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bgcolor=#FFFFFF,#191919> | ||||
백솜모카 | 푸크린 | 마임맨 | 해피너스 | 후파 | |
픽시 | 깜까미 | 큐아링 | 고라파덕 | ||
리자몽 | 괴력몬 | 한카리아스 | 루카리오 | 달코퀸 | |
망나뇽 | 킬가르도 | 마릴리 | 매시붕 | 마기라스 | |
핫삼 | 우라오스 | 자시안 | 뮤츠X | 번치코 | |
따라큐 | 메타그로스 | 갸라도스 | 대여르 | 파라블레이즈 | |
두드리짱 | |||||
이상해꽃 | 피카츄 | 알로라 나인테일 | 윽우지 | 개굴닌자 | |
에이스번 | 가디안 | 님피아 | 모크나이퍼 | 두랄루돈 | |
에브이 | 마폭시 | 글레이시아 | 뮤 | 드래펄트 | |
샹델라 | 인텔리레온 | 뮤츠Y | 미라이돈 | 카디나르마 | |
야도란 | 잠만보 | 암팰리스 | 거북왕 | 맘모꾸리 | |
요씽리스 | 대로트 | 미끄래곤 | 라프라스 | 블래키 | |
칠색조 | |||||
팬텀 | 앱솔 | 파이어로 | 제라오라 | 두트리오 | |
조로아크 | 리피아 | 마스카나 | 다크라이 | 가라르 날쌩마 |
| |
따라큐 | |
난이도 | 중급자용 |
공격 유형 | 공격 |
전투타입 | 밸런스형 근거리 |
가격 | |
[clearfix]
1. 개요
| ||||
번치코 | → | 따라큐 | → | 마스카나 |
Pokémon UNITE의 밸런스형 플레이어블 포켓몬. 포켓몬스터 시리즈 7세대 포켓몬인 따라큐다.
1.1. 공식 소개 영상
포켓몬 소개 영상 |
기술 소개 영상 |
2. 성장 과정
성장 과정 |
|
따라큐 |
따라큐는 게임 내내 진화하지 않는다.
3. 능력치
| ||||||||
{{{#!wiki style="margin:0 -11px -6px" {{{#!folding [ 기본 능력치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color=#C458CD><rowcolor=#FFFFFF> 레벨 | HP | 5초마다 HP 회복 | 공격 | 방어 | 특수 공격 | 특수 방어 | |
| ||||||||
1 | 3150 | 33 | 155 | 80 | 20 | 70 | ||
2 | 3301 | 35 | 164 | 91 | 23 | 80 | ||
3 | 3467 | 37 | 174 | 104 | 27 | 91 | ||
4 | 3650 | 39 | 185 | 118 | 31 | 103 | ||
5 | 3851 | 41 | 198 | 133 | 35 | 117 | ||
6 | 4072 | 43 | 212 | 150 | 40 | 132 | ||
7 | 4315 | 45 | 227 | 168 | 45 | 149 | ||
8 | 4583 | 48 | 244 | 188 | 51 | 167 | ||
| ||||||||
9 | 4879 | 51 | 263 | 210 | 58 | 187 | ||
10 | 5205 | 54 | 283 | 234 | 65 | 209 | ||
11 | 5564 | 58 | 305 | 261 | 73 | 234 | ||
12 | 5959 | 62 | 330 | 291 | 82 | 261 | ||
13 | 6394 | 66 | 357 | 324 | 92 | 291 | ||
14 | 6873 | 71 | 387 | 360 | 103 | 324 | ||
15 | 7400 | 76 | 420 | 400 | 115 | 360 | }}}}}}}}} | |
{{{#!wiki style="margin:0 -11px -6px" {{{#!folding [ 상세 능력치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1.5px" {{{-2 | <colcolor=#C458CD><rowcolor=#FFFFFF> 레벨 | 공격 속도 | 이동 속도 | 일반 공격 비례 HP 회복 | 기술 비례 HP 회복 | 급소율 | 상태 이상 저항 | 기술 대기 시간 감소 |
| ||||||||
1 | 10% | 3.7㎧ | 0% | 0% | 0% | 0% | 0% | |
2 | 10.71% | 3.7㎧ | 0% | 0% | 0% | 3.33% | 0% | |
3 | 11.49% | 3.7㎧ | 0% | 0% | 0% | 6.66% | 0% | |
4 | 12.35% | 3.7㎧ | 0% | 0% | 0% | 9.99% | 0% | |
5 | 13.3% | 3.85㎧ | 5% | 0% | 10% | 13.32% | 0% | |
6 | 14.34% | 3.85㎧ | 5% | 0% | 10% | 16.65% | 0% | |
7 | 15.49% | 4㎧ | 5% | 0% | 10% | 19.98% | 0% | |
8 | 16.75% | 4㎧ | 5% | 0% | 10% | 19.98% | 0% | |
| ||||||||
9 | 18.14% | 4.15㎧ | 10% | 0% | 20% | 19.98% | 0% | |
10 | 19.67% | 4.15㎧ | 10% | 0% | 20% | 19.98% | 0% | |
11 | 21.36% | 4.3㎧ | 10% | 0% | 20% | 19.98% | 0% | |
12 | 23.22% | 4.3㎧ | 10% | 0% | 20% | 19.98% | 0% | |
13 | 25.27% | 4.3㎧ | 15% | 0% | 20% | 19.98% | 0% | |
14 | 27.52% | 4.3㎧ | 15% | 0% | 20% | 19.98% | 0% | |
15 | 30% | 4.3㎧ | 15% | 0% | 20% | 19.98% | 0% | }}} }}}}}}}}} |
4. 기술
모든 일반 공격과 기술이 공격 수치를 기반으로 한다.4.1. 일반 공격
|
3번째 일반 공격은 강화 공격이 되며 공격 범위가 넓어지고 2번 공격한다. 기술을 사용한 뒤에 일반 공격은 강화 공격이 된다.
|
강화 공격은 2회 공격한다. 따라큐는 기술을 사용하면 즉시 강화 공격이 장전된다.
강화 공격의 사정거리가 꽤나 길기 때문에 트릭룸 빌드는 강화 공격을 멀리서 맞추고 트릭룸으로 도망가는 식으로 딜교할 수 있다.
4.2. 특성: 탈
|
"둔갑한 모습" 상태에서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받았을 때 자신에게 현재 HP의 5%의 데미지를 주며 0.5초 동안 데미지를 무효로 만들고 "들킨 모습"이 된다. 동시에 데미지를 준 상대편 포켓몬에게 "복수 마크"를 부여한다. "복수 마크"를 부여한 상대편 포켓몬에게 향할 때 이동 속도가 10% 증가하며 주는 데미지가 10% 증가한다. "들킨 모습" 상태에서 50초가 지나면 "둔갑한 모습"으로 돌아간다. 상대편 포켓몬을 KO 시키면 "둔갑한 모습"으로 돌아가기까지의 시간이 25초씩 짧아진다[1].
|
둔갑한 모습에서 데미지를 받으면 데미지가 무효가 되고 자신에게 약간의 데미지를 주는데, 약간의 데미지는 별로 크지 않으면서 오히려 상대 진영의 자뭉열매를 먹을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도움이 된다.
4.3. 1·3레벨 선택 기술
4.3.1. 놀래키기
|
허를 찔러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준다.
|
4.3.2. 할퀴기
|
지정한 방향으로 돌진하여 맞은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주고 이동 속도를 떨어뜨린다. 돌진 후에 짧은 순간 이 기술을 다시 사용하면 전방을 공격하여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준다. 이때 감소한 HP의 비율에 따라 추가 데미지를 준다.
|
첫 번째 타격은 상대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키며 두 번째 타격은 상대의 잃은 HP가 많을수록 더 높은 데미지를 준다. 하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놀래키기의 데미지가 더 강하다.
이동 거리가 꽤나 길기 때문에 이동 후 다른 기술을 연계하는 식으로 자주 사용한다. 특히 치근거리기는 할퀴기로 이동 후 치근거리기로 공격하면 데미지가 부족해도 강화 공격 -> 할퀴기 2타 -> 강화 공격으로 데미지를 더 줄 수 있다.
4.4. 5레벨 선택 기술
따라큐가 5레벨이 되면 1·3레벨에 선택할 수 있는 놀래키기를 대체하는 기술을 선택할 수 있다. 11레벨에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4.4.1. 치근거리기
|
전방으로 점프하여 맞은 상대편 포켓몬의 등 뒤로 이동해 여러 번 데미지를 주고 이동 속도를 떨어뜨린다. 공격 종료 후에 지정한 방향으로 점프한다. 업그레이드 후에는 공격 종료 후의 이동 속도가 오른다.
|
1타가 적중하면 상대가 어디로 도망치던 막타까지 쫓아가기 때문에 추노 능력은 뛰어나다. 역으로 말하면 도망가는 상대에 빨려들어가 적진 한복판으로 뛰어들 위험성도 있다.
일단 명중하면 무적 상태로 일방적으로 딜교가 가능하기 때문에, 상대방이 CC기가 풍부한 조합이라면 섀도클로보다 유리하다.
4.4.2. 섀도클로
|
전방을 손톱으로 베어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주고 이동 속도를 떨어뜨리며 자신의 HP를 회복한다. 일반 공격을 명중시킬 때마다 이 기술의 대기시간이 짧아지며 다음 기술을 사용했을 때의 공격 횟수가 늘어난다.(최대4번) 이 기술로 주는 감속 효과는 중첩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 후에는 공격 마지막에 감소한 HP의 비율에 따라 추가 데미지를 준다.
|
전방을 연속으로 베며, 연타 횟수는 일정 시간 내에 일반 공격을 명중시킨 횟수에 비례해 증가한다.[5] 데미지가 굉장히 강력한 편이고, HP회복 효과까지 딸려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피를 채우며 교전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여기에 제자리에 멈추지 않고 움직이면서 기술이 시전되기 때문에 도망치는 적을 추격해서 잡아낼 때도 유용하다.
일반 공격을 명중시킬 때마다 이 기술의 쿨타임이 1초씩 짧아지는데, 강화 공격은 2번 공격하므로 쿨타임도 2번 감소해 2초가 줄어든다.
4.5. 7레벨 선택 기술
따라큐가 7레벨이 되면 1·3레벨에 선택할 수 있는 할퀴기를 대체하는 기술을 선택할 수 있다. 13레벨에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4.5.1. 야습
|
그림자를 늘려 상대편 포켓몬을 "그림자 대상"으로 설정한다. 그림자는 풀숲이나 벽을 통과하면 더 멀리까지 늘릴 수 있다. "그림자 대상"으로 설정한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주면 감소한 HP의 비율에 따라 추가 데미지를 준다. 이 기술을 다시 사용하면 "그림자 대상"으로 지정한 상대편 포켓몬 가까이에 이동해서 데미지를 주고 대상 시간을 연장한다. "그림자 대상"으로 설정한 포켓몬을 KO 시키면 이 기술의 대기 시간을 없애고 자신의 HP를 회복한다. 업그레이드 후에는 이 기술의 대기 시간이 짧아진다.
|
벽과 풀숲을 이용하면 굉장히 먼 거리에서도 야습을 맞출 수 있고, 어디에 있어도 2번째 야습으로 추격이 가능해서 가끔 귀환한 적을 따라 상대 기지 앞으로 가버리는 웃긴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상대가 예상 못한 사이에 나타나 공격할 수 있으므로 굉장히 유용한 기술. 추가 데미지 효과도 상당한데, 따라큐는 강화평타, 1스킬, 유나이트 기술이 전부 연타 공격이며 야습의 추가 데미지는 히트 수에 비례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높게 들어간다.
회복 및 쿨타임 초기화 효과는 야생 포켓몬 상대로도 적용되며 킬이 아닌 어시스트가 발생해도 적용된다.
4.5.2. 트릭룸
|
자신의 주변에 이상한 공간을 만든다. 자신이 공간의 범위 안에 있는 동안 감속 효과를 받으면 이동 속도가 오르는 효과로 전환되며 공간의 범위 밖에 있는 포켓몬에게 받는 데미지가 감소한다. 또한 공간의 범위 안에 있는 동안 기술의 2단계를 몇 번이든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전방으로 일정 거리를 이동한다. 업그레이드 후에는 기술의 대기 시간이 짧아진다.
|
이동하며 공간을 만드는 기술로, 공간 내에서는 이동 속도 감소가 무효화 되고 오히려 더 빨라지며, 공간 밖 상대에게 받는 데미지가 감소하고, 공간 안에서는 트릭룸을 재사용해 짧은 거리를 이동하는 기술을 무한정 사용할 수 있다. 쿨타임이 공간의 지속 시간과 거의 비슷하고 13레벨이 되어 업그레이드 되면 쿨타임과 공간의 지속 시간이 완전히 똑같아지기 때문에 공간을 무한 유지 가능하다.
공간 내에서는 공간 밖의 공격에 대해 데미지를 70% 감소해서 받기 때문에 원거리 딜러의 공격을 거의 무시할 수 있고, 무한정 재사용이 가능한 돌진으로 강화 공격을 충전해 섀도클로 스택을 쉽게 쌓고 쿨타임을 빠르게 줄일 수도 있다. 즉, 상대에 야습으로 노릴 만한 물몸 딜러가 적거나 없고, 전위에서 지속적인 전투를 하는 브루저가 필요할 때는 트릭룸 쪽이 더 좋다.
트릭룸을 재사용하면 강화 공격이 충전되기 때문에 무한정 강화 공격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덕분에 섀도클로와 함께 쓰인다. 치근거리기와는 절대로 쓰지 말자.
첫 번째 이동은 판정이 좋기 때문에 두꺼운 벽도 넘을 수 있다. 두 번째 이동부터는 이동 거리가 짧기 때문에 제대로 조준해야 작은 벽을 넘을 수 있으니 침착하게 잘 조준하자.
서포트 메달로 감소한 이동 속도는 트릭룸 안에 있어도 유지된다.
4.6. 유나이트 기술: 같이놀자
|
상대편 포켓몬에게 달려들어 누더기 안에 가두고 지속 데미지를 주며 자신은 실드 효과를 얻는다. 갇힌 상대편 포켓몬은 자신 이외의 포켓몬의 기술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실드 효과가 없어지거나 일정 시간이 지나면 공격을 멈추고 지정한 방향으로 점프한다. 습득 레벨 9레벨
|
지정한 대상을 가둬서 무력화시키고 연속으로 피해를 준다. 야도란의 유나이트 기술과 같은 바인드 효과로 방해 무효로 막을 수 없으며, 지속 중 따라큐에 걸린 실드가 없어지면 즉시 종료된다. 때문에 따라큐를 공격하여 갇힌 팀원을 구출하거나 블래키의 유나이트 기술로 실드를 흡수해 유나이트 기술을 즉시 풀어버리는 장면을 볼 수 있다. 유나이트 버프로 얻는 실드는 바인드가 끝나고 부여되기 때문에 바인드 중에는 자체 실드로만 버텨야 한다.
묶어놓은 상대를 팀원들이 같이 공격할 수 있는 야도란의 유나이트 기술과는 달리, 따라큐가 유나이트 기술로 묶어놓은 상대는 따라큐의 유나이트 기술로만 데미지가 들어간다. 달코퀸의 유나이트 기술과 비슷한 부분.
바인드 판정이기에 당연히 방해 무효 효과를 무시할 수 있어서 일부 방해 무효 기술의 카운터로도 쓸 수 있다. 다만 따라큐는 암살자와 비슷하게 운용되다보니 체력이 적은 상대를 확정 킬 내는 용도로 좀 더 많이 사용하게 된다.
한카리아스, 마기라스 같이 유나이트 기술이 강력한 포켓몬의 유나이트 기술을 억제할 때 쓸 수도 있다.
5. 역사
2023년 10월 19일 이후
따라큐가 포켓몬 유나이트에 출시되었다.
1.12.1.6 패치 이후 / 2023년 11월 13일
섀도클로
일반 공격 명중마다 대기 시간 감소:
0.5초 →
1초 / 버프
치근거리기
1타 데미지: 공격의 178% + 20×(레벨-1) + 300 → 공격의 210% + 20×(레벨-1) + 320 / 버프
공격하는 동안 보호 상태가 되도록 변경 / 버프
트릭룸
데미지 감소: 데미지의 30% → 데미지의 50% / 이상한 공간의 범위 안에 있고, 이상한 공간의 범위 밖에 있는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받았을 때 / 버프
트릭룸 대기 시간:
11초 →
8.5초 / 버프
트릭룸+ 대기 시간:
9초 →
7.5초 / 버프
일반 공격 명중마다 대기 시간 감소:
1타 데미지: 공격의 178% + 20×(레벨-1) + 300 → 공격의 210% + 20×(레벨-1) + 320 / 버프
공격하는 동안 보호 상태가 되도록 변경 / 버프
데미지 감소: 데미지의 30% → 데미지의 50% / 이상한 공간의 범위 안에 있고, 이상한 공간의 범위 밖에 있는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받았을 때 / 버프
트릭룸 대기 시간:
트릭룸+ 대기 시간:
1.13.1.2 패치 이후 / 2023년 12월 5일
치근거리기
대기 시간:
5초 →
7.5초 / 너프
야습
공포 지속 시간:
0.5초 →
0.25초 / 너프
대기 시간:
공포 지속 시간:
1.14.1.2 패치 이후 / 2024년 2월 27일
탈
알 수 없는 오류 수정 / 오류 수정
알 수 없는 오류 수정 / 오류 수정
1.14.1.6 패치 이후 / 2024년 5월 13일
Nintendo Switch 버전에서 따라큐가 화면에 비친 타이밍에 화면 송출이 느려지는 오류를 수정 / 오류 수정
Nintendo Switch 버전에서 따라큐가 화면에 비친 타이밍에 화면 송출이 느려지는 오류를 수정 / 오류 수정
1.14.2.10 패치 이후 / 2024년 6월 19일
섀도클로
HP 회복(1회당): 공격의 15% + 40 → 공격의 18% + 48 / 버프
치근거리기
이동 속도 감소: 이동 속도의 20% → 이동 속도의 30% / 버프
야습
대기 시간:
9초 →
8초 / 버프
HP 회복(1회당): 공격의 15% + 40 → 공격의 18% + 48 / 버프
이동 속도 감소: 이동 속도의 20% → 이동 속도의 30% / 버프
대기 시간:
1.15.1.2 패치 이후 / 2024년 7월 16일
일반 공격
강화 공격으로 "힘의머리띠"의 효과가 2번 발동하도록 수정 / 오류 수정
Switch 버전에서 화면에 따라큐가 나올 때 화면이 무거워지던 오류를 재수정 / 오류 수정
강화 공격으로 "힘의머리띠"의 효과가 2번 발동하도록 수정 / 오류 수정
Switch 버전에서 화면에 따라큐가 나올 때 화면이 무거워지던 오류를 재수정 / 오류 수정
1.16.1.2 패치 이후 / 2024년 9월 5일
트릭룸
데미지 감소: 데미지의 50% → 데미지의 70% / 이상한 공간의 범위 안에 있고, 이상한 공간의 범위 밖에 있는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받았을 때 / 버프
트릭룸 대기 시간:
8.5초 →
7초 / 버프
트릭룸+ 대기 시간:
7.5초 →
6초 / 버프
데미지 감소: 데미지의 50% → 데미지의 70% / 이상한 공간의 범위 안에 있고, 이상한 공간의 범위 밖에 있는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받았을 때 / 버프
트릭룸 대기 시간:
트릭룸+ 대기 시간:
1.16.1.4 패치 이후 / 2024년 9월 27일
데미지를 받지 않던 오류 수정 / 오류 수정
데미지를 받지 않던 오류 수정 / 오류 수정
1.17.1.6 패치 이후 / 2024년 12월 26일
섀도클로
데미지(최대 4회): 공격의 45.9% + 5×(레벨-1) + 78 → 공격의 43.6% + 5×(레벨-1) + 74 / 너프
데미지(마지막): 공격의 153% + 17×(레벨-1) + 260 → 공격의 145.3% + 16×(레벨-1) + 248 / 너프
야습
대기 시간:
8초 →
9초 / 너프
너프 이후에도 여전히 최상위권 포켓몬으로 평가받았으나, 따라큐의 경쟁자이자 카운터 포켓몬인 킬가르도가 큰 버프를 받으며 픽률이 급격히 올라 따라큐의 선호도가 다소 떨어졌다. 심지어 가라르 날쌩마의 출시 이후 블래키의 픽률 역시 급등해 건재한 성능에도 불구하고 전체 승률 48퍼센트라는, 따라큐 출시 이래 최악의 암흑기를 겪고 있다.
데미지(최대 4회): 공격의 45.9% + 5×(레벨-1) + 78 → 공격의 43.6% + 5×(레벨-1) + 74 / 너프
데미지(마지막): 공격의 153% + 17×(레벨-1) + 260 → 공격의 145.3% + 16×(레벨-1) + 248 / 너프
대기 시간:
너프 이후에도 여전히 최상위권 포켓몬으로 평가받았으나, 따라큐의 경쟁자이자 카운터 포켓몬인 킬가르도가 큰 버프를 받으며 픽률이 급격히 올라 따라큐의 선호도가 다소 떨어졌다. 심지어 가라르 날쌩마의 출시 이후 블래키의 픽률 역시 급등해 건재한 성능에도 불구하고 전체 승률 48퍼센트라는, 따라큐 출시 이래 최악의 암흑기를 겪고 있다.
6. 상성
6.1. 상대하기 쉬운 포켓몬
- 대부분의 어택형 포켓몬
밸런스형의 탈을 쓴 스피드형 포켓몬으로 생각될 정도로 암살 능력과 순간 딜링 능력이 상당히 뛰어나다. 몸이 약한 어택형 포켓몬은 따라큐에게 진수성찬인 수준. 드래프트 모드에서 상대팀에 따라큐가 나온다면 카운터 스펠인 껍질몬인형을 고려해봐도 좋다.
- 미끄래곤
유지력이 뛰어나 섀도클로 트리를 가더라도 쓰러뜨리기는 힘들지만 CC기가 거의 없다시피 해서 한타 때 따라큐를 강력하게 억제하는 타 디펜스형과 달리 따라큐로부터 팀원들을 지켜줄 수 있는 방법이 없다.
6.2. 상대하기 힘든 포켓몬
- 킬가르도
극상성 관계. 킬가르도의 와이드가드는 야습과 치근거리기를 받아내고 역공을 가하기 더 없이 적합하고, 섀도클로 트리라 한들 실드폼의 강화 평타 스턴이 섀도클로를 끊어대며 소드폼의 강화 평타는 따라큐의 뒤로 이동할 수 있기에 섀도클로를 몇 대 맞지 않는다. 그나마 체급 차이로 찍어눌러 상대는 할 수 있었으나 킬가르도의 버프 이후 말 그대로 답이 없는 상대가 되었다.
- 매시붕
아무리 암살자에 가깝다 한들 따라큐 역시 근접 딜러이기에 매시붕을 상대하기 어렵다.
- 마기라스
특유의 압도적인 체급 때문에 제압하기 쉽지 않다. 그나마 마기라스의 유나이트 기술을 따라큐의 유나이트 기술로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이 위안.
- 대부분의 디펜스형 포켓몬
야습을 대신 맞아주거나 CC기로 팀원을 지킬 수 있어 까다롭다. 그 중 유나이트 기술로 따라큐 유나이트 기술의 완벽한 카운터가 가능한 블래키는 최악의 상대이다.
- 에이스번
기동성이 특출나게 좋은 에이스번은 잡기 어려운데, 트릭룸은 고사하고, 가장 큰 문제는 치근거리기가 에이스번의 페인트에 전부 무효화되기 때문에 오히려 근접전에서 역관광당한다.
- 마임맨, 픽시, 푸크린
강력한 CC기와 내구력으로 버티는 마임맨과 푸크린은 따라큐 입장에선 디펜스형 급으로 힘든 상대이다. 픽시는 매시붕과 함께 대표적인 따라큐의 카운터이다. 중력으로 야습 진입을 저지하고 치근거리기를 사용할 수 없도록 만드며 섀도클로의 데미지와 맞먹는 달빛 회복량이 그 이유.
7. 평가
야습 선택시 긴 사거리의 일방적인 이니시를 통한 암살자로, 트릭룸 선택시 원거리 딜러의 공격을 무시하면서 전위의 적과 지속적인 교전을 할 수 있는 브루저로 운용되는 밸런스형 포켓몬. 다만 트릭룸의 선택지는 매우 낮으며, 대부분 야습을 선택해 후열을 노리는 암살자로 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아무리 적의 화력이 강해도 최대 HP가 낮으면 일방적인 딜교환을 통해 무조건 데려갈 수 있는 점이 가장 큰 장점으로, 야습의 사기적인 사거리로 맵을 자유자제로 활보하며 물몸은 공평하게 치근거리기에 이은 유나이트 기술로 KO 시키고 [9], 한타에서는 특성과 유나이트 기술, 치근거리기로 데미지를 무효화하여 마음대로 적진을 활보하며 적의 주요 딜러를 잘라버릴수 있다.
다만 일반적인 밸런스형의 탈을 벗고 암살자의 길을 걷게 된 이상 따라오는 단점인 낮은 체급이 문제다. 본체가 일방적인 기습과 공격에 특화된 대신 맞다이 능력이 좋지 못한 편이라 상성관계가 너무도 명확한 탓에 장단점이 뚜렷하다.
7.1. 장점
- 대처가 불가능한 기습(
)
따라큐의 정체성. 야습은 지형지물을 탈수록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사거리를 가지고 있는데, 웬만한 초장거리 저격수 수준으로 늘어나 코앞의 적은 물론 최후방에서 견제하는 원딜까지 자를 수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야습의 무서운 점은 바로 적에게 그림자를 맞춘 후 다시 누르면 적에게 즉시 순간이동이 된다는 것이다. 이 덕분에 부쉬나 벽이 많은 곳에서는 사실상 따라큐의 기습을 방지할 사각지대가 없다고 할 수 있어 어지간한 접근 기술보다도 훌륭한 성능을 가졌다.
- 일방적인 제압 능력(
)
궁극기는 상대 한 명을 묶어두는 바인드, 치근거리기와 특성인 탈은 아예 무적기라 일방적인 근접전이 가능하다. 이 덕분에 물몸 입장에서 대응이 불가능한데, 완전히 무적 상태가 가능한 에이스번을 제외한 모든 원딜을 카운터칠 수 있으며, 비슷하게 물몸인 스피드형까지 카운터친다.
- 바인드 능력 보유
유나이트 기술은 지정한 대상을 가둬서 무력화시키고 연속으로 피해를 준다. 야도란의 유나이트 기술과 같은 바인드 효과로, 야도란의 것과는 달리 시전 도중 적이 공격받지 않지만, 방해 무효로 막을 수 없고 시전시간이 매우 길어 주요 적 하나를 아군으로부터 보호하는 매우 높은 유틸을 지니고 있으며, 시전이 끝나고 아군이 모이면 협공하기도 용이하다.
7.2. 단점
- 높은 지형지물 및 에임 의존도(
)
이론상 매우 긴 사거리를 가지긴 했으나 폭이 매우 좁아 빠른 적을 맞추기가 어렵고, 벽과 풀숲을 타면 늘어나는 긴 사거리는 즉 개활지에서는 급격히 짧은 사거리가 되어버려 기습이 힘들어진다는 것이다. 또한 필중기가 아닌 논타겟팅이라 어느 정도의 에임이 요구된다. 다행인 점은 모크나이퍼처럼 적이 대처가 불가능한 상태에서 일방적인 조준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 도주의 어려움(
)
야습은 미리 타겟을 지정하고 그 대상에게로 순간 이동하는 방식이라 도주기로 사용하기가 어렵다. 치근거리기는 후퇴 대시가 있지만 이동 거리가 그리 길지 않고 섀도클로는 이동 능력이 없다. 유나이트 기술 역시 긴 시간 동안 가만히 채널링하는 기술이라 적들에게 어그로가 끌려 시전이 끝나자마자 집중포화 당할 가능성이 크다. 이런 점 때문에 도주 용도의 배틀아이템을 들기도 한다.
- 낮은 딜 고점(
)
밸런스이나 디펜스형을 상대할 때 부각되는 단점. 치근거리기는 안정적인 딜 교환을 할 수 있는 대신 딜 포텐셜이 높지 못하며, 쿨타임도 상대적으로 길어 내구가 어느 정도 높은 적을 상대로는 쉽게 카운터 당할 가능성이 높다. 유나이트 기술까지 동반해도 전체적인 딜이 썩 잘 나오지 못한다. 이 때문에 치근거리기 트리는 레벨링이 굉장히 중요하다.
- 명확한 상성관계
그 스피드형보다도 체력이 높은 적 앞에서 할 수 있는 게 전혀 없다. 자체 화력에 한계가 있다는 점으로 인해 탱커나 서포터를 껴 2~3명씩 뭉쳐다니기만 해도 따라큐의 킬 결정력이 급격히 낮아진다. 그나마 섀도클로 트리는 브루저의 성향을 띄기에 형편이 낫지만 치근거리기는 정말 극단적으로 상성을 타기에 논 드래프트픽에서 무작정 픽했다가는 좋지 않은 결과를 맞을 수 있다.
8. 추천 빌드
8.1. 치근거리기 · 야습 빌드
지닌물건 | ||
| | |
배틀아이템 | 5레벨 기술 | 7레벨 기술 |
| | |
권장 라인 | ||
|
되도록 중앙 라인을 가는 것이 좋다.
8.2. 섀도클로 · 야습 빌드
지닌물건 | ||
| | |
배틀아이템 | 5레벨 기술 | 7레벨 기술 |
| | |
권장 라인 | ||
|
되도록 중앙 라인을 가는 것이 좋다. 탈출버튼을 채용하기도 하나 추천되지는 않는다.
8.3. 섀도클로 · 트릭룸 빌드
지닌물건 | ||
| | |
배틀아이템 | 5레벨 기술 | 7레벨 기술 |
| | |
권장 라인 | ||
|
되도록 중앙 라인을 가는 것이 좋다. 암살자의 성향이 강한 야습 빌드와는 달리 지속 교전을 중점으로 하는 브루저의 성향이 강하다. 이 때문에 배틀아이템은 반드시 만병통치제를 사용하며 가끔 약점보험을 사용하기도 한다.
9. 기타
[1] 그래서 2연속 K.O만 달성해도 다시 "둔갑한 모습"으로 돌아갈수 있다[2] 최대 HP 비례 데미지는 야생 포켓몬 상대로 최대 500[3] 2타부터는 데미지가 70% 감소한다.[4] 잃은 HP 비례 데미지는 야생 포켓몬 상대로 최대 500[5] 일반 공격 시 스택이 쌓이고 스택 수만큼 공격한다. 스택은 5초 동안 공격을 하지 않으면 사라진다.[6] 잃은 HP 비례 데미지는 야생 포켓몬 상대로 최대 150[7] 즉, 최대 2.8초 동안 지속된다.[8] 유나이트 버프는 공격 종료 후 적용된다.[9] 어택형과 같이 내구력이 낮은 포켓몬들은 유나이트 기술까지 안 써도 야습과 치근거리기만으로 원콤이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