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5 13:19:40

NETWORK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단어의 사전적 의미에 대한 내용은 네트워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단어의 사전적 의미:
네트워크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1. 개요
1.1. 구간

1. 개요

<rowcolor=#fff>
파일:ExtremeDemonFeaturedGMD.png
NETWORK
by Agat3 & more[1], verified by vulcanium4

캡션
'''"Black and white create a strange dreamscape that color never can." - Jack Antonoff Sequel to Framework Verified by vulcanium4.'''
{{{#!wiki style="margin: -16px -11px;"<colcolor=#fff><colbgcolor=#bdbdbd> 레벨 정보
레벨 ID 95176417
레벨 비밀번호 없음(복사 가능)
레벨 길이 2분 4초
오브젝트 수 172,124
업로드 버전 2.1
}}} ||<bgcolor=#f5f5f5,#191919>
||<-2><tablewidth=100%><tablebgcolor=#f5f5f5,#191919><color=#fff><bgcolor=#808080><width=50%> 보상 ||
10 파일:StarGMD.png
500 파일:OrbGMD.png
리스트 기록
<colcolor=#fff><colbgcolor=#bdbdbd> GDDLadder 티어 34티어
Pointercrate 최고 순위 #37
||
사용된 사운드트랙
milkypossum - "BUTT3RFLi3S"
FRAMEWORK의 후속작. 전작과 동일하게 흑백 테마이나, 전작보다 더욱 발전한 디자인과 그에 걸맞은 게임플레이, 그리고 76~80%에 등장하는 버그성 듀얼 모드[2]가 인상적이다.

vulcanium4가 91%, 36-100%를 달성했다.

2023년 10월 7일, 베리파이되었다.

10월 21일, 피쳐드로 레이팅되었다.

11월 17일, 37위에 랭크되었다.

1.1. 구간

0% ~ 17%
17% ~ 28%
28% ~ 37%
37% ~ 46%
46% ~ 55%
55% ~ 65%
65% ~ 69%
69% ~ 75%
75% ~ 76%
76% ~ 80%
80% ~ 85%
85% ~ 95%
95% ~ 100%
엔딩아트 펼치기/접기
파일:NetworkGMD.jpg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312
, 2.55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31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Agat3, Amza, theworldofme[2] 경사면 버그를 이용한 것으로, 이 버그를 사용한 대표적인 맵이 Neliswave이다. 따라해보고 싶다면 이 영상을 참고.[3] 쇼케이스 설명에선 특별한 루트를 사용하면 맵 제목 대신 Acheron이 나온다 적혀있다.[4] 이 맵이 만들어진건 2.2가 나오기 전이라 스윙콥터가 아닌 듀얼 볼 파트를 이용해 만들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