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7 20:55:29

검은 신화: 오공


<nopad> 파일:검은 신화: 오공 로고.png
스토리 등장인물 근기
영신도 수행 도전과제
장비
(무기 · 방어구 · 장신구 · 술과 호리병)
검은 신화: 오공
黑神话: 悟空
Black Myth: Wukong
<nopad> 파일:Black Myth Wukong - Cover.jpg
<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c0c0c0,#c0c0c0> 개발 Game Science
유통
플랫폼 PlayStation 5 | Microsoft Windows | Xbox Series X|S
ESD PlayStation Network | Steam | 에픽게임즈 스토어 | Microsoft Store
장르 3인칭 액션 RPG
출시 PS5, PC
2024년 8월 20일
Xbox Series X|S
발매 예정[1]
엔진 언리얼 엔진 5 | Wwise[2]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평가용.svg 평가용
파일:게관위_등급분류거부.svg 등급 분류 거부
심의 예정(한국)
심의 없음(한국)
##
파일:ESRB Everyone.svg ESRB E
파일:ESRB Everyone 10+.svg ESRB E10+
파일:ESRB Teen.svg ESRB T
파일:ESRB Mature.svg ESRB M
파일:ESRB Adults Only.svg ESRB AO
파일:ESRB Rating Pending.svg ESRB RP
##
파일:CERO A.svg CERO A
파일:CERO B.svg CERO B
파일:CERO C.svg CERO C
파일:CERO D.svg CERO D
파일:CERO Z.svg CERO Z
##
파일:EOCS 전연령.gif EOCS 전연령
파일:EOCS E12.gif EOCS E12
파일:EOCS E15.gif EOCS E15
파일:EOCS 18금.gif EOCS 18금
##
파일:PEGI 3.svg PEGI 3
파일:PEGI 7.svg PEGI 7
파일:PEGI 12.svg PEGI 12
파일:PEGI 16.svg PEGI 16
파일:PEGI 18.svg PEGI 18
##
파일:USK 0 로고.svg USK 0
파일:USK 6 로고.svg USK 6
파일:USK 12 로고.svg USK 12
파일:USK 16 로고.svg USK 16
파일:USK 18 로고.svg USK 18
##
파일:ACB General.svg ACB G
파일:ACB Parental Guidance.svg ACB PG
파일:ACB Mature.svg ACB M
파일:ACB Mature Accompanied.svg ACB MA15+
파일:ACB Restricted(R18+).svg ACB R18+
파일:ACB Refused Classification.svg ACB RC
##
파일:GSRR G 로고.svg GSRR G
파일:GSRR P 로고.svg GSRR P
파일:GSRR PG 12 로고.svg GSRR PG 12
파일:GSRR PG 15 로고.svg GSRR PG 15
파일:GSRR R 로고.svg GSRR R
##
파일:CADPA-8+.png CADPA 8+
파일:CADPA-12+.png CADPA 12+
파일:CADPA-16+.svg CADPA 16+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상점 페이지 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아이콘.svg | 파일:스팀 아이콘.svg | 파일:에픽게임즈 스토어 로고.svg

1. 개요2. 발매 전 정보3. 시스템 요구 사항4. 게임 관련 정보
4.1. 스토리4.2. 등장인물4.3. 여행기4.4. 수행4.5. 근기4.6. 장비4.7. 지도4.8. 도전과제4.9. 도전
4.9.1. 재전투4.9.2. 연속 전투
5. 평가
5.1. 긍정적 평가5.2. 부정적 평가5.3. 복합적 평가
6. 흥행7. 논란 및 사건 사고
7.1. 소울라이크 논쟁7.2. 스트리밍 중 금지사항7.3. TGA 2024 수상 관련
8. 기타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최종 트레일러
중국의 게임 개발사 Game Science[3]에서 개발한 3인칭 액션 RPG. 중국 최초의 AAA 게임이다.[4]

2020년 8월 20일, 아무런 예고도 없이 유튜브에 13분 분량의 게임 플레이 트레일러를 게시하는 것으로 공개된 게임으로, 대성육근 6개 즉 영혼조각 6개를 찾기 위한 주인공이자 원숭이인 '천명을 지닌 자'의 모험을 다룬다.

2. 발매 전 정보

===# 트레일러 #===
공식 공개 트레일러
2020년 8월 20일에 게임 플레이 영상이 포함된 트레일러를 첫 공개했는데, 높은 퀄리티의 그래픽과 흥미로운 스토리로 인해 국내외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그리고 개발진에 따르면, 이 트레일러를 공개한 것 자체가 좀 더 유능한 인재들을 모아 더 좋은 게임을 만들기 위한 일종의 채용 광고라고 한다.

게임 시스템으로는 먼저 적을 해치우고 그 적으로 변신할 수 있는 변신과 분신술, 그리고 잔상을 통한 게이지 충전을 활용하는 차지 어택이 공개되었다.

갓 오브 워 시리즈의 프로듀서인 코리 발록은 이 트레일러를 보고 극찬을 아끼지 않았는데, 프로듀서인 펑지(骥等)는 이에 감사함을 표하고 아직 부족한 점이 많다며 겸손함을 표했다.#
신년 인사 트레일러
그리고 딱 1년 후인 2021년 8월 20일, 새로운 게임플레이 트레일러가 공개되었는데, 게임 엔진을 언리얼 엔진 5로 업데이트하여 더욱 발전된 그래픽과 모델링, 환경 디테일을 쇼케이스했다. 더불어 게임에 대한 새로운 정보와 인터뷰, 컨셉아트 등도 공개하였다. #
언리얼 엔진 5 게임 플레이 테스트
새로운 설산 지역과 엘리트 몬스터 백룡과 대도를 든 원숭이, 그리고 현재까지 공개된 유일한 보스인 황미대왕이 공개되었다.[5] 늙은 원숭이의 대사를 보면 부처의 말을 듣지 말고 욕망에 빠져 진정한 지혜를 얻으라는 식의 말을 하는 것을 보면 확실히 스토리는 부처와 대립하는 내용인 모양.
2022 신년 인사 트레일러
엔비디아 RTX 트레일러
일단 프레임이 상당히 개선되었으며, 타격감에도 어느 정도 보정이 이루어졌으나 아직 부족하다는 의견이 크다. 또한 버섯이나 식생을 채집하는 것과, 체력을 회복하는 대신 몬스터가 리스폰되는 사당, 장비 시스템 또한 공개되었다. 전투적인 측면으로는 잔상 회피 게이지 3단계 공격의 모션이 더욱 화려해졌다. 다만 어째서인지 이속이 답답해보인다는 의견이 많다. 몬스터는 첫 트레일러에 잠깐 얼굴을 보였던 수도승, 뿌리로 위장했다가 나타나는 요괴, 그리고 흑룡 또한 공개되었다.
인게임 컷신 트레일러
반사동의 거미 요괴로 보이는 여자들이 등장하며, "천국은 당신에게 친절하지 않았으나, 지금은 우리에게 서로가 있다."라고 말하는 과거 손오공과 모종의 인연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늙은 여자 또한 나왔다. 마지막에는 나가라며 소리치는 거대한 거미도 나오는데, 이것을 보아 서로 적대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새해 기념 트레일러
2023년 1월 16일, 2023년 새해를 맞아 애니메이션 트레일러가 공개되었고 발매 시기가 2024년 여름으로 확정되었다.
발매일 공개 트레일러
더 게임 어워드 2023에서 공개된 트레일러에 따르면 2024년 8월 20일 발매 예정.

2024년 5월 19일 Wegame에서 예약 판매와 가격이 공개가 된다고 한다. 게임 전체 용량이 130GB라고 한다.

실물 패키지 2가지를 판매하고 있으나 게임 디스크가 아닌 다운로드 코드를 제공한다고 밝혀 논란이 되고 있다.#
파이널 트레일러

8월 20일 출시 예정인 '검은 신화 오공'의 파이널 트레일러가 공개가 되었다. 트레일러에 공개된 모습들은 실제 PC 버전에서 구동한 것이라고 한다.
PS5 I 검은 신화: 오공 - PS5 게임 플레이 미리보기 (4K)

===# 기타 정보 #===

3. 시스템 요구 사항

시스템 요구 사항
구분 최소 사양 권장 사양
<colbgcolor=#000><colcolor=silver> 운영체제 Windows 10 64-bit
프로세서 Intel Core i5-8400
AMD Ryzen 5 1600
Intel Core i7-9700
AMD Ryzen 5 5500
메모리 16 GB RAM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1060 (6 GB)
AMD Radeon RX 580 (8 GB)
NVIDIA GeForce RTX 2060
AMD Radeon RX 5700 XT
Intel Arc A750
API DirectX 11 DirectX 12
저장 공간 130 GB
추가 사항 HDD 지원
SSD 권장
SSD 권장
위의 사양은 DLSS / FSR / XeSS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테스트되었습니다.

4. 게임 관련 정보

4.1. 스토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검은 신화: 오공/스토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삼장법사를 성공적으로 호위하고 불경을 되찾은 후 손오공은 등선하지만, 이윽고 그는 자유롭지 않은 천계를 벗어나 화과산에서 자유롭게 살기 위해 부처의 자리를 거부한다. 하지만 천상궁은 손오공이 자신들의 명을 따르지 않음에 진노하고, 이랑진군이 이끄는 군대를 보내어 그를 조정으로 돌아가도록 강요한다. 손오공은 이랑진군과 결투를 벌이지만, 결국 패배하고 불로불사였던 그는 어찌된일인지 사망하고 손오공이 죽은후 손오공의 육근-여섯 개의 영혼-은 몇몇의 요괴왕들이 가져간다.

4.2.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검은 신화: 오공/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여행기

천명자가 마주친 몹과 지역, 튜토리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카테고리다. 여행기는 '영신도/부들방석 좌선/비결'의 세 가지 항목을 가지고 있다.

4.3.1. 영신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검은 신화: 오공/영신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게임 내 도감 시스템인 영신도를 통해 등장인물과 몬스터를 설명하고 있다.

4.4. 수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검은 신화: 오공/수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5. 근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검은 신화: 오공/근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6. 장비

4.6.1. 혼백

특정 몹[9]을 잡으면 혼백을 수집할 수 있고, 해당 혼백의 생전 모습으로 잠깐 변신해서 공격할 수도 있다. 이를 '빙의술'이라고 한다. 다만 신통력의 변신처럼 해당 몹으로 변신해서 자유롭게 싸우는 게 아니라, 해당 몬스터의 스킬을 한 번만 쓰고 변신이 풀리는 구조다. 즉 플레이어블 캐릭터의 육체를 빌려 잠깐 현신한다는 구조.

여담으로, 플레이 스테이션 같은 경우 R2+L2를 누르면 혼백 변신이 가능하다고 UI에 표시되는데 실제로 동시에 둘을 누르면 변신이 안 되고 L2 스킬만 사용한다. R2를 먼저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L2를 눌러야 혼백 변신이 된다.

4.6.2. 법보

특정 지역을 클리어해야만 얻을 수 있는 아이템 형식의 스킬이다. 장비 카테고리의 법보 탭을 차지하며, 착용시의 패시브 효과와 사용시의 특수 효과가 존재한다. 법보 장비는 총 4가지가 있으며, 상황에 따라 갈아끼우는 것도 가능하다.

법보는 서유기 본편에 등장한 불교적 보물로서, 해당 장 보스와 밀접한 연관이 있어서[10] 사용 시 특정 패턴을 박살내버리는 효력을 가진다.

* 피화조
* 패시브: 연소 내성이 적당히(+24) 증가하며, 용암바닥의 화염피해를 무효화
* 사용: 연소 불가침, 곤봉 게이지를 서서히 회복, 연소 상태이상 중 사용하면 생명치를 회복하고 연소 피해 지대 위에 있으면 피해 대신 생명치를 지속적으로 회복.
* 옛 관음선원 비밀 지역 클리어 보상. 흑곰요괴 하드카운터이며 추가로 연소피해가 가득한 5장에서도 유용하다.

4.6.3. 무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검은 신화: 오공/무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6.4. 방어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검은 신화: 오공/방어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6.5. 장신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검은 신화: 오공/장신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6.6. 술과 호리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검은 신화: 오공/술과 호리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6.7. 기타 아이템

4.7. 지도

전체 지도는 이곳(중국어)을 참고.

패치를 통해 인게임 지도가 추가되었다. 지도는 각 장의 사당에서 싼 값에 구매할 수 있다.

4.8. 도전과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검은 신화: 오공/도전과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9. 도전

엔딩을 보면 해금되는 컨텐츠. 재전투와 연속 전투가 있다. 본 게임에서 잡지 않은 보스는 재전투를 할 수 없고, 해당 보스가 포함된 연속 전투도 치룰 수 없다.

4.9.1. 재전투

행자, 성인, 제천 총 3가지의 난이도가 있으며, 연속 전투에서 패턴이 바뀌는 보스일지라도 재전투에서는 난이도와 관계 없이 패턴은 본래 그대로이다.

4.9.2. 연속 전투

보상이 있는 연속 전투로, 총 9가지가 존재한다. 특이사항으로, 연속 전투에서는 일부 보스의 패턴이 강화된다. 연속 전투에서만 등장하는 패턴이 강화된 보스는 연속 전투 메뉴의 연습하기로 연습 가능하며, 여기서는 단약이 소모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다음 전투로 넘어갈 때 호리병은 소량 회복되지만 법력은 회복되지 않으니 주의.[11]

아래는 연속 전투의 적 목록이다. 패턴이 강화되는 보스는 볼드체로 표시. (아직 모든 보스의 패턴이 확인되지 않았으니 강화 패턴이 확인되는 보스는 볼드체로 수정 바랍니다.)
연속 전투 보스 목록 보상 비고
<colcolor=darkorange> 세 호랑이 "호선봉"
풍호
호선봉
구전 환혼단[단약]×3
석호부[장신구]
2장에서 등장한 호랑이 가족 3인방이 등장하는 연속 전투.
네 승려 불정
불공
불능
불백
가을 국화[담금] 3장에서 등장한 황미의 제자 4인방을 상대하는 연속 전투.
사독 용신 적염룡
소여룡
청배룡
소황룡
보물 비늘환[단약]×4
보물 비늘환[처방]
경하 용왕의 아홉 자식 중 각 장 히든 보스로 나오는 용 보스 4인방을 상대하는 연속 전투.
육건장 화르륵 · 휘리릭
자욱자욱 · 뭉게뭉게
쿵떡쿵떡 · 떡쿵떡쿵
구전 환혼단[단약]×3
성황등[장신구]
5장에서 등장한 2인조 보스 3쌍을 상대하는 연속 전투.
깨어난 칩충 지네 요괴
찰싹찰싹두껍
벌레 지휘관
자줏빛 거미
독적 대왕
옥비 사마귀
검은 눈동자[재료]
선천 적철강[재료]×2
육각[담금]
벌레 요괴들이 등장하는 연속 전투.
천태만상의 흉물 떠도는 영혼
호선봉
불능
인호
독적 대왕
소황룡
원광 만상[재료]
선천 적철강[재료]×2
쓴 술[술]
플레이어들을 고통받게 한 통곡의 벽이었던 보스들[25]을 상대하게 되는 연속 전투.
심원 돌원숭
대성의 빈 육체
구전 환혼단[단약]×3
신철 조각[장신구]
최종 보스를 상대하게 되는 전투.
본편과의 차이점은 패턴이 다소 추가되고 각각 페이즈가 하나씩만 존재한다.
매산의 옛 인연 백의수사
누런 도포 지주
초록 삿갓 무사
흑수 도인
금도끼 장사
현성 이랑진군
삼산관[투구]
채색 구름천[재료]×3
각 장 히든 지역의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던 보스들이 등장하는 전투.
육근일체 흑곰 요괴
황풍 대성
황미
백안마군
아크샤의 왕
이랑신
자유의 마음[재료]
선천 적철강[재료]×2
근기를 가진 보스만이 등장하는 최고난이도의 도전으로, 위 8개의 연속 전투를 모두 클리어해야 해금된다.[32]
마지막 보스는 본편의 기믹보스였던 이랑신을 변신 기믹 없이 잡게 되는데, 이랑진군에 비해서는 쉬운 편.

연속 전투에서는 '금기'라는 보상 없는 각종 제약을 걸 수 있다. 각 금기에는 난이도 수치 같은 숫자가 있는데, 이에 따라 도전하는 난이도의 명칭이 달라진다. 아래는 금기 목록이며, 각 난이도 수치는 금기 옆에 숫자로 표기한다.
금기 난이도 수치 내용
<colcolor=darkorange> 바라던 바 1 전투 과정에서 적의 육체는 더 이상 재앙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제약과 억압 2 전투 중, 소지한 법보와 혼백을 시전할 수 없습니다.
온탕일 뿐 2 전투 과정에서 소지한 단약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리 속박 2 전투 과정에서 구르기로 소모하는 기력이 기존의 3배로 증가합니다.
전장 배치 2 제한 시간 내에 적을 처치해야 하고 사망하거나[33] 시간 초과 시 전체 전투가 패배합니다.
복부 절개 2 매번 승리 후, 더 이상 호리병의 사용 횟수가 회복되지 않습니다.
참수 3 최대 생명치가 윤회 초기 상태로 감소합니다.
양팔 절단 3 전투 과정에서 모든 법술을 시전할 수 없습니다.
기름 가마솥 목욕 4 적의 최대 생명치가 대폭 증가합니다.
전투 과정에서 적이 잠시 숨을 고를 때마다 천천히 생명치를 회복하기 시작합니다.

아래는 난이도 수치에 따라 달라지는 난이도 구분이다.
난이도 내용
<colcolor=darkorange> 마음먹기 나름 난이도 0. 아무 제약도 걸지 않은 상태이다.
천신만고 난이도 1~5에 해당한다.
산 넘어 산 난이도 6~10에 해당한다.
혹독한 수행 난이도 11~15에 해당한다.
연마 수양 난이도 16~20에 해당한다.
신선 강림 난이도 21. 모든 금기를 건 극한의 난이도에 해당한다.

5. 평가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다음의 합의사항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합의사항1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토론 합의사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평가 문단에 스팀 리뷰의 중국어/영어 리뷰 및 그 긍정 여부의 비율을 서술한다.
  • 국내외 언론/웹진에서 제시된 근거 없이는 스팀 리뷰의 높은 긍정적 리뷰와 높은 중국어 리뷰 비율을 연관짓는 서술을 하지 않는다. 커뮤니티 반응을 단순 인용한 기사는 제외한다.
}}}}}}}}} ||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c1d1f><table bordercolor=#333,#555><#333>
기준일:
2024-11-01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black-myth-wukong/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black-myth-wukong/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상세 내용

기준일:
2024-11-01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파일:오픈크리틱 strong-man.png 평론가 평점
82 / 100
평론가 추천도
81%
유저 평점
90 / 100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1b2838,#555><bgcolor=#1b2838>
기준일:
2024-11-01
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
<rowcolor=#fff> 종합 평가 최근 평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358720/#app_reviews_hash| 압도적으로 긍정적 (9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358720/#app_reviews_hash| 압도적으로 긍정적 (9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파일:black-myth-wukong-wins-ultimate1.png
제42회 골든 조이스틱 어워드 2024년 '올해의 게임' 선정 #

콘솔 게임의 불모지이자 무덤으로 꼽히는 중국에서 만들어진 게임이라 기대와 우려가 섞인 시선을 받았지만[34], 출시 이후 전반적인 평가는 아쉬운 점이 없지는 않으나 재미있게 잘 만든 수작 콘솔 액션 게임이라는 평이 주를 이루고 있는 상태이다.

전반적으로 뛰어난 그래픽과 연출, 동양적인 미를 잘 표현한 아트 디렉션, 다채로운 액션과 높은 퀄리티의 보스전 등이 호평을 받고 있지만, 얕은 탐색 요소와 투명벽으로 대표되는 미흡한 필드 및 레벨 디자인, 최적화 문제, 그리고 특정 CPU나 그래픽 카드에서만 발생하는 버그 등은 혹평받고 있다.

중국에서 크게 화제가 되어 Steam 평가의 90% 이상이 중국 플레이어들에 의해 기록되었다.[35] 다만 5.13%의 영어 리뷰에서도 93%의 긍정 비율을 얻고 있다.# 스팀 리뷰의 언어 필터가 공식 지원하는 언어별 분류로는 거의 모두 긍정 비율이 90% 이상이나, 한국어일본어에서만 84%와 78%의 상대적으로 낮은 긍정 비율을 보인다.[36]

2024년 12월 12일 더 게임 어워드 2024에서 액션게임상플레이어의 목소리상을 수상했다.

5.1. 긍정적 평가

5.2. 부정적 평가

5.3. 복합적 평가

6. 흥행

6월 8일, 사전 예약 개시 후 8월 20일 발매 이전까지 누적 300만 장을 돌파했는데, 이는 10억 위안(1870억 원 가량)에 달하는 금액으로 정식 출시도 하기 전에 이미 개발비의 2배 이상을 벌어들였다. 검은 신화 오공은 약 6년의 개발 기간과 4억 위안(한화 약 750억 원)의 개발비가 쓰였다.

8월 20일, 발매 당일 기준 최대 동시접속자 222만 명을 돌파하며 인디게임 흥행신화를 기록한 팰월드 동접자 수(210만 명)를 제치고 역대 스팀 동접자 2위를 기록했다.[42] 기록 달성 기간 기준으로는 1위이고[43] 싱글 플레이어 게임으로도 1위이다. 전체 동시접속자 중 중국인 비율이 88.1%(홍콩특별행정구 포함시 89.7%)라고 한다. # 220만명의 동접자 중 195만명을 중국인들이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게임마다 다르긴 하지만 다른 콘솔게임의 경우 중국인 비율은 30%~60%인 걸 생각하면 중국의 인구수를 감안해도 오공의 숫자는 이례적이다.

스팀 기준으로, 검은 신화:오공의 판매량의 76%는 중국, 6%는 미국, 1%는 홍콩, 나머지는 그 외 국가들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출시 직후에는 약 80%가 중국 판매량이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조금씩 중국이 차지하는 비율이 줄어들었다.#

검은 신화 오공의 흥행으로 중국 내 PS5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두 배 급증했으며, 알리바바 게임 기기 목록에서 1위에 올랐다.#

8월 20일 오후 9시, 모든 플랫폼을 통틀어 450만 장 이상 판매되었으며, 매출액은 15억 위안(약 2,800억 원)을 돌파했다는 기사가 나왔다. 财联社

8월 23일, 발매 4일차에 누적 판매량 1,000만장을 돌파했다. # 코지마 히데오도 X 계정에 이미지를 올렸다.#

발매 2주차에 누적 판매량 1,800만장을 돌파했으며 DLC를 계획 중이라고 한다.|#

발매 한 달도 되지 않아 누적 판매량 2,000만장을 돌파했다는 기사가 나왔다.#

7. 논란 및 사건 사고

7.1. 소울라이크 논쟁

트레일러 첫 공개부터 지속적으로 있어왔던 논쟁으로 소울라이크라고 주장하는 측은 소울 시리즈와 유사한 여러 공통점을 거론하고 부정하는 측은 이와 반대로 본작과 소울라이크의 여러 차이점을 거론한다. 소울라이크 장르의 애매한 기준을 재조명시킨 게임이라고 할 수 있다.

출시 이후에도 해외 및 국내 게이머들 사이에선 소울라이크 여부를 두고 잡음이 많은데, 푸시스퀘어는 본작이 소울라이크의 전통적인 구조를 갖췄다고 리뷰했고 (푸시스퀘어) 소울게임 전문 유튜버 이클리피아 같은 경우 소울 시리즈보단 오히려 인왕에 가까우며, 인왕을 소울라이크라고 생각한다면 오공도 소울라이크로 느껴질 것이라는 평을 하기도 했다. 결국 무엇이 소울라이크인가에 대한 개인의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그에 따라 본작이 소울라이크라고 주장하거나 심한 경우에는 아류작으로 치부하는 의견들이 나오고 있다. 오공 이전부터 조금이라도 공통점이 보이거나 난이도가 높은 게임들이 소울라이크로 몰리는 것에 질린 게이머들은 이에 반발하는 상황이다.

우선 소울라이크라는 장르 자체가 명확한 기준이 없는데다 본작과 소울라이크의 공통점[44]이라는 요소들도 소울 시리즈가 창안한 전매 특허가 아니고 다른 RPG나 액션 장르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요소들[45]이기 때문에 소울라이크 문서에서 설명하는 용어 남발의 예시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결정적으로 제작진이 직접 본작의 장르는 액션 RPG라며 부정했으며, 갓 오브 워를 벤치마킹했다는 입장을 밝혔다.[46]

첫 트레일러 공개 이후로 출시 바로 전까지도 본작을 소울라이크라고 보았던 IGN도 정식 출시 이후에는 소울 시리즈에 영향을 받았을 수는 있어도 소울라이크는 아니라며 입장을 변경했고 (IGN) 스크린랜트나 유로게이머 같은 웹진들도 본작과 소울라이크에 공통점이 있더라도 차이점 역시 많고 무엇보다도 제작진이 직접 부정했다는 것을 들어 본작이 소울라이크가 아니라고 리뷰했다.(스크린랜트, 유로게이머)

게임성 면에서 소울라이크와 명확히 차별되는 점은 보스의 체력이 굉장히 높으며, 플레이어는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구평으로 대표되는 구르기와 약공격만을 반복하는 플레이가 아니라 경직과 다양한 법술을 활용하여 능동적으로 딜타임을 만들어낼 수 있다.

7.2. 스트리밍 중 금지사항

제작사가 게임 스트리머들에게 여러 주의사항을 전했는데, 게임을 즐길 것과 다른 인플루언서나 플레이어를 모욕하지 말기, 어떠한 종류의 공격적인 유머나 언어를 사용하지 않기 같은 상식적인 조항도 있었지만 코로나와 그 격리정책에 대한 발언, 폭력적, 정치적, 페미니즘적 발언[47], 중국의 비디오 게임 산업 정책을 비롯한 부정적인 담론을 조장하는 콘텐츠 등의 금지 사항을 전달한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공지에는 스트리머의 게임 중 발언은 게임사의 마케팅 부서와 관련이 없음을 확인하는 문구도 들어가 있다.#

공론화 영상을 올린 프랑스 언론인이자 스트리머는 스스로를 검열해야 한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고 주장했다. 제한이 지나쳤다는 반응도 있고, 게임 리뷰하는데 느닷없이 코로나, 정치적, 페미니즘적 발언은 왜 하냐고 옹호하는 의견도 있다. 다만 이 금지사항이 모든 스트리머에게 적용되는 것으로 잘못 알려지고 있으나, 실제로는 제작사로부터 게임을 무료로 제공받은 스트리머에 한해 적용된 것이다.

7.3. TGA 2024 수상 관련

하지만 솔직히 말씀드리면, 아쉬움과 후회도 남습니다. 무엇보다도 환상을 버려야 한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올해 후보에 오른 게임들은 모두 훌륭했지만, 올해의 게임 선정 기준이 무엇인지 도무지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48] 괜히 왔다는 생각마저 들었습니다.

TGA 2024에서 GOTY 수상이 아스트로봇에게 돌아가자 디렉터는 개발자 측에서는 수상 기준이 뭔지 모르겠다며 시상식의 공정성[49]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2년 전부터 고티 소감문을 준비해놓았을 정도로 준비한 것이 물거품이 되었다며 불만을 토로하였으며, 시상식에서 울기까지 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작은 중국이라는 특수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상업적 성공과 함께 80점대 초반이라는 나쁘지 않은 점수로 중국 게임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바꿀 정도로 선방한 것은 사실이나 보통 자신이 수상을 못해도 축하한다고 덕담을 하거나 후보로 선정돼서 고맙다고 한다거나 하다못해 그냥 가만히 있는 게 통상적인 매너임에도 수상 실패 후 오공 디렉터가 보여준 모습은 예의가 없다 못해 생떼를 쓰는 수준이라고 비판받고 있다.

이에 동조하듯 중국 게이머들이 조직적으로 발더스 게이트 3[50] 및 PC로 이식된 플레이스테이션 스튜디오 게임들의 유저 평가에 테러를 하고[51] TGA 2024의 고티로 선정된 아스트로봇도 까내리는 등의 추태를 벌였다. 과거 TGA 2022에서도 갓 오브 워가 수상하지 못하자 팬들이 엘든 링을 테러했던 사례가 있긴 했지만, 이쪽은 일부 악성 팬덤이 난리쳤던 것에 반해 양 게임의 개발자들끼리는 서로를 리스펙하는 등 훈훈한 분위기였다. 하지만 오공은 디렉터가 대놓고 불만을 토로하며 팬덤의 불만에 스스로 불을 지핀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다만 오역일수 있다는 의견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 원문부터가 중국 블로그이기 때문에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게시했고, 따라서 중국 내에서 통용되는 특수한 맥락이나 표현을 직역해버렸다는 것.

해당 글을 영어로 번역한 레딧 글을 보면 전반적인 글이 게임 어워드에 대한 비판이나 성토가 아니고 오공의 개발에 대한 소감문이며 고티 소감문에 대한 언급은 농담조에 가까워 보이나 게임 어워드의 수상 기준을 잘 모르겠다고 한 것도 사실로 보인다.

레딧러의 디렉터 게시물 설명
게시물 뒷부분 관련
레딧 게시물 번역과 코멘트들

8. 기타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px"<tablebordercolor=#000>
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최다 플레이 게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26%, 5em); min-height: 2em"
{{{#!folding [ 1 ~ 10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순위게임명출시연도최다 동시 접속 플레이어 수
1위PUBG: BATTLEGROUNDS20173,257,248명
2위검은 신화: 오공20242,415,714명
3위Palworld20242,101,867명
4위CS:GO&카운터 스트라이크 220121,818,773명
5위로스트아크20221,325,305명
6위도타 220131,295,114명
7위사이버펑크 207720201,054,388명
8위엘든 링2022953,426명
9위바나나2024917,272명
10위New World2021913,634명
}}}}}}}}}
[ 11 ~ 20위 ]
||<tablewidth=100%><width=5000><table bgcolor=#fff,#1c1d1f><bgcolor=#000><color=#fff>순위
게임명출시연도최다 동시 접속 플레이어 수
11위호그와트 레거시2023879,308명
12위발더스 게이트 32023875,343명
13위Goose Goose Duck2021702,845명
14위Apex 레전드2020624,473명
15위Valheim2021502,387명
16위콜 오브 듀티2022491,670명
17위테라리아2011489,886명
18위캡콤 아케이드 스타디움2021488,791명
19위폴아웃 42015472,962명
20위Life is Strange 22018468,717명
}}}

파일:골든 조이스틱 어워드_로고.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rowcolor=#fce18a> 1983년 1984년 1985년
Jetpac Knight Lore The Way of the Exploding Fist
<rowcolor=#fce18a> 1986년 1987년 1988년
건틀릿 아웃런 오퍼레이션 울프 (8비트, 16비트)
<rowcolor=#fce18a> 1989년 1990년 1991년
The Untouchables (8비트)
Kick Off (16비트)
Rick Dangerous 2 (8비트)
Kick Off 2 (16비트)
소닉 더 헤지혹
<rowcolor=#fce18a> 1992년 1993년 1994년
스트리트 파이터 2 기록 소실
<rowcolor=#fce18a> 1995년 1996년 1997년
기록 소실 슈퍼 마리오 64 기록 소실
<rowcolor=#fce18a> 1998년 1999년 2000년
기록 소실
<rowcolor=#fce18a> 2001년 2002년 2003년
기록 소실 Grand Theft Auto III Grand Theft Auto: Vice City
<rowcolor=#fce18a> 2004년 2005년 2006년
둠 3 Grand Theft Auto: San Andreas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rowcolor=#fce18a> 2007년 2008년 2009년
기어스 오브 워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 폴아웃 3
<rowcolor=#fce18a> 2010년 2011년 2012년
매스 이펙트 2 포탈 2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
<rowcolor=#fce18a> 2013년 2014년 2015년
Grand Theft Auto V 다크 소울 2 더 위쳐 3: 와일드 헌트
<rowcolor=#fce18a> 2016년 2017년 2018년
다크 소울 3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 포트나이트 배틀로얄
<rowcolor=#fce18a> 2019년 2020년 2021년
바이오하자드 RE:2 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II 바이오하자드 빌리지
<rowcolor=#fce18a> 2022년 2023년 2024년
엘든 링 발더스 게이트 3 검은 신화: 오공
}}}}}}}}} ||
파일:Steam 어워드 트로피.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rowcolor=#ffffff,#ffffff> 2018년 2019년 2020년
PUBG: BATTLEGROUNDS 세키로: 섀도우 다이 트와이스 레드 데드 리뎀션 2
<rowcolor=#ffffff,#ffffff> 2021년 2022년 2023년
바이오하자드 빌리지 엘든 링 발더스 게이트 3
<rowcolor=#ffffff,#ffffff> 2024년 2025년 2026년
검은 신화: 오공
}}}}}}}}} ||
[1] 최적화 문제로 발매 연기[2] 사운드 엔진[3] 텐센트 출신 개발자들이 독립해 만든 개발사로 2016년에 Art of War: Red Tides라는 RTS 장르의 게임을 얼리 액세스로 발매한 적이 있지만 그리 인기를 끌진 못했으며, 끝내 미완성작으로 마무리되었다.[4] 비디오 게임 용어인 만큼 모바일, 온라인 게임은 이 분류에서 제외된다.[5] 사실 그 전에 트레일러에서 나왔던 사천왕 또한 보스이긴 한데, 어째서인지 정보에서는 황미대왕을 공개된 유일한 보스로 취급한다. 이유는 불명.[6] 히든 보스를 잡고 최종보스를 잡으면 볼 수 있는 진엔딩 컷신에서 이 음악을 검은신화 오공 편곡버전으로 들을 수 있다.[7] 디지털 디럭스에도 풍경(게임 아이템)이 있다. 풍경(목걸이)은 손톱으로 튕기면 실제로 종소리가 울린다 목걸이에는 今入常乐无为处 荷负众生受大苦이라고 써져있다*[8] 발이 세게달린 금색 까마귀가 그려져 있으며 이 까마귀는 신화에 나오는 까마귀이다*[9] 잡몹의 경우 몸에 시퍼런 불이 서려있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10] 원작을 아는 사람들은 알겠지만, 이 법보들은 손오공이 해당 보스들을 쓰러트릴 때 사용했던 법보들이다.[11] 따라서 각종 법술을 사용하던 유저들도 연속 전투에서만큼은 금지술을 사용하는 것이 편하다. 다른 연속 전투는 법력을 아껴가면서 어려운 보스에 쓰면 되지만, 매산의 옛 인연과 육근일체는 각 보스들의 난이도가 상당한지라 절약하기도 힘든 편. 또한 호리병 회복도 소량에 불과하기에, 소량 회복으로도 큰 이득을 볼 수 있으며 후술할 '복부 절개' 금기를 걸어도 큰 제약이 없는 청전 호리병이 추천된다.[단약] [장신구] [담금] [단약] [처방] [단약] [장신구] [재료] [재료] [담금] [재료] [재료] [술] [25] 근기를 가진 각 챕터의 마지막 보스들은 네임밸류가 더 높다보니 제외된 것으로 보인다.[단약] [장신구] [투구] [재료] [재료] [재료] [32] 해금 전에는 '???'라는 명칭으로 표기되며 이후 육근일체를 해금해도 이랑신 조우 전까지는 라인업에 이랑신이 표기되지 않고 마찬가지로 '???'로 표기된다.[33] 헷갈리기 쉬운데, 사망의 경우 금기를 안 걸어도 원래부터 실패 처리되는 조건이다.[34] 출시 전까지 일반 게이머를 대상으로 한 체험판을 공개하지 않았다는 점, PlayStation 5 버전의 리뷰 코드를 제공하지 않았다는 점도 우려를 산 부분이었다. 루리웹 같은 게임 커뮤니티에서도 만듦새가 좋지 않고 자신이 없으니까 체험판을 공개하지 않는 거 아니냐는 우려가 많았다.[35] 중국어로 작성된 리뷰의 비율이 출시 직후의 90%에서 8월 22일에는 95%까지 올라갔다가, 타 언어 리뷰가 증가하며 29일에는 다시 90%로 내려갔다.[36] 한국의 경우 엉망인 한국어화와 최적화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지만 국가간 감정 문제도 크게 작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37] 가령 프롤로그 당시 오공이 천계 군대 및 이랑진군과 싸우다보니 그걸 서유기 초반 미후왕이자 제천대성 시절 스토리로 오해하여 오공의 사망을 오행산에 봉인된 걸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랑진군이 손오공을 부른 투전승불은 손오공이 서유를 끝낸 이후 얻는 칭호다.[38] 특정CPU 자체의 스로틀링 부분에서의 문제라는 반론도 존재하지만 그렇다고 하기엔 다른게임에서 발생하지 않는 문제라는 반론도 있기에 상황을 좀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39] 이동간 보이지 않는 벽으로 막혀있는 곳이 매우 많아서 거의 선형적인 진행이다.[40] 중국어는 하나의 음절이 하나의 형태소를 이루는 단음절 언어라서 이를 반영하는 표어문자인 한자를 통해 의미를 간결하고 강렬하게 전달할 수 있지만, 영어는 각 단어의 음절 수가 비교적 많기에 중국어 대사를 번역하면 자연스럽게 음절 수가 늘어나게 된다. 대표적으로 손오공의 이명인 투전승불(鬪戰勝佛)Victorious Fighting Buddha로 번역되어 음절의 숫자가 상당히 늘어났는데, 대사간 간격은 중국어와 동일하니 더빙 시 대사를 빠르게 말할 수 밖에 없다.[41] 적 보스가 공격시 피할 수 없고 보스전 페이즈가 넘어갈 때 반드시 대미지를 받는 경우도 있다. 사실상 노대미지 또한 불가능한 구조다.[42] 1위는 배틀그라운드의 325만 명.[43] 배틀그라운드는 2017년 3월 얼리억세스를 시작한 시점부터 10월에 200만, 11월에 250만, 12월에 310만, 2018년 1월에 최종 325만을 찍었으며 팰월드는 발매 3주만에 210만을 달성하였는데 오공은 발매 하루만에 달성하였다.[44] 회피 위주의 보스전, 세이브 포인트, 구르기, 어려운 난이도 등.[45] 당장 갓 오브 워 시리즈의 그리스 사가가 속한 장르였던 스타일리쉬 액션이 대표적이다.[46] 본작이 벤치마킹한 갓 오브 워북유럽 신화부터 소울 시리즈의 시스템에 영향을 받았다고 공인한 만큼, 뿌리를 파고들면 영향이 없지는 않다.[47] 뜬금없이 페미니즘은 왜 나왔는가 하면, 기타 문단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오공 개발진 중 한 명은 이전에 게임에 젠더 감수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에 대해 강경한 발언을 한 적이 있다.[48] 오공을 제치고 GOTY를 수상한 아스트로봇은 평론가와 유저들에게 모두 극찬을 받았으며, 오히려 오공보다 GOTY 후보로 훨씬 많이 거론되었던 게임이기도 하다.[49] 사실 공정성으로 따지면 100%로 유저 투표수로 정하는 골든 조이스틱 어워드가 중국의 인해전술로 매우 유리한 구조였지만, 이에 대해서는 당연하다는 듯이 아무런 얘기도 없이 넘어갔다.[50] GOTY 수상 발표를 라리안 스튜디오 CEO 스벤 빙커가 했다는 이유. 심지어 라이브 중 스벤 빙커의 연설이 "매출은 중요하지 않다"는 식으로 오역되면서 분노에 기름을 부었다는 듯.[51] 정작 아스트로봇은 PS5 독점작이라 건드리지 못했다.[52] 출처1출처2[53] 물론 중국 공산당을 비판하는 작품이 중국에 출시될리 없으니 지나친 확대 해석이라는 의견도 있으나 대놓고 비판할 수는 없으니 저렇게 비유적으로 표현한거라는 반론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