煎 달일 전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火, 9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3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セン | ||||||
일본어 훈독 | い-る | ||||||
- | |||||||
표준 중국어 | jiā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煎은 '달일 전'이라는 한자로, '달이다', '부치다'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달이다 |
음 | 전 | |
중국어 | 표준어 | jiān |
광동어 | zin1 | |
객가어 | chiên | |
민북어 | cíng | |
민동어 | ciĕng | |
민남어 | chian[文] / choaⁿ[白] | |
오어 | ji (T1) | |
일본어 | 음독 | セン |
훈독 | い-る | |
베트남어 | tiên |
뜻을 나타내는 火(불 화)와 소리를 나타내는 前(앞 전)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부치는 전 할 때 전이다.
3. 용례
3.1. 단어
- 금수육군전(金水六君煎)
- 난자완스(← 南煎丸子)
- 대보원전(大補元煎)
- 대영전(大營煎)
- 두부전골(豆腐煎骨)
- 백약전(百藥煎)
- 법전(法煎)
- 보음익기전(補陰益氣煎)
- 유전물(油煎物)
- 자전(煮煎)
- 장상전장(掌上煎醬)
- 전(煎): 부침개(지짐이)
- 간전(肝煎)
- 감국전(甘菊煎)
- 국엽전(菊葉煎)
- 녹두전(綠豆煎)
- 밀전강(蜜煎薑)
- 밀전과(蜜煎菓)
- 배전(焙煎)[3]
- 생선전(生鮮煎)
- 양의전(兩儀煎)
- 어전(魚煎)
- 육전(肉煎)
- 이음전(理陰煎)
- 재전(再煎)
- 전병/센베이(煎餠)
- 전유(煎油)
- 제천전(濟川煎)
- 청전(菁煎)
- 해삼전(海蔘煎)
- 화전(花煎)
- 전과(煎果)
- 전궐증(煎厥症)
- 전다(煎茶)
- 전려(煎慮)
- 전민(煎悶)
- 전반(煎盤)
- 전약(煎藥)
- 전이(煎餌)
- 전제(煎劑)
- 전증(煎蒸)
- 전철(煎鐵)
- 전화음(煎花飮)
- 주전자(酒煎子)
- 제전(劑煎)
- 진전죽 비사추(盡煎粥 鼻泗墜)
- 초전(焦煎)
- 평위전(平胃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