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0 21:25:56

망개떡

선유량에서 넘어옴
'''[[떡|{{{#!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 -5px 10px -5px -20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B07CD7><colcolor=#fff>
찌는 떡
가랍떡 · 감떡 · 감자떡 · 개떡 · 거말떡 · 고구마떡 · 구름떡 · 귀리떡 · 근대떡 · 김치떡 · 깻잎떡 · 꿀떡 · 느티떡 · 달떡 · 달팽이떡 · 당귀떡 · 당콩떡 · 댑싸리떡 · 더덕떡 · 도토리떡 · 두텁떡 · 마꽃떡 · 만경떡 · 망개떡 · 메싹떡 · 무지개떡 · 무치 · 밀기울떡 · 밤떡 · 백설기 · 보리떡 · 복령떡 · 복숭아떡 · 봉치떡 · 상추떡 · 새미떡 · 서속떡 · 석이편 · 석탄병 · 솔방울떡 · 송편 · 순채떡 · 술떡 · 시루떡 · 여주산병 · 옥수수떡 · 외랑떡 · 율무떡 · 인삼떡 · 임지떡 · 조롱이떡 · 조침떡 · 청치주먹떡 · 취떡 · 칠곡떡 · 콩떡 · 호박떡 · 혼돈병 · 흑임자떡
치는 떡
가래떡 · 개피떡 · 고치떡 · 바나나떡 · 배피떡 · 살구떡 · 송기떡 · 숯떡 · 오쟁이떡 · 인절미 · 절편 · 좁쌀떡 · 찹쌀떡 (찰떡)
지지는 떡
곤떡 · 괴명떡 · 구절떡 · 노티 · 부꾸미 · 비지떡 · 빙떡 · 생강떡 · 우메기 (개성주악) · 조망댕이 · 호떡 · 화전
삶는 떡
경단 · 꼬장떡 · 닭알떡 · 돌래떡 · 오그랑떡 · 오메기떡 · 잣구리 · 즘떡
기타
LA 찹쌀떡 · 기름떡볶이 · 노점 떡갈비 · 떡국 · 떡국떡 · 떡꼬치 · 떡만둣국 · 떡볶이 · 떡케이크 · 모시떡 · 물떡 · 소떡소떡 · 약밥 · 웃기떡 · 주걱떡 · 총떡}}}}}}}}}


파일:망개떡.jpg

1. 소개2. 유래3. 조리법4. 기타5. 관련 문서

1. 소개

경상남도의령군의 향토식품.[1]

멥쌀[2]로 만든 반죽을 망개나무 으로 싸서 찐 . 경상도 지역에서는 청미래덩굴[3]를 지방명(특정 지역에서 부르는 사투리)으로 망개나무라고도 하기 때문에 청미래떡이 아닌 망개떡이 된 듯하다.[출처1] 이 망개 잎으로 떡을 싸서 쪘기 때문에 떡이 서로 달라붙지 않고, 오랫동안 보관해도 잘 쉬지 않아 특히 여름철에도 보관 부담이 다른 떡에 비해 덜한 편이다.

제대로 만든 망개떡은 잎을 벗겨내도 떡 자체에 망개 특유의 독특한 맛과 향이 배어 있는데, 일반적인 쌀떡에 비해 약간 상큼하고 짭짤한 맛이 느껴진다.

망개떡과 흡사하거나 거의 동일한 취급을 받는 떡으로는 거창송편이 있다. 거창송편은 보통 송편을 빚는 것처럼 멥쌀가루를 익반죽해 소를 넣고 빚은 뒤 솔잎 대신 망개잎을 깔아 송편을 찌는 것이다.

망개 잎을 따로 구해야하고 떡맛에 호불호가 있기 때문인지 일반적인 떡집에선 거의 팔지 않고, 망개떡 전문점이나 특화된 떡집에서만 판매한다. 그 이외엔 놀랍게도 아직까지도 특유의 망개~떡~을 외치며 동네를 돌아다니면서 장사를 하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과거엔 찹쌀~떡~!라며 찹쌀떡을 판매했지만, 점차 망개떡을 파는 비율이 늘어난 것. 사실 요새 돌아다니는 장사 경우엔 둘다 파는 경우도 흔하다. 이 경우 번갈아 외친다.

2. 유래

망개떡에는 여러가지 유래가 있지만 기록상 삼국시대부터 있었던 듯 하다.

일단 제일 유명한 유래는 임진왜란 당시 산 속으로 피해다닐 때 끼니 대신 먹었던 떡으로 망개잎으로 싸서 떡에 흙이나 먼지가 묻지 않도록 하면서 쉽게 상하지 않아 그렇게 먹기 시작했다고 한다. 또다른 유래로는 가야 여성들이 백제로 시집갈 때 싸갔던 음식[5]이라고도 하며, 신선이 먹는 음식이라 하여 선유량(仙遺糧)이라고 불리기도 한다.[6]

일제강점기 이후부터 팥소가 들어왔기 때문에 이것을 카시와모찌의 아류라고 보는 경우도 있으나, 일단 문헌학적인 증거 등을 봤을 때 망개떡 자체는 근대 이전에 시작된 향토 떡 요리이고 카시와모찌와는 별개의 요리이다. 다만 현대의 망개떡에 들어가는 설탕을 넣고 끓여낸 팥소는 설탕이 풍부했던 일본 혹은 남중국 지역에서 16~17세기 무렵에 처음 등장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근현대를 거치며 일본에서 한반도로 전파되어 정착한 것이다. 때문에 현재의 망개떡은 근대 이전의 망개떡에서 형태는 유지하되 소에서 근대적 변형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3. 조리법

[출처2]1. 소금에 절여진 망개잎을 식초를 넣어서 데친다.[8]
2. 멥쌀가루를 소금물로 익반죽을 한다.
- 색을 내야 할 경우 반죽에 치자열매를 우려낸 물이나, 백련초를 쇠절구로 찧어서 면포에 짜서 즙 같은것을 섞어 반죽함
3. 반죽을 체에 잘 걸러낸다.
4. 면포를 깐 찜통에 반죽을 넣어 20분간 찌고, 5분간 뜸 들인다.
5. 반죽에 식용유를 살짝 떨어뜨려 쇠절구에 10분간 치대고 손으로 15분 동안 치댄다.
6. 잘 치댄 반죽을 20분간 숙성시킨다.
1. 팥을 압력밥솥에 30분 동안 삶은 후 체에 걸러 덩어리를 으깨서 앙금을 만든다.
2. 체로 걸러진 팥물에 설탕, 소금을 넣고 5분 동안 끓인다.
3. 만들어 놓은 앙금과 끓인 팥물을 섞어서 다시 20분 동안 끓인다.
4. 앙금에 조청을 넣어 조린 후 20분간 냉동실에 굳힌다.
1. 발효시킨 떡 반죽을 방망이로 납작하게 밀어 네모 모양으로 잘라 둔다.
2. 반죽에 팥 앙금을 넣어 반달이나 네모 모양으로 접는다.
3. 완성된 떡을 망개잎에 싼다. 원래는 망개잎 두 장 사이에 떡을 하나 끼워넣었으나 요즘은 잎을 잘라서 두개로 만들거나 하나를 반으로 접어서 떡을 끼우는 편이다.
4. 찜기에 넣어 30초간 살짝 찐다.

4. 기타

5. 관련 문서


[1] 실제로 의령 망개떡은 상품화되어 판매하고 있으며, 베이커리 행사에도 전시된다.[2] 보통은 멥쌀로만 만들지만, 요즘은 찹쌀과 멥쌀을 적당히 섞어 쫀득한 식감을 살려 만들기도 한다.[3] 백합과에 속하는 덩굴성 관목이다. 어린 순은 무쳐먹고, 연한 잎은 쌈을 싸 먹기도 한다.[출처1] 참조.[5]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다. "가야에 금벌매의 따님이 백제 귀족의 자녀와 혼인할 때 선희가 어머니 곁에서 배운 망개떡을 만들어주었고, 백제의 시가집에서 칭찬을 많이 받았다."[6] 역시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다.[출처2] 참조.[8] 망개잎사귀를 한 번 살짝 데친 후 찌면 떡에서 잘 떨어진다. 소금에 절인 망개잎을 사용하면 살균효과도 있고, 방부제효과가 더해져 떡을 더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