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6 19:46:25
}}}}}}}}} ||}}}}}}}}} ||
개그콘서트 시즌2의 2024년 역사를 정리한 문서.
- 1058회에는 미운 우리 아빠, 뼈GYM이 첫 방영되었다.
- 1059회에는 심곡 파출소가 첫 방영되었다.
- 1060회에는 2024 봉숭아 학당에 새 캐릭터 3명이 등장했으며 호위무사가 첫 방영되었다. 또한 이날 코너가 5개 이상 편집되었다.
- 1063회에는 바디언즈, 레이디액션이 첫 방영되었고, 이날부터 시간대가 10분 일찍 편성된 밤 10시 15분에 방송되었다.
- 1064회에는 킹받쥬가 종영되었으며, 챗플릭스가 첫 방영되었다.
- 1066회에는 지구 종말 1분 전이 첫 방영되었다.
- 1068회에는 그들이 사는 세상이 첫 방영되었다.
- 1070회에는 지구 종말 1분 전이 종영되었다.
- 1071회에는 2024 봉숭아 학당, 호위무사가 종영되었으며, 1072회에는 바디언즈가 종영되었고, 마지막 출근이 첫 방영되었다.
- 1074회에는 이 회차 한정으로 전체 관람가로 방영되며, 어린이 500명이 방청객으로 출연했다. 이는 공개 코미디 사상 최초로 시도되는 것이며, 이 회차에서는 2011~2012년에 방영된 감사합니다와 시즌 2 전 코너인 바디언즈와 킹받쥬, 바니바니도 다시 선보였다. # #
- 1075회에는 알지맞지가 첫 방영되었다.
- 1077회에는 미스 캐스팅이 첫 방영되었다.
- 1079회에는 니퉁의 인간극장, 그들이 사는 세상이 종영되었다.
- 1080회에는 만담듀오 희극인즈가 첫 방영되었고, 미운 우리 아빠, 미스 캐스팅이 종영되었다.
- 1081회에는 심의위원회 피해자들이 첫 방영되었고, 레이디액션, 마지막 출근이 종영되었다.
- 1082회에는 습관적 부부가 첫 방영되었다.
- 1083회에는 김진곤 씨!, 어쩔꼰대가 첫 방영되었다.
- 2024년 9월 5일 일본 도쿄에 있는 공연장 제프 하네다에서 '개그콘서트 in JAPAN' 녹화를 했다. #
- 개그콘서트 채널 50만 구독자 기념 영상을 올렸다. Ep.1(7월 13일)
- 7월 28일부터 3주간 프로그램의 재정비를 위한 대규모 개편 및 2024 파리 올림픽 중계 방송 편성으로 결방한 뒤 8월 18일부터 정상적으로 다시 방영이 재개되었다. 이로 인해 8월 18일 방영분부터 9월 22일까지 기존 수요일 녹화-일요일 방송에서 수요일 녹화-다음 주 일요일 방송으로 진행되었다가, 9월 15일 결방으로 9월 29일 방영분 부터 다시 수요일 녹화-일요일 방송으로 변경되었다. 일본 특집 2부작 방영으로 10월 16일은 녹화를 진행하지 않았으며, 10월 9일 녹화분은 10월 27일에 방영하며 11월 3일 방영분부터 12월 1일 방영분까지 다시 수요일 녹화-다음 주 일요일 방송으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11월 27일에도 녹화를 진행하지 않았으며, 12월 8일 방영분부터 다시 수요일 녹화-일요일 방송으로 변경되었다.
- 9월 1일부터 풀버전 코너는 방송 후 바로 업로드를 하는 방식으로 바뀌었으며, 무삭제판 코너들은 기존과 동일하게 오후 6시에 업로드된다.
- 1086회에는 히어로입니다만이 첫 방영되었다.
- 1087회에는 어쩔꼰대가 종영되었다.
- 1088회에는 오스트랄로삐꾸스가 첫 방영되었다.
- 1091회에는 금쪽 유치원이 종영되었다.
- 1092회에는 뽕짝소년단과 이정수C 정세협C가 첫 방영되었으며 처음으로 시청률 2% 선이 붕괴되었다.
- 1093회에는 뽕짝소년단이 종영되었다.
- 1096회에는 챗플릭스가 종영되었다.
- 1097회에는 참... 선배가 첫 방영되었고, 만담듀오 희극인즈, 김진곤 씨!가 종영되었으며 시청률이 1.7%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 1098회에는 혹시 몰라서, 이토록 친절한 연애가 첫 방영되었고 심의위원회 피해자들, 히어로입니다만, 참... 선배가 종영되었다.
- 1099회에는 아는 노래가 첫 방영되었다.
- 1100회에는 구지구지가 첫 방영되었으며 편집된 코너는 없었고 혹시 몰라서가 종영되었다.
- 1101회에는 스튜디오 도롱뇽이 첫 방영되었다.
- 1102회에는 참관수업이 첫 방영되었고 이정수C 정세협C, 구지구지가 종영되었다.
- 1103회에는 데프콘 어때요가 종영되었다.
- 최저 시청률은 파란색, 최고 시청률은 빨간색.
- 시청률의 경우 상반기까지는 대체적으로 2~4% 사이를 오가고 있었다. 1061회에서 첫회 이후 10주만에 시청률 4.1%를 기록했지만, 1062회에 3.2%, 1064화에서 2.9%를 기록하면서 2024년 최저 시청률을 연달아 깨고 개콘 시즌 1 이후로 4년만에 처음으로 2%대로 진입했다. 이후로도 시청률이 오르기가 무섭게 도로 떨어지는 식으로 되풀이되고 있다. 게다가 하반기 시작인 1083회에서 2.3%로 저점을 다시 깬 뒤 1089회에서는 2%까지 내려가고 잠시 반등했지만 1092회에서는 1.8%까지 추락해 시즌 2가 방영한지 1년도 안돼 2%의 벽까지도 무너지고 말았다. 일본 특집 이후에는 2%를 회복했으나 부활 1주년에 이틀을 앞둔 1097회에서 1.7%로 하락했다. 이후 2% 초반 시청률을 유지하다가 외부의 여파로 인해 1101회에 3번째 1%대 시청률을 기록하였다. 1104회 방영분은 12월 29일에 발생한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 애도로 인해 2025년 1월 5일로 연기되면서 1103회의 1.9% 시청률로 2024년을 마무리하였다.
- 유튜브에서는 초반에 평균 조회수가 올라 코너 대부분이 10만회에 가까워지며 화제성을 어느 정도 확보했으며, 8개월만에 공식 유튜브에서 구독자 50만을 돌파했으나 구독자 50만 돌파 이후로 화제성이 식어들기 시작하면서 구독자 증가 추세가 정체되었으며, 코너별 조회 수 역시 특정 코너를 제외하면 업로드 후 10만 조회 수를 달성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증가하고 있다.
- 종합적으로 보면, 유튜브 조회수나 화제성, 평가 등은 갈수록 좋아지고 있지만, 정작 잦은 편성 시간 변경, 너무 늦은 시간대 등으로 인해 시청률은 2~3% 대에 머무르면서 별다른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유튜브 조회수 역시 나날이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4년 12월 기준으로는 대부분의 영상들이 10만회의 조회수조차도 얻지 못하는 중.
- 사실 시청률이 낮을 수밖에 없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TV로는 정해진 시청 시간대가 아니라면 제대로 볼 수 없다는 점이 가장 크고 다른 이유로는 유튜브에 올라오는 영상에는 각 코너마다 따로 나오고 일부 코너는 무삭제 풀버전도 올라오기에 본인이 좋아하거나 선호하는 영상만 무삭제 풀버전으로 즐길 수 있다는 점도 한몫 한다. 비록 시청률이 예전과 같은 주요 지표는 아니긴 해도 온라인 화제성과 달리 시청률 면에선 힘을 쓰지 못하고 있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긴 하다.
- 2024년 들어 공개 코미디는 이 개그콘서트 밖에 없다 보니 코미디빅리그처럼 타 방송사 출신 공채 개그맨들을 대거 영입해 출연하고 있어 타 방송사 출신(MBC, SBS, tvN)들이 각각 개콘에 한데 모이는 진풍경이 펼쳐졌다. 마치 개콘 안에서 웃음을 찾는 사람들, 코미디빅리그 등을 함께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또한 개콘으로 이적해 온 타 방송국 출신 개그맨들이 이전 방송사의 동기, 후배, 선배들과 개콘에서 재회하는 진풍경도 펼쳐지고 있다. 이 때문에 졸지에 족보 브레이커가 되어버렸다.
- 대한민국 공개 코미디 최초로 해외에서 공연했으며, 부제는 개그콘서트 in Japan으로 2024년 10월 13일(1093회), 2024년 10월 20일(1094회) 총 2부작으로 방영되었다. 이는 사실상 개그콘서트의 25주년 특집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 개그콘서트 제작진에 따르면 일본 특집에 이어 기회가 되면 LA 특집도 할 수 있다고 한다.
- 2024년 11월 3일 한정으로 더 딴따라의 편성으로 인해 밤 11시로 시간대가 조금 늦춰졌으며, 2024년 11월 10일부터 밤 10시 50분으로 10분 앞당겨졌다. #
- 2024년 12월 1일에 1100회를 맞았으며 방송에서의 별다른 사항은 없었지만, 당일 유튜브 채널에서 1100회 기념 콘텐츠로 시청자의 질문에 응답하는 영상을 올렸다.
- 2024년 12월 18일에 울산 KBS홀에서 울산 투어를 녹화해서 12월 22일(1103회)에 방영했으며, 방영일이 크리스마스가 3일 전이라 크리스마스 특집도 겸했다. 시즌2 첫 번째 지방 공연이자 시즌1 포함 다섯 번째 지방 공연으로 2010년 12월 광주광역시 조선대학교 특집 이후 14년 만의 지방 공연이다. 차후 다른 지방 지역에서도 지방투어 특집을 더 개최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녹화장도 새단장을 했다.
- 여기에는 특집 방송분에서 오랜만에 선보인 코너를 작성한다.
3.4. 결방 및 편성 변경
3.5. 회차별 게스트 및 단역
- 개그콘서트 시즌1에서 고정 출연했거나 시즌2에서 고정 출연 중인 출연진은 볼드체 표시.
회차 | 게스트 |
1058회 | 노시환, 최준용 |
1059회 | 서동주, 윤승열 |
1060회 | 박명수, 김호영 |
1061회 | 설아, 여름, 주영훈 |
1062회 | 알리 |
1063회 | 이수지, 유희관, 엔싸인 |
1064회 | 이윤석, CRAVITY |
1065회 | 비오 |
1066회 | 유아, 김성은 |
1067회 | 지승현, TEMPEST |
1068회 | 박초롱, 김남주, 김하영 |
1069회 | 이상준, UNIS, 앰퍼샌드원, 노지훈 |
1070회 | 안소미, KISS OF LIFE, 이지훈 |
1071회 | WOOAH, 온앤오프, 이무진 |
1072회 | 이수근, 이재성, 박주아 |
1073회 | 딘딘 |
1074회 | 송병철, 이상훈, 김태원, 박슬기 |
1075회 | 나상도 |
1076회 | 판타지 보이즈, 김선(크리에이터) |
1077회 | 서남용, 사유리 |
1078회 | 홍석천 |
1079회 | 샘 해밍턴, 현우, ATEEZ |
1080회 | 임우일, 진성, 박상민 |
1081회 | H1-KEY, 자이언트 핑크 |
1082회 | 문초희, 임하룡 |
1083회 | STAYC, 함은정, 백성현 |
1084회 | Weeekly, 장수원, 조정민 |
1085회 | 김승현, 장정윤, 하성운 |
1086회 | 김성령 |
1087회 | 김가연 |
1088회 | 최준석 외 3인, 베이, 지우 |
1089회 | 조권 |
1090회 | P1Harmony, 양동근 |
1091회 | 강다니엘, 오정태 |
1092회 | 김정화, 유은성, 오정태, 강다니엘 |
1094회 | n.SSign, 하연수 |
1095회 | 노민우 |
1096회 | 박준형, 심형래, 김장군 |
1097회 | 제이미, 피에스타 |
1098회 | 오나미, 박민, 공현주 |
1099회 | 김니나, 트루디, 배준열 |
1100회 | 마이티 마우스 |
1101회 | 김성수, 성대현, 이성욱 |
1102회 | 데이브레이크 |
1103회 | 조현우, 이희영 |
- 2024년 3월 17일 1067회에서 송출 전 파일 변환 과정에서 인코딩 오류가 발생해 봉숭아학당의 지화자 부분부터 플랫폼을 불문하고 소리가 울리며 이상하게 나오는 방송 사고가 발생했지만 KBS에서 문제를 인지하지 못한 것인지 코너 중반부가 되도록 자막으로 안내 하나 나오지 않았다. 이후 지구 종말 1분 전 2번째 부분에서 소리가 복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