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하류(서해)▲ | ||||
일산대교 | 김포대교 | [[교량#s-3.7.1| 사장교 ]]행주대교 | [[교량#s-3.4| 아치트러스교 ]]방화대교 | [[교량#s-3.4| 트러스교 ]]마곡대교 | |
가양대교 | [[교량#s-3.7.1| 사장교 ]]월드컵대교 | [[교량#s-3.4| 트러스교 ]]성산대교 | [[교량#s-3.5| 아치교 ]]양화대교 | 당산철교 | |
[[교량#s-3.5| 아치교 ]]서강대교 | 마포대교 | 원효대교 | [[교량#s-3.4| 트러스교 ]]한강철교 | [[교량#s-3.5| 아치교 ]]한강대교 | |
[[교량#s-3.5| 아치교 ]]동작대교 | [[반포대교|{{{#000,#FFF 반포대교 · 잠수교}}}]] | 한남대교 | [[교량#s-3.4| 트러스교 ]]동호대교 | [[교량#s-3.4| 트러스교 ]]성수대교 | |
영동대교 | [[교량| 복층교 ]]청담대교 | 잠실대교 | 잠실철교 | [[교량#s-3.7.1| 사장교 ]]올림픽대교 | |
천호대교 | 광진교 | [[교량#s-3.5| 아치교 ]]구리암사대교 | [[교량#s-3.7.1| 사장교 ]]고덕토평대교 | 강동대교 | |
착공 예정 | 미사대교 | 팔당대교 | 건설 중 | ||
▲상류(북한강,남한강)▲ | |||||
팔당댐관리교와 강변도로의 교량은 제외 | }}}}}}}}} |
가양대교 加陽大橋 | Gayangdaegyo (Bridge) | |||
하류 방면 ← 마곡대교 | 한강의 교량 | 상류 방면 월드컵대교 → | |
가양대교 북단 | |||
문산 방면 남고양IC ← 1.4 ㎞ | [[77번 국도| 77 ]]자유로 | 강변북로 6 | 남양주 방면 월드컵대교 북단 3.3 ㎞ → |
가양대교 남단 | |||
개화 방면 가양IC ← -.- ㎞ | 올림픽대로 5 | 강일 방면 염창JC -.- ㎞ → | |
위치 |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북단) |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가양동 (남단) | |||
총연장 | 폭 | 차로 | |
1,700m | 26.5m | 왕복6차로 | |
구조형식 | |||
강상판 상자형교 (Steel Box Girder Bridge) | |||
개통 | |||
2002. 5. 31. | |||
시공 | |||
현대건설 | |||
관리 | |||
서울특별시 |
[clearfix]
1. 개요
|
가양대교의 모습 |
2. 특징
교각과 교각 사이의 거리가 최소 100m, 최대 180m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길다. 교량의 길이는 약 2.5㎞로 대교이다. 구조형식은 강상판 상자형교(Steel Box Girder Bridge)이다.북쪽으로는 가양대로가 짧게 이어지지만, 남쪽으로는 화곡로가 강서구청-화곡역을 거쳐 봉오대로와 연결된다. 북단 사거리에서 좌회전하여 제2자유로로 진입할 수 있다.
자유로를 타고 서울로 갈 때, 이 다리 옆부분에 'Seoul Welcomes You'[1]라는 문구가 써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올림픽대로 쪽에는 마곡대교에 붙어 있다.
이 다리는 상습정체 구간으로 악명이 높다. 남측에 서울 지하철 9호선에서 혼잡도가 가장 높은 역 중 하나인 가양역이 있는 사거리와 강서구청사거리가 존재하기 때문에 강서구청 방향은 정체가 발생한다. 특히, 퇴근길에는 정체가 심해서 40분에 걸쳐 다리를 건너고 나면 신호가 초록불인데도 멈춰있는 광경을 목격하게 된다. 심지어는 신호등 없는 구간에서 보이지 않다가 방화동부터 막히기도 한다.
반대편 방향은 제2자유로를 타려는 수많은 차량들이 신호대기를 받기 위해 줄을 서는데 이것이 교통 흐름에 악영향을 끼친다. 게다가 가양대교의 진출입 차로는 양방향 모두 상습 정체인 경우가 많다. 자유로IC에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이용하거나 빠져나온 차량들이 양방향의 진출입 차로를 다 차지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평택파주고속도로(서울-문산)가 개통함에 따라서 남고양IC에서 진출입하려는 차량들까지 가세한다. 그래서 가양대교로 진출하려는 차량들이 올림픽대로와 강변북로 및 자유로의 본선까지 모두 막게 되고, 올림픽대로는 염창IC 부근도 상습 정체 구간인지라 출퇴근시간 모두 방화대교부터 성산대교 구간 양방향이 자주 밀린다.
출근길도 문제이다. 이 다리를 지나 상암쪽으로 출퇴근하는 유동인구는 매우 많은데 버스노선이 두 노선밖에 없다. 평소에는 빈 6715번이 출근시간에는 9호선 출근길과 비견되는 지옥이다. 당산, 강서, 목동 등지의 모든 상암동행 인구를 쓸어모아 싣고 간다.[2] 이로 인해 부천, 화곡동에서 오는 673번의 노선이 변경되었는데 이것도 배차 간격이 길고 혼잡도가 매우 높으므로, 돌아가지만 막히지 않는 인천국제공항철도를 타는 것이 최선책이다.
남단과 북단이 서울특별시인 한강의 다리 중 최서단에 위치해 있다. 정확히는 북단의 절반은 고양시, 절반은 마포구다. 완전히 서울인 다리중 최서단은 월드컵대교이다. 다음 다리인 방화대교의 남단은 서울이지만 북단은 고양시에 위치한다.
위와 같은 이유로 전면 백지화되었던 강서대교 건설 계획이 재추진될 가능성이 있다.
여름만 되면 북단의 엘리베이터 1층과 자전거 도로쪽에 꽃매미가 득실거린다.
건설 당시 명칭 분쟁이 있었다. 당시 주로 쓰이던 가칭은 '가양대교'였지만 지역 주민으로부터 공식적으로 제안된 이름만 해도 '가양대교' 외에 강서구에서 따온 '강서대교', 허준에서 따온 '허준대교', 허준의 호 '구암'에서 따온 '구암대교', 가양동 일대의 옛 지명 '공암'에서 따온 '공암대교'가 있었다. 1995년에 서울시는 이 다리 이름을 '공암대교'로 확정지었지만[3] 가양동 주민들이 강력히 반발한 끝에 '가양대교'로 개정되었다.[4]
3. 이 다리를 지나는 버스 노선
- 서울 버스 673
- 서울 버스 6715
- 서울 버스 8762
- 서울 버스 서울04
- 경기광주, 고양 버스 9700 (일산행 한정)
- 파주 버스 G7426 (파주행 한정)
- 고양 버스 고양똑버스03
- 고양 버스 고양똑버스04
과거에는 670번이 이 다리를 건너서 디지털미디어시티역까지 갔었으나, 2020년 2월 1일부로 노선이 단축되면서 더 이상 지나지 않게 되었다.
4. 사건 사고
- 가양역 실종사건: 2022년 일어난 세 건의 성인남녀 실종사건이다. 각각 다른 날짜에 실종되었고 세 사건간의 연관성은 밝혀진 바 없으나 실종자들 모두 가양대교 방면으로 가는 것이 마지막 목격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이 중 한 사건의 실종자는 인천 강화도에서 하반신만 겨우 발견되면서 사망사건으로 전환되었다.
- 2024년 6월 15일 오후 1시경 대교의 북단 부근에서 길이 1미터가량의 무선 조종 비행기가 떨어졌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경찰 조사 결과, 추락 지점과 약 1km 떨어진 한강변의 한 드론 비행장에서 한 시민이 조종을 하던 무선 비행기였던 것으로 확인됐다.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오후 한때 교통체증이 빚어졌다. #
- 오요안나 사망 사건: 기상캐스터 오요안나가 직장내 괴롭힘을 견디지 못하고 가양대교에서 투신자살한 사건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734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7348> | }}} |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양대교 북단 - 노을대교 교차로 - 월드컵대교 북단( | ||
1: 동부간선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734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7348> | }}} |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개화IC - 정곡IC - 88JC( | }}}}}}}}} |
[1] 이전에는 'Welcome to Seoul'이었다.[2] 2022년 7월 이후 당산 일대 한정으로는 760번을 타고 간다.[3] "99년개통 가양~상암동 다리 「공암대교」로 최종확정", 1995.01.28., 경향신문[4] "서울 38개시설 명칭확정 공암대교→가양대교로", 1995.12.21, 한겨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