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ngeons & Dragons의 클래스 (5판 기준) | |
기본 | 로그 (5판) | 위저드 (5판) | 클레릭 (5판) | 파이터 ,(5판), |
PHB | 드루이드 ,(5판), | 레인저 ,(5판), | 몽크 ,(5판), | 바드 ,(5판), | 바바리안 ,(5판), | 소서러 ,(5판), | 워락 ,(5판), | 팔라딘 ,(5판), |
ERLW | 아티피서 |
Bard. TRPG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의 핵심 클래스. 음유시인
1. 개념
이름은 켈트족의 바드(전승지식의 달인)에서 따왔지만, 전세계에서 볼 수 있는 광대, 음유시인, 학자 비슷한 모티브는 다 포함하고 있다. AD&D 시절에는 아란-아-데일(로빈 후드 전설의 음유시인), 윌 스칼렛(역시 로빈 후드 전설의 인물), 탈리에신(웨일즈 시인) 같은 전형적 인물뿐만 아니라 호메로스도 바드의 전형으로 꼽을 정도였다.클래스 성격은 다재다능하지만, 한 분야에서 달인이 되기에는 모자란 능력이다. 거기에 음유시인다운 노래 실력[1]과 전설에 해박한[2] 지식 등의 잡기를 보유한다.
2. 역사
2.1. AD&D
AD&D 1판의 바드는 아주 특이한 클래스였는데, 여러 가지 까다로운 선결 조건을 맞추고 여러 가지 클래스의 레벨을 얻은 후에야 바드가 될 수 있었다. 말하자면 D&D 3판의 상위직 비슷한 형태였다. 힘 15 이상, 민첩 15 이상, 건강 10 이상, 지능 12 이상, 지혜 15 이상, 카리스마 15 이상라는 엄청난 능력치를 요구하는데다가 먼저 파이터로 5레벨 이상 8레벨 미만까지 올린 다음 시프로 이중 클래스로 하고 나서 다시 시프 5레벨 이상 9레벨 미만까지 올린 다음에 또다시 드루이드로 이중 클래스를 한다. 드루이드 레벨을 올리고 나서야 비로소 바드가 될 수 있었다. 성향은 중립이 하나라도 들어있어야 하며, AD&D의 이중 클래스 규칙의 특성상 파이터, 시프, 드루이드 능력을 고루 갖추는 터라 바드 1레벨만 돼도 상당한 전사, 도둑, 드루이드로서의 능력을 갖춘 셈이다. 켈트의 바드와 드루이드의 관계를 생각해보면 이쪽이 더 타당한 해설일지도 모른다.AD&D 2판에서는 로그 대분류 아래의 시프와 바드로 분류되었으므로 1판보단 좀 더 표준 클래스화했다. 예전에 비하자면 민첩 12 이상, 지능 13 이상, 카리스마 15 이상으로 그나마 선결조건을 달성하기 쉬워진 편이다. HD는 d6, 경험치 진행 속도는 시프와 같아서 가장 빠르게 레벨이 오르는 클래스에 해당한다. 시프 기술 몇 가지를 할 수 있고, 위저드 주문도 약간 할 수 있고[3], 모든 무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드 음악과 바드 전승지식을 가지고 있는 등, 다재다능했다. 바드의 주문 진행이 위저드의 것보다 조금 느려 보이지만(2레벨부터 주문을 얻는다.), 레벨이 오르는 속도가 가장 빠르기 때문에 같은 경험치를 받은 위저드보다 바드가 더 고레벨인 주문을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시프와 같은 THAC0를 갖지만 무기 제한이 없기 때문에 시프보다 더 전투력이 세고, 주문에만 집중해도 위저드보다 무섭고, 보조 근접 전투원으로만 써먹어도 AC를 부여하는 위저드 주문을 이용해서 강력하게 활약할 수 있었다. 다만 주문 사용 능력은 주문책도 갖추고 갑옷도 입으면 안 되는 등, 위저드와 똑같은 제약을 받는다.
주문레벨이 상대적으로 더 높기 때문에 스톤스킨같이 캐스팅 레벨이 중요한 주문을 사용할 때는 위저드보다 더 좋은 면도 있었다.
하지만 문제는 시프와 같은 THAC0를 가지기 때문에 22렙에서 THAC0가 겨우 10이며 여기서 레벨 올린다고 더 좋아지지 않는다. 이건 3판 위저드의 BAB보다도 못한 수준이다. 10레벨에서 동렙전사와 명중굴림이 5나 차이나고 22레벨에서 동렙전사와 10이나 차이 나기 때문에 직접 전투는 사실상 불가능한 수준이다. 노래 좀 할 수 있는 약화판 위저드가 2판 바드의 이미지였다.
2.2. D&D 3판, 3.5판
Dungeons & Dragons 3판 및 3.5판의 기본직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5px" | d20 시스템 | {{{#!folding 【PHB】 | 바바리안 | 바드 | 클레릭 | 드루이드 | 파이터 | 몽크 | 팔라딘 | 레인저 | 로그 | 소서러 | 위저드 |
{{{#!folding 【XPH】 | 사이언 | 사이킥 워리어 | 소울나이프 | 와일더 | ||
{{{#!folding 【PHB II】 | 비가일러 | 드래곤 샤먼 | 더스크블레이드 | 나이트 | ||
{{{#!folding 【CAd】 | 닌자 | 스카우트 | 스펠시프 | ||
{{{#!folding 【CAr】 | 워락 | 워메이지 | 우 젠 | ||
{{{#!folding 【CD】 | 페이버드 소울 | 슈겐자 | 스피릿 샤먼 | ||
{{{#!folding 【CP】 | 아덴트 | 디바인 마인드 | 러크 | ||
{{{#!folding 【CW】 | 헥스블레이드 | 사무라이 | 스워시버클러 | ||
{{{#!folding 【ECS】 | 아티피서 | ||
{{{#!folding 【HH】 | 아카이비스트 | 드레드 네크로맨서 | ||
{{{#!folding 【MoI】 | 인카네이트 | 소울본 | 토테미스트 | ||
{{{#!folding 【MH】 | 페이버드 소울 | 힐러 | 마셜 | 워메이지 | ||
{{{#!folding 【ToB】 | 크루세이더 | 소드세이지 | 워블레이드 | ||
{{{#!folding 【TM】 | 바인더 | 섀도캐스터 | 트루네이머 |
D&D 3판에도 핵심 클래스로 등장. 보통 BAB, 반사와 의지 내성이 좋고, d6 HD에 기술 점수를 6점 받고, 모든 단순 무기에 장검, 레이피어, 단궁 정도의 쓸 만한 무기에, 가벼운 갑옷과 방패까지 쓴다. 그리고 비전 마법(arcane magic) 계열의 독자적인 바드 주문 목록을 사용한다. 바드 음악과 전승지식은 여전히 보유.이전과는 꽤 성격이 달라졌다. 예를 들어 제한 사항으로 성향에 질서가 들어갈 수 없게 되었는데, 실제 역사 속의 바드가 부족의 전승 지식(구전 법률)과 전통을 보존하는 법관 같은 준법적인 성격을 가진 자들이라는 걸 생각해보면 3판의 바드는 실제 바드보다는 민스트럴이나 로그에 가까운 거 아닌가 싶다.
주문 사용 능력도 AD&D 2판과는 달리, 가벼운 갑옷을 입어도 주문에 방해받지 않는다.[4] 게다가 위저드 주문을 사용하는 게 아니라 독자적인 주문 목록을 갖고[5] 주문 사용 방식도 소서러처럼 아는 주문 개수의 제한이 있고 준비할 필요가 없는 유형이다.
기술 점수 6점에 기술 목록도 꽤 괜찮아서[6] 스킬 몽키로도 상당히 강력하다.
바드 지식은 사실상 모든 것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능력이다. 모든 지식이나 전설에 대해 한 번쯤 판정해서 알 확률이 있을 정도로 쓰기에 따라 강력하고 조사에도 좋다. 바드의 노래도 현혹, 정신 공격 및 아군 버프에 강력한 효과가 있다.
AD&D 2nd에 비하면 전투력이 상승했는데 BAB가 보통이 된 것이 크다. BAB 보통은 4렙까지 동렙 파이터보다 BAB가 1낮으며, 20렙 기준으로 5낮지만 10씩 차이나던 2판보다는 크게 좋아졌다. 그래도 이것만으로는 약한게 맞으나 바드는 아케인 캐스터이므로 버프 주문을 쓸 수 있다. 2렙 주문인 Heroism을 쓰면 공격롤과 내성굴림에 +2를 받으며 5렙 주문인 Heroism, Greater를 쓰면 공격롤과 내성굴림에 +4를 받는다. 역시 2렙 주문인 Emotion(rage)를 쓰면 힘+2 체질+1이 상승하니까 파이터 BAB와 동등한 수준이 된다. 물론 파이터는 높은 BAB에 더해 무기 전문화 재주가 있으므로 바드보다 공격력이 좀 더 좋은건 맞는다.
하지만 방어력은 바드가 월등하다. 미러 이미지와 향상된 투명화, 흐려짐(Blur), 고양이의 우아함(Cat's Grace) 등을 쓸 수 있어[7] 생존면에서는 전사와 비교가 불가능하다. 여기에 헤이스트(공회추가에 명중, AC도 보너스를 받는다)까지 쓸 수 있어 동렙전사가 1:1로 풀버프 바드와 싸워 이기는건 거의 불가능하다. 물론 바드는 싸우기 전에 버프 걸 시간이 필요하고 주문지속시간도 있으므로 항상 파이터보다 강한 클래스는 아니지만, 풀버프 받은 3판 바드는 상당히 강하다. 또한 수면, 홀드 퍼슨, 공포, 혼란, 감속 같은 각종 메즈주문에 회복마저 쓸 수 있다.
대신 바드 전용 주문이 위저드 주문보다 제한적이고 전투에서 직접 타격을 가하는 주문이 적기 때문에, 전작처럼 캐스터로 운용하기보다 버프깔고 근접으로 싸우는 것이 유리한 편이다. 여러모로 AD&D 2nd의 파이터/메이지 멀티 클래스의 약화판 같은 느낌이다. 3판 클레릭 BAB가 바드와 같은 보통이지만 버프깔고 싸우면 킬레릭 소리 듣는 것 처럼 바드도 그런 느낌으로 버프깔고 싸우면 상당히 강해진다. 비록 성직자 수준으로 강하지는 않지만...
또한 비전투 분야에서는 교섭과 조사와 잠입 면에서는 로그보다 바드가 더 강력하다. 정보 조사에서 바드 전승 지식의 위력과 모든 분야의 지식 기술의 효과가 엄청나고, 카리스마가 높은 클래스라 교섭 계열에서도 훌륭하며, 로그처럼 숨어드는데도 훌륭한데다 강력한 현혹 계열 주문과 잠입에 적당한 주문이 다수 있어서(투명화!) 비전투 상황에서는 최강자로 군림한다.
머무는 노래(Lingering Song) 재주나 노래하는 듯한 발동(Melodic Casting), 창작의 가사(Word of Creation) 재주, 노래 주문(Lyric Spell) 재주, 추가 음악(Extra Music) 재주, 눈송이 전쟁춤(Snowflake Wardance) 재주 같은 쓸 만한 바드용 재주를 적극 활용하여 최적화하면 재밌는 클래스로 만들 수는 있다. 또한 무기 중에 드물게 채찍을 기본으로 주는 클래스라서, 원거리에서 발 걸기(Trip)를 하는 보조적인 전술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가끔씩 재미를 살린다고 헤비 메탈 바드를 하겠다는 이들이 있다. 디오 옹, 디킨슨 옹, 다니엘 헤이먼에게 마법만 붙여주면 딱 캐릭터성이 맞는다. 행운을 빈다(...)
만약 선하고 유쾌한 성격을 포기하고 강력해지고 싶다면 《죽음의 서(Libris Mortis)》 딸림 책 43쪽의 장송곡가수(Dirgesinger) 상위직을 얻으면 된다. 장송곡을 불러서 적에게 막강한 디버프를 걸거나 언데드를 노래로 조종할 수 있게 되고[8], 마지막 5레벨을 찍으면 생전에 지녔던 클래스 능력과 마법을 그대로 지닌 언데드를 되살려서 조종할 수 있다! 다만 선 성향으로는 얻을 수 없는 상위직이고 이 책 자체가 잘 쓰이지 않아서 능력에 비해 묻혀버린 안타까운 경우. 일행이 중립 또는 악 성향이거나 블랙가드처럼 보스로 쓰는 것이라면 아주 깊은 인상을 남길 수 있을 것이다.
헤비 메탈 바드(...)를 만들 때에도 딱 좋은데, 특히 익스트림 메탈이 잘 어울린다. 전투 도중에는 박자가 빠른 멜로딕 데스 메탈, 데스 메탈, 블랙 메탈 등이 잘 어울리고, 평소에 쉬는 동안 연주할 장르는 역시 장송곡에서 기인한 둠 메탈이다. 대략 이런 분위기.
만약 DM이 설득 장면을 역할 연기하는 것 외에도 외교술(Diplomacy)로 인한 적대 관계의 변화를 반영한다면 얘기가 또 달라진다. 플레이어를 죽이려는 적도 일단 DC 25의 외교술 판정만 통과하면 곧바로 무덤덤한 상태가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한 턴 안에 외교술 판정을 하려면 -10의 페널티를 받는다고 하지만, 이를 감안해서 외교술 수정값 +34를 맞추면 1이 떠도 공격을 즉시 멈추고 16이 뜨면 곧바로 전우로 탈바꿈하게 된다. 즉, 상대방이 귀가 들리고 말만 통한다면 모든 전투를 세 치 혀로 제쳐버릴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위의 경우는 마스터가 바드를 가엽게 여겨(...) 허용할 때만 가능한 것이고, 아무 때나 저게 된다고 생각해서 외교술만 딥따 올리고 아무 상황에서나 저걸 쓰려고 한다면 TRPG를 단순 숫자 놀음으로 전락시키는 꼴이다. 마스터의 호의를 숫자 놀음에 미친 자의 권리로 곡해하지 말자.
에픽 레벨에 이르면 골렘도 데카르챠!라고 감동하게 만들 수 있다.
2.3. 패스파인더 RPG
패스파인더 RPG 1판의 클래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 <rowcolor=#fbf4ea,#aaa> HD | 코어 클래스 | 베이스 클래스 | 하이브리드 클래스 | 얼터네이트 클래스 | 오컬트 클래스 |
<colbgcolor=#fbf4ea,#111><colcolor=#000,#fff> d12 | 바바리안 | |||||
d10 | 레인저 | 카발리어 | 블러드레이저 | 안티팔라딘 | ||
파이터 | 건슬링어 | 브롤러 | 사무라이 | |||
팔라딘 | 쉬프터 | 슬레이어 | ||||
스워시버클러 | ||||||
d8 | 드루이드 | 비질런티 | 헌터 | 닌자 | 키네티시스트 | |
로그 | 알케미스트 | 인베스티게이터 | 스피리츄얼리스트 | |||
몽크 | 인퀴지터 | 스칼드 | 오컬티스트 | |||
바드 | 메이거스 | 워프리스트 | 미디엄 | |||
클레릭 | 오라클 | 샤먼 | 메즈머리스트 | |||
서머너 | ||||||
d6 | 소서러 | 위치 | 아카니스트 | 사이킥 | ||
위저드 | }}}}}}}}} |
패스파인더 RPG 2판의 클래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 <rowcolor=#fbf4ea,#aaa> 시작 체력 | 분류 없음/다분류 | 아케인 클래스 | 디바인 클래스 | 프라이멀 클래스 | 오컬트 클래스 |
<colbgcolor=#fbf4ea,#111><colcolor=#000,#fff> 12 | 바바리안 | |||||
10 | 파이터 | 챔피언 | 레인저 | |||
몽크 | 익셈플라 | |||||
스워시버클러 | ||||||
서머너 | ||||||
가디언 | ||||||
8 | 알케미스트 | 메이거스 | 클레릭 | 드루이드 | 바드 | |
로그 | 오라클 | 키네티시스트 | 쏘마터지 | |||
인베스티게이터 | 애니미스트 | |||||
건슬링어 | ||||||
인벤터 | ||||||
커맨더 | ||||||
6 | 소서러 | 위자드 | 사이킥 | |||
위치 | ||||||
}}}}}}}}} |
패스파인더에서 기술 통폐합의 가장 큰 수혜를 받은 클래스라고 평가받는다.
로그는 기술 통폐합 후에도 함정 해제, 마법 장치 사용(Use Magic Device, UMD), 잠행, 곡예 등 투자해야할 게 너무 많은 반면, 바드는 교섭과 정보 수집의 통합 등이 크게 다가온다. 거기다가 바드 전승이 개별 판정이 아닌 모든 지식에 깡 보너스를 더하는 깡패 능력이 되었고, 공연 기술을 사회 기술로 사용하는 능력 덕에 사회 기술에는 기술 점수를 1점도 투자하지 않고 공연만으로 교섭을 대신할 수 있다.
그 외에 공연 능력과 주문 능력의 사용은 유사하나, 레벨에 따라서 공연의 행동이 이동 행동(Move Action), 신속 행동(Swift Action)으로 점점 간소화되어 첫 라운드와 이후 행동이 3.5판보다 자유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팔방미인이라는 말에 너무 충실해서 특출난 분야가 전혀 없어서 여전히 4인 일행에서는 애매하고, 훌륭한 5번째 일행원이다(...).
3.5판 계열의 시스템 상 버프 위주의 효과가 엄청나게 강력하여 여러 버프를 걸고 전투하는 식이 되는데, 보너스는 같은 계열이면 보통 중첩될 수 없어 버프의 종류를 다양하게 갖추는 걸 신경써야 한다. 이때 클레릭, 위저드와 같은 주요 주문 시전자들은 클래스 기능보다는 주문으로 버프를 거는 경우가 많은데 동일 버프는 중첩이 안되므로 같은 버프를 제공하는 클래스가 여럿 있으면 효율이 떨어진다. 게다가 캐스터들의 액션이라는 기회비용도 있다. 바드의 공연은 이런 부분들을 적절히 보완해주고 광역 버프의 경우 일행이 많을 수록 효과를 보는 대상이 늘어나기 때문에 파티가 클수록 실제로 바드의 효율이 좋아진다. 반대로 일행 수가 적을수록 일행끼리 강력한 버프를 중첩되지 않게 돌리기 쉬우니 그 자리에 소소한 버프를 광역으로 뿌리는 바드가 들어가기에는 애매한 것. 실제로 6인 파티로 플레이하는 PC판 CRPG인 패스파인더 킹메이커와 패스파인더 의인의 분노에서 바드는 주인공이 하긴 아쉽지만 동료로 데리고다니면 좋은 성능의 버퍼로 대우받는다.
컴패니언 등의 서플 지원으로 피트를 기회비용으로 찍을 수 있는 특수한 효과를 가진 공연 '마스터피스'를 시연하는 능력을 받을 수 있고, 스킬 체크에 관련된 능력과 담당 가능한 범위가 더욱 보강되어 스킬 몽키 입지가 강화되었다. 플레이어가 바드 운용과 육성에 숙달되어있고 직접 전투력은 버리고 파티의 유틸리티만 중점적으로 맡긴다 생각하면 4인팟에 껴볼수 있을 정도로 좋아진 편.
2.4. D&D 4판
D&D 4판에서는 《플레이어용 안내서 2(Player’s Handbook 2)》에서 등장한 클래스로, 비전 파워 원천을 사용하는 지휘 담당이며 통제 담당의 성격도 조금 갖고 있다. 아군을 버프하고 적을 방해하는 음악을 사용한다. 클래스 기술이 많고, 다중클래스 재주를 다수 가질 수 있어서 다재다능한 성격을 유지하고 있다. 마법봉, 노래검(Songblade), 악기를 강화도구(implement)로 사용한다. 또한 4판에서는 의식(ritual))은 클래스 제한 없이 가질 수 있는 것인데 유일하게 바드만이 전용 의식을 추가로 보유한다.2.5. D&D 5판에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바드(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5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바드(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5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미디어믹스
현재까지 출시된 게임 대부분이 AD&D나 D&D 3판~3.5판을 기반이라 게임에서도 대부분 안 좋게 나온다.- 발더스 게이트 1, 2편
설정이 AD&D인데다 좋은 메이지(위저드), 소서러 주문도 많고 하이 레벨 어빌리티도 있어서 의외로 괜찮은 편이다. 레벨 업도 빨라서 메이지, 소서러가 레벨 5~15 즈음에서 막혔을 때 고레벨 주문도 금방 쓸 수 있다. 아주 좋은 건 아니라서 굳이 억지로 쓰지 않는 이상 쓰는 사람은 없다. 왜냐하면 6 레벨 주문이 한계인데 2편 확장팩인 바알의 왕좌에선 훨씬 강력한 9 레벨 주문들을 사용할 수 있는 메이지, 소서러와는 달리 바드는 아예 쓸 수 없기 때문.
- 발더스 게이트 3
D&D 5판 기반이라 바드 자체의 성능이 올라간 것은 물론 파티 인원이 4명으로 제한됨에 따라 전투에서는 다재다능함이 빛을 발하고 소셜에서는 강력한 바드 전용 선택지들로 수월한 진행이 가능해져서 고평가 받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바드(발더스 게이트 3) 참조. 특히 검 학파의 경우 원거리 공격에 한해 바딕을 사용하면 같은 대상에게 지정이 가능해 1회 공격이 2회 공격이 된다는 참신한 방법으로 sword 바드가 아닌 bow 바드가 되었긴 했지만 강한 학파로 만들었다. 오히려 용맹학파가 최하위 바드 클래스 취급을 받을정도이다. 3레벨부터 한정적 자원을 쓰긴하지만 원거리 무기로 2회 공격이 가능하고, 6레벨에 추가공격을 받으면 바딕을 2개 쓰면 4회 공격이 가능하며, 특정 방어구와의 시너지까지 일으켜 주문까지 사기적이다. 오죽하면 유일한 단점이 '혼자 다해먹어서 RPG의 재미가 반감된다'일 정도.
- 아이스윈드 데일 EE
발더스 게이트 1, 2보다 훨씬 낫다. 메이지, 소서러 주문을 8 레벨까지 쓸 수 있기 때문. 그래서 호리드 윌팅이나 주문 저장기(Spell Trigger)도 쓸 수 있다. 그러나 메이지와는 달리 8 레벨 주문 슬롯이 딱 하나 있기 때문에 당연히 메이지보다는 나쁘기 때문에 바드를 쓰는 것보단 켄사이/메이지 듀얼 클래스나 파메시를 쓰는 것이 낫다. 아윈데에선 파메시가 레벨 30이 가능해서 바드의 상위 호환이다.
- 아이스윈드 데일 2
일단 전작처럼 8 레벨 주문까진 사용 가능하지만 주문 체계가 D&D 3판의 바드 체계라 공격 주문은 매직 미사일조차 못 쓴다. 대신 치료 주문을 쓸 수 있지만 회복력이 좋지 않아 클레릭, 드루이드을 쓰는 것이 낫다. 그래도 아윈데 2는 소환수들이 강력한 데다 8 레벨 주문중에 밴시의 통곡이 있어서 쓰려면 쓸 수는 있다.
- 템플 오브 엘리멘탈 이블
Zaxis라는 동료가 바드이다. 이 게임 역시 바드의 성능이 좋지 않다.
- 네버윈터 나이츠
좋지 않다. D&D 3판의 바드를 거의 그대로 구현하고 6 레벨에 아이스 스톰을 추가하였는데 늦게 얻고 많이 쓸 수 없다. 게다가 본작은 솔플 게임이다. 발더스 게이트 , 아이스윈드 데일은 파티 플레이 게임이라 보조 직업으로 사용 가능하지만 이 게임에선 바드 혼자서 싸워야 한다.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 주문 시전자로서
D&D 3판 바드 주문을 거의 그대로 구현해서 좋은 주문이 없다. 6 레벨 주문이 한계이고 대부분 정신 계열 디버프 주문인데 이 게임에선 성능이 나쁘다. 유일한 공격 주문인 아이스 스톰은 캐릭터 레벨 19, 매력 23인 바드가 하루에 고작 4번밖에 못 쓴다. 보스급 몹이 아이스 스톰 4번 맞고 죽을 리도 없으니 차라리 없느니만도 못한 셈이다. 위저드처럼 레벨 4 주문으로 나왔으면 좋았을 텐데 아쉬운 부분이다. - 전사로서
공격 보너스(Attack Bonus)가 높지 않아서 좋지 않다. 게다가 쓸 수 있는 무기도 몽둥이나 단검같은 것들 뿐이다. 심지어 바드는 중갑(Heavy armor)을 입을 수 없다. 피트를 찍거나 멀티클래스하면 장검이건 중갑이건 쓸 수 있지만 그럴 거면 처음부터 파이터, 웨폰 마스터하는 것이 훨씬 낫다. - 상위직
가장 강한 직업인 레드 드래곤 디사이플(Red Dragon Disciple), 통칭 RDD를 만들려면 바드 레벨 1이 필요해서 RDD를 만들 때나 고르는 정도다. 이러면 바드 1/RDD 10/파이터 29가 되어 사실상 바드가 아니게 된다.
이렇다 보니 오리지널 캠페인의 바드 동료인 샤르윈은 쓰레기 취급. 그나마 쉐도우 오브 언드렌타이드에 나오는 바드 디킨이 성능보단 캐릭터가 재미있어서 인기가 좋다.
- 네버윈터 나이츠 2
전작보다 피트도 늘었고 싱글 게임인 전작과는 달리 파티 플레이라 파티 보조로 정말 좋은 직업군이다. 심지어는 전작처럼 아이스 스톰도 쓸 수 있어서 보조 딜러로서도 사용 가능하다. 메인 캠페인의 동료 그로브나 노움핸즈가 바드이다.
- 영화 던전 앤 드래곤: 도적들의 명예
주인공 일행중 에드긴 다비스(Edgin Darvis)가 바드이다. 배우는 크리스 파인. 영상물 특성상 스킬이나 노래로 버프하는 건 묘사되지 않는다. 그러나 작중 말재주가 좋아서 판사들을 설득하거나 소서러 사이먼에게 용기를 북돋아 주는 역할을 한다. 5판에서 음악이나 노래가 아닌 격려나 연설로 바딕이나 마법이 사용가능해서 설정상 맞다. 언더다크에서 레드 드래곤에게 쫓길 땐 작전을 써서 탈출하기도 한다. 그밖에 마법을 쓰지 않는다.
4. 기타
공포-생존 비대칭 PvP 게임인 DEAD BY DAYLIGHT에서 바드 클래스를 기반으로 한 신규 생존자로 추가됐다. 아스트리 야자르 참조.매력/카리스마 수치가 높고 화술이 높으며 예술에 통달했다는 덕인지 바람둥이라는 스테레오타입이 있다. 특히 드래곤을 상대로 싸우기보다는 세치의 혀로 유혹한다(...)는 이미지가 강하다. 크리티컬 롤의 바드 새캘런이 좋은 예.
[1] 이 노래를 통해 아군을 고양시켜 버프를 주는 것도 바드의 대표적인 특징.[2] 이는 아이템을 식별가능한 전승지식 스킬에 보너스를 주는 능력으로 구현이 된다.[3] 사실 이 시절에는 약간 정도가 아니었다. 6레벨 주문까지로 한정되긴 하나 위저드의 모든 주문을 쓸 수 있기 때문.[4] 핵심 규칙책에서 유일하게 비전 주문을 사용할 때 갑옷에 방해받지 않는 클래스이다. 무거운 갑옷을 입으면 페널티 받는 것은 똑같지만...[5] 대개 현혹 계열 주문과 약간의 버프를 포함한 잡다한 주문, 심지어 치유 주문도 약간 보유한다.[6] 언어 사용(Speak Language)를 클래스 기술로 받는 유일한 클래스.[7] AD&D 2nd와는 달리 스톤스킨을 못쓴다는게 아쉬운 점이다.[8] 언데드에게 바드 노래 효과를 적용하는 재주가 선결 조건이고, 그 재주도 이 책에서만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