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4 10:11:54

귀리떡

'''[[떡|{{{#!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 -5px 10px -5px -20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B07CD7><colcolor=#fff>
찌는 떡
가랍떡 · 감떡 · 감자떡 · 개떡 · 거말떡 · 고구마떡 · 구름떡 · 귀리떡 · 근대떡 · 김치떡 · 깻잎떡 · 꿀떡 · 느티떡 · 달떡 · 달팽이떡 · 당귀떡 · 당콩떡 · 댑싸리떡 · 더덕떡 · 도토리떡 · 두텁떡 · 마꽃떡 · 만경떡 · 망개떡 · 메싹떡 · 무지개떡 · 무치 · 밀기울떡 · 밤떡 · 백설기 · 보리떡 · 복령떡 · 복숭아떡 · 봉치떡 · 상추떡 · 새미떡 · 서속떡 · 석이편 · 석탄병 · 솔방울떡 · 송편 · 순채떡 · 술떡 · 시루떡 · 여주산병 · 옥수수떡 · 외랑떡 · 율무떡 · 인삼떡 · 임지떡 · 조롱이떡 · 조침떡 · 청치주먹떡 · 취떡 · 칠곡떡 · 콩떡 · 포도떡 · 호박떡 · 혼돈병 · 흑임자떡
치는 떡
가래떡 · 개피떡 · 고치떡 · 바나나떡 · 배피떡 · 살구떡 · 송기떡 · 숯떡 · 오쟁이떡 · 인절미 · 절편 · 좁쌀떡 · 찹쌀떡 (찰떡)
지지는 떡
곤떡 · 괴명떡 · 구절떡 · 노티 · 부꾸미 · 비지떡 · 빙떡 · 생강떡 · 우메기 (개성주악) · 조망댕이 · 호떡 (씨앗호떡) · 화전
삶는 떡
경단 (당고) · 꼬장떡 · 닭알떡 · 돌래떡 · 오그랑떡 · 오메기떡 · 잣구리 · 즘떡
기타
LA 찹쌀떡 · 기름떡볶이 · 노점 떡갈비 · 떡국 (조니) · 떡국떡 · 떡꼬치 · 떡만둣국 · 떡볶이 · 떡케이크 · 모시떡 · 물떡 · 소떡소떡 · 약밥 · 웃기떡 · 주걱떡 · 총떡 · 치즈떡 · 커피떡}}}}}}}}}
파일:079.jpg
귀리떡
1. 개요2. 역사3. 여담

1. 개요

귀리떡은 귀리가루로 익반죽해서 만든 으로 북쪽 지방의 대표적인 요리이다. 함북 사투리로는 귀밀떡이라고 불린다.

2. 역사

함경도는 예로부터 지리가 험준하여 귀리가 많이 나는 지역이어서 귀리로 만드는 음식이 발달했다.[1] 귀리떡은 손님이 왔을 때 해 먹는 음식으로 주로 명절에 먹었으며 귀리를 찐 후에 참기름을 발라서 먹었다. 귀리떡은 아주 매끄러워서 '젓가락으로 잘못 집으면 후치령(厚峙嶺)[2]을 넘어간다'는 말이 량강도, 함경도에 전해온다.

귀리를 먼저 가루로 만든 후 익반죽한 참기름을 발라 먹는데 익반죽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귀리떡의 맛이 달라진다고 한다.

3. 여담

갓김치와 궁합이 좋은 음식이라고 한다.

[1] 조선시대 가정 살림에 대한 책인 규합총서(閨閤叢書)를 참조하였음.[2] 량강도에 있는 고개로 정상이 천 미터를 넘는다. 한여름에도 가을 같은 날씨를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