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3 11:20:33

주체포

M-1989에서 넘어옴
파일:북한 국기.svg 현대 조선인민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조선인민군 (1948~현재)
朝鮮人民軍
기타전차 <colbgcolor=#fefefe,#191919>T-34-76 개량형WPRG | OT-34 | T-34-85WPRG | OT-34-85
MBT 1세대 59식 전차 | T-54 | T-55
2세대 T-62 | 천마-(가/나/다/92/98/214) | T-72 우랄X
2.5세대 천마-(215/216) | 선군-915
3세대 M-2020추정
경전차 공신호L/R | PT-76 | 82식 신흥 | 62식 전차 | 63식 전차
장갑차 차륜장갑차 BTR-152 | BTR-60PB | BTR-80A/Y | BRDM-2 | M-1992 WAPC | M-2010 WAPC | M-2020 WAPC
궤도장갑차 BTR-50(P/PK) | 63식 | VTT-323 신흥 | 준마-ㄹ
차량 소형 GAZ 보드닉 | GAZ-69 | UAZ-469/승리-415 | BZ-2020SJ | 갱생-(68/85) | 신형 장갑 4륜구동차
트럭 ZiL-(130/131/135/151/157) | MAZ-7310 | 우랄-4320 | KrAZ-255 | 로만 | 승리-(58(가)/61(나))WPRG | HEMTT 유사 신형 중트럭 | 2022년 등장 ATGM 탑재차량 | 기타 잡다 차량
자주포 자주곡사포 곡산포 | 주체포 | 덕천포 | M-1977 | 주체107년식 155mm 자행형곡사포
자주박격포 M-1992 120mm
대전차 자주포 SU-76MWPRG | SU-85WPRG | SU-100WPRG | M-1974 | M-1972 | 신형 기동포(2020년형, 2024년형)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57-2 | ZSU-23-4 | M-1985 | 30mm 쌍신자행자동고사포
단거리
대공미사일
화승총 | 번개-3 | 신형 저고도 대공체계
다연장로켓 63식, 75식 여맹호, M1977, M-1977/1985/1993 | BM-11 | BMD-20 | BM-24 | M-1989/1991 | KN-09 | KN-16 | 신형 방사포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차량
※ 윗첨자L: 공여 차량
※ 윗첨자WPRG: 준군사조직인 로농적위군 (Worker-Peasant Red Guard)에서 사용하는 차량들
※ 윗첨자R: 퇴역 차량
}}}}}}}}} ||


파일:주체포_Thumbnail.image.jpg
M-1989 170mm 자주포 "주체"

1. 개요2. 제원3. 상세4. 실전5. 기타6. 둘러보기

1. 개요

주체포는 북대서양 조약기구 제식명으로 M-1989라고 불리는 기종으로 M-1978 170mm 자주포 "곡산"을 대체한 장사정포이며, VTT-323을 베이스로 자체 개량한 차체를 이용하였다. 오랜시간 이름이 알려지지 않아서 M-1989라고 불리었으나 열병식에서 포의 이름이 "주체"라는 것이 알려진 이후로 주체 자주포 혹은 주체포라고 불리고 있다.

2. 제원

<colbgcolor=#000066> M-1989 170mm 자주포 "주체"
제원
개발기관 인민무력부 산하 연구소 (추정)
운용 연도 1989년 ~ 현재
운용 국가 북한
전장 15m (포신 포함)
전폭 8.7m
전고 3.27m
전비 중량 35t (추정)
탑승 인원 8명 (포반장, 조종수, 포수, 탄약수 5명)
엔진 노린코 12150L V형 12기통 액냉식 디젤 엔진
최고 출력 520hp
출력비 14hp/t (추정)
현가 장치 토션 바 서스펜션
최고 속도 58km/h (추정)
항속 거리 385km (추정)
도섭 가능 심도 1m
주무장 170mm 곡사포 (13발)
발사 속도 분당 0.2~0.4발[1]
포각도 부양각 0°∼+70~75° (추정)
방위각 0°
사거리 30km (일반탄)
40km (ERFB-HB[2]탄)
43~54km (ERFB-BB[3]탄)
~60km (RAP탄)

3. 상세

조선인민군이 자국의 주력 대구경 자주포를 대체하기 위해서 개발한 자주포이다. 언론에서 흔히 말하는 장사정포라고 부르는 것이 바로 이것이며 서울 불바다 발언의 근거가 되는 무기체계이다.

북한군은 이것을 개발한 이후, 휴전선 인근 부대의 곡산포를 대체하여 이것을 배치하기 시작했으며, 현재 대한민국의 수도권을 위협하는 모든 장사정포는 이 기종으로 보인다. 초기형의 경우에는 차제의 문제로 포탄 휴대량이 적고 사격준비시간이 매우 길었으나, 후기형의 경우에는 포탄 휴대량과 사격준비시간을 다소 감소시켜 전투지속시간을 개량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북한의 기술력상 북한군 장사정포의 고질적인 문제인 정확도와 연사력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기에 위협정도는 곡산포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주체포의 설계의 모태는 소련제 2S7 Pion으로, 나토 분류법으로는 통칭 M-1975라고 부르는 물건의 하향 복제형일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주포는 S-18 해안포를 북한식으로 개량한 것을 올린 것으로 보이는데, S-18 해안포는 2차 세계대전에서 독일군이 쓰던 Kanone 18 중포#를 소련이 카피한 물건이다. 따라서 S-18 해안포와 다르게 2S7 Pion의 주퇴복좌기 등의 자주포적 요소가 들어 갔기는 하지만 자주포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술은 2차 대전 수준에서 크게 변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즉 이 주체포라는 물건은 서울을 위협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조잡하게 만들어졌을 뿐이지 적과의 정상적인 교전을 위하여 만들어졌다고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는 것이다.

참고로 원류인 소련제의 직계후예인 러시아제의 2S7은 구경이 203mm로 북한의 장사정포보다 구경이 더 크다. 그러나 사거리가 통산탄 사격시에는 37.5km, RAP탄 사격시 56km 밖에 되지 않아서 같은 기술의 북한제 주체포보다 사거리가 짧다.[4] 하지만 우월한 화기통제시스템 덕분에 분당 2.5발을 발사할 수 있어서 5분당 1~2발을 쏠 수 있는 주체포보다 월등한 성능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4. 실전

4.1.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파일:ukraine_M1989.jpg
크라스노야르스크에서 화차에 실린 채 전장으로 향하는 중인 주체포
2024년 11월 14일 러북동맹의 일환으로 최소 2대의 주체 자주포가 이동 중인 것이 러시아 크라스노야르스크 에서 확인되었다.# #

이후 쿠르스크 지역에서 주체포로 추정되는 자주포의 영상이 올라왔다. #

5. 기타

파일:external/blog.donga.com/200926814_700-650x432.jpg
청와대/서울 타격 훈련에 참가한 "주체포"

2016년 3월 25일, 김정은이 직접 참관한 소위 '청와대/서울 타격'을 위한 훈련에 대거 집합했다. 한미 연합훈련과 대북 '참수작전' 계획에 대한 불만을 반영한 것이라는 평가다.

6. 둘러보기

파일:러시아 국기.svg 현대 러시아 연방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ffffff,#191919> 러시아 연방군 (1992~현재)
Вооружённые Сил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기타전차 <colbgcolor=#ffffff,#191919> 경전차 PT-76(B)R, AMX-10RCC
중형전차 T-34-85MC
중전차 IS-2R, IS-2MR, IS-3MR, T-10MR
퍼레이드용 차량 T-2597 «신호토 치하»C/R, T-34 (1941)R, T-34 (1942)R, T-70 «세미데샤트카»R, T-34-85R, T-34-85MR, T-34-85CZR, MK-IIIR, SU-76MR, SU-85R, SU-85AR, SU-100R, ISU-152R, ISU-122R, 윌리스 MBR, BA-64R, BA-6R, TIZ-AM-600R, T-20R, T-26RTR, KhT-26R, T-38R, T-60R, T-28R, T-35R, MS-1R, BM-13R
MBT
서방식 분류
1세대 T-54(AM/M)RC, T-55(AD · AM · AMV)RC
2세대 T-62(M · MV)RC, T-64(A/B · B1 · BV · BMC), T-72(우랄/ARC · M1C · B · BA), T-80(BRC · BV · BVM)
3세대 T-80(U · UDRC · UK · UM2D · BVM) , T-72(B3(M)), T-90(A · S), M1A1 SAC
3.5세대 T-90M, T-14, 레오파르트 2A6C
장갑차 차륜장갑차 BDRM-2/2RkhbRC, BTR-60RC, BTR-70RC, BTR-82AM/82A/82A1, BTR-90S,
BTR-4C, BPM-97, AMN-590951, {K-16 부메랑 BTR}, {K-17 부메랑 BMP}, Z-STS, 05식 장갑차, M2010 APC?
궤도장갑차 MT-LB, BMD-2, BMD-3, BMD-4, BMP-1S(M · AMㆍUC), BRM-1(K)/Obr. 2021, BMP-2(M), BMP-3, BMPT, BMO-T, {T-15},
{쿠르가네츠-25(BMP · BTR)}, {BMMP}, PTS-2, PTS-3, DT-30, BTR-50RC, YPR-765C, M113C, CV90C, M2A2 ODS-SAC, 마르더 1A3C
차량 소형 UAZ-469, GAZ-2975 티그르, GAZ-2330 티그르, 이베코 LMV, VBL, UAZ-3132, UAZ-3163, 타루스2x2, A-1, TTM-1901-40, K-4386 타이푼-VDV, M1224 MaxxProC, M-ATVC, HMV 하야테, 플라스툰-SN
트럭 GAZ-51, GAZ-63, GAZ-66, GAZ-33097, MAZ-7310, MAZ-6317C/R, 우랄-4320, 우랄-5323, ZiL-131, KamAZ-4326, KamAZ-4350/5350/6350, KamAZ-65225, KamAZ 타이푼, BAZ-6906
자주포 자주곡사포 2S1 그보즈디카, 2S3 아카치야, A-222 베레크, 2S19 무스타-S, 2S35 칼리챠-SV, 2S43 말바, M-1989 주체포?
자주평사포 2S5 기아친트-S, 2S7 피온
자주박격포 2S4 튤판, 2S9 노나-S, 2S23 노나-SVK, 2S31 베나, 2S34 호스타, 2S39 매그놀리아, 2S40 플록스, 2S41 드로크, 2S42 로토스
대전차 자주포 2S25(M)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23-4(M4 · M5) 쉴카, 2S6(M1) 퉁구스카, 판치르-S1, 소스나-R , 2S38 데리바치야-PVO
단거리 대공미사일 2K22(M1) 퉁구스카, 판치르-S1, 9K331 토르-M1, 9K33(M3 · AKM) 오사, 9K35(M3 · MN) 스트렐라-10
다연장로켓 BM-21 그라드, BM-27(M1) 우라간, BM-30 스메르치, 9A52-4 토네이도, TOS-1A 손체푝, TOS-2 토소치카, 체부라시카, M-1991 방사포?
※ 윗첨자R: 퇴역 및 의장용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RC: 재취역 차량
※ 윗첨자D: 전량 손실
취소선: 개발 및 도입 중 취소된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윗첨자?: 도입 의혹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기갑차량 둘러보기
대전기(1914~1945) 냉전기(1945~1991) 현대전(1991~)




[1] 5분 당 1~2발[2] Extended Range Full Bore-Hollow Base[3] Extended Range Full Bore-Base Bleed[4] 물론 정확도와 화력면에서 북한제와는 비교도 안되게 우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