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김포시 갑
, 김포시 을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4097>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6px -1px -36px; word-break: keep-all" | [[고양시/정치| 북 고양시]] |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80c84d 21%, #80c84d); font-size: 1em" ]] 수원시 | [[용인시/정치| 본 용인시]] | }}} {{{#!wiki style="margin: -6px -1px -13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과천시/정치| 본 과천시]] | [[광명시/정치| 본 광명시]] | [[광주시/정치| 본 광주시]] | [[구리시/정치| 북 구리시]] | [[군포시/정치| 본 군포시]] | |||
[[김포시/정치| 본 김포시]] | [[남양주시/정치| 북 남양주시]] | [[동두천시/정치| 북 동두천시]] | [[부천시/정치| 본 부천시]] | [[성남시/정치| 본 성남시]] | ||||||||
[[시흥시/정치| 본 시흥시]] | [[안산시/정치| 본 안산시]] | [[안성시/정치| 본 안성시]] | [[안양시/정치| 본 안양시]] | [[양주시/정치| 북 양주시]] | ||||||||
[[여주시/정치| 본 여주시]] | [[오산시/정치| 본 오산시]] | [[의왕시/정치| 본 의왕시]] |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0aa4b5 21%, #0aa4b5); font-size: 1em" ]] 의정부시 | [[이천시/정치| 본 이천시]] | ||||||||
[[파주시/정치| 북 파주시]] | [[평택시/정치| 본 평택시]] | [[포천시/정치| 북 포천시]] | [[하남시/정치| 본 하남시]] | [[화성시/정치| 본 화성시]]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 [[가평군/정치| 북 가평군]] | [[양평군/정치| 본 양평군]] | [[연천군/정치| 북 연천군]] | }}}}}}}}} |
1. 기본 정보
1.1. 선거구 정보
경기도 김포시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 ||
<rowcolor=#fff> 국회의원 | 도의원 | 지역 |
<colbgcolor=#9e8038><colcolor=#fff> 김포시 갑 | 김포시1 | 고촌읍, 사우동, 풍무동 |
김포시2 | 김포본동, 장기동 | |
김포시 을 | 김포시3 | 통진읍, 양촌읍, 대곶면, 월곶면, 하성면, 구래동 |
김포시4 | 장기본동, 마산동, 운양동 |
1.2. 시의회
자세한 내용은 김포시의회 문서 참고하십시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7석, 시장 소속 정당 | [[더불어민주당| 7석 ]] | ||||
재적 14석 | }}}}}}}}} |
2. 지역 특성
전방+농촌이라는 특성 때문에 2000년대까지는 보수정당의 텃밭이었다가 풍무지구 및 한강신도시 입주로 2010년대 들어서는 민주당 우위로 굳어졌다. 이는 이웃한 파주시와 동일하다. 참고로 김포 지역 정치인들 중에서는 유독 인천광역시에 연고를 둔 인물이 많은데, 이는 김포가 오랫동안 인천의 영향권에 있었음을 증명한다. 대표적으로 유영록 전 김포시장, 홍철호 전 국회의원은 모두 인천 부평고등학교 출신이다. 또한 역으로 인천 정치인 중에도 김포에 연고가 있는 경우가 있다. 정반대 사례로는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이 관선 및 민선 김포군수, 초대 김포시장을 거쳐 김포시에서 3선 국회의원을 역임한 바 있으며, 최기선 전 인천광역시장 역시 김포시 출신이다. 1998년 시 승격 당시의 마지막 김포군수가 한나라당 소속의 유정복[1]이었다.이랬던 김포시의 정치 성향이 경합세로 바뀌게 된 계기는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였다. 민주당 소속 유영록 후보가 시장에 당선된 것이다. 당시의 지역 중요 현안이라면 단연 김포 골드라인이었는데, 한나라당 소속의 강경구 당시 시장의 공약은 경전철 지하화였고, 유영록 후보의 공약은 서울 지하철 9호선과 직결되는 지하 중전철로의 변경이었다. 마침 한나라당 소속이었던 김동식 전 시장의 무소속 출마로 보수표가 분산되자 유 후보는 강 후보를 이기고 당선될 수 있었다. 그러나 재정 부족으로 9호선 연장 공약 계획은 물거품이 되고 결국 대신 경전철 신설로 방향이 틀어졌다. 항상 형식적으로만 진행되던 시민 의견 수렴 행사가 9호선 백지화에 분노한 시민들의 항의 공세로 난장판이 됐다. 그럼에도 2014년 제6회 지방선거에서 유영록 시장은 새누리당 신광철 후보를 이겼다. 한나라당 출신인 김동식 전 시장이 새정치민주연합에서 컷오프되어 무소속으로 나오면서 중도 표를 잠식했기 때문이다. 선거 결과에서 무소속 김동식의 표가 그대로 한나라당, 새누리당의 표로 들어갔으면 여유롭게 이겼다. 이것을 대변해주던 게 같은 시기 치러진 재보궐 선거였는데, 인천광역시장이 된 유정복의 공백을 메우기 위하여 남은 임기를 채울 지역구 국회의원에 대한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 새누리당은 홍철호 크레치코 회장을, 새정치민주연합은 김두관 전 경상남도지사를 공천했다. 김두관 후보는 김포와 아무런 연고도 정치적 기반도 없는 반면 굽네치킨 창업자와 형제 관계로 김포시에서 닭 가공업체를 운영하고 있었던 홍철호 후보가 굽네치킨 신화와 지역 의원론을 앞세워 10%p 앞서 당선되었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김포시 선거구의 지속적인 도시개발로 인해 인구가 늘어나면서 인구 상한(28만명) 초과로 갑과 을로 둘로 쪼개졌다.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 경쟁했던 홍철호 의원(새누리당)과 김두관 전 경남지사(더불어민주당)는 각각 을구, 갑구에 공천되어 재대결은 무산되었으며, 갑구의 새누리당 후보로 김동식 전 김포시장, 을구의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정하영 전 김포시의원(더불어민주당)이, 그리고 국민의당 후보로 하금성 전 미창개발 대표[2]가 출마하였다. 선거 결과 갑구는 김두관 후보가 당선되었고, 을구는 홍철호 후보가 당선되었다.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41.75%를 얻어 자유한국당 홍준표를 20%가 넘는 큰 격차로 누르고 승리를 거두었다. 특히 한강신도시 4개동에서는 전 지역에서 45%를 넘어섰고, 2000년대 초반에 개발된 사우동, 풍무동에서는 40% 초반, 김포본동 및 3개읍에선 30% 후반대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반면에 농촌 3개면에서는 홍준표가 약 10%의 큰 격차로 이기면서, 도농간의 민심 격차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동과 읍에선 문재인, 면에선 홍준표의 결과가 나온 것은 화성시와 완전히 동일하였는데, 안철수의 경우도 모든 7개 동에서는 2위를, 모든 읍면 지역에서 3위를 차지했다. 즉, 쉽게 말하면 안철수가 동에서, 홍준표가 읍에서, 문재인이 면에서 예외없이 2위를 차지했다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 이래 서부권 광역급행철도의 강남 미경유 논란, 즉 일명 김부선 논란이 민주당 지지세가 강했던 한강신도시를 강타했다.[3] 거기에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김주영, 박상혁 두 김포 국회의원, 정하영 김포시장까지 세 사람 모두 하나같이 여론이 부정적이었다. 더군다나 20대 대선 토론 중 이재명 김포 집값 발언 논란이 터지고, 장릉 검단신도시 아파트 불법건축 논란으로 김포 정가가 시끄러워지면서 2022년 대선 국면은 어둠 속으로 빠졌으나... 제20대 대통령 선거 결과 이재명 후보가 윤석열 후보를 16,392표, 5.46%표차로 이겼다. 여당에 터진 여러 악재들에도 불구하고 승리를 거두었는데, 한강신도시를 포함한 김포시내 전 지역에서 민주당의 손을 들어준 것이 결정적이었다.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부터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까지 모든 전국 단위 선거에서 민주당 지지세가 강했기 때문에[4] 언론에서도 김포를 민주당 우세 지역으로 분류했지만, 막상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그러다가 2023년 9월, 국민의힘 홍철호 김포시 을 당협위원장이 김포시를 경기북도가 아닌 서울특별시에 편입하자고 주장했고, 뒤이어 박진호 김포시 갑 당협위원장과 김병수 김포시장도 김포의 서울 편입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야권에서는 김포시 서울 편입론을 포퓰리즘이라고 규정했으며,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반대의 목소리가 나왔다. 찬반 측의 세부 주장과 근거에 대해서는 행정구역 개편/수도권/서울개편론/김포시 서울 편입 문서에 자세히 나와 있다.
다음 해 치러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갑, 을 지역구에서 모두 민주당 후보들이 약 10%p 격차로 승리했다. 정권심판론이 강하게 작용했으며, 김포시 서울 편입과 서울 지하철 5호선 연장 같은 지역 이슈들은 묻힌 것으로 추정된다.
3. 역대 선거 결과
역대 김포시 국회의원 선거 결과 | ||
김포군·강화군 | ||
13대 | 정해남,(초선), | |
14대 | [[통일국민당|]] 김두섭,(초선), | |
김포군[5] | ||
15대 | [[무소속(정치)| 무소속 ]] 박종우,(초선), | |
김포시 | ||
16대 | [[새천년민주당|]] 박종우,(재선), | |
17대 | 유정복,(초선), | |
18대 | 유정복,(재선), | |
19대 | [[새누리당|]] 유정복,(3선)[6], | |
[[새누리당|]] 홍철호,(초선)[7], | ||
김포시 갑 | 김포시 을 | |
20대 | 김두관,(초선), | [[새누리당|]] 홍철호,(재선), |
21대 | 김주영,(초선), | 박상혁,(초선), |
22대 | 김주영,(재선), | 박상혁,(재선), |
||<-5><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9e8038><tablebgcolor=#fff,#1f2023><bgcolor=#fff,#1f2023><color=#000,#ddd> 역대 김포시장 선거 결과 ||
<rowcolor=#fff> 김포군수 | 김포시장 | |||||
1995 | 1998 | 2002 | 2006 | 2010 | ||
무소속 | 새정치국민회의 | 한나라당 | 한나라당 | 민주당 | ||
유정복 | 김동식 | 강경구 | 유영록 | |||
2014 | 2018 | 2022 | ||||
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
유영록 | 정하영 | 김병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구분 | 주요 후보 득표율 | ||||
김포군수 | ||||||
1995년 |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유정복 38.00%2위: [[민주자유당|]] 임순기 22.32% 3위: 이준택 15.12%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조한승 11.53% | |||||
김포시장 | ||||||
1998년 | 1위: [[새정치국민회의|]] 유정복 63.89% 2위: 김동식 36.10% | |||||
2002년 | 1위: 김동식 54.64% 2위: [[새천년민주당|]] 유정복 45.35% | |||||
2006년 | 1위: 강경구 45.90% 2위: 유영록 25.63%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동식 22.14% | |||||
2010년 | 1위: [[민주당(2008년)|]] 유영록 46.59% 2위: 강경구 38.45%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동식 14.94% | |||||
2014년 | 1위: [[새정치민주연합|]] 유영록 48.28% 2위: [[새누리당|]] 신광철 42.46% | |||||
2018년 | 1위: 정하영 65.84% 2위: 유영근 30.65% | |||||
2022년 | 1위: 김병수 52.42% 2위: 정하영 44.79% | }}}}}}}}} |
3.1. 지선
3.1.1.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1.1.1. 경기도지사
김포시 김포시 일원[김포] | |||||
정당 | | ||||
후보 | 이재명 | 남경필 | 김영환 | 이홍우 | 홍성규 |
득표수 | 101,724 | 62,059 | 7,569 | 4,553 | 1,283 |
득표율 | 57.41% | 35.02% | 4.27% | 2.56% | 0.72% |
순위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계 | |||||
선거인 수 | 316,246 | ||||
투표 수 | 180,079 | ||||
무효표 수 | 2,891 | ||||
투표율 | 56.94% |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경기 김포시 개표 결과 | |||||||
정당 |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재명 | 남경필 | 김영환 | 이홍우 | 홍성규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101,724 (57.41%) | 62,059 (35.02%) | 7,569 (4.27%) | 4,553 (2.56%) | 1,283 (0.72%) | +39,665 (△22.39) | 56.94% |
통진읍 | 50.81% | 41.63% | 4.27% | 2.0% | 1.29% | △9.18 | 46.12 |
고촌읍 | 50.69% | 40.95% | 4.88% | 2.61% | 0.87% | △9.74 | 57.60 |
양촌읍 | 52.60% | 40.65% | 3.76% | 2.15% | 0.84% | △11.95 | 46.51 |
대곶면 | 41.71% | 51.62% | 3.55% | 2.05% | 1.06% | ▼9.91 | 43.26 |
월곶면 | 42.17% | 51.27% | 3.77% | 1.68% | 1.11% | ▼9.10 | 50.68 |
하성면 | 42.75% | 51.11% | 3.44% | 1.73% | 0.97% | ▼8.36 | 48.86 |
김포본동 | 53.54% | 38.68% | 4.38% | 2.59% | 0.80% | △14.86 | 54.49 |
장기본동 | 60.14% | 32.35% | 4.14% | 2.95% | 0.41% | △27.79 | 56.18 |
사우동 | 54.19% | 37.68% | 4.90% | 2.37% | 0.86% | △16.51 | 51.66 |
풍무동 | 57.98% | 34.23% | 4.25% | 3.01% | 0.53% | △23.75 | 58.06 |
장기동 | 60.99% | 31.06% | 4.36% | 2.68% | 0.90% | △29.93 | 56.41 |
구래동 | 64.96% | 28.04% | 3.82% | 2.61% | 0.57% | △36.92 | 55.05 |
운양동 | 61.35% | 31.26% | 4.34% | 2.55% | 0.50% | △30.09 | 59.70 |
후보 | 이재명 | 남경필 | 김영환 | 이홍우 | 홍성규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52.40% | 33.21% | 9.22% | 4.06% | 1.11% | △19.19 | |
관외사전투표 | 63.80% | 28.49% | 4.48% | 2.58% | 0.65% | △35.31 |
3.1.1.2. 김포시장
3.1.2.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1.2.1. 경기도지사
8회 지선 김포시 개표 결과 | |||||||
경기도지사 선거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김동연 | 김은혜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92,596 (47.67%) | 98,054 (50.48%) | - 5,458 (▼2.81) | 195,865 (49.88%) | |||
김포본동[A] | 46.31% | 51.99% | ▼5.68 | 50.15 | |||
장기본동 | 48.87% | 49.26% | ▼0.39 | 48.19 | |||
사우동 | 47.22% | 50.82% | ▼3.60 | 49.04 | |||
풍무동[B] | 49.11% | 49.06% | △0.05 | 49.51 | |||
장기동 | 48.61% | 49.81% | ▼1.20 | 47.24 | |||
구래동 | 52.49% | 45.52% | △6.97 | 40.79 | |||
마산동 | 52.34% | 45.79% | △6.55 | 45.07 | |||
운양동 | 49.96% | 48.45% | △1.51 | 47.87 | |||
통진읍 | 41.81% | 56.28% | ▼14.47 | 41.24 | |||
고촌읍 | 45.61% | 52.70% | ▼7.09 | 52.57 | |||
양촌읍 | 45.07% | 52.85% | ▼7.78 | 41.37 | |||
대곶면 | 34.80% | 63.75% | ▼28.95 | 44.25 | |||
월곶면[C] | 33.69% | 64.07% | ▼30.38 | 50.84 | |||
하성면 | 34.33% | 64.08% | ▼29.75 | 48.87 | |||
후보 | 김동연 | 김은혜 | 격차 | ||||
거소투표 | 44.57% | 48.19% | ▼3.61 | ||||
관외사전투표 | 50.90% | 46.76% | △4.14 | ||||
국회의원 선거구 | 김동연 | 김은혜 | 격차 | 투표율 | |||
김포시 갑[D][13] | 47.36% | 50.90% | ▼3.54 | 49.86 | |||
김포시 을[E][15] | 47.24% | 50.92% | ▼3.67 | 44.60 | |||
후보 | 김동연 | 김은혜 | 격차 | 투표율 | |||
동 지역(김포)[F] | 47.63% | 50.57% | ▼2.94 | 49.69 | |||
한강신도시[G] | 50.38% | 47.85% | △2.53 | 45.76 | |||
읍 지역[H] | 44.50% | 53.66% | ▼9.16 | 46.11 | |||
면 지역[I] | 34.35% | 63.95% | ▼29.60 | 47.40 |
3.1.2.2. 김포시장
김포시장 선거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정하영 | 김병수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86,798 (44.79%) | 101,566 (52.42%) | - 14,768 (▼7.62) | 195,837 (49.88%) | |||
김포본동[A] | 43.99% | 53.74% | ▼9.75 | 50.13 | |||
장기본동 | 44.26% | 51.58% | ▼7.32 | 48.17 | |||
사우동 | 44.95% | 52.80% | ▼7.85 | 49.02 | |||
풍무동[B] | 46.31% | 51.74% | ▼5.42 | 49.49 | |||
장기동 | 43.07% | 53.26% | ▼10.19 | 47.21 | |||
구래동 | 48.20% | 48.09% | △0.10 | 40.76 | |||
마산동 | 48.73% | 47.31% | △1.42 | 45.07 | |||
운양동 | 44.46% | 51.29% | ▼6.83 | 47.86 | |||
통진읍 | 45.95% | 52.40% | ▼6.45 | 41.23 | |||
고촌읍 | 40.48% | 56.96% | ▼16.48 | 52.56 | |||
양촌읍 | 44.81% | 53.24% | ▼8.43 | 41.37 | |||
대곶면 | 35.37% | 63.18% | ▼27.80 | 44.26 | |||
월곶면[C] | 35.77% | 62.73% | ▼26.96 | 50.87 | |||
하성면 | 38.16% | 60.61% | ▼22.44 | 48.88 | |||
후보 | 정하영 | 김병수 | 격차 | ||||
거소투표 | 44.75% | 48.45% | ▼3.70 | ||||
관외사전투표 | 48.63% | 49.07% | ▼0.44 |
3.2. 대선
3.2.1. 제13대 대통령 선거
김포군 김포군 일원 | ||||
정당 | | |||
후보 | 노태우 | 김영삼 | 김대중 | 김종필 |
득표수 | 34,380 | 18,436 | 11,125 | 3,900 |
득표율 | 50.54% | 27.10% | 16.35% | 5.73% |
순위 | 1위 | 2위 | 3위 | 4위 |
계 | ||||
선거인 수 | 78,126 | |||
투표 수 | 69,517 | |||
무효표 수 | 1,494 | |||
투표율 | 91.39% |
3.2.2. 제14대 대통령 선거
김포군 김포군 일원 | ||||
정당 | [[민주자유당|]] | [[통일국민당|]] | ||
후보 | 김영삼 | 김대중 | 정주영 | 박찬종 |
득표수 | 21,079 | 14,938 | 18,609 | 3,760 |
득표율 | 35.45% | 25.12% | 31.29% | 6.32% |
순위 | 1위 | 3위 | 2위 | 4위 |
계 | ||||
선거인 수 | 74,988 | |||
투표 수 | 60,479 | |||
무효표 수 | 1,022 | |||
투표율 | 82.68% |
3.2.3. 제15대 대통령 선거
김포군 김포군 일원 | |||
정당 | | [[새정치국민회의|]] | |
후보 | 이회창 | 김대중 | 이인제 |
득표수 | 23,652 | 21,792 | 20,763 |
득표율 | 35.22% | 32.45% | 30.92% |
순위 | 1위 | 2위 | 3위 |
계 | 선거인 수 | 86,552 | |
투표 수 | 68,245 | ||
무효표 수 | 1,101 | ||
투표율 | 80.79% |
3.2.4. 제16대 대통령 선거
김포시 김포시 일원 | |||
정당 | | [[새천년민주당|]] | |
후보 | 이회창 | 노무현 | 권영길 |
득표수 | 44,538 | 45,302 | 3,879 |
득표율 | 47.20% | 48.01% | 4.11% |
순위 | 2위 | 1위 | 3위 |
계 | 선거인 수 | 136,023 | |
투표 수 | 95,124 | ||
무효표 수 | 771 | ||
투표율 | 69.36% |
3.2.5. 제17대 대통령 선거
김포시 김포시 일원 | |||||
정당 | [[대통합민주신당|]] |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후보 | 정동영 | 이명박 | 권영길 | 문국현 | 이회창 |
득표수 | 20,342 | 54,078 | 2,439 | 5,762 | 13,554 |
득표율 | 21.22% | 56.41% | 2.54% | 6.01% | 11.61% |
순위 | 2위 | 1위 | 5위 | 4위 | 3위 |
계 | |||||
선거인 수 | 190,910 | ||||
투표 수 | 117,051 | ||||
무효표 수 | 347 | ||||
투표율 | 61.31% |
3.2.6. 제18대 대통령 선거
김포시 김포시 일원 | ||
정당 | [[새누리당|]] | |
후보 | 박근혜 | 문재인 |
득표수 | 76,997 | 69,572 |
득표율 | 52.33% | 47.28% |
순위 | 1위 | 2위 |
계 | 선거인 수 | 206,665 |
투표 수 | 147,849 | |
무효표 수 | 715 | |
투표율 | 71.54% |
3.2.7. 제19대 대통령 선거
김포시 김포시 일원[김포] | |||||
정당 | |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득표수 | 93,697 | 48,490 | 51,081 | 15,614 | 14,517 |
득표율 | 41.75% | 21.61% | 22.76% | 6.95% | 6.47% |
순위 | 1위 | 3위 | 2위 | 4위 | 5위 |
계 | |||||
선거인 수 | 290,415 | ||||
투표 수 | 225,075 | ||||
무효표 수 | 703 | ||||
투표율 | 77.50% |
19대 대선 경기도 김포시 개표 결과 | |||||||
정당 |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
득표수 (득표율) | 93,697 (41.75%) | 48,490 (21.61%) | 51,081 (22.76%) | 15,614 (6.95%) | 14,517 (6.47%) | +42,616 (△18.99) | 77.50% |
통진읍 | 32.37% | 30.17% | 24.18% | 6.45% | 6.30% | △2.20 | 65.63 |
고촌읍 | 38.34% | 26.65% | 21.32% | 7.40% | 5.93% | △11.69 | 77.99 |
양촌읍 | 36.71% | 26.25% | 24.76% | 5.91% | 5.81% | △10.46 | 66.61 |
대곶면 | 27.37% | 36.03% | 24.98% | 5.97% | 4.92% | ▼8.66 | 63.92 |
월곶면 | 26.49% | 37.88% | 22.88% | 6.77% | 4.86% | ▼11.39 | 66.90 |
하성면 | 26.72% | 37.34% | 24.95% | 5.13% | 5.33% | ▼10.62 | 66.99 |
김포본동 | 39.39% | 23.02% | 23.60% | 6.98% | 6.63% | △15.79 | 75.71 |
장기본동 | 45.32% | 18.47% | 22.27% | 7.43% | 6.19% | △23.05 | 78.63 |
사우동 | 41.15% | 21.15% | 22.67% | 7.27% | 7.28% | △18.48 | 76.11 |
풍무동 | 43.42% | 20.22% | 22.69% | 6.85% | 6.39% | △20.73 | 80.50 |
장기동 | 46.69% | 17.46% | 21.90% | 7.30% | 6.37% | △24.79 | 78.96 |
구래동 | 47.14% | 16.71% | 22.97% | 6.34% | 6.46% | △24.17 | 76.95 |
운양동 | 47.03% | 16.13% | 22.84% | 7.93% | 5.76% | △24.19 | 82.71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격차 | |
거소 및 선상투표 | 36.21% | 18.68% | 31.61% | 7.47% | 4.31% | △4.60 | |
관외사전투표 | 45.52% | 17.13% | 21.40% | 7.45% | 7.92% | △24.12 | |
재외투표 | 60.19% | 7.54% | 15.27% | 4.28% | 12.27% | △44.92 | |
국회의원 선거구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격차 | 투표율 |
김포시 갑[24][25] | 42.15% | 21.31% | 22.55% | 7.11% | 6.50% | △19.60 | 78.0% |
3.2.8. 제20대 대통령 선거
20대 대선 김포시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153,206 (51.07%) | 136,814 (45.61%) | + 16,392 (△5.46) | 302,170 (77.10%) | |||
김포본동[A] | 49.11% | 47.45% | △1.65 | 76.21 | |||
장기본동 | 51.54% | 45.46% | △6.07 | 76.24 | |||
사우동 | 51.85% | 44.78% | △7.07 | 77.72 | |||
풍무동[B] | 51.24% | 45.70% | △5.54 | 76.64 | |||
장기동 | 53.96% | 42.83% | △11.13 | 77.41 | |||
구래동 | 55.58% | 40.92% | △14.66 | 72.05 | |||
마산동 | 56.16% | 40.49% | △15.67 | 75.39 | |||
운양동 | 52.02% | 44.87% | △7.16 | 76.57 | |||
통진읍 | 47.93% | 48.21% | ▼0.29 | 67.20 | |||
고촌읍 | 48.18% | 48.69% | ▼0.52 | 80.09 | |||
양촌읍 | 51.00% | 45.59% | △5.42 | 69.38 | |||
대곶면 | 39.79% | 57.39% | ▼17.60 | 69.92 | |||
월곶면[C] | 39.89% | 56.12% | ▼16.23 | 73.06 | |||
하성면 | 41.62% | 55.40% | ▼13.79 | 73.53 |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47.18% | 46.75% | △0.43 | ||||
관외사전투표 | 51.45% | 44.91% | △6.54 | ||||
재외투표 | 65.40% | 30.58% | △34.81 | ||||
국회의원 선거구 | 이재명 | 윤석열 | 격차 | 투표율 | |||
김포시 갑[D][30] | 50.65% | 46.12% | △4.53 | 77.48 | |||
김포시 을[E][32] | 51.27% | 45.41% | △5.86 | 72.98 |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격차 | 투표율 | |||
동 지역(김포)[F] | 50.52% | 46.20% | △4.32 | 76.68 | |||
한강신도시[G] | 53.80% | 42.96% | △10.84 | 75.48 | |||
읍 지역[H] | 48.87% | 47.73% | △1.14 | 73.33 | |||
면 지역[I] | 40.47% | 56.36% | ▼15.89 | 71.96 |
3.3. 총선
21대 총선 김포시 개표 결과 | |||||||||||||
국회의원 선거 (김포시 갑)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 | 무소속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김주영 | 박진호 | 유영록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58,613 (52.88%) | 42,660 (38.49%) | 8,972 (8.09%) | + 15,953 (△14.39) | 111,816 (67.43%)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김포본동[A] | 47.79% | 41.42% | 10.24% | △6.36 | 63.35 | |||||||
사우동 | 51.71% | 37.38% | 10.39% | △14.33 | 66.03 | ||||||||
풍무동 | 54.89% | 38.12% | 6.55% | △16.77 | 66.91 | ||||||||
장기동 | 57.64% | 35.60% | 6.25% | △22.05 | 64.06 | ||||||||
고촌읍 | 49.44% | 43.23% | 6.80% | △6.21 | 68.24 | ||||||||
후보 | 김주영 | 박진호 | 유영록 | 격차 | 투표율 | ||||||||
거소·선상투표 | 45.19% | 32.21% | 22.11% | △12.98 | |||||||||
관외사전투표 | 57.27% | 32.13% | 9.65% | △25.14 | |||||||||
재외투표 | 66.28% | 29.14% | 3.42% | △37.14 |
국회의원 선거 (김포시 을)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박상혁 | 홍철호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63,193 (53.83%) | 52,200 (44.46%) | + 10,993 (△9.36) | 118,595 (63.31%)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장기본동 | 56.94% | 41.60% | △15.34 | 65.31 | |||||||
구래동 | 61.37% | 36.98% | △24.39 | 60.63 | ||||||||
운양동 | 58.28% | 40.28% | △18.00 | 65.14 | ||||||||
마산동 | 61.57% | 36.73% | △24.84 | 62.75 | ||||||||
통진읍 | 41.69% | 56.27% | ▼14.58 | 54.51 | ||||||||
양촌읍 | 47.35% | 50.66% | ▼3.31 | 56.31 | ||||||||
대곶면 | 35.07% | 63.39% | ▼28.33 | 57.24 | ||||||||
월곶면[B] | 33.97% | 64.28% | ▼30.31 | 63.36 | ||||||||
하성면 | 33.99% | 64.59% | ▼30.61 | 60.87 | ||||||||
후보 | 박상혁 | 홍철호 | 격차 | 투표율 | ||||||||
거소·선상투표 | 44.39% | 50.24% | ▼5.85 | |||||||||
관외사전투표 | 60.17% | 37.55% | △22.61 | |||||||||
재외투표 | 72.45% | 27.54% | △44.91 |
3.3.1. 비례대표
3.3.1.1.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선거 | |||||||||||||||
정당 |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 |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 | 격차 | 투표율 | ||||||||
득표수 (득표율) | 69,655 (31.38%) | 78,528 (35.38%) | 21,904 (9.87%) | 16,434 (7.40%) | 13,878 (6.25%) | - 8,873 (▼4.00) | 230,414 (65.23%)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김포본동[A] | 34.06% | 33.73% | 9.32% | 7.28% | 4.94% | △0.33 | 63.34 | |||||||
장기본동 | 28.87% | 37.12% | 10.36% | 8.23% | 6.49% | ▼8.24 | 65.32 | ||||||||
사우동 | 30.40% | 35.67% | 10.40% | 7.14% | 6.13% | ▼5.27 | 66.04 | ||||||||
풍무동 | 30.15% | 35.62% | 10.53% | 8.17% | 6.29% | ▼5.47 | 66.91 | ||||||||
장기동 | 27.92% | 36.97% | 10.93% | 8.25% | 7.06% | ▼9.05 | 64.07 | ||||||||
구래동 | 25.56% | 39.86% | 10.80% | 7.90% | 6.95% | ▼14.30 | 60.63 | ||||||||
운양동 | 27.88% | 37.48% | 10.19% | 8.68% | 7.37% | ▼9.60 | 65.16 | ||||||||
마산동 | 24.93% | 39.97% | 10.51% | 7.55% | 7.48% | ▼15.04 | 62.75 | ||||||||
통진읍 | 41.34% | 30.30% | 7.66% | 4.96% | 3.96% | △11.04 | 54.49 | ||||||||
고촌읍 | 35.70% | 31.97% | 9.65% | 7.96% | 6.39% | △3.74 | 68.23 | ||||||||
양촌읍 | 36.94% | 32.99% | 8.25% | 5.47% | 4.76% | △3.96 | 56.31 | ||||||||
대곶면 | 50.33% | 26.84% | 5.98% | 3.96% | 3.43% | △23.48 | 57.24 | ||||||||
월곶면[B] | 48.39% | 25.60% | 6.59% | 4.19% | 3.70% | △22.79 | 63.36 | ||||||||
하성면 | 47.79% | 25.24% | 6.88% | 4.90% | 3.27% | △22.55 | 60.87 | ||||||||
정당 |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 |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28.57% | 29.08% | 10.96% | 10.96% | 2.80% | ▼0.51 | |||||||||
관외사전투표 | 26.66% | 37.31% | 10.56% | 7.02% | 7.88% | ▼10.65 | |||||||||
재외투표 | 20.24% | 35.88% | 11.04% | 6.13% | 17.48% | ▼15.64 |
[1] 원래 민주자유당 - 신한국당 소속이었다가 1998년에 새정치국민회의에 입당한 후 새천년민주당 창당에도 합류했으나 2002년 탈당해 한나라당에 복당했다.[2] 웹툰작가 하일권의 부친이다. 하 후보가 사장으로 있던 (주)미창개발은 원래 평범한 도매업체였다가 지금은 하일권이 물려받아 만화 수출 및 만화 관련 부가가치 사업으로 업종이 바뀌었다고 한다.[3] 실제로 김포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국가철도망 계획 확대 시에는 "차기 대선에서 민주당 후보를 찍겠다"는 응답이 49.5%로 크게 앞선 반면 국가철도망 계획 축소 시에는 "차기 대선에서 국민의힘 후보를 찍겠다"는 응답이 41.3%로 크게 앞섰다. #[4] 특히 3기 신도시와 골병라인 논란에도 불구하고 민주당의 김주영과 박상혁을 국회의원으로 만들어줬고, 이재명 김포 집값 발언 논란에도 불구하고 대선 투표자 과반이 이재명을 찍었다.[5] 1995년 인천직할시가 인천광역시로 바뀌며 강화군이 그리로 옮겨졌다.[6] 14.3.31. 의원직 사퇴 (인천광역시장 출마)[7] 14.7.30. 재보궐선거[김포] [A] 법정동 북변동 · 걸포동 · 감정동(일부)[B] 장릉 검단신도시 아파트 불법건축 논란의 당사지[C] 해병대 제2사단이 있는 동네[D] 김포본동, 사우동, 장기동, 풍무동, 고촌읍[13] 지역구 국회의원 : 김주영 (더불어민주당, 초선)[E] 장기본동, 구래동, 마산동, 운양동, 통진읍, 양촌읍, 대곶면, 월곶면, 하성면[15] 지역구 국회의원 :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초선)[F] 김포본동, 사우동, 풍무동[G] 장기본동, 장기동, 구래동, 마산동, 운양동[H] 통진읍, 고촌읍, 양촌읍[I] 대곶면, 월곶면, 하성면[A] [B] [C] [김포] 통진읍, 고촌읍, 양촌읍, 대곶면, 월곶면, 하성면, 김포본동, 장기본동, 사우동, 풍무동, 장기동, 구래동, 운양동[24] 지역구 국회의원 : 더불어민주당 김두관[25] 관할 동 : 고촌읍, 김포본동, 사우동, 풍무동, 장기동[A] [B] [C] 해병대 제2사단이 있는 동네[D] [30] 지역구 국회의원 : 김주영 (더불어민주당, 초선)[E] [32] 지역구 국회의원 :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초선)[F] [G] [H] [I] [A] [B] [A]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