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대통령 직속 기관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부총리급 인사 장관급 인사 차관급 인사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감사원장 최재해 | ||||
국가정보원장 조태용 |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이진숙 | 대통령비서실장 정진석 | 국가안보실장 신원식 | |
대통령경호처장 박종준 |
||<-4><bgcolor=#fff,#1c1d1f><tablewidth=100%> ※ 둘러보기: 대통령 직속 기관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통령경호실장 (1963~2008)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초대 홍종철 | 제2대 박종규 | 제3대 차지철 | 제4대 정동호 | 제5대 장세동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제6대 안현태 | 제7대 이현우 | 제8대 최석립 | 제9대 박상범 | 제10대 김광석 |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
제11대 안주섭 | 제12대 김세옥 | 제13대 염상국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nopad> 대통령실 경호처장 (2008~2013) | 대통령경호실장 (2013~2017)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제14대 김인종 | 제15대 어청수 | 제16대 박흥렬 | 제17대 주영훈 | ||||
대통령경호처장 (2017~현재)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17대 주영훈 | 제18대 유연상 | 제19대 김용현 | 제20대 박종준 | }}}}}}}}} |
<colcolor=#fff><colbgcolor=#083388> 대한민국 대통령경호처장 大韓民國 大統領警護處長 Chief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of the Republic of Korea | |
현직 | 박종준 / 제20대 |
취임일 | 2024년 9월 9일 |
공관 | 대통령경호처장 공관 |
[clearfix]
1. 개요
대통령 등의 경호에 관한 법률 제3조(대통령경호처장 등) ① 대통령경호처장(이하 "처장"이라 한다)은 대통령이 임명하고, 경호처의 업무를 총괄하며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 제7조(임용권자) ① 5급 이상 경호공무원과 5급 상당 이상 별정직 국가공무원은 처장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용한다. 다만, 전보·휴직·겸임·파견·직위해제·정직(停職) 및 복직에 관한 사항은 처장이 행한다. ② 처장은 경호공무원 및 별정직 국가공무원에 대하여 제1항 외의 모든 임용권을 가진다. |
대통령경호실장 자리에는 군사정권 시절에는 쭉 현역 또는 예비역 장성급 군인이 임명되다가 문민정부 들어 최초로 경호공무원 출신이자 비장성(대위) 출신 박상범 실장[1]이 임명되었지만 1년 정도 뒤에 또 예비역 장성이 임명되어 국민의 정부까지 예비역 장성이 실장을 맡았다. 참여정부 들어서는 최초로 경찰공무원 출신 김세옥 실장이 임명되었고[2] 후임으로는 경호공무원 출신의 염상국 실장이 임명되어 참여정부는 유일하게 한 번도 군 출신 실장이 임명되지 않은 정부로 기록되었다.[3] 이명박 정부 출범 후에 개편된 대통령실 경호처장에는 김인종 예비역 대장을 임명하면서 다시 군 출신으로 회귀... 했다가 2011년 10월 27일 어청수 전 경찰청장을 내정하며 다시 경찰 출신을 임명했다. 그러나 박근혜 대통령은 다시 군 출신인 박흥렬 전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을 대통령경호실 부활 후 첫 실장으로 임명하였고 퇴임까지 이어진다.
본래 대통령비서실과 더불어 장관급의 독립기관이었으나 2008년 이명박 정부 출범 때 대통령실의 하위 기관으로 편입되었고 경호처장은 정무직 공무원의 차관급 직위였으나 2013년 2월 25일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면서 5년 만에 다시 장관급으로 격상되었다. 과거에는 현역 군인[4]도 임명될 수 있었지만 2005년 3월 10일자로 개정된 대통령경호실법부터 조항이 삭제되었다. 문재인 정부 이후 차관급 직위로 다시 격하되었다. 따라서 2021년 현재 기준 대통령경호처장은 차관급이다.
9대 박상범 대통령경호실장은 대통령경호실에서 경력을 쌓아서 실장까지 승진한 최초의 인물. 1974년 박정희 저격 미수 사건, 1979년 10.26 사건, 1983년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를 모두 거치고도 살아남은 기적적인 인물이기도 하다. 17대 주영훈 대통령경호처장도 대통령경호실에서 경력을 쌓아서 노무현 전 대통령 사망 후 권양숙 여사의 비서실장을 맡기 위해 잠시 그만두었다가 다시 경호처장이 된 인물이며, 후임 유연상 처장도 노태우 때부터 시작하여 28년 동안 7명의 대통령을 모시며 내부승진한 경호공무원 출신이다. 문재인 정부에서는 경호처장 모두 경호공무원 내부승진으로 내정한 정부로 남게 되었다. 그리고 윤석열 정부는 수도방위사령관을 지낸 김용현 예비역 중장을 신임 처장으로 내정하여[5] 다시 군장성이 처장을 맡게 되었다.
2. 역대 대통령경호처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통령경호실장 (1963~2008)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초대 홍종철 | 제2대 박종규 | 제3대 차지철 | 제4대 정동호 | 제5대 장세동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제6대 안현태 | 제7대 이현우 | 제8대 최석립 | 제9대 박상범 | 제10대 김광석 |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
제11대 안주섭 | 제12대 김세옥 | 제13대 염상국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nopad> 대통령실 경호처장 (2008~2013) | 대통령경호실장 (2013~2017)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제14대 김인종 | 제15대 어청수 | 제16대 박흥렬 | 제17대 주영훈 | ||||
대통령경호처장 (2017~현재)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17대 주영훈 | 제18대 유연상 | 제19대 김용현 | 제20대 박종준 | }}}}}}}}} |
2.1. 대통령경호실장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박정희 정부 | 초대 | 홍종철(洪鍾哲) | 1963년 12월 26일 ~ 1964년 5월 16일 |
2대 | 박종규(朴鐘圭) | 1964년 5월 17일 ~ 1974년 8월 21일 | |
3대 | 차지철(車智澈) | 1974년 8월 22일 ~ 1979년 10월 26일 | |
최규하 정부 | 4대 | 정동호(鄭東鎬) | 1979년 10월 30일 ~ 1981년 7월 12일 |
전두환 정부 | 5대 | 장세동(張世東) | 1981년 7월 13일 ~ 1985년 2월 18일 |
6대 | 안현태(安賢泰) | 1985년 2월 19일 ~ 1988년 2월 24일 | |
노태우 정부 | 7대 | 이현우(李賢雨) | 1988년 2월 25일 ~ 1992년 10월 8일 |
8대 | 최석립(崔石立) | 1992년 10월 9일 ~ 1993년 2월 24일 | |
문민정부 | 9대 | 박상범(朴相範) | 1993년 2월 25일 ~ 1994년 12월 22일 |
10대 | 김광석(金光石) | 1994년 12월 23일 ~ 1998년 2월 24일 | |
국민의 정부 | 11대 | 안주섭(安周燮) | 1998년 2월 25일 ~ 2003년 2월 24일 |
참여정부 | 12대 | 김세옥(金世鈺) | 2003년 2월 25일 ~ 2007년 3월 11일 |
13대 | 염상국(廉相國) | 2007년 3월 12일 ~ 2008년 2월 24일 |
2.2. 대통령실 경호처장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이명박 정부 | 14대 | 김인종(金仁鍾) | 2008년 2월 25일 ~ 2011년 10월 26일 |
15대 | 어청수(魚淸秀) | 2011년 10월 27일 ~ 2013년 2월 24일 |
2.3. 대통령경호실장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박근혜 정부 | 16대 | 박흥렬(朴興烈) | 2013년 2월 25일 ~ 2017년 5월 9일 |
2.4. 대통령경호처장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문재인 정부 | 17대 | 주영훈(周映訓) | 2017년 5월 10일 ~ 2020년 5월 18일 |
18대 | 유연상(柳鍊相) | 2020년 5월 19일 ~ 2022년 5월 9일 | |
윤석열 정부 | 19대 | 김용현(金龍顯) | 2022년 5월 10일 ~ 2024년 9월 6일 |
20대 | 박종준(朴鐘俊) | 2024년 9월 9일 ~ 현재 |
3. 둘러보기
중앙행정기관의 장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0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부총리급 인사 장관급 인사 차관급 인사 고공단 가급 인사 고공단 나급 인사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통령 직속기관장 | ||||||
감사원 역대 원장 | 국가정보원 역대 원장 | 국가안보실 역대 실장 | |||||
대통령비서실 역대 실장 | 방송통신위원회 역대 위원장 | 대통령경호처 역대 처장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무총리 직속기관장 | |||
공정거래위원회 역대 위원장 | 금융위원회 역대 위원장 | 국민권익위원회 역대 위원장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역대 위원장 | ||||
국무조정실 역대 실장 | 국무총리비서실 역대 실장 | 원자력안전위원회 역대 위원장 | 인사혁신처 역대 처장 | ||||
법제처 역대 처장 | 식품의약품안전처 역대 처장 |
역대 국무위원 · 현임 국무위원 | }}}}}}}}}}}}}}} |
[1] 박상범 실장은 경호공무원 임용 전에 해병대 예비역 대위였다. 그러니 완전한 민간인은 아니고 절반은 군인 출신이었지만 장성급이 아닌 대위 계급장만 가진 사람을 임명한 것으로도 상당히 진보한 것이었다.[2] 다만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이승만 정부시절 경호처장의 조상격인 경무대경찰서장에 현직 경찰인 곽영주가 임명된 바가 있으나 이때는 별도의 경호실이 아닌 경찰서로서 존재했으므로 논외.[3] 다만 염상국 실장도 완전히 군출신이 아니라고 말하기 힘든점이 엄연히 사병 출신이 아니고 장교 출신이다. 육군 제7공수특전여단 중위로 예편했다. (학군 18기) 다만 의무복무만 하고 전역했다는 점으로 인해 사병 출신과 비슷하게 보는 견해가 강하다.[4]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등 군사정권이 30여 년 정도 지속되었던 까닭이 크다.[5] 김 처장은 국방장관으로 내정된 이종섭 전 7군단장의 육사 2년 선배이며, 윤석열 대통령의 충암고 1년 선배이다. 또한 김 처장은 사실상 대장(진) 보직인 합참 작전본부장을 역임한 군사작전 분야의 전문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