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15:31:33

문승원

문쇼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문승원의 2024 시즌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문승원/선수 경력/202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SSG 랜더스
2024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군
19 조병현 · 22 서진용 · 28 송영진 · 29 김광현
· 33 앤더슨 · 34 한두솔 · 38 노경은 · 41 박민호
· 42 문승원 · 43 시라카와 · 47 오원석 · 50 박종훈
· 67 최민준 · 92 이로운
2군
11 백승건 · 15 고효준 · 16 이건욱 · 21 허민혁
· 32 신헌민 · 46 이승훈 · 48 안현서 · 51 정동윤
· 55 엘리아스 · 57 박시후 · 61 서상준 · 62 최수호
· 68 류현곤 · 90 박기호 · 94 최현석 · 00 박성빈
· 03 윤성보 · 04 변건우 · 08 이찬혁
최종 편집: 2024년 6월 16일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
다른 KBO 리그 구단 명단 보기 }}}}}}}}}
문승원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SSG 랜더스
역대 1차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정상호 김지완 송은범 박권수 최정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이재원 김광현, 나현수(2) 황건주 김태훈 문광은(1)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rowcolor=#f00> 서진용(1) 문승원(1) 이경재(1) 이건욱 이현석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정동윤 이원준 김정우 백승건 오원석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김건우 윤태현 이로운(1) 박지환(1) (1)
(1) 전면 드래프트 시행연도
(2) 지명 후 미입단
}}}}}}}}}

문승원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SK 와이번스 우승 엠블럼 V4.svg파일:SSG 랜더스 우승 엠블럼 V5.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2018 2022

SK 와이번스 등번호 69번
정진기
(2011)
<colbgcolor=#ff6600><colcolor=#fff> 문승원
(2012)
김경근
(2013~2014)
SK 와이번스 등번호 54번
김재현
(2012)
문승원
(2013)
김영롱
(2014)
SK 와이번스 / SSG 랜더스 등번호 42번
정상호
(2007~2015)
문승원
(2016~)
현역
}}} ||
}}} ||
파일:문승원 2024 프로필.png
<colbgcolor=#ce0e2d><colcolor=#ffffff> SSG 랜더스 No.42
문승원
文昇元 | Moon Seungwon
출생 1989년 11월 28일 ([age(1989-11-28)]세)
서울특별시 송파구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가동초 - 배명중 - 배명고 - 고려대[1][2]
신체 180cm | 88kg | O형
포지션 선발 투수 (2016~2021, 2023)
중간 계투 (2022, 2023)
마무리 투수 (2024~)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12년 1라운드 (전체 8번, SK)
소속팀 SK 와이번스-SSG 랜더스 (2012~)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13년 12월 23일~2015년 9월 22일)
계약 2022 - 2026 / 55억 원[3]
연봉 2024 / 8억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Zombie Nation - 〈Kernkraft 400〉
{{{-2 {{{#!folding [ 이전 등장곡 보기 ]
가족 아내 안미선(2017년 12월 9일 결혼 ~ 현재)
장남 문도경, 차남 문선우
MBTI ISTJ
에이전트 파일:브랜뉴스포츠.png
파일:SSG 랜더스 심볼.svg파일:SSG 랜더스 심볼(적색배경).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SSG 랜더스 소속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

문승원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문승원/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12년 2013년 군 복무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3. 플레이 스타일

파일:1566658876908.gif
146km/h 패스트볼
vs 박찬호 (2019년 8월 24일)
파일:1566658867254.gif
126km/h 커브
vs 프레스턴 터커 (2019년 8월 24일)
파일:문쇼 슬라이더.gif
143km/h 슬라이더[4]
vs 최형우 (2022년 7월 30일)
파일:문쇼 슬라.gif
136km/h 체인지업
vs 안권수 (2022년 7월 22일)

토종 선발 치고는 빠른 평균 구속의 패스트볼을 앞세운 승부를 즐기는 선수이다. 패스트볼 평균 구속은 146km/h이고, 최고 구속은 150km/h대다.[5] 2018 시즌 기준 규정 이닝을 채운 토종 선발 선수 중 패스트볼 평균구속이 143.9km/h로 공동 1위이다.[6] 다만 2020년 이후로 회전수가 평균을 웃돌며 위 말도 옛말이 되었다. 특히 2020년에는 제구 되는 평균 146km/h의 포심을 뻥뻥 던지며 1선발로 활약했다. 다만 2021년엔 구속이 좀 줄었는데, 알고보니 팔꿈치 통증이 있었다... 그 상태에서도 140km/h이 넘는 공을 던진 것. 그러다 보니 투심을 이용했는데, 제구도 잘 되고 매우 잘 먹혀들며 시즌 아웃이긴 했지만 다시 한번 가능성을 보여줬다.

변화구가 상당히 많은데, 포심을 제외한 것을 죄다 변화구로 본다면 투심[7], 커터[8], 슬라이더, (너클)커브, 체인지업, 스플릿 핑거 체인지업, 정통 스플리터 등 적어도 5개 이상이다. 다만 구사율이 유의미하게 높은 구종은 슬라이더, 스플릿 핑거 체인지업, 너클 커브 정도고, 나머지는 특수한 상황에 쓰인다.

물론 공이 가벼운 편이라 피홈런이 많기는 하지만[9] 구종도 많고 볼볼볼볼하는 투수는 아니라서 "리그 최고 5선발" 이라는 타이틀이 가장 잘 어울리는 선수였다. 그러나 2020년에는 위의 단점들을 보완하여 실질적인 SK 와이번스의 1선발로 활약하였다.

2024년 마무리로 전업한 이후에는 다른 구종을 다 버리고 직슬 투피치로 피칭을 하며 호성적을 거두고 있다.

참고로 다르빗슈 유의 팬이라고 한다. 고려대 시절 영상을 보면 폼이 상당히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쩌면 지금의 다양한 구질을 사용해서 상대 타자를 상대하는 스타일은 다르빗슈의 스타일을 참고해서 던지는 것일 수도.

4. 여담

5. 관련 문서



[1] 체육교육학과 08학번. 현재 체육교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다. 그런데 고려대에서 인터뷰를 했을 때는 사회체육학과(세종캠퍼스로 추정)로 뜬다. 매년 고연전을 관람한다고 한다.[2] 여기서는 체교과로 뜬다.#[3] 연봉 총액 47억 원 / 옵션 8억 원[4] 커터에 더 가깝다.[5] 가을야구에서 불펜으로 나올 경우 150km/h 이상의 공을 던지기도 한다.[6] 공동 1위 양현종 143.9km/h, 3위 김원중 143.8km/h[7] 2021년부터 즐겨 사용하기 시작했다.[8] 2018년 한국시리즈에서 145km/h의 커터를 던진 바 있다.[9] 2016년부터 2020년까지 풀시즌을 뛴 시즌에는 두자릿수 홈런을 맞았다. 2021년은 시즌아웃이라 데이터가 부족한데 2022년에는 20이닝 던져놓고 홈런만 3개를 맞았다.[10] 심지어 김원형 감독도 이렇게 생각했다고 한다.[11] 대구에 동행하다가 삼성전에서 복귀전을 가졌는데, 당시 중계 담당이었던 정우영 캐스터가 긴 머리의 문승원을 알아보지 못하고 김원형 감독에게 "저 분은 누구신가요?" 하고 물었더니 "케이시 켈리를 영입해왔습니다!"라고 대답한 일화가 있었다고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