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a00201><colcolor=#fbe673> | |||
출생 | 생년 미상 | ||
로마 왕국 로마 | |||
사망 | 몰년 미상 | ||
로마 공화국 로마 | |||
재임기간 | 고대 로마 집정관 | ||
기원전 444년 | |||
고대 로마 감찰관 | |||
기원전 443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a00201><colcolor=#fbe673> 부모 | 父: 아울루스 셈프로니우스 아트라티누스 母: 이름 미상 | |
아들 | 아울루스 셈프로니우스 아트라티누스 | }}}}}}}}} |
1. 개요
로마 공화국 집정관, 감찰관. 기록상에 전해지는 로마 공화국 최초의 감찰관이다.2. 생애
기원전 497년과 기원전 491년에 집정관을 역임한 아울루스 셈프로니우스 아트라티누스의 아들로, 기원전 444년 로마 공화국 역사상 처음으로 집정 무관을 맡았던 인사들이 중도 사퇴한 뒤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무길라누스와 함께 보결 집정관에 선임되었다. 그의 집정관 재임 기간 동안 해외 전쟁이나 내부 분쟁은 없었고, 아르데아와의 평화 협약이 갱신되었다. 티투스 리비우스 파타비누스에 따르면, 아트라티누스와 무길라누스는 많은 연대기 및 관리 목록에 언급되지 않았다고 한다. 반면에 가이우스 리키니우스 마케르는 그들의 이름이 아르데아와의 조약과 유노 모네타 신전의 린넨 책에 나타난다고 기록했다.기원전 443년, 지난해 집정관을 함께 맡았던 무길라누스와 함께 로마 공화국 최초의 감찰관이 되었다. 리비우스에 따르면, 더 고귀한 귀족들은 감찰관을 명예롭지 못한 것으로 여기고 이를 맡기를 거부했고, 그들은 집정관으로서 별다른 행적을 보이지 못한 걸 만회하기 위해 자진해서 맡았다고 한다.
그의 아들인 아울루스 셈프로니우스 아트라티누스는 기원전 425년, 420년, 416년에 집정 무관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