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10:53:39

르노 트윙고/3세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르노 트윙고
파일:르노 로고.svg
파일:B6FAD821-41F1-4257-BA9E-D75CBAC1BCF7.jpg
TWINGO

1. 개요2. 상세
2.1. 트윙고 Z.E.
3. 제원4. 둘러보기

1. 개요

르노 트윙고의 3세대 모델.

2. 상세

<colbgcolor=#fff> 파일:Renault-Twingo-2015-1600-2d.jpg
2015 르노 트윙고
출시일자 2014년
엔진 직렬 3기통 0.9L, 1.0L
구동방식 뒷 엔진-뒷바퀴굴림(RR)
출력 69~109마력
전장 3,590mm
전폭 1,640mm
전고 1,550mm
축거 2,490mm
변속기 수동 5단/DCT 6단

2010년부터 "프로젝트 에디슨"이라는 이름 하에 르노-닛산 얼라이언스와 다임러 그룹의 기술제휴를 하면서, 스마트RR 레이아웃으로 변경됐다. 르노와 다임러가 같은 비용을 부담했고, 르노가 엔진 설계를 이끌고 다임러가 변속기 설계를 이끌었다. 플랫폼이 어느 정도 완성됐을 시점에 Csaba Wittinger가 외관 디자인에 참여했으며, 당시 플랫폼이 RR 구성으로 변경됨에 따라 르노 5로부터 영감을 받아 디자인했다. 초대 트윙고의 영감도 일부 받았으며, 로렌스 반 덴 에커(Laurens van den Acker)의 지휘 하에 스마트 포투와 트윙고의 디자인을 공동 작업하면서도 각 차량이 서로 다른 개성을 지닐 수 있도록 노력했다. 그렇게 해서 2013년에 공개된 르노 트윈'Z(Renault Twin'Z)와 트윈'런(Twin'Run)을 양산한 디자인이 지금의 트윙고이다.

양산형은 2014년 3월에 제네바 모터쇼에서 처음 공개됐다. 트윙고 최초로 5도어 차체를 사용했으며, RR 레이아웃도 이 차를 통해 르노의 소형차 라인업으로 복귀했다.[1]

전장이 100mm 줄어들었음에도 실내 공간이 넓어졌으며, 대신에 기본 트렁크 공간이 작아졌다. 서스펜션으로는 앞바퀴에 맥퍼슨 스트럿, 뒷바퀴에 드 디동 튜브 방식의 서스펜션을(토션빔) 사용했으며, 4륜 디스크 브레이크를 적용한 기본형인 TCe 70 외에는 모두 뒷바퀴에 통풍식 드럼브레이크를 장착했다. 생산은 2014년 5월에 슬로베니아에서 시작했으며, 9월부터 유럽 판매를 시작했다. 처음에는 초대 트윙고처럼 4가지의 차체 색상을 제공했다.

트림별 라인업으로는 익스프레션, 플레이, 디나미끄, 디나미끄 S가 제공됐으며, 데칼 디자인과 휠 등을 비롯해 다양한 개인화 옵션이 제공됐다. R&Go 시스템을 이용해 스마트폰을 인스트루먼트 패널(제어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도 배치됐고, R-링크(R-Link)를 통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었다. 대시보드를 차체 색상으로 마감한 점보 디자인적으로는 구경거리였다. 안전 장비로는 타이어 압력센서, 안전벨트 착용 확인장치(리마인더), 4에어백 시스템 등이 기존 적용됐다.

엔진은 르노 H 엔진 계통의 하위 사양의 999cc 71마력(hp) 엔진과 상위 사양의 898cc 90마력(hp) 3기통 엔진이 장착됐다. 변속기는 6단 DC0 듀얼 클러치 변속기와 5단 수동변속기가 제공됐다.

영국에서는 2014년에 탑기어 잡지, 영국 올해의 차(UK Car of the Year) 심사 위원단으로부터 "올해의 도시형 차" 상을 받았으며, 데일리 익스프레스 지에서도 "최고의 도시형 차"로 꼽았고, 2015년에는 영국 GQ 카 어워드에서도 "최고의 도시형 차"로 선정했다. 탑기어 잡지의 폴 호렐(Paul Horrell)은 "단지 다른 게 아니라 진정으로 디자인과 설계 면에서 다르며,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기본형 소형차보다도 운전하기 즐겁다."고 평가하면서 10점 만점에 7점을 부여했고, 오토 익스프레스와 카바이어 잡지에서는 디자인, 뒷좌석 공간, 기동성을 칭찬하면서도 풍절음 문제와 비싼 가격을 지적하면서 5점 만점에 4점을 주었다. 왓카? 잡지에서는 "뛰어난 실용성과 복고 디자인을 혼합했으며, 다만 최고라기에는 딱히 정숙성이나 편의성이 높진 않다."는 평가를 내리면서 5점 만점에 3점이라는 결론을 냈다.
파일:Renault-Twingo_GT-2017-1600-02.jpg
2017 르노 트윙고 GT

2017년에 고성능 버전인 트윙고 GT가 공개됐다. 고르디니나 르노 스포트에 비하면 본격적인 고성능 사양이 아닌 "웜해치"에 가까운 개념이며, 기존 트윙고보다 성능이 나은 109마력(bhp)에 0-100km/h까지 가속시간 9.6초를 기록했다. 영국의 "오토 익스프레스" 잡지 시승기에서는 일반 트윙고보다는 운전 재미가 좋지만 폭스바겐 업!이나 스코다 시티고보다는 핸들링 등의 측면에서 덜하다고 평가했다. 포르쉐 차들 정도까지는 기대하지 말자는, 대신 그래도 운전 재미가 있다는 평가를 내린 곳도 있다. (시승기 1/2/3)

2018년 10월, 페이스리프트 모델의 스파이샷이 공개됐다. 전면부와 후면부의 디자인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
파일:71B52F02-4A82-4652-B995-37F712CC10FA.jpg 파일:DE3BF9E8-D6C2-4841-A000-F1A15CC61EDD.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twingo int.jpg
2019 르노 트윙고
2019년 1월,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공개됐다. 동그란 모양의 헤드램프와 최신 르노 차량들에 적용되는 그릴 등이 새롭게 적용됐다. 후면부도 램프 패턴의 변화가 있다.

판매량이 나쁘지 않음에도 2024년을 끝으로 3세대 트윙고는 단종될 예정이라고 한다. 형제차 스마트 포투/포포가 완전 전동화로 전향한데다가 유럽의 전기차 의무화 규정이 확대됨에 따라 A세그먼트 시장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이 이유로, 트윙고를 단종시키면서 A세그먼트 시장에서도 철수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4세대 트윙고의 2026년 출시가 확정됨에 따라, 트윙고의 이름은 후속이 출시되는 2026년까지 2년간 공석이 될 예정이다.

2.1. 트윙고 Z.E.

파일:IMG_0311.jpg 파일:IMG_0312-1.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IMG_0310.jpg
트윙고 Z.E.
2020년 2월 제네바 모터쇼에서 공개된 3세대 트윙고의 전기자동차 사양. 스마트 EQ 포투EQ 포포와 파워트레인과 플랫폼을 공유하는 형제 차량이지만, 배터리 용량은 22kWh로 포투 및 포포보다 크다.

3. 제원

TWINGO/3세대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생산지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코드네임
차량형태 5도어
승차인원 4명
전장 3,645mm
전폭 1,650mm
전고 1,545mm
축거 2,490mm
윤거(전) 1,430mm
윤거(후) 1,445mm
공차중량
연료탱크 용량 35L
타이어 크기
플랫폼
구동방식 RR
전륜 현가장치 맥퍼슨 스트럿
후륜 현가장치
전륜 제동장치 V 디스크
후륜 제동장치 드럼

4. 둘러보기

<colbgcolor=#fff,#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000><tablealign=center>
파일:르노 로고.svg파일:르노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차급 판매차량 단종차량
<colbgcolor=#000><colcolor=#fff> 마이크로카 - 트위지
경차 트윙고(Z.E.) 3 · 4
소형차 클리오 · 탈리안트(크로스) · 5 4CV · 도핀 · 7 · 로간/심볼 · 산데로 · 펄스 · 조에
준중형차 메간 6 · 8/10 · 9/11 · 얼라이언스/엥코르 · 14 · 19 · 스칼라 · 플루언스(Z.E.)
중형차 SM6한국형 12 · 16 · 18 · 20/30 · 21 · 라구나 · 사프란(2,3세대) · 래티튜드 · 탈리스만(2세대)
준대형차 - 25 · 사프란(1세대) · 벨 사티스 · 탈리스만(1세대)
스포츠카 - 카라벨 · 15/17 · 푸에고 · 스포트 스파이더 · 윈드
그랜드 투어러 - 아반타임
경형 SUV 크위드 E-테크 일렉트릭 시티 K-ZE
소형 SUV 카이거 · 산데로 스텝웨이/스텝웨이 · 더스터 · 카르디안 · 캡처 E-테크 하이브리드 · 메간 E-테크 일렉트릭 -
준중형 SUV 심비오즈 E-테크 풀 하이브리드 · 아르카나(E-테크 하이브리드) · 오스트랄 E-테크 하이브리드 · 라팔 E-테크 하이브리드 · 세닉 E-테크 일렉트릭 카자르 · 콜레오스(1세대)
중형 SUV 에스파스 E-테크 하이브리드 · 콜레오스(2세대)/QM6 -
소형 MPV 트라이버 모뒤스 · 롯지
준중형 MPV - 세닉
중형 MPV - 에스파스
픽업트럭 알래스칸 · 더스터 오로크 -
상용밴 트래픽 · 캉구 · 마스터 캉구 Z.E.
전차 - FT · B1 · B1 비스 · R35 · R40
장갑차 - UE 슈니예트
군용차 - TRM 500
르노의 포뮬러 1 레이스카
알핀의 차량
다치아의 차량 }}}}}}}}}



[1] 현대 에쿠스와 함께 풀체인지되면서 구동 방식이 전륜구동에서 후륜구동으로 바뀐 매우 드문 예. 단, 이쪽은 FR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