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1 17:28:05

김덕한

조선귀족
朝鮮貴族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8px -3px -11px"
수작 공작
-
후작
박영효 · 윤택영 · 이재각 · 이재완 · 이해승 · 이해창
백작
민영린 · 이완용 · 이지용[1]
자작
고영희 · 권중현 · 김성근 · 김윤식 · 민병석 · 민영규 · 민영소 · 민영휘 · 박제순 · 송병준 · 윤덕영 · 이근명 · 이근택 · 이기용 · 이병무 · 이완용[2] · 이용직 · 이재곤 · 이하영 · 임선준 · 조민희[3] · 조중응
남작
김가진[4] · 김병익 · 김사철 · 김사준 · 김영철 · 김종한 · 김춘희 · 김학진 · 남정철 · 민상호 · 민영기 · 민종묵 · 민형식 · 박기양 · 박용대 · 박제빈 · 성기운 · 윤웅렬 · 이건하 · 이근상 · 이근호 · 이봉의 · 이용원 · 이용태 · 이윤용 · 이재극 · 이정로 · 이종건 · 이주영 · 이항구[5] · 장석주 · 정낙용 · 정한조 · 조동윤 · 조동희[6] · 조희연 · 최석민 · 한창수
습작 공작
-
후작
박찬범 · 윤의섭 · 이달용 · 이덕용 · 이덕주 · 이병길
백작
고중덕 · 고흥겸 · 송종헌 · 이영주
자작
고희경 · 권태환 · 김호규 · 민병삼 · 민충식 · 민형식 · 민홍기 · 박부양 · 윤강로 · 이규원 · 이종승 · 이창훈 · 이충세 · 이택주 · 이해국 · 이홍묵 · 임낙호 · 임선재ㆍ조대호 · 조용호 · 조원흥 · 조중수
남작
김교신 · 김덕한 · 김세현 · 김석기 · 김영수 · 김용국 · 김정록 · 남장희 · 민건식 · 민규현 · 민병억 · 민영욱 · 민철훈 · 민태곤 · 민태윤 · 박경원 · 박서양 · 박승원 · 박정서 · 성일용 · 성주경 · 윤치호 · 이강식 · 이경우 · 이규환 · 이기원 · 이능세 · 이동훈 · 이범팔 · 이병옥 · 이병주 · 이완종 · 이원호 · 이인용 · 이장훈 · 이중환 · 이창수 · 이풍한 · 이홍재 · 장인원 · 정두화 · 정주영 · 정천모 · 조원세 · 조중구 · 조중헌 · 최정원 · 한상기 · 한상억
승작 백작 → 후작
이완용
자작 → 백작
고희경 · 송병준
[1] 1912년 도박죄로 구속되어 일시적으로 예우 정지.
}}}}}}}}} ||

金德漢
1874년 ~ 1946년 12월 17일

1. 개요2. 생애3. 기타

1. 개요

일제강점기조선귀족. 본관은 신 안동 김씨.

2. 생애

구한말의 판서이자 조선귀족 김학진의 아들로, 1894년 전시(殿試) 병과에 급제하며 관료로 입각하였다.

대한제국 비서원에서 비서원랑과 비서원승으로 재임하여 홍문관 시독(侍讀)과 태의원 소경(太醫院 小卿), 경상남도 울산군수, 규장각, 부제학, 봉상사 제조(奉常司 提調), 종묘서 제조(宗廟署 提調), 의효전 제조(懿孝殿提調)으로 재임하였다.

1908년부터 1909년까지 《국조보감(國朝寶鑑)》 찬집위원(纂集委員)과 선사위원(繕寫委員), 감인위원(監印委員)으로 재임하였다.

1909년 10월 《국조보감》 찬집에 기여하여 대한제국 정부로부터 훈4등 태극장을 수여하였다.

1912년 8월 일본 황실로부터 한국 병합 기념장을 수여했다.

1914년 6월 10일 일본 정부로부터 종5위에 서위되었다.

1918년 1월 10일 김학진이 받은 남작 작위를 승계하였다.

1922년 3월 승계하 종4위에 서위되었다.

1928년 11월 16일 일본 정부로부터 쇼와 대례 기념장을 받았다.

1928년부터 1929년까지 조선총독부 중추원 조사과 촉탁으로 재임하였다.

1946년 12월 17일 사망했다.

3.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