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3 16:21:20

The Yangire

1. 개요

1. 개요
1.1. 구간

[clearfix]
<rowcolor=#fff>
파일:ExtremeDemonEpicGMD.png
The Yangire
by Dorami & more[1]

캡션
"We have one last dance, TO THE DEATH."
{{{#!wiki style="margin: -16px -11px;"<colcolor=#fff><colbgcolor=#ff0000> 레벨 정보
레벨 ID 110500920
레벨 비밀번호 없음(복사 가능)
레벨 길이 2분 29초
오브젝트 수 348185
업로드 버전 2.2
}}} ||<bgcolor=#f5f5f5,#191919>
||<-2><tablewidth=100%><tablebgcolor=#f5f5f5,#191919><color=#fff><bgcolor=#ff0000><width=50%> 보상 ||
10 파일:StarGMD.png
500 파일:OrbGMD.png
리스트 기록
<colcolor=#fff><colbgcolor=#ff0000> GDDLadder 티어 34티어
Pointercrate 최고 순위 #32
||
사용된 사운드트랙
Acid - Notation - The Yandere's Puppet

Dorami의 유명 익스트림 데몬 The Yandere의 후속작.

The Yandere에 비해 더 개선된 게임플레이와 뛰어난 디자인으로 호평받고 있다. 난이도는 쇼케이스 당시 Zodiac급이라고 했으나 Dorami가 꽤 많이 버프한 후 여러 번의 난이도 조정을 거쳐 현재는 직접 Tartarus급이라고 못을 박았다.[2] 또한 Mayhem, Silent Clubstep, Trueffet과 비견될 정도로 극심한 초살맵이다.[3] Dorami는 현재 이 맵에 120000어템 이상을 사용하고 있으며 중간에 베리파이를 잠정 휴식한 기간까지 포함하면 베리파이 시작부터 2년이 넘어간다.

전작 The Yandere도 베리파이 도중 98%를 먹는 등 클리어 과정에서 불운으로 악명이 높았으나, 이 맵은 전작을 가뿐히 능가하는 극악한 불운이라고 봐도 될 정도로 후반부에서 많이 죽었다. 게다가 Dorami가 약 두세달동안 지메를 쉬기도 했고, 이 맵을 베리파이하는 도중에 다른 맵들을 베리파이하거나 리퀘스트를 받는 등 여러 컨텐츠들을 진행한 탓에 베리파이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있다. 심지어 2024년의 절반은 Dorami 개인의 건강과 멘탈관리에 힘쓰느라 아예 방송을 켜지도 못하였었다.[4] 사실 90%대 사망은 거의 없으나[5] Dorami가 19-100%를 6번이나 했으며 이 맵이 43% 이전까지에 난이도의 대부분이 집중되어있단 것을 감안하면 벌써 최악의 불운을 갱신하고도 남았다. 심지어 2024년 9월 23일 새벽 1시경에 The Yandere와 마찬가지로 98%[6]를 먹으며 최악의 fail을 갱신하게 되었다.

지난번에도 매우 어려웠던 JonathanGD의 파트가 The Yangire에서는 역대급으로 어렵게 뽑혔다. 너프 이전에는 arcturus급의 매우 좁은 웨이브를 통과해야 했었다. 때문에 너프가 진행되어 현재는 arcturus급으로 좁은 상태는 아니다.

현재 Dorami가 98%, 19-100%를 달성했다.

9월 25일 오전 1시 경, 132,620어템으로 베리파이 되었다. 난이도는 Tartarus보다 확실히 어려운 30위 이상으로 평가했다. Mayhem 위가 정배라고 평가받는다.

9월 28일, SuperJavicon이 The Yangire를 세계 최초로 클리어 하였다.[7]

참고로 CBF 사용을 감지하면 맵의 난이도가 버프되는 기믹이 있다.

2024년 9월 30일, 에픽으로 레이팅되었다.

같은 날, wPopoff가 최초로 클리어 하였다.[8]

2024년 10월 14일, Laniakea가 한국 최초로 클리어 하였다.

마지막 초록 공점에 죽을 때 뜨는 아트가 매우 참신한데, 펩시를 좋아하는 도라미답게 배경은 펩시 로고로 되어있고 침착함을 유지하고 펩시를 먹으라(Keep calm and drink a Pepsi)란 멘트와 가운데에는 48분짜리 레벨 True Values of Life 베리파이 영상 썸네일의 도라미 얼굴이 뜬다.

배경 아트로 등장하는 캐릭터는 순서대로 Alderite의 자작 캐릭터 > 가사이 유노(Partition) > Mulpan의 자작 캐릭터[9] > 다이호(Master X) > 가사이 유노(Yoonsr) > 마츠자카 사토(Zafkiel7) > 아야노 아이시(엔딩 크레딧) 순이다.

2024년 10월 31일, 32위에 등재되었다. 공교롭게도 윗 레벨이 PSYCHOPATH이다.

1.1. 구간

Alderite's Part
0~11%
The Yangire에서 가장 어려운 파트 1
시작부터 Firework를 연상케 하는 큐브파트로 시작한다. 난이도는 정신나간 난이도로 구성되어 있어 말그대로 정말 어렵다. 게다가 페이크 공점까지 더해 동선이 혼란을 준다. 6% 부터는 볼모드가 등장하는데 난이도는 큐브쪽과 별 다를바 없고 매우 어렵다. Top 100에 들어가는 유저들도 이 파트가 가장 지루함과 동시에 가장 어려운 파트라고 평가한다.
JenkinsGD & Partition & Matty2003's Part
11~21%
처음은 쉬운 큐브로 시작하고 그 후에는 조금 잘 안보이는 웨이브,큐브모드가 등장한다. 난이도는 The Yangire에서 가장 쉬운편.
DavJT & Yoonsr's Part
21~27%
처음은 홀드를 기반한 배모드가 나오고 그 후에는 큐브 공점 타이밍을 잘 맞춰야하는 파트가 등장한다. The Yangire에서는 그렇게 어렵지 않다.
JonathanGD's Part
27~32%
드롭 시작
드롭이 시작하자마자 정말 어렵다. 몇초마다 다양한 모드들이 등장하는데 말 할것도 없이 정말 어렵고 30%쪽은 자주 죽는 구간중 하나이고 나머지 클릭들도 매우 어렵고 중간에 암전까지........ 실력이 정말 뛰어나야 넘길수 있는 파트로 평가받는다.... 또 The Yangire에서 2번째로 어렵다고 평가받는다.
MaxyLAND & Yoonsr's Part
32~37%
매우 어려운 구간중 하나
이 파트는 여러가지 모드에 느려졌다 급발진하는걸 익히는게 포인트인데 말 그대로 매우 어렵고[10] 이 파트에서 나오는 클릭들도 JonathanGD, Alderite 파트급으로 어려운 편이다. 사실상 TY에서 3번째로 어려운 편. 그래도 JonathanGD, Alderite 파트보다는 쉬운편.
Spectex & Mulpan's Part
37~43%
JonathanGD 파트 쪽과 별 다를게 없는 파트이다. 그 이유는 암전, 여러가지 모드들이 빠르게 지나감등이 섞여있어 어려운 편. 또 게임플레이가 Spectex답게 무빙적이고 매우 어려운 편. 그리고 TY에서도 만만치 않은 파트라고 평가받는다.
Dorami & RoiMousti & BurritoGamerX & Yoonsr's Part
43~48%
이 구간은 소형듀얼 웨이브가 등장하는데 다른 모드 클릭들에 비해서 매우 어렵고 맵 내에서 실수하기 쉽다. 그래도 앞쪽보다는 쉽다.
DHaner & Yoonsr's Part
48~53%
TY에서 4번째로 어려운 파트라고 평가받는다. 그 이유는 앞에 있는 Dorami,Spectex보다 더욱더 좁은 간격에 장애물이 움직이기까지 하는데 간격은 매우 좁다. 그리고 속도 변화도 조금 있어 더욱더 난이도를 끌어올렸다.
ImMasterX & syndd & Yoonsr's Part
53~58%
이 구간은 앞에 쪽들과는 다르게 화살표 게임플레이를 사용했고 덕분에 앞쪽파트들 보다는 쉽다. 다만 완벽히 쉽다고 할수 없다.
Spectex (Again) & Yoonsr's Part
58~62%
이 구간은 어려워 보이지만 맵 내에서는 조금 쉽다.
Xaro & DeniPol's Part
62~68%
앞에 쪽과 별다를게 없는 파트다. 또 게임플레이가 Xaro답게 시야이동이 많은편.
TheElectroGD & Enzore's Part
68~73%
Astraa & Buragoz's Part
73~78%
Zafkiel7's Part
78~85%
잠시 쉬어가는 구간이 나온다. 다른 파트들에 비해 훨씬 쉽다.
Dorami (Again) & ilBonli's Part
85~98%
이 구간은 앞쪽 파트보다는 쉽지만 긴장감을 먹으면 죽기 쉽기 때문에 주의할점.
Yoonsr's Part
98~100%
엔딩아트가 나온다.
[1] Alderite, JenkinsGD, Partition, matty2003, DavJT, JonathanGD, MaxyLAND, Spectex, Mulpan, genoxide, DHaner, Master X, Synd, Xaro, DeniPol, TheElectro, EnZore, Astraa, Buragoz, Zafkiel7, iIBonIi, Mercury, Viwi[2] Dorami가 현재 깬 가장 어려운 맵은 Bloodlust이고 두 번째로 어려운 맵은 The Yandere이다. 실제로 Dorami가 Bloodlust를 깨는 데 23000어템밖에 쓰지 않았지만, 이 맵의 경우 4만 어템 이상 들였는데도 가장 어렵다고 여겨지는 43%까지도 제대로 돌파하지 못하는 것을 보면 일단 Bloodlust보다는 확실히 훨씬 어렵다는 것이 중론이다.[3] 맵 내에서 어려운 파트로 여겨지는 JonathanGD, Maxyland, Alderite가 전부 30% 앞에 있다. 원래부터 어려웠었는데 Dorami가 그 부분을 집중적으로 버프해버리며 현재는 30%를 가는 것조차 어지간한 익스트림 데몬을 씹어먹을 정도로 어려워졌다. 가장 어렵다고 평가받는 JonathanGD 파트를 제외하더라도 Maxyland-Mulpan-Dorami 파트 역시 매우 어려운 파트로 평가받고 있다. 유저들 사이에서는 굳이 따지자면 이들 중에서 Mayhem이나 Trueffet과 난이도가 비슷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4] 19-100%를 여섯 번이나 달성했으며 비교적 쉽다고 여겨지는 43% 이후에서도 굉장히 많이 죽었으며 19-100%를 여섯 번이나 달성하고도 비교적 쉽다고 여겨지는 60~70%대에서 여러 번 죽는 등 매우 불운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5] 그 적은 사망이 결국 빌드업이 되어 연습할때는 잘 죽지도 않던 91%, 92%, 98%라는 불운의 데스를 보여줬다.[6] 마지막 초록색 공점에서 죽었다...[7] 하지만 맵을 복사하고 CBF 감지기능을 지우고 CBF를 사용하여 클리어한 것이라 큰 비판을 받고있으며, 정식클리어로 인정되지 않았다. 큰 비판을 받고 있음에도 다시 깰 생각은 없다고 한다.[8] 이전 최초 클리어자가 CBF 감지기능을 지우고 깼기에 에디터로 안 건드린 순수 클리어자는 wPopoff가 최초이다.[9] 원래는 다른 아트를 사용하였으나, 해당 아트에 대한 저작권 문제로 인해 Mulpan이 직접 한국 유저인 Sonmok에게 요청해 새로 제작하였다. 해당 영상 참고[10] 익데를 많이 해본 사람이라면 얼마나 어려운지 알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