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의 드라마에 대한 내용은 반교: 디텐션(드라마) 문서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000000><colcolor=#ff0000> 반교: 디텐션 (2019) Detention 返校 | |
장르 | 공포, 스릴러, 미스터리 |
감독 | 쉬한창(徐漢強) |
각본 | 쉬한창(徐漢強) 푸카이링(傅凱羚) 젠스겅(簡士耕) |
원작 | 레드 캔들 게임즈 《반교 -Detention-》 |
제작 | 리례(李烈) 리야오화(李耀華) |
출연 | 왕정(王淨) 쩡징화(曾敬驊) 부맹백(傅孟柏) |
촬영 | 자오이셴(周宜賢) |
음악 | 루뤼밍(盧律銘) |
제작사 | 1 Production Film Co. |
수입사 | 찬란 |
배급사 | 워너 브라더스 타이완 팝엔터테인먼트 |
스트리밍 | | | | |
개봉일 | 2019년 9월 20일 2020년 8월 13일 |
상영 시간 | 103분 |
제작비 | 9,500만 타이완 달러(TWD)[1] |
월드 박스오피스 | $1,423,058 |
북미 박스오피스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3.6만명 |
상영 등급 | 15세 이상 관람가 |
[clearfix]
1. 개요
2019년 9월 20일에 개봉한 대만 영화. 대만의 공포 게임 반교 -Detention-의 실사 영화이다.2020년 8월 13일 한국에 정식 개봉했다.
2. 예고편
대만 티저 예고편 |
대만 메인 예고편 |
국내 티저 예고편 |
국내 메인 예고편 |
3. 시놉시스
비가 내리던 어두운 밤, 모두가 갑자기 자취를 감춰버린 학교에 남겨진 팡루이신과 웨이중팅.
두 사람은 사라진 사람들을 찾아 학교를 벗어나려 하지만 환영과 귀신들이 그들을 괴롭히고 잊고 있었던 끔찍한 비밀들이 조금씩 드러나기 시작하는데...
두 사람은 사라진 사람들을 찾아 학교를 벗어나려 하지만 환영과 귀신들이 그들을 괴롭히고 잊고 있었던 끔찍한 비밀들이 조금씩 드러나기 시작하는데...
4. 등장인물
- 팡루이신(方芮欣, 방예흔)
배우는 왕정(王淨).
추이화고급중학[2] 3학년 여학생으로, 학교에서 잠들었다가 깬 후 후배 웨이중팅과 함께 무섭게 변해버린 학교를 탈출하는 여자 주인공이다.
- 인추이한(殷翠涵, 은취함)
배우는 차이시윈(蔡思韵).
추이화고급중학의 선생님으로, 비밀 독서회 소속이다.
- 장밍후이(張明暉, 장명휘)
배우는 푸멍바이(傅孟柏).
추이화고급중학의 선생님으로, 비밀 독서회를 주도하고 있다. 팡루이신의 심리지도 또한 맡고 있다.
- 바이궈펑(白國峰, 백국봉)
배우는 주훙장(朱宏章).
추이화고급중학의 군훈교관으로, 학생들을 감시한다.
5. 원작과의 차이점
- 원작은 1968년 무렵이 배경이지만, 영화는 1962년(민국 51년)이 배경으로 나오고 있다.
- 원작과 달리 웨이중팅의 비중이 팡루이신과 함께 더블 주인공 급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웨이중팅이 팡루이신을 짝사랑한다는 점이 새로 추가되었다.[3] 덕분에 원작에서는 표현되지 않았던 도서회 일원들의 모습이나 장 선생과 웨이중팅의 유대관계도 볼 수 있다.
- 바이궈펑의 비중 역시 원작에 비해 매우 높아져, 최후반부 악몽 속에서 나타나 팡루이신과 웨이중팅이 학교에서 탈출하는 것을 가로막는 등 최종보스급의 포스를 보여준다.
- 학교 수위 역할로 '가오 아저씨'라는 인물이 등장하는데, 도서회 일원들에게 담배를 받고 은신처의 열쇠를 맡아주는 역할을 했다가 체포되어 이빨이 뽑히고 얼굴 반 쪽이 뭉게지는 등 고문을 받다가 죽었다. 초반에 학교에서 원혼으로 나타나 팡루이신과 웨이중팅을 공격하는데, 전쟁에서 용감히 싸워 국가에 충성한 나를 담배 좀 받았다고 간첩으로 몰아 죽일 수 있냐며 분노하는 것으로 보아 자신이 맡아준 열쇠가 도서회와 관련된 것이라는 사실을 몰랐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주인공들을 놓치고 당황하다가 헌병 귀신에게 발각되어 싹싹 빌다가 결국 목이 꺾인다.
- 인추이한은 원작에선 가까스로 외국으로 망명하여 50살에 폐암으로 죽어서야 고국으로 돌아올 수 있게 되었다고 나오지만, 영화에서는 독서회를 주도한 장밍후이와 인추이한은 모두 사형당했다고 말한다.
- 팡루이신의 아버지가 헌병이 예를 취할 정도인 고위 장교로 나오며[4] 사법살인을 당한 원작과 달리, 영화에선 바이궈펑이 "아버지의 일은 어떻게 잘 해보마." 라고 말하며 어떻게 되었는지는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 또한 바이궈펑과 팡루이신의 아버지가 친분이 있는 식으로 나온다.[5]
- 팡루이신의 어머니는 집에다 불당을 만들어놓고 그 앞에서 염불을 외우거나 향을 피우는 등 원작에 비해 좀 더 종교에 의존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남편이 체포당할 때 미소를 지은 정도였던 원작과 달리 영화에서는 보살님 덕분에 아버지의 장부를 찾았다며 보살님께 아버지의 죽음을 빌었다는 등 자신이 남편을 고발했음을 딸에게 대놓고 말한다.
- 원작의 차사 귀신과 헌병대 귀신은 외관과 역할이 적절히 섞여 차사 귀신이 헌병대 차림을 하고 등불을 들고 다니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간첩 신고 방송을 중얼거리고 다니며, 혀를 늘어트린 원작의 모습과는 달리 이목구비 없이 얼굴에 거울이 박혀 있는데, 거울에 비치는 이는 머리에 포대를 뒤집어 쓴 모습으로 보여진다. 희생자의 목을 붙잡아 꺾는데, 붙잡힌 희생자는 머리에 철사가 얽힌 포대가 씌워지게 된다.[6]
- 원작에서는 망량이나 인형에 깃든 영혼, 팡루이신이 보는 환상으로만 간접적으로 존재감을 어필했던 원혼들이 영화에서는 보다 직접적으로 등장한다. 학생이든 선생이든 생전의 모습 그대로 나타나며, 팡루이신과 웨이중팅을 적대하거나 몇몇은 헌병 귀신에게 붙잡혀 희생당하기도 한다. 팡루이신이 웨이중팅을 학교에서 탈출시키려고 하는 후반부에는 작정하고 팔을 뻗어서 웨이중팅을 붙잡고 늘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망량은 원작에서도 정체가 그냥 학교에 깃든 원혼인지, 팡루이신 자신인지 추측이 갈렸으나 영화에서는 팡루이신 자신이었던 것으로 밝혀진다.
- 원작에선 팡루이신의 죽음을 간접적으로나마 알 수 있는 장치가 있었으나 영화에서는 강당과 학교 복도에서 목을 매는 장면만 나온다.
- 원작에서는 학교가 원혼들이 갇힌 망자의 세상이라는 사실을 문서나 보여지는 정황만으로 유추할 수 있는 정도였으나, 영화에서는 후반부 악몽에서 나타난 바이궈펑의 입을 빌려 확실하게 밝혀진다.[7]
- 악몽의 마지막에서 팡루이신이 "결코 내가 한 잘못을 잊지 않겠다." 라고 하며 헌병 귀신을 물리친 후 웨이중팅을 악몽에서 탈출시키는 것으로 끝난다.
- 원작에 등장하는 노파의 출연은 없다. 또한 노파가 "천당에선 거부받고 지옥에선 방해받아 영원히 헤맬 운명이다." 라고 언급해 원작의 팡루이신은 무간지옥과 다름없는 그 꿈에 영원히 갇혀서 정말 한 줄기의 희망도 보이지 않은데 영화에서는 팡루이신의 영혼이 끝까지 살아남아 석방한 중년의 웨이중팅과 마주하면서 웨이중팅이 장밍후이의 부탁으로 숨겨진 편지를 찾아서 팡루이신에게 건네주는 걸 보여주면서 그녀가 악몽으로부터 탈출시킨 웨이중팅에게 구원받게 되었다는 결말이다.
6. 사운드트랙
6.1. 테마곡
테마곡(엔딩곡): 光明之日 - 雷光夏[8] |
7. 평가
||<-3><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33><tablebordercolor=#333> ||
메타스코어 없음 / 100 | 점수 없음 / 10 | 상세 내용 |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93208><bgcolor=#f93208> ||
신선도 85% | 관객 점수 없음%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4181c><tablebordercolor=#14181c><tablebgcolor=#fff,#191919><:>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c0><bgcolor=#fc0> ||
전문가 별점 없음 / 5.0 | 관람객 별점 없음 / 5.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5><bgcolor=#005> ||
별점 없음 / 1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00><#fff,#ddd> ||
별점 없음 / 5.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333><bgcolor=#333> ||
평점 없음 / 1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699cc><#edf4ec> ||
별점 없음 / 1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
별점 3.3 / 5.0 |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101322><#101322><tablebgcolor=#fff,#191919> ||
지수 83.87% | 별점 / 5.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 ||
{{{#!wiki style="display:189618"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inline-block; display: 189618;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89618|{{{#!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 기자·평론가 6.33 / 10 | 관람객 8.26 / 10 | 네티즌 7.90 / 10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6.33 / 10 | 관람객 8.26 / 10 | 네티즌 7.90 / 10 | }}}}}}]]}}}}}}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393f9><tablebgcolor=#fff,#191919> ||
평점 7.7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84C4D><tablebordercolor=#F84C4D><tablebgcolor=#fff,#191919> ||
지수 87% |
폼이 넓어서 더욱 슬픈 호러의 긴 여운.
— 이동진 (★★★☆)
— 이동진 (★★★☆)
고등학생이 짊어지기엔 너무 버거운 무게, 그래도 기억해
— 이용철 (★★★☆)
— 이용철 (★★★☆)
한국사가 읽히는 담대한 데뷔작
— 박평식 (★★★)
— 박평식 (★★★)
독재 시절의 공포가 숨을 옥죄는 실체로 다가올 때
— 조현나 (★★★)
영화 리뷰어들과 현지 관람객들에게 명작이란 호평을 받았다. 씨네21 평론가 평점도 6.33으로 꽤 후한 점수를 받았다.— 조현나 (★★★)
원작을 망치지 않는 선에서 각색도 아주 잘 되었고, 원작의 느낌을 최대한 현실성 있도록 비슷하게 묘사한 부분들이 많다. 배우와 캐릭터의 싱크로율도 아주 높았다는 평가다.
한마디로 원작 팬들도 만족하는 게임 원작 영상물 중에서 꽤나 성공한 작품이다.
8. 흥행
8.1. 북미
개봉하지 않았다.8.2. 대한민국
2019년 부산국제영화제를 통해 한국 영화 시장에 데뷔하였다. 부국제 때 가장 먼저 매진된 영화라고 한다. 예매 시작 30초만에 전 좌석이 다 나갔다. 이 때문에 10월 10일 한 차례 더 상영을 잡아서 총 3번 상영했다.그리고 2020년 8월 13일 정식개봉하였다. 다만 상황이 상황이다 보니 영화관에 많이 갈 수 없어 예매율이 많이 낮았다. 이 때문에 다른 나라에 비해 흥행이 크게 되지 못했다.
8.3. 중국 / 홍콩
- 중국 본토에서는 상영금지 처분을 받아 상영할 수 없다.
- 홍콩에서는 2019년 12월 5일 개봉해 1161만 홍콩 달러(한화 약 17억 7784만 원)의 수익을 올리며 흥행을 이끌었다.
8.4. 대만
중화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2019년 37주차 | → | 2019년 38–39주차 | → | 2019년 40주차 |
날씨의 아이 | 반교: 디텐션 | 조커 | ||
대만 박스오피스 |
- 대만에서는 2019년 9월 20일 개봉하여 100만 관객 돌파, 약 2.1억 타이완 달러(한화로 약 104억 9,360만 원)의 수익을 올리는 등 큰 화제를 모았다. [9]
- 2019년 금마장에서 신인감독상, 각색상, 미술상, 시각효과상, 주제가상 등 5관왕을 달성했고, 2020년 타이베이 영화제에서는 대상, 최우수 영화상, 여우주연상, 시각효과상, 미술상, 음향상 등 6관왕을 석권했다.
8.5. 일본
- 2021년 7월 30일 개봉했다. 일본판 이름은 "返校 言葉が消えた日(반교 말이 사라진 날)".
9. 기타
- 극중 루쉰의 '고민의 상징'에서 나온 내용이라고 소개된 아래의 문구는 사실 구리야가와 하쿠손(厨川白村) 원작이고 1924년경 루쉰이 번역한 것을 소개한 것이다.
인간은 짐승같기도 하고, 악마같기도 하고, 동시에 신을 닮은 것 같기도 하다. 인간에겐 이기주의적인 욕구가 있고, 그와 동시에 애타주의적 욕구도 있다. - 극중의 주무대가 되는 추이화고급중학교는 실제 있는 학교는 아니고, 가오슝시 근처 핑둥현 차오저우진(潮州鎮)에 있던 폐교인 지청공상(志成工商)에서 촬영되었다.
- 해당 작품의 웨이중팅의 학생 시절 역할을 맡은 쩡징화는 1년 후에 네 마음에 새겨진 이름이라는 영화에 주연으로 출연하게 되는데 두 작품 모두 대만 계엄령 시기를 다루고 있다.
[1] 한화 약 38억 3,600만 원이다.[2] 고등학교에 해당이 된다.[3] 원작에서는 실제로 일을 저지른것은 팡루이신이었기에 팡루이신만 죗값을 치르게 되었으나, 영화에서는 웨이중팅이 팡루이신에게 도서 목록을 넘긴것도 죄로 간주되어 팡루이신과 같이 끌려온다.[4] 계급장을 보면 계급이 한국군의 대령에 해당하는 상교이고, 바이궈펑의 언급에 따르면 별을 달 예정이라고 한다.[5] 팡루이신이 교직원 명부 사진에 낙서를 하는 장난을 친 것에 대해 언급하며 바이궈펑이 "너희 아버지 진급이 얼마 안 남았다." 라고 염려를 하는 장면이 있다. 또한 팡루이신의 아버지가 헌병들에게 체포당할 때 딸에게 바이궈펑에게 연락하라고 언질한다.[6] 이목구비가 없지만 얼굴형이 바이궈펑과 매우 비슷하다. 바이궈펑이 팡루이신의 죄를 지난 일이라며 잊으라고 독촉하고, 팡루이신이 절대 잊지 않겠다고 선언하자 헌병 귀신이 무력화되는 것을 보면 둘은 같은 존재인 것으로 보인다.[7] 이를 듣는 사람은 웨이중팅이며, "너도 곧 이곳에 갇히게 될 거다." 라는 대사를 통해 그가 아직은 살아있다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게 해준다.[8] 노래의 마지막에 장 선생님의 목소리로 “請平凡而自由的生活吧(평범하고 자유롭게 살아가렴)”라는 문구가 나온다. 영화의 내용을 이미 알고있다면 더 의미 있게 다가오는 부분이다.[9] 실제로 영화속 명대사로 여러 광고가 제작되기도 하고, 여주인공인 왕정은 "국민 선배", 남주인공인 증경화는 "국민 후배"라는 별명을 얻기도 하는 등 대만의 국민 영화로 자리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