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8 17:09:04

세운재정비촉진지구

파일:gfwregerwgerqrgeagreargeargegererggergergergerrge.png
<colbgcolor=#db3f2c><colcolor=#fff> ▲ 조감도
1. 개요2. 구역
2.1. 2구역2.2. 3구역2.3. 4구역2.4. 5구역2.5. 6-1구역2.6. 6-2구역2.7. 6-3구역2.8. 6-4구역
3. 둘러보기

1. 개요

종로부터 퇴계로에 이르는 재정비촉진구역. 통상 '세운지구'라고 불린다. 2, 4구역은 종로구, 3, 5, 6구역은 중구에 속해있다.

2006년 노후화된 세운상가와 주변 지역이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해 개발을 추진했지만, 2000년대 후반 글로벌 금융위기와 부동산 시장 침체 등으로 시 정책이 재생과 보존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변화의 기회와 동력을 잃었다가 2021년 오세훈 시장이 다시 취임하면서 사업에 속도가 붙었다.

기본적인 골자는 세운상가, 청계상가, 대림상가, 상품상가, 호텔PJ, 신성상가, 진양상가가 위치한 지역[1]을 긴 선형의 공개공지로 만들어 통경축을 확보하고 인근 노후화된 지역을 고밀개발한다는 것이다.

2009년에는 이 세운상가군에서 가장 북쪽에 있었던 현대상가를 철거하여 '다시세운광장'으로 만들었으나, 이를 제외한 세운상가군 철거는 2020년대 들어서도 아직까지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2025년 3월 10일, 서울시가 세운지구 육성을 위해 직접 정비계획을 수립하고 지원한다고 밝혔다.

2. 구역

파일:dgfvnhukfdvgyhundfyhugkvvdfghnjhnkujdrtvgiumljdterbhmilundbhrtnuhdrtbnuyhhdrtbnuyhketghrbnuyhkertgbhvnuhkhrtdbnuhyrthdbnhuidrtbnuhit.png
<colbgcolor=#db3f2c><colcolor=#fff> ▲ 구역

재정비촉진구역이 늘 그렇듯 구역이 해제된 구역도 있고, 먼저 오피스로 개발된 곳도 있다.

2.1. 2구역

2.2. 3구역

<colbgcolor=#db3f2c><colcolor=#fff> 세운 3구역 (10개 구역)
구역 현황 구분 비고
3-1 힐스테이트세운센트럴 주상복합 2023년 2월 준공
3-2 프라임 오피스 (예정)
3-3
3-4 힐스테이트세운센트럴 2단지 주상복합 2023년 2월 준공
3-5
3-6 세운 푸르지오 G-팰리스 생활형 숙박시설 2024년 9월 준공
3-7
3-8 프라임 오피스 (예정)
3-9
3-10

10개의 구역으로 나뉘어져 개발된다. 한호건설[2][3]이 3구역 전체의 개발시행을 진행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파일:ylyluyluyulyluylulyulyurtutrhurthht.png
<colbgcolor=#db3f2c><colcolor=#fff> ▲ 3-2 · 3-3 · 3-8 · 3-9 · 3-10 · 6-3-3구역 통합개발 조감도
3-2와 3-3구역을 묶어서 오피스 2동, 3-8, 3-9, 3-10구역을 묶어 오피스 2동, 6-3-3구역 오피스 1동을 묶어서 총 5동의 세운통합개발구역을 만들 예정이다.

2.3. 4구역

세운재정비촉진지구 중에서 가장 먼저 정비구역으로 지정되었지만 종묘 맞은 편이라는 위치 특성상 고도제한, 문화재 발굴 등에 막혀 속도가 나지않고 있다.

2016년 서울시에서 국제 지명설계공모를 냈고, 네덜란드의 KCAP A&P가 설계한'서울세운그라운즈(Seoul Sewoon Grounds)'가 당선되었다.

서울주택도시공사가 시행을 맡았고, 코오롱글로벌이 시공사로 계약을 맺었다.

2.4. 5구역

<colbgcolor=#db3f2c><colcolor=#fff> 세운 5구역
구역 현황 구분 비고
5-1 프라임 오피스 (예정)
5-3
<nopad> 파일:gwwgrqargawergweargawergeawrgergwergegrewgqrwgqwrrgwgregertgqewrtgerqwgerqwgrqwegqrwqgrqgrgrq.png
<colbgcolor=#db3f2c><colcolor=#fff> ▲ 5-1 · 5-3구역에 들어서는 프라임 오피스 조감도
5-1 · 5-3구역에 프라임오피스가 들어선다. 용적률 1500%, 건폐율 40~50%, 최고 37층으로 지어질 예정이다. 해당 사업은 세운5구역 PFV이 사업시행을 하며 이지스자산운용, 교보자산신탁 등이 주주로 있다. 2023년 워크아웃돌입태영건설이 16.20%의 지분과 시공권을 가지고 있어 사업이 중단될뻔 했으나, 2월 서울시 건축심의를 통과하고, 2024년 6월 대신자산운용이 부동산펀드를 통해 해당 오피스를 선매입하였으며, 동년 7월 GS건설이 태영건설의 지분과 시공권을 인수하는 계약을 맺으면서 다시 사업에 청신호가 켜졌다.

용적률 1500% 이하, 건폐율 40~50%, 최고 37층, 높이 170m 이하로 지어질 예정이며, 전체 대지면적의 약 42%인 2685㎡ 규모로 개방형 녹지를 조성한다. 국내 오피스 중에 용적률이 높은 편인데 이는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정책'의 영향때문이다. 저층부에 녹지를 만들면 용적률을 높여주는 방식으로, 도심 고밀개발시 건폐율을 낮춰 개방감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5. 6-1구역

2.6. 6-2구역

<colbgcolor=#db3f2c><colcolor=#fff> 세운 6-2구역
구역 현황 구분 비고
6-2-8 남산센트럴뷰스위트 생활형 숙박시설 2020년 11월 준공
6-2-24 더 솔라고 세운 생활형 숙박시설 2023년 7월 준공
6-2-46 스테이락 호텔 2018년 5월 공사완료

2.7. 6-3구역

<colbgcolor=#db3f2c><colcolor=#fff> 세운 6-3구역
구역 현황 구분 비고
6-3-1
6-3-2
을지트윈타워 프라임 오피스 2019년 4월 준공
6-3-3 프라임 오피스 (예정)
6-3-4 세운 푸르지오 헤리시티 아파트 및 도시형 생활주택 2023년 1월 준공
<nopad> 파일:hehetehtsetyjetdjyetdjdtkydjtydjytryjdthjtddhjydjyhrdhryjdryhjn.png
<colbgcolor=#db3f2c><colcolor=#fff> 6-3-1 · 6-3-2구역을 개발하여 만들어진 을지트윈타워[4]
세운지구 내에서 첫 번째로 대규모 도심재개발사업이 성공한 사례가 을지트윈타워이다. 원래 초기 이름은 대우건설이 시공해서인지 을지써밋타워였으나, 이후 이름이 변경되었다. DA건축이 설계를 맡았다.

6-3-1구역과 6-3-2구역은 을지트윈타워로 개발되었다. 세운지구 내에서 대규모 도심재개발사업이 성공한 첫번째 사례이다. 대우건설과 로스타가 공동 출자한 '더유니스타'가 사업을 앞두고 KT AMC과 BC카드로 구성된 컨소시엄에 이를 매각했고, 최종적으로 KT AMC는 을지트윈타워 서관을, BC카드는 동관을 각각 매입하였다.

원래 초기 이름은 대우건설이 시공해서인지 을지써밋타워였으나, 이후 이름이 변경되었다. DA건축이 설계를 맡았다.

6-3-3구역에는 원래 도시형생활주택 단지 '세운 푸르지오 더 보타닉'을 지으려고 했으나, 사업성 문제로 2024년에 오피스 건설로 방향을 선회했다. 이때문에 부지가 일반상업지역에서 중심상업지역으로 용도지역이 상향되었다.

2.8. 6-4구역

<colbgcolor=#db3f2c><colcolor=#fff> 세운 6-4구역
구역 현황 구분 비고
6-4-21 충무로 하늘N 생활형 숙박시설 2021년 10월 준공
6-4-22 프라임 오피스 (예정)
6-4-23
파일:fwefewfwe.png
<colbgcolor=#db3f2c><colcolor=#fff> ▲ 6-4-22 · 6-4-23 구역에 들어설 프라임 오피스 조감도
6-4-22 · 6-4-23구역이 통합하여 35층 규모의 오피스가 들어설 예정이며 건폐율은 50% 이하로, 대지 면적의 약 44%에 달하는 2,054㎡의 개방형 녹지가 조성될 전망이다.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e61e2b> 파일:오세훈-투명.svg오세훈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e61e2b> 생애 생애 · 서울시정 (33·34대 · 38·39대)
가족 아버지 오범환 · 어머니 사문화 · 배우자 송현옥
활동 공직선거법 · 정치자금법 · 정당법 · 일조권 · 환경운동연합 · 꼬마버스 타요
정책 슬로건 SEOUL, MY SOUL
디자인서울 서울서체 · 서울창포원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북서울꿈의숲 · DDP · 서울링
한강 르네상스 서울항 · 한강 수상택시 · 한강버스 · 한강 곤돌라 · 반포한강공원 · 잠수교 · 세빛섬 · 노들섬
U-Smartway 신월여의지하도로 · 서부간선지하도로
복지 가족배려주차장 (여성주차장[폐지]) · 다산콜센터 · 안심소득 · 반려견 순찰대 · 부상제대군인 (서울시 청년부상제대군인 상담센터)
재개발 용산 서울 코어 · 성수전략정비구역 · 세운재정비촉진지구 · 모아타운 · 철도 지하화
교통 서울동행버스 · 기후동행카드
교육 서울런
비판 및 논란 비판 및 논란 (38·39대 서울시장 시절 · 내곡동 토지 셀프보상 · 전직 대통령 사면 건의)
사건사고 무상급식 주민투표 · 대진연의 선거 운동 방해 · 경계경보 오발령 · 오세훈 서울시장 관용차량 절도 사건
기타 별명 (오세이돈) · 여담 · 사상 및 견해 · 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 오세훈계 · 오세훈 마이너 갤러리
}}}}}}}}}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ae193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777; margin: -6px -1px -11px"
가재울 거여마천 구의자양 길음
노량진 돈의문 미아 미아중심
방화 북아현 상계 상봉
세운 수색증산 시흥 신길
신림 신정 아현 영등포
왕십리 은평 이문휘경 장위
전농답십리 중화 창신숭인 천호
천호성내 청량리 한남 합정
홍제 화곡 흑석
완료된 지구 }}}}}}}}}


[1] '세운상가군'이라고 부른다.[2] 세운재정비촉진지구 사업에서 자주 등장하는 회사로 로스타, 더센터시티, 더유니스타, 디블록 등과 사실상 같은 회사라고 보면된다.[3] 세운 푸르지오 G-팰리스, 힐스테이트 세운 센트럴, 세운 푸르지오 헤리시티, 을지트윈타워의 시행사이다.[4] 오른쪽에 보이는 길도 원래는 상가들이 있던 곳이였으나 을지트윈타워를 개발하면서 철거하였고, 이를 도로로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