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둥 헝다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광저우시를 연고로 하는 축구단에 대한 내용은 광저우 FC 문서 참고하십시오. 병합 토론 중{{{#!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 중국 여자 배구 슈퍼 리그 2021-22 시즌 참가 구단 | }}} |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2c292a; margin:-5px -1px -11px" | 상하이 브라이트 유베스트 | 윈난대학 뎬츠학원 | 베이징 BAIC 모터 | 쓰촨 여자 배구 |
톈진 보하이은행 | 산둥 르자오 철강 | 광둥 장먼 CNSG | 장쑤 제니스 스틸 | |
허베이 하이루이 | 허난 여자 배구 | 저장 자산 시탕 | 선전 피닉스 | |
푸젠 안시 철관음 | 랴오닝 화쥔 | |||
<colbgcolor=#ddd,#212121> |
헝다그룹 산하 스포츠단 | |
광저우 FC (축구) | (배구) |
| |
<colcolor=#ffffff> 광둥 장먼 CNSG 广东江门华体女子排球俱乐部 | |
<colbgcolor=#181878> 정식 명칭 | 광둥 여자 배구단 |
창단 | 2009년 4월 24일 |
소속 리그 | 중국 배구 슈퍼 리그 |
연고지 | 광둥성 |
홈구장 | 선전시 바오안체육관(宝安体育馆) (수용 인원: 8,188명) |
소유주 | 장먼 이다 화학(Eda petro) 화티그룹(China National Sports Group) |
감독 | 팡옌(方岩) |
우승 기록 | |
중국 슈퍼 리그 (1회) | 2011-12 |
AVC 클럽 챔피언십 (1회) | 2013 |
[clearfix]
1. 개요
연고지를 광둥성에 두고 있는 중국 여자 배구 리그의 여자 프로 배구단. 2009년 설립한 구단으로 초대 구단주는 중국 부동산 재벌 헝다그룹이다. 2021년 헝다그룹 파산 위기 발생 이후 장먼 이다 화학 및 화티 그룹에서 인수하였다.2. 역대 명칭
- 광둥 에버그란데 여자 배구단 (广东恒大女子排球俱乐部) 2009. 04. ~ 2021. 10.
- 광둥 장먼 CNSG 여자 배구단 (广东江门华体女子排球俱乐部) 2021. 11. ~
3. 역대 로고
| |
광둥 에버그란데 2009. 04. ~ 2021. 10. | 광둥 장먼 CNSG 2021. 11. ~ |
4. 선수단
5. 역대 시즌
===# 2018-19 시즌 #===
https://cva-web.dataproject.com/CompetitionTeamDetails.aspx?TeamID=63&ID=4
===# 2019-20 시즌 #===
https://cva-web.dataproject.com/CompetitionTeamDetails.aspx?TeamID=285&ID=37
5.1. 2020-21 시즌
<rowcolor=#fff> 번호 | 국적 | 이름 | 포지션 | 신장 | 생년월일 |
1 | | 陈佩妍 | 라이트 | 194 | 1999.09.16 |
2 | | 栗 垚 | 레프트 | 186 | 1995.10.23 |
3 | | Kelsey Robinson | 레프트 | 188 | 1992.06.25 |
5 | | Dobriana Rabadžieva | 레프트 | 187 | 1991.06.14 |
6 | | 郁佳睿 | 세터 | 182 | 1997.10.23 |
7 | | 王文涵 | 센터 | 192 | 2002.06.28 |
8 | | 孙 燕 | 세터 | 187 | 2001.07.06 |
9 | | 张楚楠 | 레프트 | 182 | 1995.10.09 |
10 | | 王 敏 | 리베로 | 178 | 1997.05.14 |
11 | | 张佳欣 | 센터 | 182 | 2000.04.20 |
14 | | 郭慧珍 | 센터 | 191 | 1998.10.10 |
15 | | 张凤媚 | 센터 | 184 | 1997.11.11 |
18 | | 宋欣瑜 | 리베로 | 172 | 1997.08.02 |
20 | | 皮雁驰 | 레프트 | 185 | 1993.02.23 |
- 출처: #
6. 출신 선수
- 랑핑 2009-2014
- 펑쿤 2009–2011
- 인인(殷茵) 2009–2010
- 양하오(杨昊) 2009–2010
- 저우쑤훙(周苏红) 2009–2010
- 왕리나(王丽娜) 2011–2012
- 주팅 2012-2013
- 후이뤄치(惠若琪) 2013-2014
- 위안신웨 2013-2014
6.1. 역대 외국인 선수
<rowcolor=#fff> 국적 | 이름 | 기간 | 비고 |
크리스타 하모토[1] | 2009–2010 | ||
니콜 데이비스[2] | 2009–2010 | ||
로건 톰 | 2010-2011 | ||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 2010-2011 | ||
윌라반 아핀야퐁[3] | 2010–2011 | ||
카타르지냐 스코브론스카-돌라타[4] | 2011–2013 | ||
카롤리나 코스타그란데[5] | 2011–2013 | ||
니콜 포셋 | 2011–2012 | ||
킴벌리 글래스[6] | 2012–2013 | ||
케니 모레노 | 2015 | ||
페르난다 가라이[7] | 2016–2017 | ||
도브리아나 라밧지예바[8] | 2018-2021 | ||
탄다라 카이세타 | 2018-2019 | ||
타티아나 코셸레바 | 2019–2020 | ||
켈시 로빈슨[9] | 2020-2021 |
7. 역대 성적
- 중국 배구 슈퍼 리그
- 우승 (1회): 2011-12
- 준우승 (2회): 2010-11, 2012-13
- AVC 여자 클럽 챔피언십(아시아 여자 배구 클럽 선수권 대회)
- 우승 (1회): 2013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851480><tablebgcolor=#851480> | AVC 여자 클럽 챔피언십 우승 구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white> 순서 | 우승 구단 | 국가 | 첫 우승 연도 | 우승 횟수 | |
1 | | <colcolor=#373a3c><colbgcolor=#ffd700> LG정유 | <colbgcolor=#eeeeef,#18181a> | 1999년 | ★ 1회 | |
2 | 상하이 유선 | 상하이 유선 | | 2000년 | ★★ 2회 | |
3 | | 히사미츠 스프링스 | | 2002년 | ★★ 2회 | |
4 | | 라핫 알마티 | | 2004년 | ★★ 2회 | |
5 | 톈진 브리지스톤 | 톈진 브리지스톤 | | 2005년 | ★★★★★ 5회 | |
6 | | Federbrau | | 2009년 | ★★★ 3회 | |
7 | | 광둥 에버그란데 | | 2013년 | ★ 1회 | |
8 | | 방콕 글래스 | | 2015년 | ★ 1회 | |
9 | | NEC 레드 로켓츠 | | 2016년 | ★ 1회 | |
10 | | 슈프림 촌부리 | | 2017년 | ★★ 2회 |
[1] Christa Harmotto[2] Nicole Davis[3] Wilavan Apinyapong[4] Katarzyna Skowrońska-Dolata[5] Carolina Costagrande[6] Kimberly Marie Glass[7] Fernanda Garay[8] Dobriana Rabadžieva[9] Kelsey Robin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