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4 22:50:59

소떡소떡

소떡소떡의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
'''[[떡|{{{#!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 -5px 10px -5px -20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B07CD7><colcolor=#fff>
찌는 떡
가랍떡 · 감떡 · 감자떡 · 개떡 · 거말떡 · 고구마떡 · 구름떡 · 귀리떡 · 근대떡 · 김치떡 · 깻잎떡 · 꿀떡 · 느티떡 · 달떡 · 달팽이떡 · 당귀떡 · 당콩떡 · 댑싸리떡 · 더덕떡 · 도토리떡 · 두텁떡 · 마꽃떡 · 만경떡 · 망개떡 · 메싹떡 · 무지개떡 · 무치 · 밀기울떡 · 밤떡 · 백설기 · 보리떡 · 복령떡 · 복숭아떡 · 봉치떡 · 상추떡 · 새미떡 · 서속떡 · 석이편 · 석탄병 · 솔방울떡 · 송편 · 순채떡 · 술떡 · 시루떡 · 여주산병 · 옥수수떡 · 외랑떡 · 율무떡 · 인삼떡 · 임지떡 · 조롱이떡 · 조침떡 · 청치주먹떡 · 취떡 · 칠곡떡 · 콩떡 · 포도떡 · 호박떡 · 혼돈병 · 흑임자떡
치는 떡
가래떡 · 개피떡 · 고치떡 · 바나나떡 · 배피떡 · 살구떡 · 송기떡 · 숯떡 · 오쟁이떡 · 인절미 · 절편 · 좁쌀떡 · 찹쌀떡 (찰떡)
지지는 떡
곤떡 · 괴명떡 · 구절떡 · 노티 · 부꾸미 · 비지떡 · 빙떡 · 생강떡 · 우메기 (개성주악) · 조망댕이 · 호떡 (씨앗호떡) · 화전
삶는 떡
경단 (당고) · 꼬장떡 · 닭알떡 · 돌래떡 · 오그랑떡 · 오메기떡 · 잣구리 · 즘떡
기타
LA 찹쌀떡 · 기름떡볶이 · 노점 떡갈비 · 떡국 (조니) · 떡국떡 · 떡꼬치 · 떡만둣국 · 떡볶이 · 떡케이크 · 모시떡 · 물떡 · 소떡소떡 · 아게모치 · 약밥 · 웃기떡 · 주걱떡 · 총떡 · 치즈떡 · 커피떡}}}}}}}}}

한국의 고기 요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쇠고기 LA 갈비 · 갈비찜 · 갈비탕 · 곰탕 · 곱창구이 · 너비아니 · 떡갈비 · 막창 · 불고기 · 설렁탕 · 섭산적 · 소갈비 · 소머리국밥 · 쇠고깃국 · 수구레국밥 · 숯불갈비 · 어복쟁반 · 육개장 · 육사시미 · 육전 · 육죽 · 육포 · 육회 · 장국죽 · 장조림 · 주물럭 · 찜갈비
돼지고기 가제육 · 갈비찜 · 감자탕 (뼈다귀해장국) · 김치만두 · 김치피자탕수육 · 돼지갈비 · 돼지고기김치볶음 · 돼지고기김치찜 · 돼지껍데기 · 돼지불고기 · 돼지국밥 · 두루치기 · 뒷고기 · 떡갈비 · 막창 · 맥적 · 목살 · 보쌈 · 산적 · 삼겹살 구이 · 삼합 · 선산곱창 · 소떡소떡 · 소시지 야채 볶음 · 수육 · 순대 · 순댓국 (순대국밥) · 숯불갈비 · 애저회 · 오삼불고기 · 장조림 · 제육덮밥 · 제육볶음 · 족발 · 주물럭 · 편육
닭고기 간장치킨 · 갈릭 치킨 · 구운 치킨 · 닭갈비 · 닭강정 · 닭개장 · 닭곰탕 · 닭꼬치 · 닭도리탕 · 닭똥집 · 닭발 · 닭불고기 · 닭한마리 · 닭회 · 백숙 · 불닭 · 삼계탕 · 수증계 · 스노윙 치킨 · 양념 반 후라이드 반 · 양념치킨 · 옻닭 · 양파닭 · 얼큰이 · 염통꼬치 · 전기구이 통닭 · 주물럭 · 찜닭 · 치즈 시즈닝 치킨 · 치킨 · 콜팝 · 통닭 · 파닭 · 팝콘 치킨 · 포계 · 프라이드치킨 · 피카츄 돈까스
기타 꿩탕 · 보신탕 · 오리날개튀김 · 참새구이 · 토끼탕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의 분식 문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900><colcolor=#fff,#fff> 떡류 떡볶이 (라볶이) · 떡꼬치 · 물떡 · 소떡소떡 · 떡국 · 떡만둣국
튀김류 감자튀김 · 계란튀김 · 고구마튀김 · 고추튀김 · 김밥튀김 · 김말이튀김 · 새우튀김 · 오징어튀김 · 야채튀김 · 튀김만두 · 납작만두 · 돈가스 · 치즈 돈가스 · 생선가스 · 치킨가스 · 팝콘 치킨(콜팝) · 식빵튀김
순대류 순대 · 순대꼬치 · 순대볶음
오뎅류 떡오뎅 · 오뎅 · 오뎅탕 · 빨간오뎅
꼬치류 닭꼬치 · 피카츄 돈까스 · 핫도그/콘도그(감자 핫도그) · 핫바 · 회오리 감자
만두류 고기만두 · 고추만두 · 군만두 · 김치만두 · 물만두 · 야채만두 · 찐만두 · 피자만두
면류 가락국수 · 고기국수 · 라면 · 우동 · 잔치국수 · 쫄면 · 냉면 · 비빔국수 · 막국수 · 칼국수 · 콩국수
빵류 찐빵 · 토스트
밥류 김밥 · 덮밥 · 볶음밥 · 컵밥 · 밥버거 · 비빔밥
기타 길거리 음식 · 떡튀순 }}}}}}}}}

<colcolor=#000>
소떡소떡
Sausage-Tteok Skewers
파일:sodduk.png
<colbgcolor=#EADAD0> 유형 꼬치, 분식, 길거리 음식
국가·지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한국 요리
발상 2010년
재료 가래떡, 소시지, 케첩, 머스타드
1. 개요2. 상세3. 만드는 법4. 여담

1. 개요

한국에서 출시된 소시지를 주재료로 떡과 소시지를 꼬챙이에 번갈아 꽂아 만드는 음식.

'소떡소떡'이라는 이름은 소떡소떡을 만든 국내 식품회사에서 출시 및 상표권등록이 되어 있다.

2. 상세

경부고속도로 안성휴게소에서 핫바떡꼬치처럼 한 가지 재료로만 꼬치가 되어 있는 게 식상하다고 하여 국내 식품회사에서 만든 음식이다. 출시 후 처음엔 분식집이나 식당에 납품되었다가 고속도로휴게소에 입점되어 인기를 끌었다. 이름의 유래는 소시지에서 앞글자를 따와 합친 것으로, 떡꼬치의 응용 버전이라 할 수 있다.
'소떡소떡' 이라는 네이밍은 소떡소떡 원조 제조사인 와이앤비푸드의 자회사인 에스앤비푸드(소시지 전문 제조사)로 상표권이 등록되어 있다.

소시지떡볶이떡을 연달아 꽂아 구운 뒤 소떡소떡 전용소스를 묻혀 먹어야한다. 고추장소스베이스의 전용소스로 일부 다른 소스를 사용하는 곳도 있지만 원조는 떡꼬치소스와 비슷한 고추장베이스의 소스이다.

소떡소떡이 인기가 많아지자 이를 표방한 가짜소떡소떡이 출시되었다. 또한 소세지 대신 스팸을 꽂은 스떡스떡 등의 여러 변형판이 등장하기도 했다.

안성휴게소의 원조 소떡소떡은 국내산돼지고기로 만든 돈육소시지와 직접 뽑은 말랑한 떡으로 만들고, 소떡소떡전용소스를 뿌려서 만들었다. 소시지에 들어가는 원재료와 제작방식, 떡을 만드는 기술력, 소스에 들어가는 재료와 기술력에 차이가 있다. 원조 소떡소떡을 만드는 식품회사는 직접 소시지도 만들고, 떡도 만들고, 소스도 만든다.

3. 만드는 법


양념 재료[2] :
고추장 1숟가락, 올리고당 3숟가락, 다진 마늘1/2숟가락, 케첩 3숟가락, 간장 1/2숟가락, 물 1숟가락

조리 순서
  1. 끓는 물에 떡과 소시지를 1~2분 데친다.[3]
  2. 꼬치에 떡과 소시지를 번갈아 꽂는다.
  3. 팬에 식용유를 넉넉히 두른 후 떡과 소시지를 튀긴다.
  4. 팬에 양념재료를 넣어 볶아 양념장을 만든다.
  5. 튀긴 소시지 떡꼬치에 양념을 바른다.

4. 여담


[1] 떡볶이 떡을 추천한다. 가래떡을 써도 되지만 직경이 커 식감이 좋지 않을 수 있다.[2] 양념치킨의 양념 소스랑 다를 것이 없으므로 양념치킨을 만들었는데 소스만 남고 치킨이 더 이상 여의치 않을 경우 소떡소떡을 만드는 것으로 처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3] 떡볶이 떡 6개, 비엔나 소시지 6개를 꽂는 것이 보편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