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4 01:31:48

생태계의 정점


1. 개요2. 상세3. 목록4. 관련 문서

1. 개요

몬스터 헌터 시리즈의 용어. 일부 작품에서 맵(지역) 생태계의 정점에 위치한 존재를 일컫는 표현이다.

2. 상세

토쿠다 유야의 담당 작품인 몬스터 헌터: 월드몬스터 헌터 와일즈에서 등장한 개념. 각 지역의 생태계의 정점에 위치한 강력한 몬스터를 가리킨다.

국내에서는 보통 '주인 몬스터', 그리고 이를 줄인 '주인몹'이라는 명칭으로 통용된다. 때문에 몬스터 헌터 라이즈주인 몬스터와 혼동되기도 한다. 보통 이들을 언급할 때는 '이 지역의 주인인가', '주인이 되는 몬스터' 같은 식으로 언급하지 '주인 몬스터'라는 표현으로 부르지는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월드에서는 스토리에서 가볍게 다루어진 개념으로 '생태계의 정점에 선 불의 용(리오레우스)과 뿔의 용(디아블로스)' 같은 표현이 사용된 정도였으나, 와일즈에서는 '생태계의 정점'이 공식 명칭으로 자리잡으며 제작진이 본격적으로 밀어주고 있다. 이들을 50마리 사냥하는 훈장의 명칭은 '생태계의 정점'이고, 훈장 설명문에서도 이들을 '생태계에 정점에 선 대형 몬스터'라고 언급하고 있으며, 필드에 출현할 때 나오는 메시지도 '이 지역 생태계의 정점이 출현했습니다'이다. 따라서 일본인 플레이어 사이에서는 '정점 몬스터(頂点モンスター)'라는 명칭이 주로 사용된다.

3. 목록

3.1. 몬스터 헌터: 월드

몬스터 헌터: 월드 · 아이스본의 생태계의 정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width: 300px"
{{{#000,#fff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white>
[[고대수의 숲|
파일:고대수의 숲 아이콘.png
고대수의 숲
]]
[[개밋둑의 황야|
파일:개밋둑의 황야 아이콘.png
개밋둑의 황야
]]
[[육산호의 대지|
파일:육산호의 대지 아이콘.png
육산호의 대지
]]
[[독기의 골짜기|
파일:독기의 골짜기 아이콘.png
독기의 골짜기
]]
[[바다 건너 극한지|
파일:바다 건너 극한지 아이콘.png
바다 건너 극한지
]]
파일:리오레우스 월드 아이콘.png
파일:디아블로스 월드 아이콘.png
파일:레이기에나 월드 아이콘.png
파일:오도가론 월드 아이콘.png
참조룡
오도가론
파일:벨리오로스 월드 아이콘.png
}}}}}}}}}

하위 스토리 중 각 생태계의 정점으로 언급되며 실제로 그에 맞먹는 몬스터들과 무승부를 점하지만, 금세 이들을 압도하는 고룡종, 고룡급 생물이 등장하며 초점이 그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거의 주목받지 못한다.

용결정의 땅에는 해당하는 몬스터가 없다.

3.2. 몬스터 헌터 와일즈

몬스터 헌터 와일즈의 생태계의 정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width: 300px"
{{{#000,#fff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white>
[[경계의 모래 평원|
파일:경계의 모래 평원 아이콘.png
경계의 모래 평원
]]
[[주홍빛 숲|
파일:주홍빛 숲 아이콘.png
주홍빛 숲
]]
[[기름 솟는 계곡|
파일:기름 솟는 계곡 아이콘.png
기름 솟는 계곡
]]
[[빙무의 절벽|
파일:빙무의 절벽 아이콘.png
빙무의 절벽
]]
파일:레 다우 와일즈 아이콘.png
황뢰룡
레 다우
파일:우드 투나 와일즈 아이콘.png
파의룡
우드 투나
파일:누 이그드라 와일즈 아이콘.png
파일:진 다하드 와일즈 아이콘.png
동봉룡
진 다하드
}}}}}}}}}

스토리에서 차례차례 인상 깊은 등장을 하며, 고룡종이 완전히 배제된 덕분에 파워 인플레에 크게 밀리지 않고 위상을 유지하고 있다. 금지된 땅의 독특한 기후에 적응한 존재로 각 필드 자체와 컨셉을 같이 한다. 기본적으로 이상기후일 때 출현한다.[1]

간판 몬스터가 아님에도 각자 전용 전투 BGM이 있으며, 이들을 합계 50마리 토벌하는 훈장 '생태계의 정점'이 추가되고, 월드/아이스본에서 고룡종의 전유물이었던 역전왕의 첫 번째 타자를 레 다우가 받아가며 제작진 차원에서 본격적으로 밀어주고 있다. 심지어 역대 간판 몬스터나 주인 몬스터만큼의 전투력을 가진 몬스터들에게 우위의 전투력을 보여주는 등 알슈베르도만큼은 아니어도 나름 강력함을 어필 중. 아직 고룡종이 일절 등장하지 않아 그 위상이 더욱 높아 보이는 점도 호재다.

정점 몬스터들의 약점 속성은 가위바위보식 상성을 가지고 있다.[2] 물론 정점 몬스터들이 서로 싸웠을 때 저 상성대로 승부가 날 지는 알 수 없다. 애초에 서로의 생태계를 벗어나지 않는 생태계의 정점들이기 때문에 만날 일도 없다.

각각 다른 속성으로 구성된 네 마리의 준 간판 몬스터 급의 존재라는 점에서 몬스터 헌터 크로스의 사천왕을 계승하는 일면이 있다.[3]

용도의 폐허에는 해당하는 몬스터가 없다. 수호룡 사냥에 특화된 시이우가 최상위 포식자 자리를 차지하고 있기는 하지만, 수호룡 알슈베르도가 더 존재하는지[4]의 여부와 시이우가 '수호룡 사냥'에만 유독 특출난 종일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점이 애매하며 무엇보다 인게임 내의 공식적인 언급이 없다. 그 대신 프리 타이틀 업데이트 제1탄으로 기상 이변 때 조 시아 확률적으로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조 시아가 정점 몬스터의 역할을 대체하는 것으로 보인다. 설정상으로도 주기적으로 부활하는데다, 다른 주인 몬스터들과 똑같이 이상기후(용의 각성) 때만 확률적으로 등장하기에, 어떻게 보면 용도의 폐허의 정점이라 불릴 수 있기도 하기 때문. 다만 다른 정점 몬스터들과 달리 공식적으로 용도의 폐허의 정점 몬스터가 조 시아라고 언급된적은 없다.[5]

4. 관련 문서


[1] 고룡종과의 가장 큰 차이를 보여주는 부분. 고룡종은 나타나는 것으로 주변 일대에 이상기후를 불러온다면, 이들은 이상기후에 적응했기에 자신들에게 유리한 이상 기후 시기에만 나타난다. 인과관계가 반대인 셈. 고룡급 생물로 추정되는 진 다하드는 다른 셋과 달리 활성화된 여파만으로 이상기후를 심화시키고 연용맥을 얼어붙게 만드는 등 고룡종에 견줄 만한 영향력을 보여주었지만, 이는 빙무의 절벽의 눈보라가 원인 모를 이유로 인해 그칠 줄을 모르던 상황이 겹쳐서 일어난 결과이며, 진 다하드 그 자체가 빙무의 절벽에 치는 눈보라의 원인은 아니다.[2] 레 다우 → 우드 투나 → 누 이그드라 → 진 다하드 → 레 다우 식으로 약점을 찔린다.[3] → 뇌의 속성 상성 구조 역시 크로스에서 먼저 보인 적이 있다.[4] 조시아의 상위 퀘스트가 해금되는 시점에도 수호룡 알슈베르도는 추가되지 않아 의견이 분분하다.[5] 팬들이 월드 용결정의 땅의 정점격 몬스터를 토착종인 바젤기우스로 점치나, 공식적으로는 정점으로 언급하지 않은 상황과 꽤 유사하다. 실제로 용결정의 땅과 용도의 폐허 둘 다 등장하는 몬스터의 평균 체급이 타 지역보다 꽤 강력한 편이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