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10:03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영화)

이준익 감독 장편 연출 작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1993 키드캅 로고.png 파일:2003 황산벌 로고.png 파일:2005 왕의 남자 로고.png
파일:2006 라디오 스타 로고.png 파일:2007 즐거운 인생 로고.png 파일:2008 님은 먼 곳에 로고.png
파일:2010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로고.png 파일:2011 평양성 로고.png 파일:2013 소원 로고.png
파일:2015 사도 로고.png 파일:2016 동주 로고.png 파일:2017 박열 로고.png
파일:2018 변산 로고.png 파일:2021 자산어보 로고.png
※ TV 드라마 제외 }}}}}}}}}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2010)
Blades of Blood
파일:external/3dfc1800677a796956d4badea53440ec6db693d97800a4877be5f355a8db4172.jpg
감독 이준익
각본 조철현, 오승현, 최석환
원작 박흥용 - 만화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제작 조철현, 이정세, 오승현
기획 조철현
조감독 이안규
촬영 정정훈, 유억
조명 주성림
편집 김상범, 김재범
동시녹음 임형근
음향 LIVE TONE
미술 강승용
음악 김수철, 김준석
출연 황정민, 차승원, 한지혜, 백성현, 김창환, 류승룡
장르 시대극, 액션
제작사 ㈜영화사 아침, ㈜타이거픽쳐스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K플래닛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년 4월 28일
상영 시간 111분
총 관객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407,681명
월드 박스오피스 $8,258,631
국내등급 파일:영등위_15세이상_초기.svg 15세 이상 관람가

1. 개요2. 시놉시스3. 등장인물
3.1. 특별출연
4. 평가
4.1. 인물평
5. 고증6. 명대사7. 기타

[clearfix]

1. 개요

황산벌왕의 남자를 만든 이준익 감독의 영화. 동명의 만화를 원작으로 한다.

2. 시놉시스

왕은 백성을 버렸고

1592년 임진왜란 직전의 조선, 그 혼돈과 광기의 시대
임진왜란의 기운이 조선의 숨통을 조여 오고 민초들의 삶은 피폐해져만 가던 선조 25년. 황정학(황정민), 이몽학(차승원)은 평등 세상을 꿈꾸며 ‘대동계’를 만들어 관군을 대신해 왜구와 싸우지만 조정은 이들을 역모로 몰아 대동계를 해체시킨다.

썩어빠진 세상을 뒤엎을 반란이 시작된다!
대동계의 새로운 수장이 된 이몽학은 썩어빠진 세상을 뒤엎고 스스로 왕이 되려는 야망을 키우고 친구는 물론 오랜 연인인 백지(한지혜)마저 버린 채, 세도가 한신균 일가의 몰살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반란의 칼을 뽑아 든다. 한때 동지였던 이몽학이 반란의 길을 가려는 것을 알게 된 맹인 검객 황정학은 그의 결심을 되돌리기 위해, 이몽학에 의해 아버지를 잃은 한신균의 서자 견자(백성현)와 함께 그를 추격한다.

슬픈 반란 속, 엇갈린 운명의 길을 가야만 했던 그들!
15만명의 일본군이 순식간에 한양까지 쳐들어 오고, 왕조차 나라를 버리고 궁을 떠나려는 절체절명의 순간. 이몽학의 칼 끝은 궁을 향하고, 황정학 일행 역시 이몽학을 쫓아 궁으로 향한다. 포화가 가득한 텅 빈 궁에서 마주친 이들은 운명을 건 마지막 대결을 시작하는데…

전쟁과 반란의 소용돌이 속에서, 세상 끝까지 달려간 이들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3. 등장인물

파일:115C8D114AEF916C63.jpg
황정학 (황정민 扮)
맹인 검객.
파일:195C8D114AEF916961.jpg
백지 (한지혜 扮)
파일:175C8D114AEF916860.jpg
견자 (백성현 扮)[1]
파일:20793D174BD8746F05.jpg
선조 (김창완 扮)
파일:11793D174BD8747007.jpg
한신균 (송영창 扮)
파일:14793D174BD8746C02.jpg
방짜쟁이 (정규수 扮)

3.1. 특별출연

파일:16793D174BD8746D03.jpg
기생 어멈 (김보연 扮)
파일:18793D174BD8746E04.jpg
박돌석 (김상호 扮)

4. 평가

★★☆
인물에 도무지 공감할 수 없소이다
-김종철-

★★☆
인상적인 대사들을 그저 실어나르는 서사
-이동진-

★★★
안전한 감동과 허무한 꿈 대신 ‘살아!’라고 말했다면
-이용철-

★★☆
풍자와 냉소로 뜬구름 잡기
-박평식-

★★☆
차라리 황정학으로 이야기를 끌고갔다면
-문석-

★★
구르믈 버서난 달이 어디에 떠 있든 말든
-김도훈-

원작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에서는 등장인물의 이름과 기본적인 외형 정도만을 따왔다고 해도 될 정도로, 스토리와 등장인물들 성격이 전혀 다르다. 원작에 비해 완성도가 떨어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장르는 액션인데 슬로우 모션이 너무 많이 들어가서 지루했다는 의견도 나왔다.

반대로 원작을 보지 않고 영화만을 본 사람들의 평은 사뭇 다르다. 이야기 전개가 단조롭지만 일관적이어서 몰입해서 볼 수 있으며, 배우들의 캐릭터가 확실한 점이 장점이라고 한다. 또한, 슬로우 모션을 사용한 액션이 약간 늘어지지만 인상적이었다는 평가도 있다.

아이언맨 2와 겹치는 바람에 흥행성적은 150만 관객을 모으며 그냥저냥한 수준으로 마무리되었다.

4.1. 인물평

5. 고증

별로 좋은 평을 듣지 못했다. 우선 실제 역사에서는 임진왜란 후반기인 정유재란 직전에 발발했던 이몽학의 난이 영화에서는 임진왜란 직후에 일어난다. 작중에서 대동계를 끌고 한양으로 진군하며 수원성에 입성하는 장면에서 신립이 충주에서 패했다는 말이 나온다. 물론 이 부분은 극을 이끌어가기 위한 감독의 각색이기는 하지만, 가토 기요마사고니시 유키나가보다 먼저 한양에 입성하는 등 역사적 사실과 어긋나는 부분이 많다. 무엇보다도 정여립이 세운 대동계와 이몽학이 관계가 있다는 역사적 정황 자체가 없다.
파일:leemonghak.jpg

다만, 무기의 경우에는 이몽학을 포함하여 엑스트라 모두 제대로 된 환도를 들고 있다. 이준익 감독의 전작 왕의 남자에서 관군들이 일본도를 든 것에 적지 않은 비판을 받은 것을 의식한 듯 하다. 하지만 아래의 사진과 같은 특유의 패용법은 고증되지 않았는데, 관군이라도 띠돈을 이용한 패용법을 고증했으면 좋았을 것이란 아쉬움도 있다.

파일:external/www.kjclub.com/d0010108_46f6284852075.jpg

6. 명대사

“나라를 살려? 언제 나라가 뒈졌냐? 우리들이 왜놈들 막자고 대동계 만들었지, 나라 도둑질 할라고 만들었냐? 시방.”
-황정학-
“구름에 가렸다고 달이 없냐? 몽학이는 떨어지는 해를 쫓아갔는디, 그 몽학이가 구름이냐? 달이냐?”[2]
-황정학-
황정학: "칼잽이가 칼 앞에 나서믄 너처럼 되는 것이여!"
이몽학: "난 칼 뒤에 숨는 게 싫더라고."
황정학: “몽학아, 한양 가지 마라...”
이몽학: “우리가 같이 살자고 꾼 꿈이 이게 아니오?”
황정학: “아, 아니여... 아니여... 이건 다 같이 죽는 꿈이여...”
이몽학: “난 이 꿈을 깨고 싶지 않소.”

7. 기타



[1] 본명은 한견주. 한신균의 얼자다.[2] 영화의 주제가 이 대사에 집약되지만 영화가 워낙 중구난방이라 이해 못하는 사람이 더 많다. 대체로 해는 임금을, 구름은 간신과 대동계를, 마지막으로 달은 구름에서 벗어난 자유, 민중을 상징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