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3 05:28:52

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한글 자음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현대 가나 오십음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eee,#2d2f34>
기타 탁점 · 요음 · 촉음 · · ヶ, ヵ }}} * 음영 처리: 현대에 잘 쓰이지 않거나 쓰지 않는 가나
* 둘러보기: 틀:히라가나 · 틀:가타카나
}}}}}} ||

1. 개요2. さ행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3. う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4. 발음5. 모양6. 쓰임
6.1. 존경어의 종결 글자6.2. する의 어간/종지형(문어)6.3. 타동사의 종결형6.4. 부정(否定) 조동사 종지형 ず6.5. 기타
7. 한자
7.1. 훈독7.2. 음독
8. 한글 표기9. 다른 가나와의 조합

1. 개요

히라가나 가타카나
'''''' <colbgcolor=white,#1f2023> ''''''
국립국어원 표기법 스/즈[1][2]
라틴 문자 표기 su/zu
IPA \[sɨ̹\][3], \[zɨ̹\][4]
히라가나 자원 초서
가타카나 자원 약자
일본어 통화표 すずめのス(스즈메노 스)
유니코드 U+305(B)9
일본어 모스 부호 ---・-
さ행 う단 글자이다.

2. さ행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さ행의 탁음은 じ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성 치경 마찰음 /z/로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이지만 그나마 가까운 으로 표기한다. 경우에 따라서 유성 치경 파찰음 /d͡z/ 으로 읽기도 한다.[5] 일본 내에서도 이를 구분해서 들을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한다.

3. う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모음은 후설 평순 고모음(/ɯ/)으로 한국어의 ㅡ(ɯ)와 비슷하다. 가장 큰 차이점은 한국어의 'ㅡ'는 비원순 모음이지만 일본어 う단은 약하지만 원순성을 띈 모음이라는 것. 그러나 /u/처럼 입술이 앞으로 튀어나오는 (protruding) 원순모음이 아니라 입술이 제 자리에 그대로 있는 상태로 원순성을 띈다. つ, す의 경우 비격식적인 환경에서는 원순성이 매우 약해져서 모음 부분이 한국어의 'ㅡ'와 거의 동일하게 들리기도 한다.

4. 발음


무성 치경 마찰음 + 중설 평순 고모음으로, 다른 う단과 달리 모음부분이 중설모음이다. ス와 ツ는 조음 위치 상 중설음화가 이루어져 다른 ウ단과는 다르게 ɯ보다는 ɨ에 가까우며, 자음 앞에서는 아예 모음이 탈락하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好き 표준 발음은 \[sɨ̹ki\]이나 실제로는 \[ski\]로 발음 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무성화라고 하는데, 이에 관해서는 일본어/발음 참고.

5. 모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81%99-bw.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82%B9-bw.png

유래가 된 글자는 각각 다르다. 두 글자 다 음에서 따왔으며, 지금도 음에 す가 들어간다.

가타카나 ス는 須의 어디를 따왔는지 언뜻 보기엔 잘 짐작이 안 되지만 아래의 오른쪽 아래의 ハ 부분과 위의 一자에서 따왔다고 한다.

가타카나 ス는 한글 과 모양이 비슷하다. 가타카나를 배우다 보면 무의식적으로 '즈'로 읽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다(...)[6]. ㅈ은 원래는 좌우 획이 한 점에서 뻗어나가는 식이지만 현재에는 ㄱ자를 쓴 후 오른획을 쓰는 자형도 생겼는데, ス는 처음 생겼을 때부터 저 형태였다는 게 차이점. 그래서 마찬가지로 한글 자모를 닮은 ト(ㅏ), ヲ(ㅋ), レ(ㄴ) 등과 같이 쓰인 글자들은 순간 한글로 조합되어 보이기도 한다(..). 항목을 보면 ストレス가 '잕'으로 보인다는 이야기가 있다. 바리에이션으로 ユストフトレトコト[7]도 된다. 사실 별뜻없다. 그자가나다? フトスト 역시 이러한 장난의 예시.

히라가나 す는 손으로 쓸 때는 꼬리를 잘 내려서 쓰지 않으면 お하고 헷갈릴 수 있다. 차이점은 お는 옆에 점이 있지만 す는 아니라는 것.[8]

6. 쓰임

6.1. 존경어의 종결 글자

です, ます 등 존경어의 끝부분이 す로 끝나기 때문에 문장에서 꽤 자주 볼 수 있다.

6.2. する의 어간/종지형(문어)

'하다'를 뜻하는 する의 어간으로 한국어에도 많이 있는 한자 단어 + 하다 꼴에 する가 들어간다. 이 する는 -し / -せよ 등 어간이 さ행에서 왔다갔다 변화하기 때문에 '행 변격 동사(サ行変格動詞, サ変)'라고 부른다.[9] 문어에서의 변격 활용은 현대 구어와 거의 비슷한데, 미연형에서 し가 아닌 せ라는 것이 다르다(しない vs. せず). 참고로 -じる 꼴도 이 する와 관련이 깊다. 문서 참조.

문어에서는 종지형이 す였다. 그래서 특히나 한자를 많이 쓰던 태평양 전쟁 이전 문서에는 ス가 문장마다 거의 꼭 들어가있다. する는 연체형으로, 'OOする者' 식으로 뒤에 명사가 들어가야만 했다. 연체형 する가 종지형 す를 대체한 것인데, 이렇게 연체형이 종지형을 대체하는 현상은 일본어 전반에서 벌어졌다고 한다. 한국어로 치면 '~하...' 식의 수식형이 종결형이 된 건가

이처럼 오늘날 する로 끝나는 동사들은 문어에서 す로 끝났기에 5단 동사 중 す로 끝나는 것과 형식이 비슷하였다. 그러나 する 동사들은 サ변격 활용이었고 す로 끝나는 5단 동사들은 4단 동사였기 때문에 활용에서는 달라졌다.
미연형
(未然形)
연용형
(連用形)
종지형
(終止形)
연체형
(連体形)
이연형
(已然形)
명령형
(命令形)
サ変格
(する형 동사)
する すれ
4단 동사
(ex: 話す)

한국어 '하다'와 마찬가지로 한문으로는 爲라고 적는 일이 많았다. 한편 연용형 し를 표기할 때 仕의 음을 빌려서 표기하기도 한다.

6.3. 타동사의 종결형

일본어에서 많은 경우 -(れ)る/-す 꼴로 자/타동사가 짝을 짓는다.
타동사 자동사
落とす(떨어뜨리다) 落ちる(떨어지다)
直す(고치다) 直る(고쳐지다)
起こす(일으키다) 起きる(일어나다)
返す(돌려놓다) 返る(돌아오다)
流す(흘리다) 流れる(흘러가다)
渡す(건네다) 渡る(건너다)
潰す(부수다) 潰れる(부서지다)
外す(벗기다) 外れる(벗겨지다)
通す(뚫다) 通る(뚫리다)
한편 かける(걸다)/かかる(걸리다)처럼 둘 다 る로 끝나면서 어간만 え단/あ단으로 교체하는 경우도 있으며, 타동사만 있고 자동사는 수동형으로 쓰는 경우도 있다.

6.4. 부정(否定) 조동사 종지형 ず

탁음 ず는 '-하지 않고'라는 뜻이 있다. 변화형 동사에는 주로 あ단에 붙는 것이 -ない와 동일. 相変わらず(변함없이), 知らず(모르는), とりあえず(우선) 같은 단어는 아예 굳어져서 쓰이는 사례이다.

오늘날에는 뒤에 를 붙여 부사형으로 자주 쓴다.

일본어 고문에서는 부정 조동사의 종지형으로 본다. 부정 조동사의 활용형은 다음과 같다.
기본형 미연형 연용형 종지형 연체형 이연형 명령형
(ず)
ざら

ざり

ざる

ざれ
ざれ

즉, 수식형(연체형) ぬ/ざる이 문장 끝(종지형)에서는 ず가 되는 식이다. 이들 부정 조동사는 오늘날 부정형을 만드는 ない와 접속법이 같아서 미연형에 붙는다. 미연형은 주로 あ단이지만 앞서 말한 する는 문어 미연형이 せ이기 때문에 せず라는 데에 유의.

이 부정 조동사의 연체형 ざる는 원숭이 さる와 발음이 비슷해서 말장난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그것이 세 원숭이. 見ざる(보지 않는), 聞かざる(듣지 않는), 言わざる(말하지 않는)라고 하여 원숭이 석상을 만들었다.

ぬ 계열과 ず 계열이 하나의 조동사로 묶여있기는 하나 발음이 크게 다르고 이 둘을 이어주는 음운론적인 법칙이 없기 때문에 역할만 같은 별개의 조동사로 볼 여지도 있다.

6.5. 기타

과거에는 새를 뜻하는 단어이기도 했다. 그 흔적으로 새를 뜻하는 단어에 す가 들어가 있는 게 좀 있다. カラス(까마귀), ホトトギス(두견이), ウグイス(섬휘파람새) 등.

이로하 노래 순으로는 대망의 꼴찌다. 47번째. 버전에 따라서 ん이 뒤에 잇따르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해당 노래가 만들어졌을 헤이안 시대에는 ん이 쓰이지 않아서 보통은 す로 끝난다. 참고로 이 가사에서의 쓰임은 바로 윗줄에 쓰여진 '-하지 않고'라는 뜻의 ず이다. 당시에는 탁음점을 쓰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용도로서 쓰일 때 발음이 す였는지 ず였는지는 표기로는 구분할 수 없다.

일본 도도부현 지명에서는 시즈오카(静岡;しずおか) 현에만 들어간다. 해당 현의 다른 글자들 し, お, か는 다른 현 지명에도 꽤 자주 쓰인다.

7. 한자

7.1. 훈독

훈 읽기로 す는 酢, '식초'가 되기도 한다. 그래서 '요리의 사시스세소'의 す를 담당하기도 한다. 참고로 나머지는 とう(설탕), お(소금), ゆ(간장), み(된장)이다. 여기에서 '시다'라는 뜻의 형용사 酸っぱい(すっぱい)가 나왔다. 이 뜻의 す는 초밥을 뜻하는 すし(스시)의 어원이기도 하다. #

素 역시 す가 되는데 접사로도 쓰이고 형용사로도 여기저기 들어간다. 素敵だ, 素早い, 素直 등등.

巣(둥지) 역시 す로 읽는다.

7.2. 음독

훈으로 す라고 읽는 한자는 꽤 많지만 음이 す인 한자는 비교적 별로 없다. 상용한자 표내 한자 수는 21자이며 제일 한자가 많은 독음은 スイ로 13자.
한자 한자 특수 한자 한자 특수
スイ
(13)
水垂帥粋睡
推遂 출(出)[10] ズイ 随髄
吹炊酔
スウ 숭(崇)
スン [11]

표 외 한자 중 す 계열로 읽는 글자로는 다음이 있다.

8. 한글 표기

'스'. 다른 う행과 달리 와 함께 유이하게 ㅜ가 아닌 ㅡ로 적는다. 원순성에는 다른 う단과 그다지 차이가 없으나 중설화되었다는 점이 영향을 줬을 수도 있다.

이 때문에 특정 일본어 번역문이 영어 번역의 중역인지를 쉽게 판별 가능하게 해주는 요소 중 하나이기도 한데, 일본어 및 일본어의 한글 표기에 아예 무지한 영어 번역가의 경우 す/ず를 영어 표기인 su/zu를 그대로 따라서 수/주로 옮기는 경우가 심심찮다. 일례로 으랏차차 스모부, 쉘 위 댄스 등으로 유명한 영화감독 스오 마사유키는 영어 표기가 'Masayuki Suo'인 탓인지 현재까지도 국내에서 '수오 마사유키'라는 표기가 고착되어 었다. 다만 옛날이면 몰라도 지금은 업계에서 이걸 명백하게 오기로 취급하기 때문에 전문 번역은 물론이고 아마추어 번역에서도 볼 일이 없는 편이다.

ジ를 제외한 다른 さ행 탁음과 마찬가지로 ズ는 유성 치경 마찰음(/z/)으로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이다. 그나마 가까운 치경구개 파찰음 로 대신 적고 있다. 아예 다른 자음이다 보니 일본에서 정말 '즈'로 발음하면 ジュ로 알아들을 가능성이 더 높다. 그래서 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를 처음 배우는 사람들은 ごじゃいます라고 한다더라, 하는 이야기도 있고. 뭐, 그래도 한글에 없으니 한국어에서의 표기는 ㅈ 말고 달리 방법은 없다. 를 되살린다면 모를까.

9. 다른 가나와의 조합

シ의 초성이 치경구개 마찰음으로 구개음화되어있기 때문에, 무성 치경 마찰음 + /i/를 표현하기 위해 スィ(swi)라는 표기가 쓰이기도 한다. 문부성에서 '이런 표기도 자유롭게 쓸 수는 있다'고 언급하긴 했지만 표 외인 걸로 보아# 그렇게까지 자주 쓰이는 표기는 아닌 듯하다. 일본어 언중이 シ와 スィ를 어느 정도로 구분하는지에 대한 글이 올라오기도 하며, 이것은 한국어의 시랑 싀의 구분과 거의 비슷하다.[12]

구개음화되지 않은 발음을 위해 い행이 아닌 う행 + ィ로 표기하는 것은 ィ의 경우와 유사하다. 다만 ス의 경우 シ 외의 다른 さ행 글자들은 す와 발음이 같으니 スァ - スェ - スォ 같은 글자는 구태여 쓰지 않는다. 써봤자 サ - セ - ソ와 같은 발음일 테니까. [ɕ]/[ʑ]가 아닌 [s]/[z]에 [ja], [ju], [jo]가 결합한 것을 적기 위해 スャ, スョ, スュ를 상정할 수도 있다. 일례로 독일어로 '남쪽'을 나타내는 'Süd'를 가나로 ズュート라고 적기도 한다.#1 #2[13] 물론 일반적으로는 구개음화된 シ 결합형이 훨씬 더 자주 쓰인다.

혹은 スゥ처럼 조금 더 원순화를 가해서 한국어튀르키예어 등 [ɯ]를 사용하는 언어를 음차할 때 [sɯ]와 [su] 사이의 변별을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ウ단에 공통으로 적용 가능한 사항이지만 대부분의 ウ단 가나는 [ɯ]와 [u]를 변별하는 언어의 화자 입장에서 [u]에 가깝게 들리기 때문에 사실상 [ɯ]에 가깝게 들리는 ス, ズ, ツ 정도에만 이런 표기를 사용할 수 있겠다.


[1] 탁음 ず일 경우 즈로 표기한다.[2] ウ단에 위치해있지만 수라고 읽는 경우는 거의 없다.[3] 무성 치경 마찰음 + 중설 평순 고모음 +원순[4] 탁음의 경우. 유성 치경 마찰음 + 중설 평순 고모음 + 원순[5] 재미있는 것은 중세 한국어의 ㅈ이 치경 파찰음이었다. 발음이 변하지 않았으면 그나마 어중한정 ㅈ표기도 그나마 표기할 수 있는 발음이 된다.[6] 실제 '즈'로 읽으려면 탁점을 추가헤 ズ로 써야 한다.[7] 발음을 한글로 옮기면 "유스토후토레토코토".[8] 사실 우리가 ㅇ, ㅁ을 구분하듯 일본인들은 노하우가 있어서 쉽게 구분하지만 외국인들은 아니다.[9] 또 하나의 유명한 불규칙 동사 くる는 か행에서 어간이 변하므로 カ행 변격 동사라고 부른다.[10] 出納(すいとう, 출납)에서만[11] 이나 은 ソン이다.[12] # 여담으로 한국어에서도 이 파괴적인 /i/ 발음으로 인한 변형을 막기 위해 ㅣ앞에 ㅡ을 첨가하기도 했었다. '빌딍'과, '늬우스'라는 표기를 한 적이 있었으나 현재는 그냥 ㅣ를 사용한다.[13] [y\]를 일본에서는 [ju\]로 적는 관습이 있다. 이 경우에는 [y\]에 비해 [ju\]가 구개음화가 더 잘 일어나는 음이기 때문에 도리어 일본에서 더 발음하기가 어렵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