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5 23:06:22

남자들의 야마토

남자들의 야마토 (2005)
男たちの大和 / YAMATO
파일:3abbfbf6.jpg
<colbgcolor=#0096FF,#010101><colcolor=#000000,#0096FF> 장르 전쟁, 시대극
감독 사토 준야(佐藤純彌)
각본 사토 준야(佐藤純彌)
원작 헨미 준(辺見じゅん)
제작 카도카와 하루키(角川春樹)
출연 소리마치 타카시
나카무라 시도
마츠야마 켄이치
스즈키 쿄카
나카다이 타츠야
아오이 유우
촬영 한모토 요시히로(阪本善尚)
편집 요네다 타케로(米田武朗)
음악 히사이시 조
제작사 토에이 교토 촬영소
배급사 토에이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5년 12월 17일
제작비 약 25억 엔
상영 시간 145분

1. 개요2. 출연3. 줄거리4. 평가5. 역사적 사실과의 비교6. 이야깃거리7. 관련 문서

[clearfix]

男たちの大和 / YAMATO

1. 개요

2005년에 개봉한 일본의 전쟁 영화이다. 종전 60주년 기념작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일본 해군전함 야마토의 최후를 그린다. 헨야 준(辺見じゅん)이 전함 야마토에서 생존한 수병들과 유족들을 취재하여 집필한 1983년 작 동명 소설이 원작이다.

완성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전함이었지만 아무런 전과도 없이 허무하게 가라앉은 야마토를 소재로 해서 주목을 받았다. 야마토가 레이테 만 해전에서 패배한 후 오키나와 전투에서 무의미한 자살 임무에 투입되어 격침당하는 과정을 해군 수병들의 관점에서 보여준다. 해군 수뇌부의 문제점과 위선, 폭력적인 내무부조리도 가감없이 다룬다.

개봉 후 일본 내에서의 평가는 대체로 좋은 편이다. 일본공산당도 기관지 적기에서 히로히토의 전쟁 책임을 다룬 것을 호평했다. 400만 명의 관객을 모으면서 50억 9천만 엔의 흥행수입으로 상업적으로도 성공했다. 하지만 아래 설명되듯이 한국과 중국에서는 이 영화를 두고 극우 영화다 아니다로 격한 논쟁이 일었다.

2. 출연

3. 줄거리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카미오(나카다이 타츠야)는 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의 최대 전함 야마토의 승조원이었으나, 지금은 나이 든 어부로 평범하게 살아가고 있다. 그런 그에게 전우였던 우치다의 양녀 마키코(스즈키 쿄카)가 찾아와 야마토가 침몰한 곳으로 가고 싶다고 간청하며 영화가 시작된다.

태평양 전쟁이 열세에 몰리면서 병력이 부족해지자, 당시 아직 10대 소년이던 카미오(마츠야마 켄이치)는 니시를 비롯한 수병 동기들과 특별연소병(特別年少兵)이라는 이름으로 소년병으로 징집되어 전함 야마토에 배치된다. 함상에서 근무하며 카미오는 부사관들인 대공포 반장 우치다 일등병조(중사, 나카무라 시도), 조리장 모리와키 상등병조(상사, 소리마치 타카시), 카라키 이등병조(하사)와 가까워진다. 우치다의 대공포반에 배치된 카미오는 1944년에 레이테 해전에 투입된다. 이 전투에서 자매함 무사시는 격침되고, 야마토는 공격으로 입은 손상을 수리하기 위해 일본으로 귀환한다. 우치다 역시 항공기의 기총 소사에 눈을 잃고 탄환이 몸을 관통하는 부상을 입어 해군병원에 입원한다.

전황은 점점 악화되고, 구레 군항 공습으로 해군 함정이 다수 침몰하는 와중에 카미오의 어머니도 카미오의 여자친구인 타에코(아오이 유우)를 지키다 사망한다. 1945년 3월이 넘어가자 오키나와에 대한 미군의 공세가 확실해진다. 곧 야마토에는 오키나와의 미군에게 특공을 하라는 명령이 내려온다. 2함대 사령관은 항공 지원도 없이 오키나와 출격을 강요하는 명령에 저항해보지만, 천황의 의향이라는 대답에 뜻을 꺾는다. 승조원들은 육지에 내려서 가족을 만나거나, 도박에 돈을 탕진하거나, 어머니에게 자기를 잊어 달라는 편지를 쓰면서 마지막 시간을 보낸다. 출항 전, 그때까지 병원에 있던 우치다는 연인의 만류를 뿌리치고 야마토에 몰래 승함한다.

야마토는 출항하자마자 미국 해군의 잠수함과 정찰기에게 포착당해, 곧 엄청난 수의 함재기들에게 공격을 받는다. 승조원들의 분전에도 미군의 물량 공세에 압도되면서 사상자가 늘어가고 카라키도 전사한다. 우치다와 모리와키는 혼자 살아남아 대공포를 쏘던 카미오를 발견하고 같이 싸우다가, 퇴함 명령이 떨어지자 카미오를 살리려고 대공포좌 밖으로 내던진다. 그후 곧바로 야마토는 선채가 기울어지면서 폭침한다. 바다에 빠져서 부유물을 잡고 버티던 카미오는 동기인 니시와 마주치지만, 니시는 힘이 빠져 익사한다. 근처의 구축함이 구조를 위해서 다가와 밧줄을 던지자, 카미오 곁에 있던 모리와키는 카미오에게 밧줄을 매어주고 자신은 가라앉은 야마토 쪽으로 헤엄쳐간다(영화 앞머리에 나오는 모리아키의 비석을 통해 모리아키가 구조를 거부하고 사망했음이 암시된다).

살아남은 카미오는 니시의 어머니를 찾아가 그의 죽음을 전하며 사죄하고, 히로시마 탄약공장에서 일하다 원자폭탄 투하로 중상을 입은 채 온 몸에 붕대를 감은 타에코와 재회한다. 타에코는 전쟁이 끝났으니 배를 마련해서 함께 살자고 카미오에게 말하지만, 이후 장면이 현재로 바뀌면서 카미오는 타에코가 곧 죽었다고 회상한다.

카미오와 마키코가 탄 배가 야마토의 침몰 지점에 다다르자, 마키코가 양아버지의 유골을 뿌리면서 그를 대신해 야마토에 잠들어있는 옛 전우들에게 귀환 보고를 한다. 배에 탄 일행이 당시 전사한 이들을 향해 거수경례를 올리며 영화가 끝난다.

4. 평가

야마토가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과도 같은 존재이다 보니, 영화가 공개된 후 한국과 중국에서 극우 영화라는 거센 비난과 소수의 옹호론이 뒤엉키며 안 좋은 의미로 화제가 되었다. 시간이 지난 후의 평가는 대체로 군국주의를 옹호하는 영화는 아니지만, 침략전쟁에 대한 반성보다는 전쟁의 잔혹성과 수병들의 영웅적인 희생에 집중했다는 쪽으로 모아진다. 영화에 대한 시각이 호의적으로 변했다기보다는, 일본이 우경화되면서 그 후 한 술 더 뜨는 극우물들이 쏟아져나오다보니 기준이 상향 조정된 웃지 못할 결과이다.

한국 내에서 이 때 반발이 얼마나 거셌는지, 2004년 작 하나와 앨리스의 앨리스 역으로 한국에서 큰 인기를 끌던 아오이 유우가 이 영화에 나온 것에 충격을 받고, "아오이 유우가 극우 영화에 출연했다"며 많은 한국팬들이 떨어져 나갔다. 당시 씨네21에서도 이 논란을 칼럼으로 다루었다(링크).

야마토를 바라보는 시선이 일본 안에서도 엇갈린다는 사실은 각본 작업에 얽힌 일화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개봉된 영화에는 감독인 사토 준야가 단독 각본으로도 이름을 올렸지만, 사실 원래 각본가는 따로 있다. 1928년 생인 원로 각본가 노가미 타츠오(野上龍雄)가 이노우에 준이치(井上淳一)의 도움을 받아 초고를 완성했는데, 이게 노가미 타츠오의 유작이다. 하지만 제작 과정의 마찰로 자신의 이름을 빼라고 요구해서 사토 준야의 단독 각본인 것처럼 표기된 것이다. 노가미 타츠오는 카미카제의 창시자로 알려진 오니시 다키지로(大西瀧治郎) 해군중장의 일대기를 그린 <아아 결전항공대(あゝ決戦航空隊, 1974)>의 각본에 참여하기도 했다. 헌데 본작에서는 노가미의 각본이 "너무 반전 메시지에 치우쳤다"는 이유로 제작자인 카도카와 하루키와 사토 준야 감독이 뜯어고쳐서 야마토의 수병들을 영웅적으로 그리는 지금의 내용이 되었다. 그런데 이 수정 작업이 각본가의 동의 없이 진행되는 바람에 격분한 노가미가 자기 이름을 빼버린 것.

영화가 천황의 책임을 다루고 있다고는 하지만, 사실 대단한 비판이 들어간 것은 아니다. 천황에 대한 언급은 영화 전체에서 딱 한 번 나온다. 야마토를 끌고 항공 지원도 없이 오키나와까지 가라는 명령을 받는 장면에서, 당시 야마토가 소속된 제2함대 사령관 이토 세이이치(伊藤整一) 중장이 "단 한 기의 항공기 엄호도 없이 이런 작전이 성공할거라고 생각하시오?"라고 반박을 하자, 명령을 전달하러 온 연합함대 참모장 쿠사카 류노스케(草鹿龍之介) 중장이 에둘러 대답한다. "군령부 총장(해군 참모총장)에게 폐하께서 하문하셨다고 합니다. 해군에는 이제 군함이 없는가, 라고." 즉, 야마토를 아껴둔 채로 패전을 맞이한다면 천황에게 면목이 없다는 논리로 상식적인 반론을 묵살한 것이다. 해석하기에 따라서는 야마토의 자살 임무를 천황이 간접적으로 강요했다는 의미로 풀이할 수도 있다. 천황을 언급하는 이 장면은 제작자인 카도카와 하루키의 의견으로 넣었다고 한다. 이 정도 언급만으로도 일본 내에서는 큰 화제였다고 하지만, 일본 바깥의 시각에서 본다면 이런 에두른 언급이 무슨 비판인가, 싶은 의구심이 드는 게 사실이다.

일본에서 좌익의 영향력이 훨씬 크던 60년대와 70년대에는 영화에서 이보다 더 강한 목소리로 천황의 책임을 거론하는 영화들도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위에 언급한 <아아 결전항공대>는 1974년에 개봉해서 히트했는데, 여기서는 "천황 폐하, 당신은 불쌍한 분이십니다"라는 대사까지 나온다. 천황의 항복 선언에 대해, 그간 천황을 위해 목숨 바쳐 싸우던 군인으로서 느낀 허망함을 절규하듯 토로하는 장면이다. 그렇지만, 천황을 원망하는 장면이 나온다고해서, 이 영화가 전쟁에 대한 통렬한 자기 반성이냐 하면 그건 아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카미카제 대원들의 용기와 희생을 찬양하는 영화다.

일본 영화계에서는 오래전부터 2차대전 중 일본군의 자살공격 이야기는 흥행 보증수표로 통했다. 미군정이 끝난 직후인 1953년에 만들어진 카미카제 대원들을 다룬 영화 <구름이 가는 끝에(雲ながるる果てに, 1953)>를 시작으로 90년대까지도 꾸준히 잊을만 하면 영화로 다루어진 소재이다(참고). 개중에는 오카모토 기하치(岡本喜八) 감독의 <육탄(肉弾, 1968)> 같은 냉소적 시각을 보내는 영화도 있지만 이런 경우는 예외적인 축에 속한다. 대부분은 자살공격에 나서는 군인들의 고결한 희생으로 눈물을 뽑아내는 통속물의 흥행 공식을 충실히 따라가며, <남자들의 아마토> 역시 여기서 예외는 아니다. 이런 작품들에서 군 지휘부의 무능과 위선을 거론하거나 천황을 비판하는 것은 일반 병사들의 숭고한 죽음을 부각시키기 위한 대립항일 뿐, 침략전쟁 자체가 잘못되었다는 목소리나 침략 당한 국가들에 대한 죄의식 같은 것은 외면된다.

본작을 만든 제작자들의 입장에서는 야마토라는 소재를 다룬다는 것이, 21세기에도 과거의 2차대전물 흥행공식을 이어간다는 실리와, 젊은 층에게 잊혀진 역사와 희생을 알린다는 명분이 모두 갖추어진 입맛 당기는 프로젝트였던 셈이다. 그렇다보니, 자살 공격으로 희생된 사람들을 찬양하면서도, 자살 공격 그 자체의 윤리적 모순이나 비인간성은 다루지 않는다는 과거의 암묵적인 룰을 그대로 답습한 어정쩡한 이야기가 되어버렸다.

5. 역사적 사실과의 비교

6. 이야깃거리

7. 관련 문서


[1] 당시 제2함대 사령관[2] 서부경찰 시리즈에서 다이몬 케이스케 역을 맡은 배우로 마지막으로 출연한 영화다.[3] 다만, 갈구는 이유 자체는 현재 기준으로 봐도 합당한 게 대부분이긴 하다. 포탄을 떨어트리는 건 말 그대로 폭발물 취급에 주의하지 않았다는 의미로 최악의 경우 정말 폭발해 여러 사람이 죽어 나갈 수 있는 사안이다. 특히 대전 말기 일본에서 제작한 포탄은 품질과 안전성이 조악해 세심히 다루지 않으면 안 되었다. 또한, 현창을 닫지 않은 것은 한밤 중에 등화관제가 되지 않아 적군이 이를 인식해 공격을 가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 갈구는 방식 및 강도가 상당히 지나친 게 문제였다.[4] 비슷한 분위기의 영화 아르키메데스의 대전은 신체절단을 재현해서 미군기의 50구경 기총에 피격된 대공포 사수들의 말로가 더 현실적으로 나오고 고증에 맞게 장전수들이 대공포 탄창을 누르는 묘사도 없다. 실제 96식은 사격시 탄창을 잡고 있으면 오히려 위험하다.[5] 이 영화는 북경원인 화석에서 얻은 DNA로 되살려낸 원시인이 현대인들과 만나면서 벌어지는 소동을 그리는데, 플롯부터가 쥬라기 공원의 표절인게 뻔한데다가 헐리우드 영화에 한참 못미치는 특수효과 등이 웃음거리가 되면서 괴작 취급을 받고 잊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