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6 16:09:50

𤴐에서 넘어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우레 뢰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5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3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ライ
일본어 훈독
かみなり, いかずち
-
표준 중국어
léi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
2.1. 자원·자형2.2. 이체자
3. 용례4. 모양이 비슷한 한자5.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6. 여담

[clearfix]

1. 개요

雷는 '우레 뢰'라는 한자로, '우레', '천둥', '사납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서는 U+8CF4로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BW(一月田)로 입력한다.

2.1. 자원·자형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천둥 소리를 묘사한 (밭 전)에 (비 우)를 더해서 뜻을 보충한 회의자이지만, 이는 세월이 지나면서 자형이 간략해진 결과다. 자세한 내력은 다음과 같다.

갑골문에서는 여러 개의 田(밭 전)이나 口(입 구)자가 있고 그 사이에 갈라져 뻗어나가는 선이 있는 형태로 나타난다. 이는 번개를 선으로, 천둥 소리를 田이나 口로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금문에서는 田이 네 개로 정리되고 선은 이를 이어주는 형태로 변한다. 그리고 금문에서부터 글자에 雨(비 우)를 위에 더해주기도 한다.

설문해자에서 제시하는 소전에서는 더 간략해져서 雨를 더한 형태에서 田이 3개로 줄고 선이 없어진다. 또 고문(古文)으로 𩂩가 있는데 이는 더 간략해져서 口 2개로 대신한 꼴이고, 𤴐라는 아주 복잡한 고문도 있는데 금문의 선이 두 개의 回(돌 회)로 바뀐 듯한 모습이다. 가장 복잡한 이체자는 주문(대전)인 𩇓로 𤴐 위에 雨가 있는 모습이다.

이게 나중에 예서에서 田이 하나로 준 게 현재의 표준 자형이다. #1 #2

자형 변화를 따라가다 보면 田이 반복되어 있는 형태가 우레와 관련이 되는 것으로 추측할 수가 있다. 실제로 畾는 '밭 사이'를 뜻하기도 하지만, 이 雷의 동자이기도 하다.

중국 각지의 방언들[1]과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한 여러 언어들[2]을 통해 추측했을 때, 상고한어에서는 앞에 연구개음 계열의 자음이 붙어있었으나, 음운변화를 거치며 사라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사실이라면 소리에 관한 어휘가 대개 그러하듯, 이 글자 역시 의성어쿠르릉에서 비롯된 표현일 가능성도 있다.

2.2. 이체자

자형 𤴐 𩂩 𩇓
부수/나머지 획수 田부 27획 雨부 6획 雨부 15획 雨부 32획
유니코드 24D10 290A9 9741 29D13
창힐수입법 WWWWW(田田田田田)
비고 고문 고문 설문해자 표제 주문

畾(밭 사이 뢰, 또는 雷의 동자)를 성부로 가지는 한자들의 주문(대전)은 𤴐에서 回 하나만을 의부로 치환한 형태다. 罍(술병 뢰)→𦉩, 鸓(날다람쥐 류)→𪉀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5.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6. 여담

雷가 3개 모이면 (우렛소리 빙), 4개 모이면 (우렛소리 병)이 된다.


[1] 예: 산시성(산서성) 방언 忽雷.[2] 예: 티베트어 khrol(음악소리, 우르르 울리는 소리).[3] (실과 과)의 동자[4] (낙숫물 류)의 동자[5] (이랑 무/묘)의 간체자[6] (떨칠 분)의 간체자[7] (갖출 비)의 간체자[8] (우레 뢰)의 동자[9] (잇닿을 뢰)의 동자[10] (날다람쥐 류/루)의 속자[11] (번개 전)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