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4 17:21:32

명조: 워더링 웨이브/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wiki style="display:inline; font-size: 0px"
{{{#!html <a href="https://namu.wiki/acl/명조: 워더링 웨이브/논란 및 사건 사고"><span style="font-size: 0.95rem; 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a>}}}}}}을 확인하세요.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명조: 워더링 웨이브|명조: 워더링 웨이브]]

파일:명조_이펙트_long_left.png파일:명조로고kr.png파일:명조_이펙트_long_right.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명조_음성 아이콘(crop).png
세계관

스토리 (제1장제2장)등장인물 및 세력설정지역 (황룡리나시타)

전투상점선약 방송국튜닝 (캐릭터 이벤트무기 이벤트)공명자 (보스)데이터 스테이션 • 솔라리스 가이드 • 임무 (조수 • 얽힌 별)업적휘장
파일:명조_음성 아이콘(crop).png
콘텐츠

이벤트탐색주기적 도전 (응소의 영역시뮬레이션 영역강적 토벌무음 소탕군가의 중주)역경의 탑 (심경 구역과부하 구역)신비한 경지 (역대 시즌)홀로그램 전략 · 강습

무기 (대검직검권총권갑증폭기)에코보급자원재료 • 임무 • 특수기타
파일:명조_음성 아이콘(crop).png
기타

출시 전 정보트레일러컨셉아트OST업데이트평가오역흥행논란 및 사건 사고갤러리채널행사 및 콜라보
}}}}}}}}} ||


1. 개요2. 2024년
2.1. 원신 카피캣 논란2.2. 오픈 초기의 사건 사고2.3. 무기 '청룡의 천장' 일본어 툴팁 오류
2.3.1. 일본 서버 개인정보 유출
3. 2025년
3.1. 칸타렐라플뢰르 드 리스 검열3.2. 2.3 버전 프리뷰 특별 방송 관련 논란
4. 오역 문제

1. 개요

명조: 워더링 웨이브》의 논란 및 사건 사고를 정리한 문서.

2. 2024년

2.1. 원신 카피캣 논란

파일:명조원신비교.png

출시 후, 장르의 유사성을 감안하더라도 원신의 시스템과 일대일로 대응이 되는 부분이 많아 논란이 되었다. 이는 원신이 세계적으로 흥행한 이후 중국산 게임에서 원신의 시스템을 자사의 게임에 접목한 사례와 관련되어 있는데, 대표적으로 반천장이라 불리는 원신식 BM을 필두로 한계 돌파, 전용무기, 성유물, 연월 콘텐츠 등 그 기반이 원신 고유의 컨텐츠라고는 보기는 어렵지만 원신에서 확립된 시스템이 중국산 게임에서 통용되기 시작하였다.[1]

타 게임의 경우 이러한 원신식 시스템의 접목 사례가 장르의 차이나 개발사의 자체적인 수정으로 인한 시스템적 변화 때문에 직접적으로 원신과 대응하는 경우가 적었다. 하지만 명조의 경우 오픈월드 RPG로 장르가 겹치는데다 이미 중국산 게임에서 통용되는 시스템을 변화 없이 그대로 가져오다 보니 일대일 대응이 되어 버린 부분이 많은 것. 더군다나 원신의 성공은 오타쿠를 대상으로 한 서브컬처 오픈월드 게임 = '원신라이크'라는 2차 장르를 만들어냈는데, 명조도 실질적으로 이 원신라이크의 장르에 부합한 작품이다보니 명조의 출시로 인해 원신라이크가 하나의 장르로 확립되었다는 평가가 많다.

원신 또한 장르적 허용 이상으로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의 많은 유사성이 지적된 바 있고 실제로 세간에서는 야숨라이크 게임이라는 인식이 퍼져있다. 하지만 명조의 경우 원신이 야숨의 시스템을 모바일 구조에 맞게 자기식으로 확립시킨 시스템을 그대로 넣다 보니 명조-원신 간 차이가 야숨-원신 간 차이보다 적게 느껴지는 상황이다. 때문에 원신라이크로 불리며 원신의 카피캣 작품이 아니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오픈 이후 많은 버그 및 시스템 오류로 홍역을 겪자 해외 커뮤니티에서는 차라리 원신의 시스템과 다르게 가져가는 게 나았을 거라는 반응도 나왔다. # 카피캣 논란이 있는 작품의 경우 카피한 제품과의 비교가 매우 빈번하게 일어날 수밖에 없는데 밀리게 되는 쪽은 상당한 리스크를 가져가기 때문. 물론 시스템의 유사성으로 인해서 기존 모바일 오픈월드 시장의 유저가 쉽게 적응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기에 그 점을 어느 정도는 고려한 것 같다.

중국 게임 업계에서 타사의 콘텐츠를 가져오는 일이야 굉장히 흔한 일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미호요쿠로 게임즈 두 회사 모두 서로의 게임 컨텐츠를 자사의 게임에 포함시켰다는 표절 논란이 있어[2] 중국 게임이 또 중국 게임했다는 식의 반응도 있다.

2.2. 오픈 초기의 사건 사고

2.3. 무기 '청룡의 천장' 일본어 툴팁 오류

기염의 전용 무기인 청룡의 천장의 일본어 무기 설명이 잘못 서술되어 있었고 이로 인해 해당 내용을 잘못 알고 구매한 유저들이 생겨났다. 해당 무기는 변주 스킬 또는 공명 "해방"을 사용할 경우 발동하는 효과가 있는데 이를 변주 스킬 또는 공명 "스킬"로 잘못 번역한 것. # 이후 해당 오류를 확인하고 160 별의 소리(1뽑)를 보상으로 지급하였으나, 해당 무기는 가챠를 통해 얻는 무기였고 잘못된 정보로 아이템을 팔았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집단 환불으로까지 번지려고 했다. (해당 사건 요약)

결국 개개인에게 직접 보상하겠다는 방안을 내놓으며 사건이 마무리되나 싶었지만 개별 연락 중 추가적인 사건이 발생한다. #

2.3.1. 일본 서버 개인정보 유출

위 청룡의 천장 번역 오류에서 이어진 사건으로, 환불 관련하여 개개인에게 메일을 보내는 와중에 다른 사람들의 메일 주소까지 유출되어버리는 사고가 일어났다. BCC(숨은 참조)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to에다가 모든 메일 주소를 적어넣는 바람에, 보내진 메일의 수신자란에 환불을 요청한 유저 모두의 메일 주소가 보이게 되어 이 사달이 발생한 것. #

한국과는 달리 일본에서는 메일 주소가 사실상 전화번호와 동급의 귀중한 개인정보로 취급되기 때문에 일이 더 심각하다. 실제로 이 사건 직후 일본 유저들은 분노하며 게임을 삭제하겠다는 반응까지 나오고 있다. #

번역 오류 논란이 생긴 지 불과 하루 만에 벌어진 일인지라 '일을 열심히 하는 것과 잘하는 것은 별개'라며 쿠로 게임즈를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후 6월 2일자에 올라온 공지에서 위 청룡의 천장 번역 문제를 포함한 게임상의 여러 문제를 해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인게임 재화도 보상해주었고 현재 개인정보 유출 관련하여 추가적인 문제도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일본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이 나오며 사건은 일단락되는 분위기이다.

이후 이메일이 유출된 사람들에게 아마존 기프트 카드 1만 엔을 보상할 것을 약속했다. #

3. 2025년

3.1. 칸타렐라플뢰르 드 리스 검열

✦2025/04/09 18:30 (UTC+8)✦
* [잘려진 운명의 고리 · 군가의 중주] 던전에서 적 [플뢰르 드 리스]의 일부 동작 모델링이 비정상적으로 표시되는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 공명자 「칸타렐라」가 [신기루 상태]에 있을 시 일부 캐릭터 모델링이 비정상적으로 표시되는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확인된 문제 및 업데이트 안내
2025년 4월 9일 6시 30분에 플레이어블 캐릭터인 칸타렐라와 보스 몬스터인 플뢰르 드 리스의 모델링이 갑작스럽게 검열된 사건이다. 칸타렐라의 경우 하의 의상 표현이 밋밋해졌으며 플뢰르 드 리스의 경우 의상이 속바지 비슷하게 수정되었다. # 패치 내역을 워낙 두루뭉술하게 적은 탓에 곧바로 논란이 되지는 않았는데다 칸타렐라의 경우 전과 비교하면 미미한 수정이었기에 단순히 모델링 디테일을 수정한 게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왔다. 하지만 이후 조명받은 플뢰르 드 리스의 경우 극명하게 차이가 드러났기에 명조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검열이 맞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이게 되었다.

당연하지만 사전 공지도 없는 갑작스러운 검열 패치로 인해 유저들의 반응은 좋지 않았으며, 출시된 캐릭터는 물론이고 차후 출시할 캐릭터도 언제 검열을 당할지 모르는 상황이 되어 불만을 드러내는 여론이 많아졌다. 이로 인해 일각에서는 롤백 요구부터 시작해서 검열 문제를 클라이언트마다 분리하여 서비스한다는 등의 대안이 포함된 피드백을 인게임 창구나 공식 이메일을 통해 요청하기도 하였다.

한편으로는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유저들은 검열 원인을 쿠로 게임즈의 자의가 아닌 특정 악성 팬덤 세력의 개입으로 추측하고 있는 상황이다. # 이에 대해서는 평소부터 명조 캐릭터의 노출도 높은 디자인을 비난해왔다는 점, 명조의 해외 등급이 갑작스레 상향된 점, 최근 특정 악성 팬덤이 명조의 이미지 악화를 위해 악의적인 조작글로 선동을 시도했다는 점, 중국 쪽에서 국내 콜라보 행사에 관하여 쿠로 게임즈 측을 비판하는 거짓 찌라시가 뜬금없이 게시된 점, 버전 중반에 갑작스레 검열을 먹일 이유가 없다는 점이 근거로 꼽혔다. #

그리고 해외 유저가 악성 팬덤 커뮤니티에 잠입하여 알아낸 폭로 영상[5]이 국내 커뮤니티 내에서 공유되면서, 검열의 원인이 해당 팬덤의 악의적인 집단 신고에 의해 공안이 개입하여 이루어진 일이라는 추측이 강세가 되었다. # # # 한편으로는 국내 커뮤니티에서도 해당 팬덤이 여론 조작을 시도하려는 정황이 확인되어 # # # 국내 명조 유저들은 이러한 행패에 학을 떼는 중이다. 이로 인해 폭로 이후 쿠로 게임즈에 동정을 표하는 여론도 많아졌다.
>>>확인된 문제<<<
* 2025/04/09 18:30(UTC+8) 업데이트된 현재 버전에서 [잘려진 운명의 고리 · 군가의 중주] 던전의 적 [플뢰르 드 리스]의 일부 동작 모델링 연출을 긴급 수정하였으나, 일정의 제약으로 인해 완성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해당 디자인은 후속 버전에서 개선될 예정이오니, 추후 공식 공지를 통해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방랑자님의 지원과 양해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확인된 문제 및 업데이트 안내
4월 14일에는 공지에 플뢰르 드 리스의 모델링 수정에 대한 후속 조치에 대한 내용이 추가되었다. 여기서 쿠로 게임즈 측은 모종의 사유로 해당 모델링을 긴급 수정하게 되었고, 일정의 제약으로 인해 미흡한 결과물을 보이게 되었다고 언급하여, 4월 9일에 이루어진 검열 패치가 사실상 자의에 의한 것이 아님을 은연중에 드러냈다. 개선 의사를 언급한 것에 더해 상술한 동정론도 있어 커뮤니티 내에서는 일단 후속 조치를 기다려보자는 분위기다. # # #

3.2. 2.3 버전 프리뷰 특별 방송 관련 논란

『명조:워더링 웨이브』 2.3 버전 프리뷰 특별 방송

2025년 4월 19일에 2.3 버전 프리뷰 특별 방송이 진행되었는데 정작 유저들의 반응은 그다지 좋지가 않았다. 2.3 버전은 명조의 1주년에 해당하는 버전이라 유저들 또한 큰 기대를 품고 있었는데, 정작 방송에서 선보인 것이라곤 그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콘텐츠와 보상이었기 때문. 특히 여기서 끝이 아니다! 의 무한 반복 구성으로 호들갑이라는 호들갑은 다 떨었으면서 # 볼멘소리가 나올 수 밖에 없던 내용 구성에는 허탈감을 느낀 유저가 많았다. # #

이에 본토인 중국과 서구권 유저를 중심으로 불만을 표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기 시작했는데, 대표적으로 지적되는 부분은 다음과 같았다.

이로 인해 빌리빌리2.3 버전 미리보기 게시글에는 불만 의견을 표출하는 댓글이 기하급수적으로 쌓였고 공식 디코나 웨이보 등의 SNS에서도 불만 의견이 올라오기 시작했다. 오죽하면 비판을 거의 표출하지 않는 일본 쪽 SNS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국가에서 불만 의견이 나왔을 정도였다.[6] 국내 커뮤니티 또한 불만 의견이 적지 않았지만, 중국 쪽에서 크게 이슈가 되고 있음이 확인된 이후로는 저쪽에서 대신 화내주고 있으니까 우리들은 가만히 있어도 되지 않냐, # # 만약 공식이 반응해서 보상이 늘면 좋고 아니면 아쉽다는 식으로 사태를 관망하는 분위기가 되었다.

한편, 이러한 움직임이 과격해지며 지나치게 과도한 보상을 요구하는 의견이나 분탕도 많아져 관련 커뮤니티는 개판 5분 전 상태가 되었다. 쿠로 게임즈 측도 이러한 불만 사항을 확인한 것인지 사내 인력에 커넥션이 있는 유출자나 국내 기자를 통해 논란에 대한 조치를 고민하고 있음이 밝혀졌고 실제로 이틀 뒤인 2025년 4월 21일 오후 8시 45분, 2.3 버전 프리뷰 특별 방송에 관한 사과문이 올라왔다.

사과문에서는 개발진에 생각하던 2.3 버전의 인식과 유저들이 기대하던 2.3 버전의 인식에서 어긋나는 부분이 있었다며[7][8] 부적절한 내용 구성과 미흡한 표현 방식으로 유저들에게 실망감을 준 점에 대해 사과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무엇이 문제인지를 확실히 짚고 넘어갔다는 점, 변명 없는 깔끔한 사과가 담겨있었다는 점에서 호평이 많다. 또한 추가 보상으로 한정 캐릭터 10뽑, 한정 무기 10뽑, 상시 10뽑, 총 30뽑 어치의 가챠권을 제공하기로 약속하여 민심이 다시 회복되었다.

가장 심하게 불탔던 중국 쪽도 불만 의견이 수습되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했으며 애초부터 1주년치고 아쉽다 수준에 그치던 한국의 경우는 빠른 피드백에 환호하는 반응이 많다. 유일하게 불타고 있지 않던 일본 SNS의 경우 갑작스러운 보상에 기뻐하면서도 개발사에 대한 동정론이 일고 있는데 지나친 게임사 옹호에는 국내 유저들에게서 어이없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 #

한편 레딧 쪽은 만족한다는 반응하고 더 불태워야 한다는 반응이 혼재되어 갈드컵이 일어나고 있는데 # 더 불태워야 한다는 이들의 요구가 지나치게 터무니없어서 뇌절 좀 그만하라고 비판하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 얼마나 터무니없냐면 2.3 버전의 신규 캐릭터인 샤콘의 픽업 시기가 1주년과 겹친다는 이유로 무료 배포를 반드시 해줄 것이라는 자신감 넘치는 망상을 하고 있다가 안해주니까 당연한 권리인 것처럼 왜 안하냐고 성토를 할 정도이다.

4. 오역 문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명조: 워더링 웨이브/오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명조: 워더링 웨이브/오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명조: 워더링 웨이브/오역#|]][[명조: 워더링 웨이브/오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원신 이후의 호요버스 게임은 콘텐츠 대부분이 원신을 기반으로 두고 있고, 그 외 회사의 게임이여도 리버스: 1999, 페르소나 5: 더 팬텀 X, 소녀전선2: 망명처럼 장르 불문하고 원신의 시스템을 참고한 게임이 많다.[2] 미호요 쪽에서는 퍼니싱의 캐릭터 컨셉이나 모션을 참고한게 아니냐는 의혹이 있었으며, 쿠로 게임즈 쪽에서는 전작인 퍼니싱 그레이 레이븐이 붕괴 3rd를 참고해 만든 게 아니냐는 의혹이 있었다. 또 쿠로 게임즈가 미호요의 약관을 그대로 복사 붙여넣기해 올린 사례도 있었다.[3] 'Genshin Impact' 타이틀은 '특정 알파벳 + Imp' 조합이, 'Lost Ark' 타이틀은 'lost + 특정 알파벳' 조합이, 'Stellar Blade' 타이틀은 'la~blad + 특정 알파벳' 조합이, 'World of Warcraft' 타이틀은 'f + w' 조합이 걸려 채팅이 입력되지 않았다.[4] beansthedog, lesbians, Sabrina, caoimhe, shadow, bside, maddie[5] 해당 동영상에서 사용된 캡처 일부가 포함된 SNS 게시글. #[6] 타 게임을 예로 들면, 벽람항로가 아이돌마스터 콜라보를 했을 당시 마치 상전 모시는 듯한 태도에서 발생한 여러 문제로 논란이 됐을 때 유일하게 실드치는 곳은 일본 트위터(현 X) 뿐이었다. 그러나 이들의 실드도 무색하게 정작 해당 콜라보 당시 일섭의 매출은 타국 서버들처럼 평소에 비해 매우 낮았다.[7] 밝힌 바로는 후속 버전에 개발 인력을 합리적으로 배분하며, 2.3 버전 자체는 축제 분위기를 테마로 한 가볍게 즐길 수 있는 버전으로 계획하고 있었다고 한다.[8] 그러나 1주년이 낀 버전인데 그에 걸맞는 스케일과 일정을 기대하던 유저들에게는 큰 실망감을 안길 수밖에 없다. 당장 서브컬쳐 게임의 평균 수명이 2-3년일 정도로 짧고 이를 개발자들도 모르는 건 아니어서 주년 이벤트는 사활을 걸고 준비하는 경우가 많다. 하물며 게임의 미래와 운명이 걸려있는 1주년 기념 이벤트일 때는 더더욱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