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연도별로 포스트시즌 결승/4강에 진출한 캐릭터를 풀네임으로 표기하며, 순위에 맞게 표기한다.[41]
국제 사이모에 리그 결승/4강 진출자
연도
우승
준우승
4강
08
페이트 테스타로사
나가토 유키
히이라기 카가미
이즈미 코나타
09
카츠라 히나기쿠
샤나
사카가미 토모요
나가토 유키
10
아키야마 미오
미사카 미코토
샤나
나카노 아즈사
11
미사카 미코토
샤나
타치바나 카나데
고코우 루리
12
타치바나 카나데
유클리우드 헬사이즈
고코우 루리
아이사카 타이가
13
고코우 루리
타치바나 카나데
유클리우드 헬사이즈
미사카 미코토
14
이츠카 코토리
시이나 마시로
타치바나 카나데
아라가키 아야세
15
지탄다 에루
유키노시타 유키노
시이나 마시로
키리사키 치토게
16
샤나
이리야스필 폰 아인츠베른
시이나 마시로
유키노시타 유키노
17
카토 메구미
에밀리아
유우키 아스나
시이나 마시로
18
렘
칸나 카무이
유키노시타 유키노
시이나 마시로
19
바이올렛 에버가든
토오사카 린
사쿠라지마 마이
시이나 마시로
20
유키노시타 유키노
미사카 미코토
사쿠라지마 마이
시노미야 카구야
21
일레이나
미사카 미코토
시노미야 카구야
시이나 마시로
22
미사카 미코토
바이올렛 에버가든
렘
타카나시 릿카
23
오마에 쿠미코
고토 히토리
나카노 아즈사
유우키 아스나
[ 8강 진출자 | 펼치기 · 접기 ]
각 연도별로 포스트시즌 8강[42]에 진출한 캐릭터를 약칭(4글자 이하)으로 표기한다. 순서는 순위와 관계없이 표기하며, 2회 연속 출전시 칸을 묶으며, 3회 이상 연속 출전 시 풀네임으로 서술한다. 세대별 표기 - 1세대: 빨간색, 2세대: 노란색, 3세대: 초록색, 4세대: 파란색, 5세대 보라색
연도
국제 사이모에 리그 8강 진출자
08
샤나
나가토 유키
스즈미야 하루히
코토미
토모요
카가미
코나타
페이트
09
쿄
카츠라 히나기쿠
10
미오
아즈사
미사카 미코토
아이사카 타이가
11
타치바나 카나데
고코우 루리
12
유리
미오
헬사이즈
13
흑설공주
시이나 마시로
아즈사
아야세
14
아스나
나나미
요시노
코토리
15
에루
유키노
유이
치요
코사키
치토게
16
샤나
나오
세이버
이리야
린
시로
17
아스나
에밀리아
렘
카토
타이가
18
유키노
릿카
칸나
세니오
시로
19
쿠루미
에밀리아
바이올렛
사기리
린
사쿠라지마 마이
20
아스나
유키노
카구야
하야사카
미사카 미코토
21
쿠루미
카나데
릿카
일레이나
22
에루
렘
유키노
바이올렛
23
아스나
쿠미코
히토리
나오
아즈사
유이
시로
[ 16강 진출자 | 펼치기 · 접기 ]
각 연도별로 포스트시즌 16강에 진출한 캐릭터를 약칭(4글자 이하)으로 표기한다. 순서는 순위와 관계없이 표기하며, 2회 연속 출전시 칸을 묶으며, 3회 이상 연속 출전 시 풀네임으로 서술한다. 세대별 표기 - 1세대: 빨간색, 2세대: 노란색, 3세대: 초록색, 4세대: 파란색, 5세대 보라색
1위: 미사카 미코토 - 136점 첫 등장: 2009년, 세대: 2세대, 활약 시기: 2010~2014 / 2020~2022, 위상: 2세대 양대 산맥 최고 기록: 우승(2011, 2022), 목걸이: 9개(7색) 기타 기록: 정규리그 3회 우승(2012, 2014, 2022), ToC 3회 우승(2017, 2018, 2023), 연승 2위(91연승)/6위(62연승), 통산 승률 6위(85.5%), 결승 최다/연속 진출(5회/3년), 4강 최다 진출 2위(6회), 8강 최다 진출 2위(7회)
2위: 시이나 마시로 - 132점 첫 등장: 2013년, 세대: 3세대, 활약 시기: 2013~2023, 위상: 3세대 초기 전통 강자 최고 기록: 준우승(2014), 목걸이: 11개(7색) 기타 기록: 정규리그 2회 우승(2013, 2016), 통산 승률 3위(90.3%) 4강 최다/연속 진출(7회/6년), 8강 최다/연속 진출(9회/9년), 포스트시즌 최다/연속 진출(11회/11년), 포스트시즌 최다승(28승)
3위: 타치바나 카나데 - 107점 첫 등장: 2011년, 세대: 2세대, 활약 시기: 2011~2014 / 2021, 위상: 2세대 양대 산맥 최고 기록: 우승(2012), 목걸이: 7개(5색) 기타 기록: 정규리그 2회 우승(2011, 2012), ToC 1회 우승(2015), 연승 1위(112연승), 통산 승률 2위(91.7%), 2012년 전승우승, 결승 연속 진출 2위(2년), 4강 연속 진출 2위(4년), 포스트시즌 최다 연승(15연승)
4위: 샤나 - 100점 첫 등장: 2008년, 세대: 1세대, 활약 시기: 2008~2011 / 2016, 위상: 1세대 양대 전설 최고 기록: 우승(2016), 목걸이: 7개(6색) 기타 기록: 정규리그 2회 우승(2009, 2010), 다승 3위(336승), 연승 4위(74연승), 통산 승률 5위(88.6%), 결승 최다 진출 2위(3회)
5위: 나가토 유키 - 87점 첫 등장: 2008년, 세대: 1세대, 활약 시기: 2008~2012, 위상: 1세대 양대 전설 최고 기록: 준우승(2008), 목걸이: 3개(2색), 기타 기록: 다승 6위(304승), 8강 연속 진출 2위(5년)
6위: 유우키 아스나 - 68점 첫 등장: 2013년, 세대: 3세대, 활약 시기: 2013~2021 / 2023, 위상: 3세대 초기 전통 강자 최고 기록: 4강(2017,2023), 목걸이: 8개(7색), 기타 기록: 포스트시즌 최다/연속 진출 2위(9회/9년)
7위: 유키노시타 유키노 - 61점 첫 등장: 2015년, 세대: 3세대, 활약 시기: 2015~2020, 위상: 3세대 후기 전통 강자 최고 기록: 우승(2020), 목걸이: 5개(3색), 기타 기록: 통산 승률 4위(88.8%)
8위: 고코우 루리 - 60점 첫 등장: 2011년, 세대: 2세대, 활약 시기: 2011~2014, 위상: 2세대 중견 강호 최고 기록: 우승(2013), 목걸이: 3개(2색), 기타 기록: 정규리그 1회 우승(2013), 통산 승률 1위(92.9%)
공동 9위: 아이사카 타이가 - 51점 첫 등장: 2009년, 세대: 1세대, 활약 시기: 2010~2012 / 2017, 위상: 1세대 중견 강호 최고 기록: 4강(2012), 목걸이: 2개(2색), 기타 기록: 다승 4위(333승)
공동 9위: 토오사카 린 - 51점 첫 등장: 2008년, 세대: 3세대, 활약 시기: 2015~2020, 위상: 3세대 후기 전통 강자 최고 기록: 준우승(2019), 목걸이: 4개(4색), 기타 기록: 정규리그 1회 우승(2015), 다승 2위(337승), 대회 예선 개근(15회)
공동 11위: 토키사키 쿠루미 - 48점 첫 등장: 2014년, 세대: 3세대, 활약 시기: 2014~2021, 위상: 3세대 후기 전통 강자 최고 기록: 8강(2019, 2021), 목걸이: 3개(3색), 기타 기록: 없음
공동 11위: 타카나시 릿카 - 48점 첫 등장: 2013년, 세대: 3세대, 활약 시기: 2013 / 2018~2023, 위상: 3세대 초기 전통 강자 최고 기록: 4강(2022), 목걸이: 5개(5색), 기타 기록: 정규리그 1회 우승(2023)
13위: 카츠라 히나기쿠 - 45점 첫 등장: 2008년, 세대: 세대, 활약 시기: 2009~2011, 위상: 1세대 중견 강호 최고 기록: 우승(2009), 목걸이: 1개(1색), 기타 기록: 없음
14위: 사쿠라지마 마이 - 41점 첫 등장: 2019년, 세대: 4세대, 활약 시기: 2019~2023, 위상: 4세대 신흥 강자 최고 기록: 4강(2019, 2020), 목걸이: 2개(2색), 기타 기록: 정규리그 1회 우승(2019)
15위: 렘 - 39점 첫 등장: 2017년, 세대: 4세대, 활약 시기: 2017~2018 / 2022, 위상: 4세대 신흥 강자 최고 기록: 우승(2018), 목걸이: 2개(1색), 기타 기록: 정규리그 2회 우승(2017, 2018), ToC 1회 우승(2019)
공동 16위: 스즈미야 하루히 - 36점 첫 등장: 2008년, 세대: 1세대, 활약 시기: 2008~2010, 위상: 1세대 중견 강호 최고 기록: 8강(2008, 2009, 2010), 목걸이: 2개(2색) 기타 기록: 다승 5위(313승), 연승 5위(68승), 최초의 목걸이 연속 수상, 대회 예선 개근(15회), 단독 기간 재패(2008 다이아몬드)
공동 16위: 아키야마 미오 - 36점 첫 등장: 2010년, 세대: 2세대, 활약 시기: 2010~2012, 위상: 2세대 중견 강호 최고 기록: 우승(2010), 목걸이: 2개(2색), 기타 기록: 없음
18위: 나카노 아즈사 - 34점 첫 등장: 2010년, 세대: 5세대, 활약 시기: 2010~2013, 위상: 2세대 중견 강호 최고 기록: 4강(2010, 2023), 목걸이: 1개(1색), 기타 기록: 없음
공동 19위: 사카가미 토모요 - 33점 첫 등장: 2008, 세대: 1세대, 활약 시기: 2008~2010, 위상: 1세대 중견 강호 최고 기록: 4강(2012), 목걸이: 1개(1색), 기타 기록: 없음
공동 19위: 에밀리아 - 33점 첫 등장: 2017년, 세대: 4세대, 활약 시기: 2017~2020, 위상: 4세대 약소 강호 최고 기록: 준우승(2017), 목걸이: 1개(1색), 기타 기록: 없음
다른 대회와는 달리 국사모는 정규시즌, 목걸이 결정전, 부문 결선의 존재 때문에 우승자라 해도 전승을 거둔 경우가 굉장히 드물다. 2012년 타치바나 카나데만이 완벽한 전승을 거두었고[43], 2021년 일레이나는 무패이긴 하나 다인전인 목걸이 결정전에서 승리하지 못했기에 전승은 아니다. 단축시즌이었던 2016년 샤나와 2022년 미사카 미코토도 무패이지만 이들은 총 경기 수가 15경기에 불과해 무패 조건이 다른 연도에 비해 너무 쉬웠으며, 특히 후자는 그 해 4번 참가한 결정전에서 2번 목걸이를 딴 것이라 전승이 아니다.
앞서 언급한 4개 시즌을 제외한 나머지 11개 시즌에서는 모두 우승자의 패배(총 35회)가 있었는데, 그 중 1패 5회(11, 13, 18, 19, 20), 2패 2회(10, 14), 3패 2회(08, 17)였으며 2015년 지탄다 에루는 8패를, 2009년 카츠라 히나기쿠는 12패를 당했다. 이 2명(에루/히나기쿠)의 패배 수 합계는 20회로, 나머지 9명의 패배 수 합계인 15회보다도 많다. 3패 밖에 당하지 않은 2008년 페이트 테스타로사와 2017년 카토 메구미조차도 운이 상당히 좋았거나, 부정한 방법으로 우승을 차지했다고 평가를 받는 와중에 8패와 12패라는 독보적으로 많은 패배를 당한 히나기쿠와 에루는 말 할 것도 없이 좋은 평가[44]를 받지 못한다.
2시드 (22점) : 저주받은 시드 1. 08~15시즌의 8년 동안 11시즌 미사카 미코토의 우승을 제외하면 단 1명도 4강을 밟지 못했다. 심지어 14시즌의 미코토와 15시즌의 린은 8강조차 밟지 못하며 광탈당했고, 명색이 최상위권 우승 후보인 2시드임에도 불구하고 8강 탈락자 수가 9시드에 이어 2번째로 많다. 그나마 17시즌부터 반등해 20시즌 유키노시타 유키노가 우승하는 등 선전했지만, 대회 중반부까지 너무 많은 포인트를 까먹은 탓에 결선 종합점이 3시드와 4시드에 밀려 4위를 기록하는 불명예를 떠안았다.
우승 2회(11, 20), 준우승 2회(18, 21), 4강 1회(17), 8강 6회(08, 09, 10, 12, 13, 19), 탈락 2회(14, 15)
3시드 (27점) : 아키야마 미오의 우승을 비롯해 3시드 전원이 8강 랭크 성공 + 준우승/4강에 7명이나 이름을 올리는 등 2시드에 비하면 훨씬 더 나은 성적을 거두었다. 다만 3시드 중 8강에서 탈락한 캐릭터들은 하나같이 그 해 정규시즌에서 두각을 드러내던 캐릭터(하루히, 나가토, 요시노, 아스나, 사기리)들이었기에 아쉬울 따름.
우승 1회(10), 준우승 4회(12, 13, 15, 20), 4강 3회(09, 17, 21), 8강 5회(08, 11, 14, 18, 19)
5시드 (12점) : 저주받은 시드 2. 우승자를 만들지 못한 가장 높은 시드로, 준우승 이상 진출자가 11시즌의 샤나 1명 + 4강 진출자도 12/13시즌의 부문 리그 수혜를 받은 고코우 루리, 미사카 미코토 둘 뿐으로 상당히 부진했다. 8강 예측권 중 가장 높은 시드임에도 불구하고 16강 탈락자가 5명이나 나오며 6시드와 7시드에게 밀려 결선 종합점 순위가 7위까지 밀려났다.
우승 0회, 준우승 1회(11), 4강 2회(12, 13), 8강 5회(09, 10, 15, 18, 21), 탈락 5회(08, 14, 17, 19, 20)
6시드 (15점) : 평범한 성적을 기록한 시드로, 우승은 없지만 08시즌 나가토 유키와 14시즌 시이나 마시로를 준우승자로 배출해내며 4시드 이하 시드 중 가장 많은 준우승자를 보유한 시드가 되었으며, 11시즌 고코우 루리와 12시즌 아이사카 타이가에게 첫 4강 진출의 영광을 선사하는 등 나쁘지 않은 활약을 펼쳤다. 대회 중후반부(15~18)에 잠시 부진했던 것을 제외하면 대체로 기복없이 꾸준히 성과를 내온 시드.
우승 0회, 준우승 2회(08, 14), 4강 2회(11, 12), 8강 5회(10, 13, 19, 20, 21), 탈락 4회(09, 15, 17, 18)
7시드 (19점) : 축복받은 시드. 이론상 7시드라는 위치는 우승/준우승은 고사하고 4강 진출도 매우 힘든 시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08~10시즌(카가미, 나가토, 아즈사)과 17~19시즌(카토, 마시로, 린)에 두번씩이나 3연속 4강 진출자를 배출하는 맹활약을 펼쳤으며, 비록 논란이 있지만 17시즌 카토 메구미가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우승 1회(17), 준우승 1회(19), 4강 4회(08, 09, 10, 18), 8강 4회(11, 14, 20, 21), 탈락 3회(12, 13, 15)
8시드 (9점) : 상당히 아쉬운 결과를 얻은 시드인데, 8강 막차권인 8시드에도 불구하고 8강 이상에 랭크된 것이 절반도 안되는 6회에 그치며 9시드보다 낮은 성적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비록 2015년 지탄다 에루가 만들어낸 희대의 우승이 하나 있긴 하나, 이를 제외한 다른 8강 탈락자(코토미, 린, 히나기쿠, 미오, 루리)들은 코토미를 제외하면 겨우겨우 턱걸이로 8강에 오른 것이라 좋은 성과라 볼 수 없는 실정이다.
우승 1회(15), 준우승 0회, 4강 0회, 8강 5회(08, 09, 11, 12, 14), 탈락 7회(10, 13, 17, 18, 19, 20, 21)
9시드 (11점) : 비록 우승자/준우승자를 모두 배출하지 못한 가장 높은 시드라는 불명예 기록을 세웠지만 성적 자체는 양호한 편이다. 명목상 8강권이 아님에도 8강 진출자를 9명이나 만들어냈으며, 그 중 13시즌 유클리우드 헬사이즈와 19시즌 시이나 마시로가 4강까지 올라가며 가장 선전하였다.
우승 0회, 준우승 0회, 4강 2회(13, 19), 8강 7회(10, 12, 15, 17, 18, 20, 21), 탈락 4회(08, 09, 11, 14)
10시드 (1점) : 저주받은 시드 3. 후술할 11~14시드보다도 못한 성적을 기록한 시드로, 2012년 나가토 유키를 제외한 모든 10시드 캐릭터가 8강 진출에 실패하였으며, 모든 캐릭터가 4강 진출에 실패한 가장 높은 시드로 기록되었다.
우승 0회, 준우승 0회, 4강 0회, 8강 1회(12), 탈락 12회(08~11, 13~15, 16~21)
11시드 (7점) : 대체로 11시드라는 평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성적을 거두었지만, 2009년 카츠라 히나기쿠의 우승 덕에 11시드는 가장 낮은 시드의 우승자를 만들어낸 시드라는 영예를 얻을 수 있었다.
우승 1회(09), 준우승 0회, 4강 0회, 8강 3회(13, 17, 18), 탈락 9회(08, 10, 11, 12, 14, 15, 19, 20, 21)
우승 0회, 준우승 0회, 4강 1회(15), 8강 0회, 탈락 12회(08~14, 17~21)
16시드 이하 (2점) : 13시즌에 아라가키 아야세(17시드)와 14시즌 아오야마 나나미(19시드)가 결선에 진출하였다.
우승 0회, 준우승 0회, 4강 0회, 8강 2회(13, 14), 그 외 전체 탈락
[기준1] 08~15시즌은 국사모 공식 사이트의 통계 부문에 집계된 정규리그 순위에 따라 순위를 부여하고, 16시즌부터는 정규리그 총 집계가 없으므로 결선 시딩(seeding)을 기준으로 한다.[기준2] 08~11시즌/16~21시즌 Q-T-A-S-E-R-D, 12~15시즌 A-D-S-A-R-E-T, 22시즌 T-S-E-A-Q-D-R, 23시즌 Q-A-R-D-E-T-S 순으로 상위 목걸이로 판정한다.[기준3] 08~10시즌은 결선 라운드를 기준으로 4강 진출자를, 승자조를 기준으로 8강 진출자를 판단한다.[기준4] 노바-스텔라 공동 전승 1위일 경우 각 2점 배분[기준5] 디바인 서클릿 배점은 패자부활전 체제가 아닌 21시즌부터만 적용한다.[6] 비록 우승은 차지하지 못했지만, 최종 TOP 10 가운데 2위(유키), 3위(카가미), 4위(코나타), 5위(코토미), 7위(토모요), 9위(하루히), 10위(쿄)를 모두 쿄애니 3대장이 싹쓸이하면서 1위(페이트), 6위(샤나), 8위(cc) 단 3자리만 다른 진영에게 돌아갔다.[7] 정규리그 TOP 8에 든 4명 이외에 히이라기 카가미(9위)와 아사히나 미쿠루(12위)가 추가로 순위권에 진출했다.[동점] 전체 동점은 같은 순위로 표기하며, 1년 동점은 5년 단위 순위가 높은 캐릭터를 우위로 한다.[9]히이라기 츠카사, 산젠인 나기, 아사히나 미쿠루[10]사쿠라자키 세츠나, 후루데 리카, C.C., 현랑 호로[11]카와스미 마이, 류구 레나, 이부키 후코, 후루카와 나기사, 센고쿠 나데코, 센조가하라 히타기[12]츠키미야 아유, 미나세 나유키, 에반젤린 맥도웰, 마리아, 히라사와 유이, 샤를로트 뒤누아, 시라키인 리리치요, 유우키 아스나, 흑설공주, 타카나시 릿카[13] 이러한 스텔라 헬게이트는 포스트시즌까지 이어졌고, 1위 토오사카 린과 3위 이리야스필 폰 아인츠베른이 16강 진출에 실패하는 이변이 일어나는 계기가 되었다.[14] 이후 포스트시즌에서도 3세대 초기(13-14시즌)의 캐릭터는 고작 4명이 결선에 오른 반면, 3세대 후기의 캐릭터(15시즌)는 10명이 결선에 올라 3세대 내 구도의 변화를 확인되었다.[15] 15시즌 2세대의 급격한 몰락은 향후에도 큰 영향을 미쳐 17-18시즌에는 2세대가 완전히 전멸해버리는 참사가 벌어지게 되었다. 이 15시즌을 시작으로, 미코토의 출전 제한이 풀리는 20시즌까지 2세대는 기나긴 암흑기를 견뎌야 했다.[16] 위에 서술된 것처럼 15시즌 역내청, 니세코이, 사쿠라 치요, 노겜노라 등 새 진영을 난립은 기존 3세대 진영인 소아온, 중2코이, 데어라를 순위권에서 내쫓는 결과를 불러왔다. 그런데 16시즌에는 이러한 15시즌의 강호들이 일거에 몰락했고, 새로운 강력한 진영의 등장도 없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자연스레 15시즌을 견딘 마시로가 16시즌 3세대의 최강캐가 된 것이다.[동점][18]나카노 아즈사, 시로, 메구밍[19]츠츠카쿠시 츠키코, 마키세 크리스[20] 하세가와 코바토, 아키야마 미오, 쿠리야마 미라이, 하쿠레이 레이무, 흑토끼, 키리기리 쿄코, 센토 이스즈, 아이라, 나세 미츠키, 스즈카제 아오바, 카라스마 치토세, 키리사메 마리사, 크톨리 노타 세니오리스, 카니 니유타, 칸나 카무이, 카루이자와 케이[21] 12시즌 미사카 미코토가 나가토 유키에게 일격을 맞으며 스텔라 리그 전승에 실패한 상황과 완전히 동일했다. 그 누구도 데뷔 12년차에 지난 5년간 포스트시즌에 오르지 못했던 나가토 유키가 당시 모토계의 여제 렘을 꺾을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고, 렘은 유키에게 당한 이 1패 탓에 타치바나 카나데에 이은 국사모의 두번째 전승 우승을 달성하는데 실패하고 만다.[동점][23]시로[24]나카노 아즈사, 니시미야 쇼코, 탕 쿠쿠, 고토 히토리[25] 아키야마 미오, 토르, 우라라카 오챠코, 혈소판, 카토 메구미, 후루하시 후미노, 그레이, 이슈타르, 이와나카 코토코, 시로가네 케이, 미즈하라 치즈루, 치르노, 유자키 츠카사, 나카노 미쿠, 이이노 미코, 모리 란, 니시키기 치사토, 타카기 양, 카루이자와 케이[동점][27]시로[28]토모리 나오(E), 블라디레나 밀리제, 시이나 마시로, 나카노 아즈사, 치하야 아논[29]미사카 미코토[30] 아키야마 미오, 히라사와 유이, 바이올렛 에버가든, 나가사키 소요, 토가와 사키코, 아냐 포저, 시이나 마히루, 프리렌, 레밀리아 스칼렛[동점] 전체 동점은 같은 순위로 보며, 3년 동점은 총점이 최종적으로 순위가 높은 사람을 더 높은 순위로 판단한다.[32]타입문(린, 이리야, 세이버) 진영의 경우 등장 시기 자체는 1세대이나 전성기의 시기를 고려하여 3세대로 분류하며, 미코토는 데뷔 시점은 타이가와 같은 1세대이나, 2010년 이후에 포텐이 터졌으므로 2세대로 분류.[A]샤나(100), 나가토 유키(87), 아이사카 타이가(51), 카츠라 히나기쿠(45), 스즈미야 하루히(36), 사카가미 토모요(33).[B]미사카 미코토(136), 타치바나 카나데(107), 고코우 루리(60), 아키야마 미오(36), 나카노 아즈사(34), 유클리우드 헬사이즈(29)[C]시이나 마시로(132), 유키노시타 유키노(61), 유우키 아스나(68), 토오사카 린(51), 토키사키 쿠루미(48), 타카나시 릿카(48).[D]렘(39), 사쿠라지마 마이(41), 에밀리아(33), 시노미야 카구야(29), 바이올렛 에버가든(30), 일레이나(26).[해설] 예를 들어 포스트시즌에 진출한 노바 캐릭터 8명이 1, 2, 3, 9, 12, 14, 15, 16위를 차지했다면 , 정규시즌 노바 9~16위에게 +16한 순위인 17, 18, 19, 25, 28, 30, 31, 32위를 차례로 부여함.[T] 08~10년의 득점은 원래 없어야하나 타입문(세이버,린)이 1세대가 아닌 3세대에 분류되므로 득점이 존재한다.[작품동점] 전체 동점은 같은 순위로 보며, 3년 동점은 총점이 최종적으로 순위가 높은 작품을 더 높은 순위로 판단한다.[40] 08~11시즌은 기간 순위 우수자, 12~15시즌은 선호투표제 순위권과 부문 결선 입상자, 16시즌부터는 선호투표제 순위권으로 한다.[41] 4강의 경우 둘 중 최종 순위가 더 높은 사람을 앞에 쓰도록 한다.[42] 초기 3년의 경우, 결선 라운드 진출자 4명 + 정규시즌과 포스트시즌의 평균 순위가 높은 4명을 작성한다.[43] 남성부를 포함할 시 2021년도의 아즈사가와 사쿠타또한 카나데와 마찬가지로 정규시즌, 목걸이 결정전, 부문 결선에서 전승을 거두었다.[44] 특히 에루의 경우, 비록 훗날 무고한 것으로 밝혀지긴 하나 우승 직후 한동안 악성 팬덤의 몰표 의혹에 시달리며 국사모 공식 커뮤니티에서 평가 절하되기도 했다![45] 히나기쿠와 에루를 제외할 시 12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