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20:32:18

국제운전면허

신분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국가 발급 대상 국적별 자격별 직책별
내국인 외국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주민등록증
청소년증
시·도민증
외국인등록증
영주증
외국국적동포국내거소신고증
대한민국 여권 국가기술자격증
국가전문자격증
건설기계조종사면허
운전면허증
복지카드
국가보훈등록증
공무원증
사원증
학생증
공동인증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미국 여권 카드
TTP 카드
(NEXUS·GE·SENTRI·FAST)
미국 영주권(그린카드)
EAD 카드
미국 여권
미국 여권 카드
강화 운전면허증
TTP 카드
강화 운전면허증
(MI·MN·NY·VT·WA)
주·속령 운전면허증
사회보장카드
DMV 발행 신분증
주·시정부 발행 신분증
(NYC, NY)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신분증명서(A4) 특별영주자증명서
재류카드
특정 등록자 카드
외국인등록증
일본 여권 일본 운전면허증
장애 수첩
개인번호카드
주민기본대장카드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독일 신분증 독일 체류허가 독일 여권
독일 신분증
독일 운전면허증
(단독소지 EU 역내여행 불가)
학생증 등
QES 전자서명
(유럽연합 eIDAS)
국제 통용 여권
출국허가 인정 신분증
EEA 표준 운전면허증
국제운전면허증
국제학생증
{{{#!folding [ 그 외 지역 및 국가 - 펼치기 · 접기 ] 아시아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공민증 · 려행증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신분증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신분증 ·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신분증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신분증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선거인등록증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신분증 ·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신분증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신분증
유럽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체류허가 ·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신분증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신분증 ·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신분증 ·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신분증 ·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신분증 ·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신분증 · 파일:지브롤터 기.svg 지브롤터 신분증 ·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신분증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신분증 ·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국내여권 ·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신분증
아메리카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선거인등록증 ·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신분증
아프리카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신분증 ·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신분증
}}} ||
}}}}}}}}} ||

1. 개요2. 국제운전면허의 역사3. 대한민국의 국제운전면허4. 국제운전면허로 운전 가능한 차량
4.1. 1926년 자동차교통에 관한 파리 국제 협약4.2. 1949년 도로교통에 관한 제네바 협약4.3. 1968년 도로교통에 관한 비엔나 협약4.4. 대한민국 운전면허와의 대응
5. 사용 가능 여부
5.1. 제한
6. 사용이 불가능한 국가7. 사용이 가능한 국가

[clearfix]

1. 개요

International Driving Permit

해외에 체류하면서 해당 국가의 운전면허를 받지 않고도 본국의 운전면허증을 가지고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부가적 운전면허이다. 즉, 국제운전면허증만으로는 운전면허증의 효력이 없고, 본국의 운전면허증도 반드시 같이 지니고 있어야 한다. 1949년 ‘도로교통에 관한 제네바 협약’에 따른 국제운전면허의 유효 기간은 1년이며, 1968년 ‘도로교통에 관한 비엔나 협약’에 따른 국제운전면허의 유효 기간은 3년이다.

본 문서에서는 대한민국 국제운전면허를 위주로 서술한다.

2. 국제운전면허의 역사

국제운전면허는 1926년 ‘자동차교통에 관한 파리 국제 협약’, 1949년 ’도로교통에 관한 제네바 협약‘, 1968년 ’도로교통에 관한 비엔나 협약‘ 순으로 발전되어 왔다. 이 중 1968년 비엔나 협약은 2011년에 한 차례 개정되어 좀 더 세분화된 운전면허를 나타내었다.

3. 대한민국의 국제운전면허

<colbgcolor=#1a2e6a> 대한민국 국제운전면허증
大韓民國國際運轉免許
Republic of Korea International Driving Permit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young.hyundai.com/_ZY7Nh4RBNUH16hWUx3Ss.png}}}||
▲ 대한민국 국제운전면허 견본
발급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발급 기관 도로교통공단, 경찰청
제작 기관 도로교통공단, 경찰청
유효 국가 파일:세계 지도.svg 1949년 ‘도로교통에 관한 제네바 협약’ 가입 국가, 1968년 ‘도로교통에 관한 비엔나 협약’ 가입 국가
비준 협약
1949년 ‘도로교통에 관한 제네바 협약’.
유효 기간
발급일 기준 1년.
필요 서류
국제운전면허 발급 신청서, 유효 기간 이내의 본인 여권 및 운전면허증, 최근 6개월 내 여권용 사진 1매 및 수수료 8,500원.
대리 발급시 대리인의 신분증과 위임장, 위의 서류 필수.
사양 및 제원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사진 성별 생년 월일 주소 정보 보호
<rowcolor=#000> O
3.5cm X 4.5cm
X
미기재.
O
DD. MMM. YYYY.
O
기초자치단체까지만 기재.
개별 번호 문서 번호 발행일 만료일
<rowcolor=#000> X
미기재.
O
국제운전면허의 면허 번호.
O
DD. MMM. YYYY.
O
DD. MMM. YYYY.
생체 정보 보호 서명 발행국 코드 소지자 국적
<rowcolor=#000> O
미기재.
O
국제운전면허의 최후면 장에 소지자의 서명란 존재.
X
미기재.
X
미기재.
<rowcolor=#000> ICAO Doc 9303-5
기계 가독부 (MRZ)
ICAO Doc 9303
파일:전자여권 검은색 로고.svg
ISO/IEC 14443
파일:EMVCoContactlessIndicator.svg
ISO/IEC 7816-2
파일:SmartCardPinout.svg
<rowcolor=#000> X
미기재.
X
미기재.
X
미기재.
X
미기재.
비고 온라인 발급 가능.}}}}}}}}}
여권과 비슷하나, 다소 큰 크기의 소책자이며 안에는 간단한 인적 사항과 운전면허의 종류가 표시된다. 전국 운전면허 시험장이나 인천국제공항 발급센터 및 인근 경찰서에 신청하면 즉시 발급받을 수 있다. 여권을 가져가지 않아도 정보 조회 후 발급이 가능하지만, 번거로우므로 여권을 가져가는 것이 좋다. 또한 국제운전면허에 부착할 사진도 필요하다. 수수료가 있는데 대체로 경찰서에서는 직접 현금을 받지 않으므로 신용카드를 가져가거나 수입인지를 따로 구매하여 가져가야 한다. 운전면허 시험장, 경찰서 민원실, 지방자치단체, 공항 발급센터는 현금 및 카드 결제도 가능하다.

2종 원동기장치자전거 면허나 1종 소형 면허는 국제운전면허 발급 대상이 아니다.

국제운전면허의 크기는 A6(148x105mm). 여권은 B7(125x88mm)이므로 사이즈에 호환성은 없다.

2015년 6월 10일부터 지자체에서 여권 발급 신청 시 국제운전면허도 같이 발급 신청할 수 있게 되어, 여권 발급 시 국제운전면허가 필요한 경우 같이 신청하면 시간이 절약되어 편리하다. 단, 모든 지자체에서 되는 것은 아니기에 방문 전에 확인은 필수다. 여권-국제운전면허 원스톱 실시 기관 안내 발급일로부터 1년 이내의 기간에만 유효하므로, 그 이상 체류하게 될 경우에는 해당 국가의 운전면허를 따로 취득 혹은 교환하거나 한국에서 재발급 받아야 한다. 1년 내라면 어디든지 가서 쓸 수 있다. 단, 사용 기간이 한 국가에서 일정 기간이 넘는다면 국가에 따라서 문제삼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운전면허 정지 및 취소 등으로 인해 효력이 상실된 경우에는 국제운전면허도 동일하게 효력이 상실된다. 국제운전면허를 발급할 때 본인의 운전면허가 정지 혹은 취소 등의 상태가 아닌지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또한, 국제운전면허상 영문 성명 스펠링과 여권상 영문 성명 스펠링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운전면허상 서명과 여권상 서명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운전면허의 효력은 없다. 반드시 본인 여권에 기재된 서명과 동일하게 서명하자.

국제운전면허 발급 후, 운전면허증을 분실 혹은 도난당하여 재발급 한 경우, 혹은 새로운 종별의 운전면허를 취득하여 운전면허증을 재발급한 경우에는 그 즉시 국제운전면허도 새로 발급받아야 한다. 원래 국제운전면허에 도장을 새로 찍으면 될 일 아니냐고 물어볼 수도 있겠지만, 국가에 따라서 도장에 기입된 날짜가 다른 경우를 문제삼을 수 있으므로, 재발급하는 편이 좋다.

사진은 당연하지만 재사용할 수 없다. 국제운전면허를 발급할 때 최후면 장에 사진이 붙여진 뒤, 압인과 함께 해당 시 도 경찰청장의 도장이 찍히고, 위변조, 재사용 방지 및 사진 보호 필름이 부착되기 때문.

대리 발급 시에는 외국에서 효력이 인증되지 않을 수 있으니 본인이 해외에 체류하고 있어 대한민국 국제운전면허를 발급하기 곤란한 상황 등이 아니라면, 웬만하면 본인이 직접 가서 발급받는 것을 권장한다.
대한민국 국제운전면허 사용 가능 국가 등* 현황(2023.7.12. 기준)*'국가 등'에는 독자적 운전면허 제도가 있는 지역을 포함함.
아시아 · 태평양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뉴질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라오스|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말레이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방글라데시|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브루나이|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스리랑카|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싱가포르|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캄보디아|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키르기스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파푸아뉴기니|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피지|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필리핀|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홍콩|
파일:홍콩 국기.svg
홍콩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마카오|
파일:마카오 국기.svg
마카오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협·약정체결국: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베트남|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아메리카 대륙
[[과테말라|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바베이도스|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베네수엘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아르헨티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아이티|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에콰도르|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자메이카|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칠레|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쿠바|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파라과이|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페루|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유럽
[[바티칸|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그리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덴마크|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루마니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룩셈부르크|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리투아니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리히텐슈타인|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모나코|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몬테네그로|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벨기에|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불가리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키프로스|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산마리노|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세르비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슬로베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아이슬란드|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아일랜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알바니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조지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체코|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크로아티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튀르키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포르투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폴란드|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헝가리|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에스토니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중동 · 아프리카
[[가나|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나미비아|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나이지리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니제르|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레바논|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레소토|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르완다|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마다가스카르|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말라위|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말리|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모로코|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몰타|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베냉|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보츠와나|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부르키나파소|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세네갈|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시리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시에라리온|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알제리|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요르단|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우간다|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이스라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이집트|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짐바브웨|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코트디부아르|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토고|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튀니지|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4. 국제운전면허로 운전 가능한 차량

국제운전면허는 본인이 소지하고 있는 각 국가별 운전면허에 따라 운전 가능 차량이 다르며, 나무위키 특성상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로 인해 수시로 정보가 변하니 참고하는 용도로 보는 것을 권장한다.

또한, 아래 국제 협약의 번역문은 다음과 같다. 국제 협약 번역문 출처

4.1. 1926년 자동차교통에 관한 파리 국제 협약

1926년 자동차교통에 관한 파리 국제 협약
본 운전면허증이 유효한 차량운전면허
허용 최대 중량이 3,500kg을 초과하지 않는 자동차.A
허용 최대 중량이 3,500kg을 초과하는 자동차.B
이륜 자동차 (측면 부착차의 유무를 불문).C

국제운전면허의 기초가 되는 협약이다. 유효 기간은 발급일 기준 1년이다. 이 협약을 인정하는 나라는 우루과이, 튀니지, 루마니아, 페루 등 몇 없다.

4.2. 1949년 도로교통에 관한 제네바 협약

1949년 도로교통에 관한 제네바 협약
본 운전면허증이 유효한 차량운전면허
이륜 자동차 (측면 부착차의 유무를 불문), 신체 장애인용 차량 및 차체 중량 400kg을 초과하지 않는 3륜 자동차.A
운전자의 좌석 이외에 최대 8개 좌석을 가진 승용차 및 허용 최대 중량이 3,500kg을 초과하지 않는 화물 자동차.
상기 차량은 1개의 소형 피 견인 자동차를 연결할 수 있음.
B
허용 최대 중량이 3,500kg을 초과하는 화물 자동차.
1개의 소형 피 견인 자동차를 연결할 수 있음.
C
운전자의 좌석 이외에 8개 이상의 좌석을 가진 승객 운송 자동차.
1개의 소형 피 견인 자동차를 연결할 수 있음.
D
상기 B, C, D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동차로서 소형 피 견인 자동차 이외의 것을 연결한 것.E
"허용 최대 중량"이란 동 차량의 차체 중량과 최대 적재량을 합한 것이며, "최대 적재량"이란 차량 등록국의 관계 당국이 선언한 적재 중량임."소형 피 견인 자동차"는 허용 최대 중량이 750kg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말함.

2024년 현재, 대한민국이 비준하고 있는 협약이다. 대다수의 국가가 비준하고 있다. 유효 기간은 발급일 기준 1년이다. 삼륜차에 대한 규정과 구난차와 트레일러에 대한 규정, 화물최대중량에 대한 규정을 제외하면 현행 대한민국 면허와 기준이 상당히 유사하다. A는 2종 소형, B는 2종 보통, C와 D는 1종 대형, E는 1종 특수 면허에 대응된다.

4.3. 1968년 도로교통에 관한 비엔나 협약

1968년 도로교통에 관한 비엔나 협약
본 운전면허증이 유효한 차량운전면허
이륜 자동차.A
A 면허로 운전 가능한 자동차를 제외한 운전자의 좌석 이외에 최대 8개 좌석을 가진 승용차 및 허용 최대 중량이 3,500kg을 초과하지 않는 자동차.B
허용 최대 중량이 3,500kg을 초과하는 화물 자동차.C
운전자의 좌석 이외에 8개 이상의 좌석을 가진 승객 운송 자동차.D
상기 B, C, D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동차가 견인하는 피 견인 자동차.E
2011년 도로교통에 관한 비엔나 협약
본 운전면허증이 유효한 차량운전면허본 운전면허증이 유효한 차량운전면허
이륜 자동차.A최대 배기량 125cc 및 최대 정격 출력 11kW를 초과하지 않는 이륜 자동차.A1
A 면허로 운전 가능한 자동차를 제외한 운전자의 좌석 이외에 최대 8개 좌석을 가진 승용차 및 허용 최대 중량이 3,500kg을 초과하지 않는 자동차.
견인하는 자동차를 포함하여 허용 최대 중량이 3,500kg을 초과하지 않으며, 허용 최대 중량이 750kg을 초과하지 않는 피 견인 자동차를 연결할 수 있음.
B3륜 자동차 및 4륜 자동차.B1
허용 최대 중량이 3,500kg을 초과하는 자동차.
허용 최대 중량이 750kg을 초과하지 않는 피 견인 자동차를 연결할 수 있음.
C허용 최대 중량이 3,500kg을 초과 7,500kg을 초과하지 않는 자동차.
허용 최대 중량이 750kg을 초과하지 않는 피 견인 자동차를 연결할 수 있음.
C1
운전자의 좌석 이외에 8개 이상의 좌석을 가진 승객 운송 자동차.
허용 최대 중량이 750kg을 초과하지 않는 피 견인 자동차를 연결할 수 있음.
D운전자의 좌석 이외에 8개 이상 최대 16개 좌석을 가진 승객 운송 자동차.
허용 최대 중량이 750kg을 초과하지 않는 피 견인 자동차를 연결할 수 있음.
D1
상기 B 중 견인하는 자동차를 포함하여 허용 최대 중량이 3,500kg을 초과하며, 허용 최대 중량이 750kg을 초과하는 피 견인 자동차를 연결할 수 있음.BE
상기 C 중 허용 최대 중량이 750kg을 초과하는 피 견인 자동차를 연결할 수 있음.CE상기 C1 중 견인하는 자동차를 포함하여 허용 최대 중량이 12,000kg을 초과하지 않으며, 허용 최대 중량이 750kg을 초과하는 피 견인 자동차를 연결할 수 있음.C1E
상기 D 중 허용 최대 중량이 750kg을 초과하는 피 견인 자동차를 연결할 수 있음.DE상기 D1 중 견인하는 자동차를 포함하여 허용 최대 중량이 12,000kg을 초과하지 않으며, 허용 최대 중량이 750kg을 초과하는 피 견인 자동차를 연결할 수 있음.D1E

국제운전면허를 관장하는 3가지 협약들 중, 가장 최근의 협약이다. 유럽 국가들이 대부분 이 협약을 비준하고 있으며, 그 외의 국가들도 1968년 비엔나 협약을 비준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이 협약에 서명만 한 상태이며, 아직 비준하지 않고 있다. 추후 국회에서 1968년 비엔나 협약을 비준한다면 자연스레 1968년 비엔나 협약을 따르는 국제운전면허로 교체 및 신규 발급하게 될 것이다.
(현재는 비엔나 협약국가 국민의 대한민국 내 운전은 허용. 그 역은 불가)

이 협약에 따른 국제운전면허의 유효 기간은 발급일 기준 3년이다.

위에서 보다시피, 협약이 2개로 나뉘는데, 2011년에 1차례 개정했기 때문이다. 유럽 국가들은 대부분 2011년 개정 후의 협약을 따르고 있으며, 중화민국은 2011년 개정 전의 협약을 따르고 있다.

4.4. 대한민국 운전면허와의 대응

아래는 2024년 현재 대한민국이 비준하고 있는 1949년 도로교통에 관한 제네바 협약 국제운전면허와 대한민국 운전면허의 1:1 대응표다. 보다 정확한 정보를 원한다면 각 지역별 경찰서 민원실 혹은 운전면허시험장 등에 문의하는 것을 권장한다.
1949년 도로교통에 관한 제네바 협약 국제운전면허와 대한민국 운전면허의 1:1 대응표
1949년 도로교통에 관한 제네바 협약 국제운전면허대한민국 운전면허
A2종 소형
B1종 대형, 1종 보통, 1종 특수 (대형견인), 1종 특수 (소형견인), 1종 특수 (구난차), 2종 보통
C1종 대형
D1종 대형
E1종 특수 (대형견인), 1종 특수 (구난차)
비고1종 소형, 2종 원동기 장치 자전거 면허는 국제운전면허 발급 대상이 아님.
참고로, B와 D의 한국어 기술이 애매해서 몇인승부터 D가 필요한지가 좀 혼란스러운데, D의 영어 표기를 보면 more than eight seats로 되어 있어 운전자 제외 8인승 초과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B는 9인승 이하, D는 10인승 이상이 대응이 된다.

5. 사용 가능 여부

1949년 제네바 협약 가입국, 1968년 비엔나 협약 가입국에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가입국이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국가에서 자국의 법률을 통해 국제운전면허를 인정한다.

5.1. 제한

가맹국은 해당 국의 법률에 따라 18세 미만인 자 등에게 국제운전면허 이용을 제한할 수 있다.

6. 사용이 불가능한 국가

6.1. 중국

중국 본토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단기 체류 관광객들은 주숙등기와 운전면허 공증본과 운전면허 원본을 가지고 교통국에 가서 1년짜리 임시운전면허증을 발급받거나 운전 기사 포함 렌터카나 택시, 대중교통 등을 이용해야 한다. 또한 중국 정부는 국제운전면허를 발행하지 않고 있다.

중국이 국제운전면허를 불허하는 것은 1949년 제네바 협약에 대만(중화민국)이 먼저 가입해 있어[1] 하나의 중국 방침에 따라 중국은 가입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중국이 마음만 먹으면 IOC나 기타 국제기구에서 그랬던 것처럼 대만을 쫓아내거나 ‘차이니즈 타이베이’와 같은 어정쩡한 이름으로 활동하게 만들 수는 있으나 의외로 그렇게 하지는 않고 있다.[2] 실제로는 중국 정부가 외국인에게 면허 개방을 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도 있다. 따라서 만약 대한민국과 중국 간 상호 운행이 활발해진다고 하더라도 한국 면허를 중국 면허로 교환하는 과정이나 그 반대의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특별행정구인 홍콩과 마카오는 1949년 제네바 협약에 가입되어 있어 사용할 수 있다.

7. 사용이 가능한 국가

7.1. 일본

일본에서 사용 가능하다.

단, 1949년 제네바 협약국에서 발급받은 국제운전면허만 인정되며, 1968년 비엔나 협약국에서 발급받은 협약국의 운전면허증과 국제운전면허 원본, 해당 국제운전면허의 일본어 번역본을 소지해야 한다. 한국에서 발급받을 경우 일본어 번역본이 포함되어 있다.

7.2. 대만

이전에는 1949년 제네바 협약 가입국임에도 불구하고 양국의 국제운전면허 사용이 불가했으나, 2022년 2월 17일부로 양국의 국제운전면허를 사용할 수 있다.# 단, 30일 미만의 기간 동안 사용 가능하며, 그 이상은 중화민국의 임시운전면허를 발급받아야 한다.

또한, 기존에는 이륜자동차의 운전이 금지되었으나, 추가 협의로 국제운전면허에 도장이 기입된 운전면허에 한해 운전 가능 하도록 완화 되었다. 이륜 자동차의 경우, 배기량 250cc 미만의 이륜 자동차만 운전 가능하다(2종 소형 면허 소지 시 한정). 소지한 운전면허에 따라 국제운전면허의 운전가능 차량이 상이하니 상세히 참고해야 할 것이다.

7.3. 베트남

베트남에서 사용 가능하다.

베트남은 1968년 비엔나 협약에 가입한 국가인데, 1949년 제네바 협약에 가입한 적도 없고(남베트남이 가입하였으나 통일 후 승계되지 않음), 1949년 제네바 협약에 가입한 국가인 한국의 국제운전면허를 인정한 적도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 운전면허를 베트남 운전면허로 교환발급받거나 베트남에서 시험을 쳐서 현지 면허를 새로 취득하는 방법밖에 사용할 수 없었다. 무비자로 입국한 여행목적의 단기체류자는 두 가지 방법 모두 불가능했다.

2023년 6월 23일 한-베트남 국제운전면허증 상호인정 협정이 체결되어 2023년 7월 23일부터 베트남에서 국제운전면허증 사용이 가능해졌다.#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베트남에서 이륜차를 합법적으로 운행하려면 국제운전면허증을 A로 발급받아야 하므로 1종 보통이나 2종 보통으로도(둘 다 B로 발급된다) 125cc 미만의 이륜차를 운행 가능한 한국에서와 달리 125cc 미만 이륜차를 운행하는 데에도 2종 소형 면허가 필요하다. 단, 베트남 법에 따라 50cc 미만 이륜차는 면허 없이 운전 가능하다.

7.4. 미국

미국에서 사용 가능하다. 1949년 제네바 협약 가입국이기 때문이다.

다만 국제운전면허 표지만 봐도 바로 훈방하는 경찰이 있는 반면에, 원래 운전면허증은 어디 있냐며 귀찮게 하는 경찰도 있다. 오히려 원본 운전면허증이 더욱 중요하다. 국제운전면허는 거들떠보지도 않고 그냥 갖고 있으라고 하는 경우까지 있으니 대한민국 운전면허증을 여권처럼 소중하게 지니고 다녀야한다. 미국의 경우 국제면허 이외에도 타주 혹은 타국의 면허를 직접 인정하는 곳이 있다.

미국은 주마다 법이 다르기에 확신이 어렵거나, 주경을 넘나들어야 할 가능성도 있다면 국제운전면허를 지참하는 것이 좋긴 하다. 외국 혹은 국제단체과의 조약은 미국 헌법 제 2조와 제 6조에 따라 미국 연방정부의 권한으로 채결되고 미 전역에서 통용되기 때문이다. 다만 연령 제한, 국제면허의 유효 기간과 같은 사항의 주의 재량이기 때문에 주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미국의 경우 1968년 비엔나 협약 가입을 거부하였기에[3] 해당 조약에 따른 국제운전면허를 인정하지 않는 주가 더 많다. 대신 영문으로 적힌 운전면허증[4] 또는 적힌 언어/발급 국가에 상관없이 운전면허증이기만 하면[5] 인정해주는 식으로 우회한다. 다만 주별로 법이 다 다른 미국 특성상 확실히 알아보는 것이 좋다.

미국에서는 특이하게 자동차 관련한 순수한 민간단체인 미국 자동차 협회에 국제운전면허의 발급권을 위임했기 때문에 민간단체의 명의로 국제운전면허가 나온다. 원래는 미국 국무부에서 발급해야 한다.

7.5. EU/EEA 회원국

현재 EU/EEA 회원국 중 독일크로아티아,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를 제외한 모든 국가는 1949년 제네바 협약, 1968년 비엔나 협약에 가입해 있으며, 대한민국에서 발급된 국제운전면허가 인정된다.

하지만 위에 언급된 4개 국가도 자체적인 법률에 따라 대한민국에서 발급된 국제운전면허를 인정해주고 있다. 최초 입국일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만 대한민국 국제운전면허가 인정되며, 그 기간 이후로는 반드시 현지 운전면허증으로 교환해야 한다.

국가별로 대한민국 국제운전면허가 인정되는 기간은 아래와 같다.#※ 위에 명시된 기간을 초과해서 유럽에 체류한다 하더라도, 단기 체류 목적의 방문일 경우 현지 운전면허를 교환할 필요가 없다.


[1] 중국이라는 이름으로 1957년에 가입되어 있다. 공식 약자는 Republic of China의 약자인 RC.[2] 사실 그런 짓을 하면 오히려 자기네들이 주장하는 하나의 중국 방침에 흠집만 내는 꼴이다.[3] 적신호시 우회전을 금지하기 힘들다고 서명까지 거부했다![4] 코네티컷주 등[5] 뉴욕주 등[6] 다만, 벨기에에 거주 목적으로 왔을 경우 즉시 벨기에 운전면허증으로 교환할 의무가 있다고 법에 명시되어 있다.[7] 단, 최초 입국일부터가 아닌 비자 발급일 또는 체류 허가증 발급일부터 8개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