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4 16:15:42

산적(요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의 전 요리
{{{#!wiki style="margin:0 -10px -6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ebba10><colcolor=#fff> 튀김식 고구마전 · 굴전 · 버섯전 · 돈저냐(동그랑땡) · 전유어 · 산적 · 오색전 · 오징어전 · 육전 · 참치전 · 하트전 · 호박전
지짐식 감자전 · 김치전 · 녹두전(빈대떡) · 동래파전 · 메밀전 · 배추전 · 부추전 · 장떡 · 파전 · 화전 · 호박전
기타 모듬전 · 전찌개 }}}}}}}}}

한국의 고기 요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쇠고기 LA 갈비 · 갈비찜 · 갈비탕 · 곰탕 · 곱창구이 · 너비아니 · 떡갈비 · 막창 · 불고기 · 설렁탕 · 소갈비 · 소머리국밥 · 쇠고깃국 · 수구레국밥 · 숯불갈비 · 어복쟁반 · 육개장 · 육사시미 · 육전 · 육죽 · 육포 · 육회 · 장국죽 · 장조림 · 주물럭 · 찜갈비
돼지고기 가제육 · 갈비찜 · 감자탕 (뼈다귀해장국) · 김치만두 · 김치피자탕수육 · 돼지갈비 · 돼지껍데기 · 돼지불고기 · 돼지국밥 · 두루치기 · 뒷고기 · 떡갈비 · 막창 · 목살 · 보쌈 · 산적 · 삼겹살 구이 · 삼합 · 소떡소떡 · 소시지 야채 볶음 · 수육 · 순대 · 순댓국 (순대국밥) · 숯불갈비 · 애저회 · 오삼불고기 · 장조림 · 제육덮밥 · 제육볶음 · 족발 · 주물럭 · 편육
닭고기 간장치킨 · 갈릭 치킨 · 구운 치킨 · 닭갈비 · 닭강정 · 닭개장 · 닭곰탕 · 닭꼬치 · 닭도리탕 · 닭똥집 · 닭발 · 닭한마리 · 닭회 · 백숙 · 불닭 · 삼계탕 · 수증계 · 스노윙 치킨 · 양념 반 후라이드 반 · 양념치킨 · 양파닭 · 염통꼬치 · 전기구이 통닭 · 주물럭 · 찜닭 · 치즈 시즈닝 치킨 · 치킨 · 콜팝 · 통닭 · 파닭 · 팝콘 치킨 · 포계 · 프라이드치킨 · 피카츄 돈까스
기타 꿩탕 · 보신탕 · 오리날개튀김 · 참새구이 · 토끼탕
}}}}}}}}} ||

파일:sanjeok.jpg
산적

1. 개요2. 역사
2.1. 성립 이전
3. 조리법4. 여담

[clearfix]

1. 개요

산적()은 고기류 등을 길쭉하고 얇게 썰어(散) 양념하여 꼬챙이에 꿰어서 구운 것(炙)을 말한다.

2. 역사

2.1. 성립 이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누르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산적이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전, 누르미라는 요리가 누름적으로 변형되었으며 이것이 적으로 이어진다. 여기서 적이란 단어 자체가 구이요리를 뜻하며, 이 단어를 이름으로 가진 요리에서 갈라져 나온 요리이다.

지칭에 매우 자주 혼동이 일어나는데, 한자 의미상 이게 왜 산적인가 싶은 과하게 두껍고 큰 불고기같은 음식은 실제로는 산적의 썰기 전 원형인 '적(한국 요리)'(혼동을 피하기 위해 육적이라고도 함)이지만, 제사를 자주 지내 두 음식을 자주 접함에도 이거 보기 전엔 몰랐을 정도고, 저 사전에서도 이걸 보면 혼동하고 있다. 마트나 정육점 가서 산적거리 해달라면 '적' 형태로 가공해줄 정도다. 산적들이 구워먹던 게 어원이라느니 혹은 산적이 훔쳐와서 즐겨먹던 고기요리라 산적이라느니 이런 농담들이 있는데, 진지하게 믿지는 말자. 석쇠, 오븐, 연탄, 가스불 등에 다양하게 구워 먹는다.

고기와 같이 버섯, 김치, 오징어 등을 같이 꽂아 구워먹는다. 주로 명절에 먹을 기회가 생기고, 평소에는 꼬치에 꿰는 귀차니즘 때문에 많이 먹지 못할 수도 있다. 고기는 두께 5mm, 길이 10cm 정도로 썰어 간장베이스 양념을 재우고, 고기와 대파만 사용하기도 하고, 당근을 같이 꿰기도 한다. 후자인 경우는 무와 당근을 미리 찐 뒤에 꼬치를 꿰기도 한다. 제사상에 올릴 때는 전체적으로 넓적해야 하므로 고기든 파든 길게 썬다.[1] 식탁에 올리면 재료는 반찬들인 주제에 양은 별로로 보이고 배도 조금밖에 안 부르기에 금방 많이 먹게 되고 이는 살로 간다. 조심하자.

파일:external/recipe.ezmember.co.kr/4f7e47707d87a3a12abd9cae5fa36c371.jpg
이런 모양은 미니산적이라고 나오기 시작한 것으로, 화양적이라고도 불린다. 1980년대 이후에 민간에 퍼진 음식이다. (햄과 맛살이 옛날에 있었을 리가 없을테니.)[2] 요즘은 음식준비하는 번거로움을 줄이면서 꼬치를 꿰고 굽는 즐거움을 준다며 김밥세트처럼 냉장식품코너에 키트로 나오는데, 그 마저도 귀찮다고 계란물을 묻혀 굽기만 하면 되는 완성품을 사거나 아예 구운 전을 사가는 사람도 늘었다.

요즘 귀차니즘으로 인해 꼬챙이 안 꽂고 그냥 피자 토핑하듯이 재료를 놔버리는 집도 있다. 또한 요즘 명절에 만드는 산적은 대부분 , 게맛살과 야채를 꽂아서 계란에 묻힌 후 부친 것인데, 고기로 하면 맛내기도 힘들고 손도 많이 가서 햄과 게맛살이 도입된 후 간단하게 만들기 위해 만들어진 레시피일 것이다. 또한 이는 지짐누름적에 가까운 음식이나, 날 재료를 그대로 꼬챙이에 꿴 다음 구워내니 산적이 맞다. 누름적과 산적의 차이는 "재료를 익히고 꿰냐 안 익히고 꿰냐"의 차이인데, 먹는 사람은 별 거 아닌 것처럼 느껴질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엄연히 이 두 음식은 다른 음식이며, 한식을 배울 때에도 이 두 음식은 기원이 다르다고 배운다. 누름적은 원래 누르미라는 재료를 익힌 뒤에 걸쭉한 즙을 끼얹어 먹는 음식에서 유래했다. 하지만 밀가루와 계란물 입혀 지지는 방식은 지짐누름적에서 재료를 다시 한 번 익힐 때 쓰는 기법이다. 인천이나 경상도에서는 단무지를 넣고 지지기도 한다. 부산에는 상어산적이라는 음식도 있다. 돔배기 문서에서 좀 더 자세하게 볼 수 있다.

3. 조리법

이름이 적인 만큼 원래는 직화구이가 맞지만, 큰 오븐을 가진 가정은 많지 않고, 이것만을 위해 숯을 준비하기는 불편하기 때문에, 요즘은 번철(프라이팬)에 기름두르고 굽는 것이 일반적이다. 계란물을 입히는 것도 그 과정에 나온 것이다.

산적을 만들 때에는 취향에 따라 마음대로 만들 수 있다. 새우나 마늘, 감자를 꽂는 경우는 드물고, 보통은 맛살이나 햄, 파, 계란 등을 꼬지에 꽂아 계란물을 묻혀 튀긴다. 이때 기름이 튈수있으니 조심하는 게 좋다. [3]

경상도의 경우, 제사명절음식으로 올라가는데, 게맛살+단무지+실파+김밥햄을 꼬지에 꽂고 통째로 계란물에 담궜다 빼서 기름을 골고루 두른 팬에 조리하는 것이 기본 중의 기본이다.

4. 여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원래 전통 제수음식은 자잘하게 만들지 않는다. 사진과 같은 귀여운 꼬치는 요즘 유행이다.[2] 전통요리 산적은 양념에 재워서 구운 고기와 물에 데친 후 볶은 오이, 도라지, 당근, 버섯, 계란 등을 꿰어낸 다음 잣가루를 뿌린다.[3] 앞치마가 있다면 이것을 방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