹 박성수 31 10.9 공시대상 기업집단(준대기업) 48 (▼2) 한국앤컴퍼니 조양래 24 10.3 49 (▲2) 태광그룹 이호진 20 9.6 50 (▼1) 금호석유화학그룹 박찬구 14 9.5 51 (▼1) 다우키움그룹 김익래 48 9.5 52 (▲7) 두나무 두나무(주) 12 9.4 53 (▼5) 삼천리그룹 이만득 47 9.4 54 (▼1) 동원그룹 김남정 26 9.3 55 (▼1) KG그룹 곽재선 34 9.1 56 (▼1) HL그룹 정몽원 13 8.8 57 (▼1) 한국GM 한국지엠(주) 3 8.8 58 (▼1) 아모레퍼시픽 서경배 13 8.3 59 (▼1) 대방건설 구교운 42 8.1 60 (▲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한국항공우주산업 42 8.1 61 (▲2) 애경그룹 장영신 31 7.1 62 (▲3) 엠디엠 문주현 15 7.0 63 (▲4) 크래프톤 장병규 8 6.9 64 (▲2) 삼양그룹 김윤 13 6.9 65 (▲4) BS그룹 이기승 65 6.8 66 (▼3) 동국제강그룹 장세주 12 6.7 67 재지정 현대해상 정몽윤 13 6.7 68 (▼9) 중앙그룹 홍석현 54 6.6 69 (▲1) 글로벌세아그룹 김웅기 20 6.3 70 (▼2) 아이에스동서 권혁운 36 6.3 71 (▼4) 유진그룹 유경선 60 6.2 72 신규 영원무역 성기학 50 6.0 73 (▼1) DN그룹 김상헌 8 5.8 74 (▼6) 고려해운 박정석 24 5.8 75 (▼2) OK금융그룹 최윤 16 5.8 76 (▲5) BGF그룹 홍석조 18 5.8 77 신규 대신증권 양홍석 117 5.7 78 (▼3) 하이트진로그룹 박문덕 11 5.5 79 (▼1) 농심그룹 신동원 23 5.4 80 (▼9) 신영그룹 정춘보 33 5.3 81 (▼5) 한솔그룹 조동길 21 5.3 82 (▼2) 반도건설 권홍사 18 5.3 83 (▼4) 삼표그룹 정도원 33 5.2 84 신규 HYBE 방시혁 15 5.2 85 신규 대명소노그룹 박춘희 23 5.1 86 신규 원익 이용한 54 5.0 87 신규 파라다이스 그룹 전필립 14 5.0 ※ 2024년 기준 ※ 동일인이 법인인 기업: (주)포스코홀딩스 , 농업협동조합중앙회 , (주)케이티 , 에이치엠엠(주) , (주)케이티앤지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6개사 ※ 동일인이 외국인인 기업: 에쓰-오일(주) , 오씨아이(주) , 쿠팡(주) , 한국지엠(주) 4개사 ※ 다음 업종의 기업 중에서 중소기업법에서 정하는 중소기업의 규모보다 더 큰 기업(가. 금융업, 나. 보험 및 연금업, 다. 금융 및 보험 관련 서비스업) }}}}}}}}}
범삼성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주)BGF BGF그룹 BGF Co., Ltd. }}} <colbgcolor=#4eb856><colcolor=#ffffff>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본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405 (삼성동 ) 설립일 1994년 12월 ([age(1994-12-01)]주년 / (주)보광 훼미리마트) 창립일 2012년 6월 ([age(2012-06-01)]주년 / BGF그룹) 총 자산 1조 9,380억 원 임원진 홍석조 (BGF그룹 회장) 홍정국((주)BGF 대표이사 부회장) 총 자본 1조 7,365억 원 주요 사업 지주회사 / 투자사업 직원 수 48명(정규직 기준) 홈페이지 커뮤니케이션 채널 |
지주사 (주)BGF를 주축으로 유통 에 특화된 중앙일가 의 회사이다. 본 그룹의 뿌리는 1983년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주의 사돈인 홍진기 중앙일보 회장이 투자해 세운 (주)보광(現 휘닉스중앙) 이 모태다. 1990년에 일본 훼미리마트 와 제휴해 편의점 사업을 개시했으며 1994년에 CVS사업부를 보광훼미리마트 로 분사했다. 모기업인 (주)보광은 1995년에 강원도 평창군에 리조트 휘닉스 파크 를 개장했으며 1996년에는 광고기획사 휘닉스커뮤니케이션즈(現YG PLUS) 도 세웠다. (주)보광은 한동안 언론에서 삼성 의 위장계열사 취급을 받았으나 1996년 들어 삼성 계열로 정식으로 편입됐다가, 1999년에 형제 기업인 중앙일보 와 같이 삼성에서 계열분리된 후 한동안 중앙일보라는 한 지붕 아래에 있었다. 2006년에 홍석조 회장의 주도로 공정거래법상 중앙일보에서도 분리하여 한동안 반도체 분야에도 사업을 확장했다. 그러나 레저 사업에서 적자가 지속돼 STS반도체 등 일부 계열사가 타 기업에 팔려나가는 등 수난을 겪었고, 2016년에 (주)보광 등 레저계열사 대다수를 중앙그룹 에 팔았으며 2020년에 또 다른 형제기업 휘닉스소재를 분가시켰다. 특히 BGF는 1994년 (주)보광훼미리마트로 분사 후 2011년에 일본 훼미리마트와 제휴를 종료하고 CU라는 신브랜드를 출범시키며 회사명을 (주)BGF리테일로 변경하였다. 2017년 11월에 기존 BGF리테일을 인적분할하여 지주회사 'BGF'로 개편했고, CU는 신생법인인 BGF리테일에서 운영하게 된다. 3. 지배 구조2023년 4월 기준 <rowcolor=#ffffff> 주주명 지분율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홍석조 32.40%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홍정국 20.77%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홍정혁 10.50%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홍라영 1.80%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홍석준 1.68%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홍석현 1.07%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홍정환 0.52%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홍승연 0.49%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자사주 0.01%
자세한 내용은 중앙일보/오너 일가 문서#!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앙일보/오너 일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앙일보/오너 일가#|]][[중앙일보/오너 일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계열사 목록 [유통 부문]BGF리테일 : 편의점 체인 'CU ' 운영사로, 2017년 동명의 기존 법인이 지주회사가 되면서 분할된 신설법인이다. BGF그룹의 주력기업이다.BGF로지스 : CVS 전문 물류 기업BGF푸드 : 편의점 신선식품 제조 기업 (舊훼미리F&B)BGF휴먼넷 : 편의점 운영·인력 양성, 운영 진단, 재고조사 사업 운영 기업BGF네트웍스 : 디지털마케팅, 광고사업 운영 기업 (舊훼미리뱅크-BGF캐시넷 + BGF디에스넷 + BGF포스트) [소재 부문]BGF에코머티리얼즈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제조사. 2021년에 새로 인수한 플라스틱 제품 생산업체 코프라와 BGF에코바이오를 합병한 후 2022년 12월 사명을 변경.BGF에코솔루션 : 친환경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조사. 구 케이비에프BGF에코사이클 : 리사이클링 플라스틱 제조사. 구 제이에코사이클KNW : 자동차 및 전자제품 소재 제조사플루오린코리아 : 불소 화학물 제조사. 구 솔베이코리아 온산공장 [기타]피와이언홀딩스 폴스타홀딩스 폴스타파트너스 보광인베스트먼트 에미커스파트너스 힐링어스농업회사법인 에이치아너스 휘닉스소재·한국문화진흥 ·인터웍스미디어·절강보광과기유한공사 : 홍석조 회장의 동생 홍석규 몫으로, 2020년 공정거래위원회 기업집단 신고 당시 독립경영을 인정받아 계열 제외됨.나오플러스 : 2015년 계열제외됨.덴츠이노벡 (현 덴츠크리에이티브코리아 ): 구 인터내셔날큐. 2009년 지분매각됨.동부로지스 : 2015년 삼진GS로 지분매각됨.디네트웍스 : 2009년 계열제외 뒤 2014년 폐업됨.래디언테크 (현 기가레인 ): 옛 유비프라시젼 계열사로, 2008년 (구)기가레인으로 매각됨.미래M&B : 2008년 청산됨.(주)보광 (현 휘닉스중앙 ): 2016년 중앙미디어네트워크로 매각됨.보광제주 (현 휘닉스중앙제주 ): 이하 동일함.보광이천 : 구 휘닉스스프링스. 2013년 딤플로 합병됨.봉황반도체통신소주유한공사 (현 성범반도체소주유한공사 ): STS반도체의 중국 쑤저우 현지법인으로, 2016년 SFA로 매각됨.블루콤 : 콜센터 업체로, 2009년경 계열제외 후 이듬해 폐업됨.사우스스프링스 : 구 딤플-보광이천. 2021년 센트로이드인베스트먼트로 매각됨.서학개발 : 2008년경 분리됨.소주유비정밀전자유한공사 : 유비프리시젼의 중국 쑤저우 현지법인으로, 2009년경 계열분리됨.솔펙스 : 2008년 청산종결됨.신텔정보통신 : 2010년 폐업됨.씨앤마케팅서비스 : 2014년 휘닉스커뮤니케이션즈에 합병됨.아미커스메탈 (현 세기메탈 ): 프랑스 페녹스와의 합작법인으로, 2014년 지분매각됨.아이비즈닷컴 : 2007년 청산됨.에이원테크 : 2007년 STS반도체통신으로 합병됨.에이치아이이티 : 영화필름 현상업체로, 2011년 청산됨.엔아이지 : 2008년 계열제외 후 2011년 폐업됨.엠큐브웍스 : 2015년 회생절차를 거쳐 이듬해 중국 리드드래곤유한공사로 매각됨.와이드칩스 (현 에스윈아이씨디자인코리아 ): 2016년 실리콘마이터스에 매각됨.윙글 : 구운치킨 프랜차이즈 업체로, 2009년 계열제외 후 2013년에 폐업됨.유라비젼 : 2009년 청산됨.유비와이브로 : 2009년 계열제외 후 2014년에 폐업됨.유비프리시젼 : 2007년에 전 사주 김정곤으로부터 사들인 회사로, 2009년경 계열분리 뒤 2014년 '케이엘티', 2015년 '아이팩토리'로 각각 바꿨다가 허대영 전 대표의 배임사건으로 상장폐지까지 몰렸고, 2017년에 폐업됨.이씨브이에스넷 : 2009년 계열제외 후 한동안 GS그룹이 소유하다 2020년 GS네트웍스로 합병됨.인터브로 : 2009년경 계열제외 후 2015년에 폐업됨.중국동관봉황전자유한공사 : 휘닉스PDE의 중국법인으로, 2008년 지분매각됨.코아로직 (현 시너지이노베이션 ): 2015년 회생절차를 거쳐 이듬해 중국 리드드래곤유한공사로 매각됨.클레어픽셀 : 2015년 계열분리됨.큐앤에이치 : 2008년경 계열제외됨.포스코ESM : 휘닉스소재와 포스코의 합작사로, 2017년 지분매각 후 이듬해 포스코캠텍으로 합병됨.피닉스자산운용 (현 파인아시아자산운용 ): 2010년 지분매각됨.피닉스홀딩스 : 호텔 운영사로, 2009년 유비프리시젼과 같이 분리된 후 2018년 폐업됨.피에스지엘 : 구 휘닉스레져개발. 2009년 휘닉스파크로 합병됨.픽스카우 (현 오송씨앤아이 ): 2008년 계열제외됨.하이로지스 : 2009년 지분매각됨.한국신문제작 (현 해든컴퍼니 ): 2007년 계열제외됨.한성프린텍 : 2009년 시노펙스로 매각된 후 '시노펙스프린텍'이 됐다가, 2011년 그 회사에 합병됨.헬로네이처 : 2012년 출범한 농산물 직거래 쇼핑몰. 2016년 SK플래닛에 매각됐다가 2018년 BGF에서 인수하였으나 2022년 사업종료 및 BGF네트웍스에 흡수.화인로지텍 : 2007년경 계열제외됨.후레쉬애비뉴 : 서울 신도림 디큐브시티 지하 슈퍼마켓 '후레쉬애비뉴마켓' 운영사로, 2013년 철수 후 2014년 해산됨.휘닉스개발투자 : 구 휘닉스인포비즈. 2016년 한국문화진흥에 합병됨.휘닉스골프앤스키 : 2009년경 휘닉스파크로 합병됨.휘닉스디지탈테크 (현 PDT ): 2009년 우리사모투자전문회사로 넘어간 뒤 워크아웃을 받다가, 2015년 사모펀드 AJ신기술사업투자조합1호로 넘어감.(구)휘닉스리조트 : 2005년 휘닉스개발투자로 합병됨.(신)휘닉스리조트 : 구 인터내셔날큐. 2013년 계열제외 후 2017년 폐업됨.휘닉스마케팅 : 2008년경 청산됨.휘닉스모비스 : 2009년경 휘닉스파크로 합병됨.휘닉스벤딩서비스 (현 이스턴웰스 ): 2015년 농심그룹으로 매각됨.휘닉스스포비즈 : 2009년경 휘닉스파크로 합병됨.휘닉스아일랜드 : 2009년 청산됨.휘닉스아프로 : 2008년 청산됨.휘닉스파크 : 2016년 청산됨.휘닉스홀딩스 (현 YG플러스 ): 구 휘닉스커뮤니케이션즈. 2014년 YG엔터테인먼트로 매각됨.휘닉스휴먼비즈 : 구 휘닉스디에스씨. 2016년 중앙미디어네트워크로 매각된 후 이듬해 청산됨.휘닉스ICP : 구 일창프리시젼. 2010년 휘닉스PDE로 합병됨.휘닉스M&M (현 토리컴 ): 구 태성M&M. 2008년 LS그룹으로 매각됨.BGF로지스강화 : 구 경인물류. 2016년 BGF로지스용인으로 합병됨.BGF로지스대구 : 구 대구물류. 이하 동일함.BGF로지스양주 : 구 보광로지스. 이하 동일함.BGF로지스팔탄 : 구 중부로지스. 이하 동일함.BGF로지스화성 : 구 중부물류. 이하 동일함.BGF보험서비스 : 2019년 BGF휴먼넷으로 합병됨.BGF에코바이오 : 2022년 BGF에코머티리얼즈로 합병됨.BGF포스트 : 2016년 CVSNet에서 분할된 신설법인으로, 2019년 BGF네트웍스로 합병됨.BGF푸드안성 : 구 안성F&B. 2014년 청산됨.BGF푸드제주 : 구 제주F&B. 2016년 BGF푸드로 합병됨.BKE&T : 구 위테크-BKLCD. 2015년 회생절차를 거쳐 청산에 돌입함.PDS미디아 : 2011년 청산됨.STS반도체통신 (현 SFA반도체 ): 2015년 SFA로 매각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