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7-11 22:35:18

바바리안(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

Dungeons & Dragons의 클래스 (5판 기준)
기본 로그 (5판) | 위저드 (5판) |
클레릭 (5판) | 파이터 ,(5판),
PHB 드루이드 ,(5판), | 레인저 ,(5판), |
몽크 ,(5판), | 바드 ,(5판), |
바바리안 ,(5판), | 소서러 ,(5판), |
워락 ,(5판), | 팔라딘
,(5판),
ERLW 아티피서

파일:external/2.bp.blogspot.com/Sidharth%2BChaturvedi%2B-%2BBarbarian.png

1. 소개2. 판본별 특징3. 미디어믹스4. 관련 문서

1. 소개

Barbarian.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의 핵심 클래스. 야만전사

이 클래스의 모티프는 로버트 E. 하워드코난 더 바바리안, 가드너 폭스의 코타, 프리츠 라이버의 파프르드 등이다.

2. 판본별 특징

2.1. AD&D 이전

공식적으로 바바리안 클래스가 등장한 것은 AD&D 1판 시절이지만, 사실 그 이전에 《하얀 드워프》 잡지에서 D&D 클래식의 기본 세트 2판에 대응하는 바바리안 클래스를 만든 적이 있긴 하다. 하지만 약간 차이가 있으므로 AD&D를 최초로 놓는 것이 좋을 듯하다.

최초의 공식적인 바바리안 클래스는 개리 가이각스가 《드래곤 잡지(Dragon Magazine)》에 파이터의 하위 클래스로 만든 것이 최초였다. 그리고 〈언어스드 아카나(Unearthed Arcana)〉에 1985년 공식 등장한다. 당시의 《동방 모험(Oriental Adventure)》에도 약간 변형된 판이 등장했다.

AD&D 2판에서는 《완전한 파이터용 안내서(The Complete Fighter’s Handbook)》에서 워리어의 변형으로 등장했으며 나중에 《완전한 바바리안용 안내서(Complete Barbarian’s Handbook)》으로 확장 발매되었다.

2.2. D&D 3판, 3.5판

Dungeons & Dragons 3판3.5판기본직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5px"
d20 시스템 {{{#!folding 【PHB】 바바리안 | 바드 | 클레릭 | 드루이드 | 파이터 | 몽크 | 팔라딘 | 레인저 | 로그 | 소서러 | 위저드
{{{#!folding 【XPH】 사이언 | 사이킥 워리어 | 소울나이프 | 와일더
{{{#!folding 【PHB II】 비가일러 | 드래곤 샤먼 | 더스크블레이드 | 나이트
{{{#!folding 【CAd】 닌자 | 스카우트 | 스펠시프
{{{#!folding 【CAr】 워락 | 워메이지 | 우 젠
{{{#!folding 【CD】 페이버드 소울 | 슈겐자 | 스피릿 샤먼
{{{#!folding 【CP】 아덴트 | 디바인 마인드 | 러크
{{{#!folding 【CW】 헥스블레이드 | 사무라이 | 스워시버클러
{{{#!folding 【ECS】 아티피서
{{{#!folding 【HH】 아카이비스트 | 드레드 네크로맨서
{{{#!folding 【MoI】 인카네이트 | 소울본 | 토테미스트
{{{#!folding 【MH】 페이버드 소울 | 힐러 | 마셜 | 워메이지
{{{#!folding 【ToB】 크루세이더 | 소드세이지 | 워블레이드
{{{#!folding 【TM】 바인더 | 섀도캐스터 | 트루네이머
}}}}}}}}} ||


D&D 3판에서는 《플레이어용 안내서(Player’s Handbook, PHB)》에 등장하는 정식 기본 클래스(Core Class) 중 하나가 되었다. 야만적인 힘과 막강한 공격력을 발휘하는 전사 유형 중 하나로, 모든 클래스 중에서 유일하게 종족 기본 언어의 문자를 읽고 쓸 줄 모르는 문맹이라는 것이 특징. 문맹을 벗어나려면 언어 기술에 기술 점수 2개를 넣어서 공부를 따로 하거나 다른 클래스로 다중클래스를 해야 한다. 질서를 제외한 성향만 고를 수 있는 제약이 있으나 별로 큰 제약은 아니다.

바바리안은 전적으로 근접전에 특화된 전사라고 할 수 있다. 파이터는 제 성능을 내려면 파이터 보너스 재주의 계통을 잘 선택해서 전투 전략을 꼼꼼히 짜야하기 때문에 중수 이상에게 최적화된 클래스이지만, 바바리안은 딱히 고르고 자시고 할 것도 없는 단순함에 더해 근접 공격력 하나는 일품이라 주사위 굴리는 재미가 쏠쏠하기 때문에 D&D 3판의 초보자는 파이터를 하는 것보다 바바리안을 하는 것이 쉽다. 3.5판 기준으로 바바리안 계통 상위직으로 프렌지드 버서커란 직업이 있었으며 네버윈터 나이츠 2의 상위직으로 나오기도 했다. 자세한 건 하단 미디어믹스에서 설명.

모든 클래스 중에서 가장 높은 HD인 d12를 가지지만, 무거운 갑옷을 입지 못하는 관계로(중간 무게 갑옷까지는 입을 수 있다.) 파이터나 팔라딘보다 방어력이 약간 떨어지는 편이다. 체질 내성이 좋다. 기술에 생존(Survival)이 있고 기술 점수는 4점이라서 야외 개인전에도 나쁘지 않다. 근접 공격수로는 좋은(Good) BAB에 높은 힘과 격노(Rage), 초인적인 회피(Uncanny Dodge) 등 좋은 특징이 많아서 아주 막강하다. 무기 전문화 때문에 한 가지 유형의 무기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는 파이터와는 달리, 바바리안의 강함은 순전히 힘과 격노에서 나오기 때문에 무기 교체가 자유롭다. 격노 능력이 장거리 무기에 어울리지 않는 편이기는 하나 격노 상태에서 장거리 무기를 사용할 수 없는 것도 아니므로 임시 장거리 공격수로도 활동할 수 있다. 참고로 바바리안은 격노 상태에서 힘 +6짜리 합성궁(Composite Bow)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궁수 바바리안보다는 기병 바바리안이 더 어울리는 편이다. 기마와 동물 다루기 기술 때문에 바바리안은 기병으로 의외로 괜찮다.

능력치는 역시 이 가장 중요하고, 격노의 지속시간과 HP에 영향을 주는 건강이 그 다음, AC와 반사 내성을 위한 민첩이 그 다음, 정신 방어(의지 내성)에 도움을 주고 생존 기술과 듣기 기술에 영향을 주는 지혜는 그 다음, 지능은 기술 점수에 페널티만 받지 않으면 족하다. 매력은, 음... 참고로 바바리안 인구가 가장 많은 종족은 오크, 하프오크라고 한다.

바바리안 운용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가장 난이도가 있는 부분은 격노 능력이다. 바바리안은 레벨에 따라 하루 일정 횟수 격노 상태가 될 수 있는데(1레벨 바바리안은 하루에 단 한번) 격노 상태가 되면 전투 능력이 순간적으로 엄청 급증한다. 일시적으로 힘 +4, 건강 +4, 의지 내성에 +2를 받지만 AC에는 -2 페널티를 받는다. 약점이 있기는 하나 굉장한 전투력 증가를 가져다주는 것은 사실이다.
이것 외에 바바리안에게 주어지는 능력으로 1레벨에 이동속도가 +10피트 되고, 2레벨에 초인적인 회피, 5레벨에 향상된 초인적인 회피(Improved Uncanny Dodge)가 생겨서 기습과 암습(Sneak Attack)에 거의 면역[2]이 되고, 3레벨부터 함정 감각(Trap Sense)이 생겨서 함정에 잘 걸리지 않게 되며, 7레벨부터 피해 감소가 생겨서 물리 공격에 의한 피해를 약간 줄여줄 수 있게 된다. 무거운 갑옷을 입을 수 없는 약점을 보충하는 능력이다.

바바리안의 능력을 감안하면, 빠른 이동속도와 기습과 암습에 강하고 순간적으로 전투력을 증대해 단시간에 강력한 피해를 입히고 이탈하는 게릴라전에 적합한 클래스라고 할 수 있겠다. AC가 약간 부족한 점이 있어 최전방 몸빵으로는 아쉬운 점이 있으나 레인저마냥 불가능한 수준은 아니며, 근접 공격수로는 아주 좋고 강력한 클래스다. 강격(Power Attack)과 궁합이 잘 맞을 것이다. 주력 몸빵이 정면으로 치고 들어가고, 바바리안은 우회해서 협공하거나 적 후방을 치는 식으로 운용하면 효율적이다.

바바리안의 약점은 낮은 AC로 인해 적의 강력한 물리 공격수(헐크(Hulk) 유형)에게 취약하다는 것, 그리고 반사 내성이 약함으로 인해 공격 주문에 취약하다는 것이다. 이 두 가지 단점은 높은 HP로 어느 정도 선까지는 무마가 가능하지만, 안심할 만한 정도는 아니다. 그러므로 이 두 가지 단점을 메꿔주는 마법 물품에 관심을 기울여라. 소유하면 자동 발동하는 유형으로.

돌격 중심 근접전 캐릭터는 돌격으로 전력 공격을 하게 해주는[3][4] 덮치기(Pounce) 특기를 얻으려고 온갖 기를 다 쓰게 마련인데,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가장 쉬운 것이 바로 《완전한 투사(Complete Champion)》 46쪽의 사자 토템 바바리안(Lion Totem Barbarian) 1레벨을 찍는 것이다. 이동 속도 향상을 포기하는 대신 덮치기 특기를 주기 때문에 허구한 날 다중클래스로 1레벨 찍어먹기의 대상이 된다.[5] 따라오는 분노는 순전히 덤.

2.3. 패스파인더 RPG

패스파인더 RPG 1판의 클래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rowcolor=#fbf4ea,#aaa> HD 코어 클래스 베이스 클래스 하이브리드 클래스 얼터네이트 클래스 오컬트 클래스
<colbgcolor=#fbf4ea,#111><colcolor=#000,#fff> d12 바바리안
d10 레인저 카발리어 블러드레이저 안티팔라딘
파이터 건슬링어 브롤러 사무라이
팔라딘 쉬프터 슬레이어
스워시버클러
d8 드루이드 비질런티 헌터 닌자 키네티시스트
로그 알케미스트 인베스티게이터 스피리츄얼리스트
몽크 인퀴지터 스칼드 오컬티스트
바드 메이거스 워프리스트 미디엄
클레릭 오라클 샤먼 메즈머리스트
서머너
d6 소서러 위치 아카니스트 사이킥
위저드 }}}}}}}}}


기본적인 사항은 3판의 바바리안과 유사하지만, 약간의 변화가 생겼다. 첫째로, 격노가 횟수가 아닌 라운드로 계산되어 효율적으로 끊어 쓸 수 있게 되었으며, 2레벨마다 격노 능력(Rage Power)이라는 것을 선택할 수 있게 되어 다중 클래스를 하지 않아도 자체적인 맞춤 육성이 어느 정도 가능하게 되었다. 격노 능력 선택에 따라서 덮치기 능력을 얻거나 마법에 대해 강력한 내성 보너스를 얻는 것 등이 가능하게 되었다. APG에서 격노 능력으로 안정적으로 돌진 후 풀어택을 얻을 수 있어서 이 빌드 한정으로는 비 마법계통 중에서 괜찮은 모습을 보여준다.[6]

책이 우후죽순 쏟아지는 와중 부실한 지원과 태생적 한계로 인하여 사실상 도태되었고, Advanced Class Guide에서 블러드레이저 클래스가 새로나오면서 관에 들어갔다. 블러드레이저는 HD가 10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바바리안의 상위 호환에 가까우며, 프라이멀리스트 아키타입을 선택하기라도 한다면 바바리안의 격노 능력을 원하는대로 골라먹을 수 있다. 물론 파이조 공식 플레이를 포함한 여러 플레이에서 해당 아키타입이 금지되고는 하지만 주문과 혈통으로 부터 오는 범용성/강화를 바바리안이 쉽게 따라잡지는 못하고 있다. 성향 제한이 없는 것은 덤.

도태된 바바리안을 위해 추가된 《해방된 패스파인더(Pathfinder Unchained)》에서 언체인드 바바리안이 추가되었다. 격노의 보너스가 능력치의 증가가 아닌 명중과 피해에 깡 보너스[7]가 붙고 임시 HP를 얻게 되는 것으로 변경되어 어느 정도 간략해졌다. 다만 힘 상승에 따른 양손 무기에 의한 피해 증가[8]가 사라지고 건강 상승에 따른 격노 지속시간 증가도 사라졌다. 약화라고 볼 수도 있으나 이 변화는 일장일단으로, 힘과 건강에 사기 보너스를 받을 수 있고, 임시 HP인 것도 도움이 된다.(기존 격노 HP는 격노가 풀리면 올라간 만큼의 HP가 사라지고 이만큼의 HP가 없으면 사망했다. 임시 HP의 경우 현재 생명점으로 전이되지 않으므로 괜찮다) 또한, 새로이 격노 중 하나만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인 태세(Stance)를 얻어 실질적으로 피해 상승과 명중 상승 중 (그 외에도 여러 태세가 있다) 고를 수 있게 되었다. 다만 격노 능력의 경우 공격적인 성능에 있어서는 너프가 많다는 게 중론이고, 방어 성능도 기존에 비하여 특출나게 우월하지도 못하다. 결국 기존 클래스가 얻는 이점을 일부 희생한 거 치고는 성능이 좋지 못하여서 바바리안의 도태를 해결하지 못하고 묻히고 말았다.

2.4. D&D 4판

4판에서는 《플레이어 안내서》에서는 잘렸다가 《플레이어 안내서 2(PHB2)》에 등장했다. 단일 대상에 근접 공격을 하는 것에 강한 공격 담당 유형. 원시(Primal) 파워 원천을 사용하기 때문에 3판과는 달리 순수한 근접 공격수라기보다는 주술적 파워가 깃든 물리 공격을 한다는 느낌이다.
격노의 피(Rageblood) 육성법과 호족 혈통(Thaneborn) 육성법으로 나뉘는데, 격노의 피 쪽은 적 하나를 0HP로 만들면 즉시 다른 적에게 돌격하는 날쌘 돌격 조우 파워를, 호족 혈통은 적 하나를 0HP로 만들면 주변의 모든 적의 방어를 -2 시켜버리는 정복의 함성 조우 파워를 얻는다. 일일 파워를 사용해서 격노 상태로 들어갈 수 있는데, 사용하는 일일 파워에 따라 격노 상태가 주는 이득이 각각 다르다. 일일 파워 대신에 강력한 한 방 피해를 입히는 격노 일격(Rage Strike)을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 바바리안 공격 파워로 치명타를 내면 공짜 공격도 하나 받을 수 있다. 기회 공격보다 조금 더 공격적인 느낌.

2.5. D&D 5판에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바바리안(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5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바바리안(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5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바바리안(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5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미디어믹스

4. 관련 문서



[1] 그런 멍청한 짓을 하는 광분한 광전사(Frenzied Berserker)라는 상위직이 따로 있다.[2] 바바리안보다 고레벨인 로그의 암습은 먹힌다.[3] 그냥 돌격을 하면 공격 횟수가 둘 이상이어도 딱 한번만 공격할 수 있다.[4] 물론 쌍검술 피트를 찍으면 명중에 페널티가 들어가지만 2회까지는 공격할 수 있다.[5] 종교적인 배경이 있는 클래스라 모험 도중에 생뚱맞게 찍기는 곤란하지만, 처음부터 레벨이 쌓인 캐릭터를 만드는 경우에는 배경 이야기만 짜 맞춰서 넣어주면 된다.[6] 다른 관련 격노능력들이 잠기고 설정에 따라 DM이 금지할지도 모르지만 사용이 금지되는 능력들은 그렇게 뛰어난 것도 아니며 워낙 범용적인 설정이라 대놓고 아니다 싶은 상황이 아니면 금지하기도 애매하다.[7] 근접 무기 피해/명중, 투척 무기 피해에 보너스.[8] 힘 보너스가 아니기 때문에 양손 무기 1.5배 혜택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