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진보 진영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대한민국 진보정당 | ||||||||||||
김재연 | 용혜인 | 한창민 | 이백윤 | 이상현 | 손상우 | 권영국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정치인 | 대통령 후보 | 조봉암 · 서민호 · 김철 · 홍숙자 · 백기완 · 권영길 · 김영규 · 금민 · 이정희 · 심상정 · 김선동 · 오준호 · 이백윤 · 김재연 | |||
주요 당대표 | 이우재(범민주) · 장기표(범보수) · 김혜경 · 천영세 · 조준호 · 노회찬 · 조승수 · 나경채 · 현린 · 용혜인 · 천호선 · 여영국 · 이정미 · 하승수 · 이성윤 · 김종훈 · 오태양 | ||||||||||||
소속 정치인 | 국회의원 · 당대표 | ||||||||||||
정파 | 평등파 | 중앙파 · 현장파 · 노동정치연대 · 평등사회네트워크 · 새진보통합연대 · 모멘텀 · 전환 · 노동자계급정당 추진위원회 · 노동자연대 · 전국노동조합협의회 | |||||||||||
자주파 | 국민파 · 인천연합 · 울산연합 · 광주전남연합 · 경기동부연합 · 겨레하나 | ||||||||||||
기타 · 신좌파 | 국민모임 · 21세기 · 참여계 · 글로벌 그린스 · 사회당계 · 새로운진보 | ||||||||||||
정당연대 | 진보동맹 ·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 그린뉴딜 포럼(정의당·녹색당·미래당 공동캠페인) · 반기득권 공동정치선언 · 민주노총·진보정당 연석회의 · 노동자민중 사회주의 좌파 공동투쟁본부 · 정치개혁연합 (해체) ·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 (해체) · 녹색정의당 · 새진보연합 · 더불어민주연합 | ||||||||||||
역사 | 제1공-노태우 · 문민-이명박 · 박근혜-문재인 · 윤석열-현재 | ||||||||||||
관련 정당 | 대한민국당 · 민중민주당 | ||||||||||||
다른 진영 관련 문서 (민주당계 · 보수) |
민주노총·진보정당 연석회의 | |
단체 이름 | <colbgcolor=#ffffff,#191919>불평등 체제 타파·한국사회 대전환을 위한 민주노총·진보정당 연석회의 |
슬로건 | 불평등 체제 타파·한국사회 대전환 |
결성일 | 2022년 9월 24일 |
단체 성격 | 정치단체 정당연대 노동운동기구 |
공동의장 | 양경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
이백윤 (노동당 당대표) | |
이상현 (녹색당 임시대표) | |
권영국 (정의당 당대표) | |
김재연 (진보당 상임대표) | |
참여 단체 | |
참여 정당 |
[clearfix]
1. 개요
이대로는 살 수 없다는 노동자 민중의 절규에 답해야 한다. 우리의 연대는 더욱 일상적이어야 하며 더욱 근본적이어야 하며 더욱 넒어져야 한다.
우리는 민주노총·진보정당 연석회의를 통해 민중들의 생존권을 실현하기 위해 함께 싸울 것이며 이 과정을 톨해 진보 정치의 단결을 실현할 것이다.
선언문 중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과 대한민국의 진보정당인 정의당, 노동당, 녹색당, 진보당이 2022년 9월 24일 불평등체제 타파와 한국사회 대전환, 진보정치의 단결을 위해 출범한 공동투쟁, 빅텐트를 목적으로 하는 연대이다.우리는 민주노총·진보정당 연석회의를 통해 민중들의 생존권을 실현하기 위해 함께 싸울 것이며 이 과정을 톨해 진보 정치의 단결을 실현할 것이다.
선언문 중
직전 타 진보정당 연대들과 달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 노총 차원에서 참가하며 역대 연대 중 가장 거대한 단체가 되었다.
2. 상세
2.1. 배경
사실 진보정당들은 이미 그린뉴딜 포럼, 반기득권 공동정치선언 등의 정당 연대들을 선언한 적이 있었으나, 이들은 일시적인 선거연대에서만 작동했으며 큰 기대감을 가지고 출범했던 반기득권 공동정치선언은 구심점이 없다는 비판 등을 겪으며 형해화 된 바가 있었다. 그런 와중 민주노총에서는 진보정당과의 연대를 공식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져갔고, 서울, 울산 등 일부 지역에서 이미 민주노총과 진보정당 간의 연대 등이 있었기에 더 큰 연대와 공동투쟁을 위한 단체의 출범에 대한 기대감이 나오고 있었다.제20대 대통령 선거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민주노총과 4개 진보정당은 공동 대응 기구를 결성해 함께 투쟁하기로 했으나 연석회의와 같은 확실한 연대가 아닌 민주노총의 진보정당 지지 등의 방식으로의 이뤄진 기구 였기에 결속력이 있는 단체는 아니었다. 더불어 연이은 선거에서 정의당은 물론 노동당, 녹색당의 입지가 상당히 위태로워지고 양당 체제가 심해졌다는 성적표를 받은 진보정당들은 뭉칠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민주노총과 4개 진보정당은 연석회의를 제안하며 공식 출범되었다.
2.2. 구성 특징
다소의 불안요소가 존재했던 앞 선 진보정당들의 연대와 달리 이번 공동선언은 긴밀한 공조가 오갔던 정당과 민주노총과의 연대기에 비교적 출범 시기의 잡음은 적은 편이다.직전 반기득권 공동정치선언에 참여하지 않았던 노동당이 새롭게 참여하고 대신 기본소득당과 미래당은 이번 연대에 참여하지 못했는데, 기본소득당의 경우 비례위성정당 더불어시민당에 참여한 문제 등으로 연대가 제안되지 않은 듯 보인다.
미래당의 경우, 민주노총과 긴밀한 연대를 진행한 적이 거의 없으며 앞선 정당들보다도 신생정당이다보니 참여하지 못한 듯 하다. 다만 미래당 내부는 물론 일각에서도 전적 등을 들어 미래당과 민주노총의 공조가 있어야 한다는 흐름이 있으며 실제로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등은 공조가 진행된 바가 있기 때문에 향후의 행보를 봐야 할 듯 하다.
2.3.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제22대 총선을 앞두고 진보당이 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하는 비례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에 참여했다. 이후 진보당은 민주당과 지역별로 단일화 경선에 나섰다. 반면, 민주노총은 총선 지지후보로 노동당 이장우 1인만 지정하였다 # 결국 울산 동구 1개 선거구를 제외하고는 진보진영 단일화 플랫폼으로의 기능은 하지 못하게 되었다. #한편 녹색정의당 여영국, 김영진 후보는 위에 언급한 노동당 이장우 후보, 그리고 민주노총 산별노조와 연대함으로써 독자 출마했지만 셋 다 한 자릿수 득표율을 받는데 그쳐서 낙선하였고, 오히려 민주당과 단일화 경선을 했던 진보당이 3석을 얻음으로써 말 그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였다.
3. 활동
2022년 9월 24일 민주노총 결의대회에서 출범식을 가진 것과 동시에 기후정의행진에 공동참여했다.
4. 둘러보기 틀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원내정당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3석 | 1석 | 1석 | }}} | |||||||||||||||||||||||
원외정당 | ||||||||||||||||||||||||||
다른 정당 (극좌 · 민주당계 · 제3지대 · 중도 · 보수 · 극우 · 민족 · 대중 · 단일쟁점 · 빅 텐트 · 명망가 · 종교 · 호남권 · 혼합 정치 · 비례위성) | }}}괄호 안은 대한민국 국회 의석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