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3 21:06:17

밥 크렘펫


파일:Annie_Award.png
윈저 맥케이상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세기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72년1973년1974년
맥스 플라이셔 데이브 플라이셔 월터 란츠 텍스 에이버리 프리즈 프레렝
1974년1975년
척 존스 아트 배빗 윈저 맥케이 그림 네트윅 월트 디즈니
1975년1976년
존 허블리 페이스 허블리 노먼 맥라렌 로버트 캐넌 휴 하먼
1976년1977년
루돌프 이징 마이클 말테스 조지 팔 워드 킴볼 윌리엄 해나
1977년
조셉 바베라 멜 블랭크 오스카 피싱거 빌 스콧 밀트 칼
1978년
제이 워드 어브 아이웍스 딕 휴머 칼 스탈링 한스 콘리드
1979년1980년
클라이드 제로니미 빌 멜렌데즈 매 퀘스텔 오토 메스머 올리 존스턴
1980년1981년
프랭크 토머스 칼 하워드 폴 줄리안 라번 하딩 T. 히
1981년1982년
빌 피트 빌 타이틀라 존 휘트니 켄 헤리스 켄 엔더슨
1982년1983년
브루노 보제토 준 포레이 도날드 W. 그레이엄 마크 데이비스 에릭 라슨
1983년
프레드 무어 클라렌스 내쉬 볼프강 레이더먼 레오 살킨 스티븐 보수스토
1983년1984년
윌프레드 잭슨 다우스 버틀러 데이비드 핸드 잭 키니 마이클 라
1984년1985년
로버트 매킴슨 리처드 윌리엄스 해밀턴 러스크 로버트 아벨 프레스턴 블레어
1985년
조 그랜트 존 핼러스 스털링 홀러웨이 짐 맥도날드 필 먼로
1985년1986년
벤 워셤 프레더릭 백 샤머스 컬해니 윌리엄 T. 허츠 이르벤 스펜스
1986년1987년
에머리 호킨스 존 란즈베리 폴 드리센 잭 해나 빌 리틀존
1987년1988년
모리스 노블 켄 오코너 노먼 퍼거슨 멜 쇼 랠프 박시
1988년1989-1990년
밥 크렘펫 티사 데이비드 가와모토 기하치로 버질 로스 아트 클로키
1989-1990년
힉스 로키 알렉스 로비 돈 메식 데즈카 오사무 레스터 노브로스
1991년
레이 해리하우젠 허버트 클린 밥 커츠 유리 노르슈테인 조 시라쿠사
1991년1992년1993년
루스 키산 레스 클라크 스탠 프레버그 데이비드 힐버만 조지 더닝
1993년1994년
로이 E. 디즈니 잭 잰더 에드 베네딕트 아서 데이비스 장 밴더 필
1995년1996년
줄스 엥겔 반스 게리 댄 맥로린 메리 블레어 버니 매티슨
1996년1997년1998년
타카모토 이와오 윌리스 H. 오브라이언 마이런 왈드먼 폴 윈첼 에위빈드 얼
1998년1999년
미야자키 하야오 어니스트 핀토프 레이 패터슨 마르셀 얀코비츠 콘 페더슨
2000년
노먼 맥케이브 호이트 커틴 루실 블리스
}}}}}}}}} ||
21세기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01년2002년
빌 저스티스 피트 알바라도 밥 기븐스 진 하젤튼 플로이드 노먼
2002년2003년2004년
셔먼 형제 진 디치 존 헨치 썰 라벤스크로프트 돈 블루스
2004년2005년
버지니아 데이비스 아놀드 스탱 코니 콜 프레드 크리펜 타이러스 웡
2006년2007년
안드레아스 데자 겐디 타르타콥스키 빌 플림턴 존 케인메이커 글렌 킨
2007년2008년 2009년
존 크릭팔루시 마이크 저지 존 라세터 닉 파크 팀 버튼
2009년2010년
제프리 카첸버그 브루스 팀 브래드 버드 에릭 골드버그 맷 그레이닝
2011년2012년
월터 페리고이 뵈르게 링 로널드 설 테리 길리엄 오스카 그릴로
2012년2013년 2014년
마크 헨 오토모 카츠히로 스티븐 스필버그 필 티페트 디디에 브루너
2014년2015년
돈 러스크 리 멘델슨 조 랜프트 필 로먼 타카하타 이사오
2016년2017년
데일 베어 캐롤라인 리프 오시이 마모루 제임스 백스터 스티븐 힐렌버그
2017년2018년 2019년
웬디 틸비
아만다 포비스
랄프 이글스톤 안드레아 로마노 프랭크 브랙스톤 곤 사토시
2019년2020년
헨리 셀릭 론 클레먼츠 존 머스커 윌리 이토 수 C. 니콜스
2020년2021년 2022년
브루스 W. 스미스 루벤 A. 아퀴노 릴리언 슈워츠 스즈키 토시오 피트 닥터
2022년2023년
에블린 램바트 크레이그 맥크라켄 로테 라이니거 히사이시 조 마시 페이지
}}}}}}}}} ||
}}}}}}}}} ||


1. 개요2. 생애3. 여담4. 작품 목록5. 관련 인물6. 관련 문서

1. 개요

Bob Clampett

본명은 Robert Emerson Clampett Sr이며, 미국 캘리포니아샌디에이고 출신 애니메이터, 퍼피티어, 애니메이션 감독. 1913.05.08. ~ 1984.05.02.

2. 생애

크렘펫의 부친은 아일랜드에서 태어나 어릴 때 가족들과 함께 미국으로 이주했다고 하며, 크렘펫이 12살이 되었을 때(1925년) 집의 차고 안에서 단편 영화를 만들면서부터 예술 분야에 재능을 가꿔가기 시작하였다. 그가 할리우드에서 생활하는 동안 어머니와 함께 찰리 채플린의 옆집에서 머물며 살았으며, 아버지가 해롤드 로이드와 친한 사이였다고 한다.

10대 시절부터 애니메이션과 인형극에 흥미를 얻어갔던 크렘펫은, 고등학교를 다닐 때 그린 만화가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일요판에 게재되어 킹 피처스(King Features)[1]에서 신문사에서 만화가로써의 계약을 제안받기도 했으며 킹 피처스 내부의 미술 부서에서 토요일과 방학 기간에 일하며 오일로 그림을 그리는 방법과 조각을 만드는 방법을 공부하게 된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엔 본인의 이모가 일하던 인형 공장에서 일자리를 얻었으며, 시중에 판매할 아이템을 찾던 중에 크렘펫은 당시 인기가 올라갔던 미키 마우스를 기반으로 한 아이템을 파는 것이 어떻냐는 제안을 하였고 스케치를 영화관에 가져가서 직접 미키의 스케치를 그려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로 이동하였다. 저작권 문제로 인해 마찰을 빚지는 않을지 우려했었지만 월트 디즈니와 로이 O. 디즈니는 그의 스케치를 보고 기뻐했으며 스튜디오와 멀지 않은 곳에서 사업을 시작하여 짧은 시간 동안 둘과 함께 일했다.

이 시기(1931년) 음성이 나오는 단편 애니메이션에 매료되었다고 훗날 회고했을 정도로 그에 몰입한 크렘펫은 1주일에 10달러를 급료로 받는 조건 하에 하먼-아이싱 스튜디오에 입사했으며, 리언 슐레진저는 크렘펫이 만든 16mm 필름 중 하나를 보고 깊은 인상을 받아 그한테 조수직을 제안했다고 한다. 워너 브라더스에서 일한 첫 번째 작업은 Lady, Play Your Mandolin의 보조 애니메이션 원화였으며, 프리즈 프레렝의 지도 하에 애니메이터의 역량을 길러나갔다.

비슷한 시기 리언은 본인이 제작자를 맡는 단편 애니메이션에 넣을 새 캐릭터를 찾는 방안에 대한 위기감을 느껴, 아이디어를 얻으러 스튜디오 차원으로써 방안을 진행했는데 이 때 크렘펫이 캠벨의 포크 앤 빈즈 캔 통조림의 상표 표지를 모방해 포키와 빈즈라는 돼지고양이 캐릭터가 있는 그림을 리언에게 제출해 냈다. 이 그림에서 포키는 이듬해(1935년) 프리즈가 감독한 I Haven't Got a Hat에서 데뷔하였으며, 크렘펫의 스토리 작가로써의 재능을 고평가한 리언은 다른 유닛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고 연출가 중 1명인 텍스 에이버리와 논의한 뒤에 그를 에이버리의 협력자로 지명해 같이 일하게 해주었다.

둘은 워너 브라더스의 관리 직원들이 썼던 허름한 목조 건물로 청소 용품을 포함한 도구들을 보관하기 위해 옮겼지만, 건물에서 스튜디오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깨닫곤 척 존스, 버질 로스(Virgil Ross), 시드 서덜랜드(Sid Sutherland) 등의 애니메이터와 함께 그 곳에서 애니메이션 작업 활동을 했는데 (이 건물의) 별명을 터마이트 테라스[2]라고 붙였다. 크렘펫은 리언 슐레진저 프로덕션을 떠날 것을 계획 중이었지만 리언이 그한테 여기서 남는다면 더 많은 급료를 주겠다고 제안해 남기로 했으며, 1936년 후반에 디렉터로 승진하였다.

그 해에 재정적 문제로 난국을 겪고 있던 어브 아이웍스가 워너 브라더스에서 하청 제작했던 여러 단편들을 척 존스와 같이 연출하였고, 같은 해(1937년) 개봉된 Porky's Badtime Story 편부터 처음으로 크레딧에 본인의 이름이 기재된다. 1941년 가을에 에이버리가 MGM으로 이직하자 그가 활용했던 애니메이션 부서를 인수하였으며, 크렘펫은 에이버리가 제작하지 못한 단편들의 미완성 분량을 완성하기도 했다.

1945년 5월 크렘펫은 워너 브라더스 카툰즈를 떠났으며, 이듬해에 스크린 젬스로 이직해 컬럼비아 픽처스의 카툰 부문에서 시나리오 작가로 활동하게 된다. 1947년 (리퍼블릭 픽처스가 상영한) It's a Grand Old Nag을 감독한 후 리퍼블릭 픽처스가 흥행 실패로 제작 예산이 삭감되어 카툰 제작을 중단한 뒤엔, TV 프로그램 Time For Beany를 제작하여 1949년 파라마운트 텔레비전 네트워크에서 6년간 방영되면서 (짐 헨슨 이전의) 인기를 얻은 미국의 초창기 TV 인형극 프로( 중 하나)로도 자리매김하여 방송계로 활동지를 옮겼다.

말년엔 미국 애니메이션의 역사를 강의하는 초빙 강사로 대학가의 캠퍼스와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을 곳곳에서 참석하여 활동했으며, 1975년 유나이티드 아티스츠가 배급한 '벅스 버니 슈퍼스타(Bugs Bunny The Superstar)' 다큐멘터리 영화에 출연해 인터뷰를 남기기도 했다. 9년 뒤 비니와 세실 카툰의 홈비디오 출시 기념 홍보를 위해 미국 전역을 순회하던 중 심장마비로 쓰러져,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3. 여담

4. 작품 목록

5. 관련 인물

6. 관련 문서


[1] 만화 뽀빠이의 단행본을 발간한 출판사.[2] 환경상 흰개미가 나올 정도로 열악한 상태의 벙갈로였다는 뜻.[3] 사실 단편이 제작된 계기는 크렘펫과 접촉했던 한 흑인 뮤지션이 왜 흑인을 다룬 만화가 없는지에 대한 물음으로써 시작되었으며, 1942년 즈음 크렘펫이 다닌 한 흑인 뮤지션들이 활동한 클럽의 밴드도 단편 제작에 참여하였고 그들 또한 이 만화를 보고 만족해했었다고 한다. 다만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흑인 패러디 버젼인 이 작품에 흑인들이 식인종처럼 묘사되는 스테레오 타입으로 인하여, 꼭 정치적 올바름 탓으로 악평당했다고 할 작품도 아니었고 개봉 당시에도 굉장히 불쾌하다고 그 묘사를 비난하던 사람들도 있었다. 덕분에 이 작품은 (공식 매체론) 비디오도, 그 어떤 매체로도 발매되지 않았다.[4] 그런데 딸 루스 크렘펫의 증언에 의하면 70년대 후반, 미국 흑인 영화 제작자들을 기리는 한 행사에서 이 단편이 상영된 적이 있었는데 플로이드 노먼을 포함한 흑인 청중들이 (단편을 감상한 후) 엄청난 박수로 화답하였으며, 농담이 너무 뻔뻔스럽고 지나치게 공격적이어서 차마 화를 내지 못했던 흑인 관객들도 있었다고 한다.[5] 1970년대 중반에 빚어진 크렘펫과 존스 간의 관계 악화로 인해 말년에 크렘펫에 대해 애매하게 생각했던 시기도 있었지만, 존스처럼 거의 절연에 가까운 사이로 악화되진 않았다. 연출적인 면에선 에이버리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고 그가 MGM으로 떠난 이후 (에이버리의 개그 연출을) 적극적으로 계승하면서 극대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6] 위 문단의 논쟁이 일어났을 때 크렘펫을 적극적으로 지지해줬던 친구이자 애니메이션 역사가.[7] 활동 초창기에 서로 만난 사이였었고, 크렘펫이 제작한 일부 단편과 인형극 TV 프로그램에서 월트가 제작한 작품들을 적극적으로 패러디하기도 했다.[8] 크렘펫이 주연한 TV 인형극에서 배우로 잠시 활동한 경력이 있지만, 1956년 밥한테 본인이 제작할 TV 인형극에 대한 소송을 당한 적이 있었다. 관련 자료 참조[9] 루니 툰의 2대 제작자, 전임 제작자 리언이 물러난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워너브라더스를 떠났기 때문에 오랜 커넥션은 유지하지 못했다.[10] 루니 툰의 초대 감독, 크렘펫을 자신의 스튜디오에 고용시킨 애니메이터 콤비이기도 했다.[11] 1940년대 초에 크렘펫의 휘하 애니메이터로 일했으며, DVD 인터뷰 영상과 크렘펫이 연출한 일부 작품의 코멘터리 인터뷰로 출연한 경력이 있다.[12] 루니 툰 & 메리 멜로디즈 단편의 1930년대 후기 ~ 50년대 중기 음악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