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5%;"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9241d><tablebgcolor=#d9241d>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5%;"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9176e><tablebgcolor=#29176e>대한제국군의 편제 | }}}}}} | ||||||
군종별 | 대한제국 육군 | 대한제국 해군 | ||||||||
중앙부처 | 원수부 | 군부 | 참모부 | 교육부 | ||||||
황실직속 | 대한제국군 호위대 | 시종무관부 | 동궁배종무관부 | 친왕부 | ||||||
주요 부대 | 대한제국군 친위대 | 대한제국군 시위대 | 대한제국군 진위대 | 대한제국군 헌병대 | ||||||
학교 | 육군무관학교 | 육군연성학교 | 육군유년학교 | |||||||
기타 | 육군법원 | 대한제국군 상무영 |
1. 개요
- 한자: 大韓帝國 海軍
대한제국 해군은 대한제국군을 구성한 군종이다. 대한제국 육군의 존재감이 크고 해군의 존재감이 없어 해군이 아예 존재하지 않은 걸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직제와 관제 등에서 해군이 일정기간 존재하였다.
2. 역사
2.1. 설립 이전 조선군의 해군
일단 대한제국이 정식으로 성립하기 전, 조선 수군의 체제 및 개혁 시도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기존의 진관 체제에선 통제영을 최고 기구로 하는 수군이 존재했다. 수군 기지는 주로 해안을 방어하는 임무를 맡았다. 1883년 12월 기연해방영(畿沿海防營)이 설치되고 민영목이 기연해방사무(해군참모총장)에 임명된다. 기연해방영은 1888년 4월 통위영으로 개편되었다.
조선 조정은 해군 양성을 위해 1892년 영국에 교관 파견을 요청하고, 1893년 3월 통제영학당(總制營學堂)을 설치하였다. 통제영학당에서는 1893년 9월 사관생도 38명과 수병 300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시작하였고 이듬해(1894) 4월 영국에서 콜웰(W. H. Callwell) 예비역 해군 항해 대위와 커티스(J. W. Curtis) 하사가 파견되어 왔으나, 일본을 비롯한 대외의 압박으로 1894년 11월 통제영학당은 폐교된다. 같은 해 갑오개혁으로 수군을 해산하고 1902년 대한제국 해군이 창설되기까지 해상 방위 전력이 아예 존재하지 않게 된다.[1]
2.2. 해군 창설 시도
삼면이 바다인데다, 오랫동안 수군이 있던 나라였고 칭제 이전에도 근대적인 해군을 만들려던 시도가 있던 만큼 대한제국에서도 해군 창설 시도는 이어졌다.1903년 6월에는 과거 해방영과 통제영이 있었던 강화진위대와 진남진위대에 해군을 설치하자는 상소가 등장하기도 하였다. (승정원일기) 군부대신 윤웅렬의 상소
지난번에 전임 군부 대신(軍部大臣) 윤웅렬(尹雄烈)씨가 양무호(揚武号) 군함 처치 방략에 대하여 해군을 설립하고 기존에 해방영(海防營), 수군영(水軍營)에 소속되었던 둔토(屯土)와 균역청(均役廳)에 소속되었던 강해(江海)의 소금, 생선, 미역 세금 등을 이속하여 그 경비의 부족분을 보충하자고 주창하여 황제 폐하께 상주하고 정부에 제의한 일은 이미 보도하였거니와, 일전에 참령(參領) 이민섭(李敏燮), 정위(正尉) 김홍권(金鴻權), 무관학교 교관(武官學校敎官) 신우균(申羽均), 부위(副尉) 이희덕(李煕悳)씨 등 10여 인이 연명하여 해군을 설치할 방략으로 원수부(元帥府), 의정부(議政府), 군부, 중추원(中樞院) 등 4곳에 헌의하였다는 대략적인 이야기를 들었는데, 해군의 설립이 매우 시급하니 군부 내에 해군 1국(局)을 별도로 설치하여 장관(將官) 이하 병졸 300명 가량으로 먼저 설립하며, 또한 해군 학교를 설립하여 학도 50명을 모집하고 그 경비로 24만 9,000원(元)을 마련하고, 경비를 지급할 방략은 13도 미곡, 우피 세금을 거두어 들여 보충하자고 하고, 또 미곡, 우피 세금으로 거두어 들일 액수를 미리 계산하였는데, 쌀은 260만석 가량에 매 석 당 엽전 4전씩 수세하고, 조 이하 잡곡은 130만석 가량에 매 석 당 엽전 3냥씩 수세하고, 우피는 3만칭(稱) 가량에 매 칭 당 엽전 3냥씩 수세하면 합계 30만 4,000원 가량이니, 경비 24만 9,000원을 제하고도 남는 금액이 5만 5,000원이라 하였으니, 본 기자가 이에 대하여 한 마디 말을 덧붙이노니, 해군의 설립은 실로 우리나라의 긴급한 안건이나, 해군 300명으로 어떤 걱정거리를 방어할 수 있으리오. 필시 3만 명 가량은 설치하여야 겨우 해양 방어의 방략이 될 것이라 이야기할 것이나, 경비 마련책이 각 항 둔세와 생선, 소금, 미역 등 세금의 방략은 어느 곳에서 마련할 것이고, 미곡과 우피에 수세할 방략이 또한 나올는지 모르겠거니와, 어떤 항목을 막론하고 신속히 해군을 설립하여 해군의 세력을 열강과 비교하기를 간절히 바라노라.
- 황성신문 1903년 11월 25일자 기사
- 황성신문 1903년 11월 25일자 기사
이 기사가 나올 무렵엔 이미 양무호가 구입이 되어 인천항에 정박해 있던 시절이었다. 양무호는 비용 결제 문제와 실제 운용할 인원 교육 등을 놓고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그때문에 나온 기사로 보인다.
2.3. 군함 구입
첫째는 대한제국군의 첫번째 군함 양무호, 그 밑은 두 번째로 도입한 군함 광제호와 승조원들. 사진은 1906년의 것으로 을사조약 뒤였고 당시 광제호의 선장은 일본 해군 소좌인 이소가이가 맡았다. 맨 뒷줄 오른쪽 끝이 당시 광제호에서 근무하던 2등 운전사(항해사) 신순성이다.
양무호의 초대 함장은 신순성(愼順晟, 1878-1944)이었다.[2] 그는 대한 제국 해군 해체 이후 상선사관으로 근무했다. 경술국치 전날, 신순성 함장은 광제호에 게양되어 있던 태극기를 내려 보관하고 있었는데, 조국 해방을 1년 앞두고 사망한 아버지를 대신해 아들 신태범 박사가 광복 이후 열린 한국 기선 취항식에서 이 태극기를 게양했다고 한다.
신순성이 두 배 모두의 함장이란 얘기가 나온 배경은, 아마 두 배에서 모두 근무했던 탓으로 보인다. 양무호에서 신순성이 첫 함장이 됐던 것은 사실이지만, 광제호의 인수 당시 선장은 영국인이었으며 이후에 일본군 해군 장교가 선장을 맡았고 신순성은 1906년에 상선사관으로 합류하였다.
2.3.1. 양무호
軍艦接受去十二日에 砲工局長 尙稷鉉氏가 軍艦揚武号接受次로 仁港에 下去야 三井物産會社人員에게 接受한 後에 該艦에 立얏던 日本旗난 撤回케 고 大韓國旗를 揭고 同時에 禮砲 二十一發을 行얏더라
군함 인수는 지난 12일에 있었는데, 포공국장 상직현(尙稷鉉) 씨가 군함 양무호(揚武号) 인수를 마친 뒤 인천항(仁港)에 하선하여, 미쓰이물산(三井物産) 회사의 인원에게 인수를 받은 후, 해당 군함에 게양되어 있던 일본 국기를 철거하게 하고, 대한국기(大韓國旗)를 게양하였으며, 동시에 예포 21발을 발사하였다.
-출처: 1903년 8월 17일 황성신문
군함 인수는 지난 12일에 있었는데, 포공국장 상직현(尙稷鉉) 씨가 군함 양무호(揚武号) 인수를 마친 뒤 인천항(仁港)에 하선하여, 미쓰이물산(三井物産) 회사의 인원에게 인수를 받은 후, 해당 군함에 게양되어 있던 일본 국기를 철거하게 하고, 대한국기(大韓國旗)를 게양하였으며, 동시에 예포 21발을 발사하였다.
-출처: 1903년 8월 17일 황성신문
艦長將任軍艦揚武号 艦長은 日本留學生으로 滊船見習生 愼順晟氏가 被任다더라
함장 임명, 군함 양무호 함장은 일본유학생으로 기선견습생 신순성씨가 임명됐다더라
-출처: 1903년 8월 19일 황성신문
함장 임명, 군함 양무호 함장은 일본유학생으로 기선견습생 신순성씨가 임명됐다더라
-출처: 1903년 8월 19일 황성신문
軍艦試運再昨日 三井物産會社人 小田柿及藤木氏와 軍部技師 金鼎禹氏가 下仁하야 軍艦揚武号의 運轉을 試驗하얏더라
군함 시운전은 어제였으며, 미쓰이물산회사의 직원 오다가키(小田柿)와 후지키(藤木) 씨, 그리고 군부 기술자인 김정우(金鼎禹) 씨가 인천으로 가서 군함 양무호(揚武号)의 운전을 시험하였다.
-출처: 1903년 8월 22일 황성신문
군함 시운전은 어제였으며, 미쓰이물산회사의 직원 오다가키(小田柿)와 후지키(藤木) 씨, 그리고 군부 기술자인 김정우(金鼎禹) 씨가 인천으로 가서 군함 양무호(揚武号)의 운전을 시험하였다.
-출처: 1903년 8월 22일 황성신문
募集船夫軍艦揚武号艦長은 日本留學生으로 卒業한 愼順晟氏가 被任되얏난 該艦에 使役은 水夫 火夫 等 七十三名을 日昨 仁港에셔 募集얏다더라
군함 양무호 함장은 일본유학생으로 졸업한 신순성씨가 취임하였는데 해당 군함에 수부와 화부 등 73명을 어제 인천항에서 모집하였다더라.
-출처: 1903년 9월 8일 황성신문
군함 양무호 함장은 일본유학생으로 졸업한 신순성씨가 취임하였는데 해당 군함에 수부와 화부 등 73명을 어제 인천항에서 모집하였다더라.
-출처: 1903년 9월 8일 황성신문
원래 고종은 영국의 최신 기선 전함 구입을 원했는데 일본의 지속적인 방해로 무산되었고 대신 일본이 제시한 화물선 한척을 구입했다. 1903년에 중고로 상선 (석탄운반선)을 한 척 구입하여 갑판에 대포를 얹어 군함으로 개조하는데, 이것이 한국의 첫 근대식 군함인 양무호(揚武號)이다. 양무호 구입은 일본의 강매였는데 그 과정은 양무호 항목 참조. 양무호는 80 ㎜ 포 4문과 5 cm 포 2문을 장착하여 화력도 빈약했으며, 심지어 이런 군함이라고 부르기도 어려운 배를 당시 국방예산의 30%나 주고 구매했다.[3] 양무호는 1904년엔 러일전쟁 때 일본 해군이 징발해 사용하였고, 대한제국군이 해산된 후에는 부산에서 견습 선원들을 위한 실습선으로 쓰이다가 1909년 일본 해운회사에 매각되었다.
2.3.2. 광제호
광제호 일본신호천기 조선소에서 제조한 대한해관순시선 광제호는 지난달에 임의준공이 된고로 이달 15일에 일내로 인천항에 도착할 예정인데 선장은 영국 사람 루사후드씨요요기라 일등운전사와 일등기관사는 다 OO 사람이오 기관사와 운전사는 일본인을 채용할 터이라 하더라
-출처: 1904년 11월 9일 대한매일신보
-출처: 1904년 11월 9일 대한매일신보
燈船到期我廷에셔 日本神戶川崎造船所에 注文 燈臺船光濟号가 本年十一月上旬到仁할터이라더라
등선도기아연에서 일본 고베 가와사키 조선소에 주문한 등대선 광무호가 본년 11월 상순 인천에 도착할 터이라더라
-1904년 9월 24일 황성신문
등선도기아연에서 일본 고베 가와사키 조선소에 주문한 등대선 광무호가 본년 11월 상순 인천에 도착할 터이라더라
-1904년 9월 24일 황성신문
1904년에는 1,056t급 광제호(光濟號)를 구입한다. 3인치 포를 3문 장착하고 있는 광제호는 배 자체도 일본 가와사키 조선소에 발주하여 건조한 새 배로, 양무호와 비교하면 훨씬 괜찮은 함정이었다. 하지만 1905년 을사조약 이후 광제호는 해군 함정이 아니라 세관의 연안 감시선 역할을 맡게 되고, 제2차 세계 대전 때는 석탄 운반에 쓰이다가 8.15 광복 후 귀국 일본인들을 싣고 일본으로 갔다.
2.4. 해방국(海防局) 설치
1904년 9월에는 군부 관제를 고쳐 군부 내에 해방국(海防局)을 설치하여 해군 업무를 관장하도록 하였는데 이때는 이미 러일전쟁이 한창 진행 중일 때였다. 해당 관보
第一條 軍部大臣은陸軍軍政을管理고陸軍軍人軍屬을統督며軍隊及所管諸部를監督이라
現今間은軍部內에海防局을置야一應海軍事務를兼管이라
제1조 군부대신은 육군군정을 관리하고, 육군군인군속을 통독하며 군대 및 소관제부를 감독한다
현금간은 군부내에 해방국을 설치하여 일응 해군사무를 겸관한다
第三十三條 海防局은一等局이니局長은海軍參將或正副領으로補고海防局에左의二課를置이라
軍務課
會計課
제13조 해방국은 1등국이니 국장은 해군참장[4] 혹은 정부령[5]으로 보하고 해방국에서 다음[6]의 2과를 설치한다
군무과
회계과
第三十四條 海防局軍務課長은海軍副參領으로補고課員員二人은海軍正副尉로補이라
제14조 해방국 군무과장은 해군부참령으로 보하고 과원 원2은 해군정부위로 보한다
第三十五條 軍務課에左의事務를掌이라
一將校及相當官準士官下士의任免進退에關事項
二艦隊의建制艦隊軍隊의編制及役務에關事項
三敎育訓鍊演習檢閱禮式服制에關事項
四將校及準士官下士兵卒의補充進退及他人事에關事項
五兵員의徵募軍紀風紀戒嚴徵發海上保安에關事項
六艦船兵器彈藥의製造修理及兵器彈藥의經理에關事項
七懲罰裁判監獄에關事項
제15조 군무과에 사무를 둔다
1. 장교와 상당하는 주산과, 하사의 임면/퇴진에 관한 사항
2. 함대의 편성, 함대 및 군대의 편제 및 역할에 관한 사항
3. 교육훈련, 연습, 검열, 예식, 복제에 관한 사항
4. 장교 및 준사관, 하사, 병졸의 보충퇴역 및 타 인사에 관한 사항
5. 병원의 징모, 군기, 풍기, 계엄, 징발, 해상보안에 관한 사항
6. 함선 병기탄약의 제조수리 및 병기탄약의 경리에 관한 사항
7. 징벌, 재판, 감옥에 관한 사항
第三十六條 海防局會計課現今間施行을停止고其事務經理局에셔執行이라
제16조 해방국 회계과는 지금은 시행을 정지하고 기존 일은 경리국에서 집행한다
現今間은軍部內에海防局을置야一應海軍事務를兼管이라
제1조 군부대신은 육군군정을 관리하고, 육군군인군속을 통독하며 군대 및 소관제부를 감독한다
현금간은 군부내에 해방국을 설치하여 일응 해군사무를 겸관한다
第三十三條 海防局은一等局이니局長은海軍參將或正副領으로補고海防局에左의二課를置이라
軍務課
會計課
제13조 해방국은 1등국이니 국장은 해군참장[4] 혹은 정부령[5]으로 보하고 해방국에서 다음[6]의 2과를 설치한다
군무과
회계과
第三十四條 海防局軍務課長은海軍副參領으로補고課員員二人은海軍正副尉로補이라
제14조 해방국 군무과장은 해군부참령으로 보하고 과원 원2은 해군정부위로 보한다
第三十五條 軍務課에左의事務를掌이라
一將校及相當官準士官下士의任免進退에關事項
二艦隊의建制艦隊軍隊의編制及役務에關事項
三敎育訓鍊演習檢閱禮式服制에關事項
四將校及準士官下士兵卒의補充進退及他人事에關事項
五兵員의徵募軍紀風紀戒嚴徵發海上保安에關事項
六艦船兵器彈藥의製造修理及兵器彈藥의經理에關事項
七懲罰裁判監獄에關事項
제15조 군무과에 사무를 둔다
1. 장교와 상당하는 주산과, 하사의 임면/퇴진에 관한 사항
2. 함대의 편성, 함대 및 군대의 편제 및 역할에 관한 사항
3. 교육훈련, 연습, 검열, 예식, 복제에 관한 사항
4. 장교 및 준사관, 하사, 병졸의 보충퇴역 및 타 인사에 관한 사항
5. 병원의 징모, 군기, 풍기, 계엄, 징발, 해상보안에 관한 사항
6. 함선 병기탄약의 제조수리 및 병기탄약의 경리에 관한 사항
7. 징벌, 재판, 감옥에 관한 사항
第三十六條 海防局會計課現今間施行을停止고其事務經理局에셔執行이라
제16조 해방국 회계과는 지금은 시행을 정지하고 기존 일은 경리국에서 집행한다
1905년에는 해방국이 군무국의 해방과로 축소되었다. 군부 관제를 알리는 관보 관제에서는 육군 장교가 아닌 해군의 영관급 장교나 위관급 장교 보임을 정해두었다.
第十五條 軍務局海防課長은海軍副參領으로補고議員二人은海軍正副尉로補이라
第十六條 海防課에左의事務掌이라
一 艦船의保存修理及兵器彈藥의經理에關事項
二 海軍敎育訓鍊及演習에關事項
제15조 군무국 해방과장은 해군부참령[7]으로 보하고, 의원 2인은 해군정부위[8]로 보한다.
제16조 해방과는 다음의 사무를 맡는다[9]
1. 함선의 보존수리 및 병기탄약의 경리에 관한 사항
2. 해군 교육 훈련 및 연습에 관한 사항
第十六條 海防課에左의事務掌이라
一 艦船의保存修理及兵器彈藥의經理에關事項
二 海軍敎育訓鍊及演習에關事項
제15조 군무국 해방과장은 해군부참령[7]으로 보하고, 의원 2인은 해군정부위[8]로 보한다.
제16조 해방과는 다음의 사무를 맡는다[9]
1. 함선의 보존수리 및 병기탄약의 경리에 관한 사항
2. 해군 교육 훈련 및 연습에 관한 사항
이후 소속 군함들이 용도를 변경하게 되면서 해군은 군대 해산 전에 사실상 사라지게 된다. 승정원일기나 관보 등에서 해군 장교의 인사명령이 발견되지 않는 점으로 볼 때, 실질적으로 이 시기의 활동은 결실을 맺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2.5. 무산된 해군의 비전
1902년 이후 대한제국의 해군 양성 사업과 관련된 이야기들1890년대에 조선은 근대적인 해군을 창설하려고 했지만 동학농민운동과 청일전쟁 등으로 무산되었다. 영국으로부터 북양함대의 선박 2척 인도안이 나왔지만 이뤄지지 않았다.
1900년대 들어서 프랑스 공사관의 무관이었던 비달(Polyeucte Vidal) 참령[10]이 한국 해군의 창설에 대해 제언하였다. 비달은 한국측 기록에선 음차한 飛達이라고 나온다. 포병장교 출신이었던 비달은 해외무관으로 근무하면서 연무공원을 운영했던 윌리엄 다이처럼 늘그막에 재취업의 기회로 대한제국의 군사고문 자리를 노렸던 것으로 보인다.[11] 총제영학당의 경우에도 퇴역한 해군 장교인 윌리엄 콜웰이 맡았던 것처럼[12] 대한제국은 퇴역한 외국인들에게 재취업 가능성이 있는 곳이었다. 이는 1901년 작성된 주한일본공사관 기록에 나타난다.
작년(1900년) 5∼6월경 비달이 來韓한 적이 있고, 현재(1901년)는 군사고문으로 임명되고자 하는 야심으로 運動하고 있다.
駐韓日本公使館記錄 16 機密第3號, 1901年 1月 7日
駐韓日本公使館記錄 16 機密第3號, 1901年 1月 7日
하지만 20세기 들어서 열강들이 군함 경쟁이 붙으면서 유럽에서 한국에 군함을 팔만한 상황이 나오지 않았다. 일본이나 영국 등에서도 한국에 해군력이 생기는 걸 원치 않았다.[13] 대신에 러시아의 지원을 받는 안도 고려되었으나 러시아 또한 조선소 상황이 여의치 않았고 결국 러일전쟁으로 해당 안은 끝났다.
비달 참령과 러시아의 제안 등은 어느 정도 레퍼런스가 돌아다녔는지 1903년 황성신문에 나온 내용에 구체적으로 병력 3만 정도의 소함대(flotilla)로 언급된다. 1910년까지 양무호에 이어 일본에서 구축함을 8척, 러시아에서 주력함을 4척 도입하여[14] 총 12척의 소함대를 운용한다는 계획이었다고 한다. 12척에 승선하는 승조원의 숫자를 고려할 때, 계획안에 있던 3만의 병력 상당수는 해안 경비를 위한 인원이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3. 교육
대한제국에 몇 년 동안 해군은 없었지만 구한말부터 국가 소유의 선박은 운영하고 있었고, 민간 부문에서 여러 상선사관이 활동하고 있었다.주한일본공사관 기록에 따르면 1903년에 양무호를 들여올 당시 한국 해군의 장교단과 수병 구성을 준비하는데, 육군 장교 일부를 선발하여 해군 장교로 전환하는 안을 계획하였다. 당시 양무호의 장교 10여명 정도를 육군에서 전군하는 방식으로 해군화하였다. 당시 일본인으로 총교습, 부교습, 조교습 등을 두어 해군화 과정을 진행하였다.
1904년에는 군무국에 해방과가 설치되는 등 해군 참모 부서도 생겼지만, 러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면서 군축 기조가 정해지면서 해군도 사라지게 된다.
4. 병과
실제 군대의 운용에 이르지 못했지만, 당시 주한일본공사관에서 계획한 바에 따르면 장교는 포술, 항해, 기관 등의 구분이 예정되었다. 그외에 군의와 주계도 있었다.수병은 기관병과 수병이 분리되었다. 양무호 기준 기관병은 20명에 수병은 50명 정도 규모였는데 수병 중엔 통신, 목공, 조리, 의무 등도 포함되었다.
5. 해산 이후
양무호가 1904년 2월에 일본군에 징발되면서 해군의 가능성은 흐지부지되었다. 대한제국 군대 해산 이전에 이미 해군은 소멸 상태에 놓였다.대한제국 육군에선 지청천(1888년생)이나 이응준(1890년생), 김석원(1891년생) 같이 1880년-1890년대생이 일제 강점기를 거쳐 생존해 1940년대 후반에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대한민국 국군의 창설 과정에 원로로 참여하는 일이 있었다. 그런 이유로 조직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지는 않지만 인적 고리가 어느 정도 있어서 대한민국 육군은 대한제국 육군을 창군의 한 줄기로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대한제국 해군은 그보다 성립 시기가 짧았고 인적 규모도 훨씬 작아서 대한민국 해군에 인적으로 직접 연결되지 않았다. 드물게 알려진 신순성(1878년생)도 광복 이전에 별세했다. 양무호 등에서 근무했던 한국인 인원은 다시 상선으로 돌아갔다. 이런 상선사관과 선원은 중요한 자원이었기 때문에, 일본이 러일전쟁을 수행할 때 징발하였고 러시아군에 포로로 잡히는 일도 있었다.
광복 후에 상선사관 출신으로 대한민국 해군 창설을 주도했던 1-5대 해군참모총장 손원일(1909년생), 박옥규(1901년생), 정긍모(1914년생), 이용운(군인)(1919년생), 이성호(해군)(1926년생)의 경우 대한제국 해군에 들어가기엔 나이가 어렸다. 이들은 일제 시대에 상선사관 과정을 거쳐 해양 경험을 축적했고, 이를 통해 해군을 구성했다.
6. 소속 군함
1902년부터 1905년까지 짧게 2척의 군함을 운용했다.
7. 출신 인물
8. 복제
군복은 우용곡 작가가 대한제국 해군 군복에 대해 다룬 블로그 참조. 명확한 기록이 없다 보니 추정한 것이다.9. 여담
- 관유 함선 목록
- 창룡호(蒼龍號, Signal) 경하 혹은 기준 403톤 만재 536톤 - 1887년 도입
- 현익호(顯益號, 붕기복호, Bankchef Henrikssen) 만재 709톤 - 1892년 도입
- 이운호(利運號, 조주부호, ???) 1000톤급 - 1893년 도입
10. 참고자료
대한제국 해군을 다룬 책으로 한국 근대 해군 창설사가 있다.2023년에 작성된 석사논문도 있다. 大韓帝國의 海軍 창설과 軍事的 의의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대한제국군|대한제국군]]}}}{{{#!if external != "o"
[[대한제국군]]}}}}}}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대한제국군?uuid=802aae4c-c15b-4f96-a412-39f9c8fa13a9|r838]]}}}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대한제국군?uuid=802aae4c-c15b-4f96-a412-39f9c8fa13a9#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대한제국군?from=838|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대한제국군|대한제국군]]}}}{{{#!if external != "o"
[[대한제국군]]}}}}}}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대한제국군?uuid=802aae4c-c15b-4f96-a412-39f9c8fa13a9|r838]]}}}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대한제국군?uuid=802aae4c-c15b-4f96-a412-39f9c8fa13a9#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대한제국군?from=838|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1] 수군이 사라지자 수적들이 더 나타나기도 했다. 대부도와 영종도를 합하여 대부군으로 만들 것 등을 청하는 전 현감 이응선의 상소[2] 신순성이 광제호의 함장이었단 얘기도 있지만, 기사에 따라서 광제호의 선장은 영국인이란 이야기도 있어서 대한제국 시기 광제호의 함장이 신순성이었는가는 확인이 필요해 보인다. 1906년 자료로 보면 신순성은 그 해에 광제호에 합류하여 2등 항해사로 근무했다. 당시 함장은 일본 해군 소좌인 이소가이였다. #[3] 참고로 동시기 일본 해군의 연합함대 기함으로 쓰였던 전함 미카사는 305 ㎜ 주포에 152 ㎜ 부포를 달았다. 일본이 미카사를 비롯한 시키시마급 전함 4척을 영국에서 구입하는데 예산 5800만 엔이 들어갔는데 이는 대한제국 국방예산의 30년치와 맞먹는다.[4] 지금의 해군준장 혹은 소장급의 제독[5] 해군대령에서 중령[6] 원문에선 세로쓰기로 좌라고 적힘.[7] 오늘날의 중령과 소령.[8] 오늘날의 대위와 중위.[9] 원문은 세로쓰기이다 보니 다음이 아닌 왼쪽이라 적혀 있다.[10] 오늘날엔 소령이라고 하지만 당시엔 외국 군인들의 계급을 한국식으로 참령이라고 적었다. 단 한자를 쓰는 일본이나 중국의 경우 계급은 원문을 그대로 적었다.[11] 비달과 이름이 같은 군인이 1827년에 태어나 1913년에 죽었다고 검색되는데, 이 인물이 정말 비달이라면 당시 70대의 노령이 된다.[12] 해당 인물인 William Callwell은 1867년에 해군 장교로 임관하였고 1876년에 전역했다. 총제영학당에서 일한 뒤인 1898년에 인도 지역으로 업무차 넘어갔다.[13] 반면에 일본의 기업들은 한국에서 이익을 창출할 기회라 여겨 양무호 판매 같은 일이 일본 외무성의 협력 하에 발생하게 되었다. 일본 해군성과 외무성의 이익이 일치하지 않은 셈이다.[14] 하지만 러시아는 함경도와 평안도 일대에 대한제국군 진위대 병력을 증강하거나 간도 지역에 관리를 보내는 데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이를 두고 한반도를 러시아 해군의 병참기지로 삼을 수준의 보조적인 해군력으로 키우려 했다고 보는 분석도 있다.[15] 구한말에 대한협동우선회사 소속 현익호에 金聲振이란 선장이 있었다. 이 인물은 군부 내거문에 등장하는 양무호의 함장인 金成鎭과 한자가 다르지만 당시에 한국인 항해사관 자체가 드물던 시절이라서 같은 인물일 가능성도 있다. 한자를 모를 경우 적당한 글자로 채워 넣는 경우가 왕왕 있기 때문이다. 현익호 선장을 지낸 김성진은 도선사로 징발되어 러일전쟁 당시 일본 군함의 블라디보스토크 입항을 인도하여 일본에 훈장을 받기도 했으며, 이후에 상해 임시정부에 독립자금을 전달하는 일을 하기도 했다고 한다. 출처 舊韓末의 民營 海運[16] 대한계년사에 등장하는 양무호 함장의 이름 한자 표기가 金聲振인 걸 볼 때 동일인물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17] 창룡호와 현익호에 양무호와 광제호 두 척의 초대 함장인 신순성이 부함장으로 근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