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세종대학교/학부|세종대학교/학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학 정보 | ||||
상징 | 역사 | 학부 | 대학원 | 캠퍼스 | |
학생 정보 | |||||
입학 | 학사제도 | 동아리 | 학내언론 | 학식 | |
기타 정보 | |||||
출신인물 | 학교법인 | 사건사고 | 평생교육 | 웹사이트 |
| ||
1. 개요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5><tablealign=center><tablebgcolor=#b93234,#b93234><tablebordercolor=#b93234,#b93234> | 세종대학교 | }}} | |
학위명: 이학사 FM: 통일기수 자연과학대 | ||||
학과 | 전공 | |||
수학통계학과 | - | |||
물리천문학과 | - | |||
화학과 교직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연혁 | |||
연도 | 단과대학 | |||
1964 | 이학부 # | |||
1967 | 리학부문 # | |||
1970 | 이학부 # | |||
1978 | 이학부 # | |||
1981 | 이공계열 # | |||
1982 | 자연계 # | |||
1987 | 자연과학대학 # | |||
1996 | 이공대학 # | |||
1997 | 자연과학대학 # | |||
- ⠀[ 소개영상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width=1000> 소개영상 ||
- ⠀[ 웹사이트 ]⠀
세계대학평가 역대 최고 순위 | |
QS | 자연과학 세계 345위(국내 12위) 2024 |
THE | 물상과학 세계 201-250위(국내 4-6위) 2022 |
CWTS | 물상과학·공학 세계 379위(국내 5위) 2024/PP(top 10%) |
Nature Index | 물상과학 세계 100-위(국내 14위) 2018 |
2. 학과
2.1. 수학통계학과
학위명: 이학사 FM: 비상수통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6%; min-height: 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 -5px -1px -20px" | 연혁 | |
연도 | 학과 | |
1987 | 수학과신설, 응용통계학과신설[1] | |
1995 | 자연과학부 (수학전공), 전산·정보·응용통계학부 (응용통계전공)[2] | |
1996 | 이학부 (응용수학전공)[3] | |
1998 | 응용수학과[4] | |
2003 | 수리물리학부 (응용수학전공) | |
2004 | 수학통계학부 (응용수학전공) | |
2008 | 수학통계학부 (수학전공, 응용통계학전공) | |
2022 | 수학통계학과 | |
- ⠀[ 소개영상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width=1000> 소개영상 ||
- ⠀[ 웹사이트 ]⠀
세계대학평가 역대 최고 순위 | |
QS | 수학 세계 201-250위(국내 8위) 2025 |
ARWU | 수학 세계 201-300위(국내 2-7위) 2023 |
USN & WR | 수학 세계 86위(국내 1위) 2024 2024 |
CWTS | 수학·컴퓨터과학 세계 198위(국내 2위) 2024/PP(top 10%) |
● 학과 소개
수학통계학과는 수학과 응용통계학에 대해 배우는 학과이다. 1학년 과정에서는 일변수미적분학, 다변수미적분학, 선형대수학1 과목을 통해 수학적 기초를 다진다. 또한 통계학1 과목을 통해 데이터 정리, 여러 가지 확률분포와 표본분포를 배운다.[5]
수학에 대해 심도 깊게 배우기 위해, 2학년 과정에서는 해석학개론1·2 과목을 통해 고전해석학의 기본 개념을 배운다. 또한 선형대수학2 과목을 통해 선형대수학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그뿐만 아니라 수치해석, 조합론, 확률론 등 여러 수학 이론을 배운다. 3학년 과정에서는 현대대수학1·2 과목을 통해 현대대수학의 기본체계 및 이론을 배운다. 또한 복소수해석학, 정수론 등 여러 과목을 통해 기존의 수학적 지식을 심화한다. 4학년 과정에서는 기존 과정에서 얻은 수학적 지식을 응용하여 보험수학, 위상수학 등 여러 분야의 수학을 배운다.[6]
수학을 바탕으로 통계이론과 컴퓨터를 이용한 통계기법[7]을 배우는 응용통계학에 대해 심도 깊게 공부하기 위해, 2학년 과정에서는 통계학2 과목을 통해 기초적인 통계학 개념과 통계패키지[8] 사용법을 배운다. 또한 확률론 과목을 통해 확률을 이해하고 응용한다. 그뿐만 아니라 선형대수학2, 미분방정식 등의 과목을 통해 통계학의 토대가 되는 수학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 3학년 과정에서는 전산통계실습 과목을 통해 통계패키지와 관련된 컴퓨터 지식을 배우며, 회귀분석 과목을 통해 자료분석에 흔히 이용되는 통계기법을 배운다. 또한 수리통계학2 과목을 통해 기초통계학에서 배운 추정과 검정을 수학적으로 고찰하고 추가적인 통계학 개념을 배운다. 4학년 과정에서는 다변량통계분석, 시계열자료분석 등 심화된 통계이론들을 배운다.[9]
● 연구 및 부설기구(연구소)
- 생물통계학 연구실(이승연 교수(통계전공))
- 학부과정 이후 대학원을 진학하고자 하는 학부생들을 중심으로 의학 및 보건학에 응용되는 생물통계학과 관련된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R, SAS, 파이썬 프로그램을 익히도록 하고, 생존분석과 머신러닝에 대한 주제로 논문을 발췌하여 매주 세미나에서 발표하여 고급통계학을 학습하도록 하고 있다.
- 본 연구실에서 수행한 연구과제는 생존모형과 관련하여 유전자-유전자 교호작용을 다중차원축소 방법으로 확장하는 것과 췌장암을 조기 진단할 수 있도록 유의한 바이오마커들을 유전체 자료로부터 찾아 생존예측모형을 구축하는 방법론에 관한 것이다.
- 본 연구실에서 배출된 연구원들은 매년 꾸준하게 고려대학교와 성균관대학교 일반통계대학원에 진학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처음으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원의 의학통계학과에 진학한 바 있다.
● 주요 연구 분야
- 하길찬 교수: 수학
양자 컴퓨터, 양자암호를 포함한 양자정보기술의 기반이 되는 핵심 현상인 양자얽힘에 대한 연구와 머신러닝, 계산수학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양자정보기술에 대한 세부 연구 분야는 함수해석학을 이용한 양자 얽힘의 판별, 양자 얽힘의 정도에 대한 분류 등이 있고, 머신러닝과 계산수학에 대한 세부 연구 분야는 딥러닝의 성능에 대한 이론적 분석, 최적화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등이 있다.
2.2. 물리천문학과
학위명: 이학사 FM: 무한물천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6%; min-height: 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 -5px -1px -20px" | 연혁 | |
연도 | 학과 | |
1987 | 물리학과신설[10] | |
1995 | 자연과학부 (물리전공)[11] | |
1996 | 이학부 (물리학전공)[12] | |
1998 | 물리학과[13] | |
2003 | 수리물리학부 (물리학전공, 천문우주학전공신설) | |
2003 | 수리물리학부 (물리학전공), 지구천문학부 (천문우주학전공) | |
2005 | 물리천문지구환경학부 (물리학전공, 천문우주학전공) | |
2008 | 물리천문학부 (물리학전공, 천문우주학전공) | |
2010 | 물리학과, 천문우주학과 | |
2015 | 물리천문학과 | |
- ⠀[ 소개영상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width=1000> 소개영상 ||
- ⠀[ 웹사이트 ]⠀
세계대학평가 역대 최고 순위 | |
QS | 물리·천문학 세계 201-250위(국내 8위) 2018 |
ARWU | 물리학 세계 201-300위(국내 2-8위) 2023 |
USN & WR | 물리화학 세계 297위(국내 17위) 2024 2024 물리학 세계 427위(국내 10위) 2024 2024 |
● 학과 소개
물리천문학과는 물리학과 천문학을 배우는 학과이다. 국내의 학사 과정에서는 경북대, 경희대, 서울대, 세종대, 연세대, 충남대, 충북대에서만 천문학을 가르치고 있기 때문에 물리천문학과는 희소성이 높은 학과이다. 세종대 물리천문학과는 이론천문학, 관측천문학, 우주과학 세 가지 분류 중 관측천문학에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이지만 우주론 및 외부은하천문학이 특화된 특이한 경우이다. 물리천문학과는 물리천문학과만의 전산실습실을 갖추고 있으며, 76cm 반사망원경[14], 40cm 반사망원경[15], 다수의 8인치 반사망원경·쌍안경, 6인치 쌍안경 등의 천체 관측 장비와 CCD, 광전측광계와 같은 광검출 장치를 보유하고 있다. 물리천문학과 학생들은 영실관 옥상에 있는 천문망원경을 사용하여 별을 관측한다.
2010년 개소한 물리천문학과 그래핀 연구소는 국내 최초 집단연구사업인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정부로부터 총 54억 원의 지원을 받았다.[16] 또한 2014년부터 물리천문학과가 SDSS[17]라는 우주 거대구조 연구 프로젝트의 준회원이 됨에 따라 SDSS로부터 국제 천문학계의 최상급 3차원 우주 지도 데이터를 공급받아 여러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세종대의 경우는 오히려 관측천문학 강의들이 아닌 외부은하천문학의 영역이라 할 수 있는 은하천문학, 중력과 상대론, 현대우주론 강좌 등이 타 대학과 구분되는 특화 강의이다. 이뿐만 아니라 물리천문학과는 미국 국립천문대 산하의 WIYN observatory와 2016년 8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유효한 협정을 맺었다.[18]
물리천문학과 졸업자는 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정보통신 분야에 진출하고 있으며,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포함한 전산물리트랙을 이수하여 금융모형분석과 같은 금융 분야로도 진출하고 있다. 또한 국립과학관, 한국과학문화재단, 과학교육 기자재 기업, 천문기기 기업 등 여러 천문학 및 과학 관련 공공기관과 기업에서도 근무하고 있다.
물리천문학과는 2010년부터 星지순례[19]라는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星지순례는 물리천문학과 구성원들이 2박 3일 동안 함께 숙식하며 낮에는 천문대 견학 및 협동 활동을 하고 밤에는 소형망원경을 통해 천체를 관측하는 행사이다. 또한 물리천문학과에서 전통적으로 '별밤축제'라는 행사가 열리는데, 세종대학교 학생, 교직원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참여 가능한 행사이다. 보통 천문학과 관련된 행사를 진행하는데, 그 중 가장 눈에 띄는 행사는 플라네타리움이다. 플라네타리움은 큰 돔의 형태를 띄고 있는데 이 안에 들어가서 진행자가 기기를 조작하면 실제 우주에 와 있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행사들이 준비되어 있다.
● 학과 프로그램
- 별밤축제
물리천문학과에서는 매년 5월에서 6월 사이에 천문학 대중 행사인 “별밤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별밤축제에서는 천체 투영관 관람, 학부생 강연, 잡지 제작, 관측 등의 행사를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이를 통해서 천문학의 아름다움과 우리의 일상 속에서도 천문학을 즐길 수 있음을 알려줄 수 있다.
- 학술제
매년 11월에는 물리천문학과 학부생들과 물리학과 대학원생, 천문우주학과 대학원생 그리고 학과 교수들을 포함한 학과 모든 구성원들이 참여하는 학과의 학술발표 및 연구실 탐방 행사인 학술제가 있다.
- 피아캠프
물리학 및 천문학 관련 연구소 견학 및 천문관측 프로그램인 피아캠프(PhyA camp)는 1박 2일에 걸쳐서 진행하는 행사다.
- 물리천문학과 콜로퀴움
물리, 천문 분야의 전문가를 초청하여 강의를 들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대학생이 접하기 어려운 새로운 이론과 기술, 실무현장에 대해 들을 수 있는 물리천문학과의 특별 프로그램이다.
- 졸업생 취업간담회
물리천문학과 졸업생이 학부생들에게 자신의 취업성공 노하우와 실무경험담을 알려주는 시간이다. 물리천문학과에서는 연 1~2회 졸업생 취업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 연구 및 부설기구(연구소)
- 기초물리학 연구소(IFP)
기초물리학 연구소는 탁월한 전문 연구 인력을 양성하여 국내의 물리학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소는 본교의 우수한 연구인력이 입자물리, 핵물리, 응집물리, 통계물리, 광학 등의 다양한 물리분야의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적절한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국내외 물리학자들과 이론 물리 및 실험 물리 전 분야에 있어서 공동연구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제반 여건을 조성하여 이를 기반으로 뛰어난 연구를 수행한다.
- 그래핀 연구소
2004년 흑연에서 단일 원자층 두께의 그래핀을 분리하는 기술로 출발한 그래핀 기술은 차세대 반도체 전자소자, 방열소재, 투명전극, 디스플레이 산업 등에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세종대학교 그래핀 연구소는 대한민국 최초의 그래핀 관련 연구소로, 그래핀 분야 연구의 선봉에서 그래핀 나노소자 개발과 해외 협력을 하고 있으며, 고급 연구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 GRI - TPC 국제공동연구센터
GRI-TPC 국제공동연구센터는 세종대 그래핀 연구소와 미국 텍사스 대학교 Texas Photonics Center가 공동으로 개설한 연구기관으로 2차원 소재 기반의 포토닉스 응용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센터다. 2차원 소재 기반의 포토닉스 응용을 통한 고급 연구 인력 배양을 하고 있다.
- 야누스 2차원 반도체의 밸리스핀트로닉스 기초연구실
세종대학교 물리천문학과의 교수진은 2021년 과학기술통신부의 기초연구실 지원 사업에 물리 분야 3개의 연구실 중 하나로 선정되어 지원을 받게 되었다. 본 기초 연구실에서는 야누스 2차원 반도체의 전산모사, 성장/합성 및 분석을 통해 밸리스핀트로닉스 소재/소자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야누스 2차원 반도체 디자인, 합성 전산모사 및 특성 평가를 통한 야누스 2차원 반도체 소재 최적화, 밸리스핀트로닉스 소재 특성 평가 및 소자 개발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고 있다.
● 주요 연구 분야
- 김세용 교수
격자QCD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로 슈퍼컴퓨터를 만드는 연구를 진행했으며 인텔 슈퍼컴퓨터의 오류를 발견하였다. 한국 슈퍼컴퓨터의 조력자임과 동시에 우주 초기 암흑 물질 연구 중에 있다. 김세용 교수는 2021 '세계 기상의 날' 기념식에서 근정포장을 수상하였다. 근정포장은 기상업무 발전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은 사람에게 기상청과 정부가 수여하는 상으로, 기상정보 생산에 필수인 국가기상슈퍼컴퓨터 5호기 도입 기본계획 수립부터 규격서 작성 및 심의, 제안서 평가 심의까지 사업의 전 과정에 관여하여 슈퍼컴퓨터 5호기의 성공적 구축에 크게 기여하였다.
- 김용선 교수
주 연구주제는 '시간투영검출기를 이용한 희귀 핵구조 탐사'다. 연구 내용은 핵 내부에 형성되는 alpha-cluster 측정과 소립자들이 만들어내는 상호분석이다. 중이온 가속기 충돌 실험에서 생성되는 입자를 관측할 수 있는 최신 검출기를 만들 예정이다. 현재 국내에 거대 입자가속기가 없어 과학자들이 외국 연구소에서 실험하고 있는 만큼 국내 최초 한국형 가속기를 이용한 이번 연구는 중요성이 크다. 또한 포스코청암재단이 지원하는 '제12기 포스코사이언스펠로십' 과학자로 선정되었다.
- 이성훈 교수
이성훈 교수 연구팀(물리천문학과 천승현 교수, 나홍렬 박사과정 연구원)은 우수한 민감도와 신축테스트 안정성을 보여주는 저항 기반의 플렉시블 압력센서를 개발하였다. 이번 연구는 수직성장형 그래핀이 가지는 독특한 구조를 응용해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는 기술을 다루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저널 'npj Flexivle Elecronics'에 게재되었다.
- 이희원 교수
공생별과 행성상성운에서 나타나는 라만 산란광과 초기 우주의 라이먼 알파 방출 천체와 활동성 은하핵의 주변 두꺼운 수소 지역에서 되는 산란광의 원자 물리학과 복사 전달을 연구하고 있다. 장석준 연구원과 함께 초기 우주의 라이먼 알파 방출 천체에서 라이먼 알파선의 복사 전달을 연구하고 있으며, 장석준 연구원은 이희원 교수의 지도로 grid-based Monte Carlo 기법의 복사 전달을 기술하는 'Sejong Radiative Transfer through Raman and Rayleigh Scattering (STaRS)' 코드를 개발하였다.
- 이재우 교수
2017년 WIYN consortium의 공식 파트너로 참가하여 북반구 구상성단에 대한 가시광 전천 탐사 관측을 시작하였다. 기존에 수행하였던 CaII H&K를 포함하는 확장 스트룀그렌 측광계와 세계 최초로 고안한 JWL34, JWL39, JWL43 필터시스템을 포함하는 “JWL 측광계”를 확립하였다. 또한 구상성단 M5의 생성과정에 대한 논문을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에 발표하였다. 이 논문은 미국천문학회에서 발간하는 NOVA에 주목할 만한 연구성과로 선정되었다.
- 채규현 교수
2020년에 은하들의 회전속도곡선을 분석하여 수정 뉴턴 역학이 예측하는 외부중력장효과에 대한 증거를 발견했으며 후속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나선은하의 회전곡선에서 수정 뉴턴 역학에 대한 새로운 증거를 발견하였다.
- 김성은 교수
테라헤르츠 및 전파 천문 연구실 소속 연구원들과 테라헤르츠 파장대역에서 주로 전자기파를 방출하는 은하들 및 천체측광학적 적색편이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EAZY, ZEBRA 코드 등을 분석하여 측광학적 적색편이의 오차 범위에 관해 재조명하였다. 이 중 1752개의 은하들에 관한 결과를 Astrophysics and Space Science 국제 학술지에 발표하였고, 적색편이에 따른 별 형성률 밀도 분포 양상과 별 형성률 밀도의 최대 값이 관측되는 적색편이 영역이 Madau and Dickinson (2014) 결과와 차이가 있음을 발표하였다.
- Graziano Rossi 교수
은하와 퀘이사에 대한 통계적 분포 연구, 수치 시뮬레이션, 중성미자, 그리고 암흑에너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해당 연구팀은 SDSS에서 역대 최대 규모의 우주입체지도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발표를 통해서 고해상도 우주 유체역학 시뮬레이션 'Sejong Suite'를 만들어 냈다.
- 오세헌 교수
고분해능 중성수소 선 스펙트럼 관측을 통해 외부은하들의 가스 동역학이 성간물질의 구조와 은하 내 물질분포 및 별 생성에 미치는 영향과 궁극적으로 이들이 은하 형성과 진화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연구하고 있다. 호주의 ASKAP 전파 간섭계를 사용한 남반구 외부은하 중성수소 전천탐사 프로젝트인 WALLABY에서 “국부 우주에 위치하는 외부은하들에 대한 과학 연구” 분과의 공동의장을 맡고 있다.
2.3. 화학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종대학교/학부/자연과학대학/화학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종대학교/학부/자연과학대학/화학과#|]][[세종대학교/학부/자연과학대학/화학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학위명: 이학사 교직이수 FM: 우하화학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6%; min-height: 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 -5px -1px -20px" | 연혁 | |
연도 | 학과 | |
1973 | 과학교육과신설[20] | |
1978 | 화학과[21] | |
1982 | 이공계열 (화학과)[22] | |
1983 | 화학과[23] | |
1987 | 화학과[24] | |
1995 | 자연과학부 (화학전공)[25] | |
1996 | 이학부 (화학전공)[26] | |
1998 | 화학과[27] | |
2001 | 응용화학과 | |
2003 | 화학생물학부 (응용화학전공) | |
2003 | 응용화학부 (응용화학전공) | |
2004 | 화학생물학부 (응용화학전공) | |
2007 | 화학생물학부 (화학전공) | |
2008 | 화학환경학부 (화학전공) | |
2009 | 화학과 | |
- ⠀[ 웹사이트 ]⠀
세계대학평가 역대 최고 순위 | |
QS | 화학 세계 351-400위(국내 14위) 2023 |
USN & WR | 물리화학 세계 297위(국내 17위) 2024 2024 화학 세계 497위(국내 17위) 2024 2024 |
Nature Index | 화학 세계 100-위(국내 25위) 2018 |
3. 세계대학평가
{{{#46515b,#f5f5f5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9%; min-height:2em" {{{#!folding ⠀[ 10년대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연도 | 평가기관 | 평가내용 |
<colbgcolor=#f5f5f5,#f5f5f5>2016 | QS | 물리·천문학 세계 251-300위 # | |
CWTS | 수학·컴퓨터과학 세계 647위(국내 22위) # 물상과학·공학 세계 699위(국내 20위) # | ||
Nature Index | 물상과학 세계 100-위(국내 25위) # 화학 세계 100-위(국내 33위) # | ||
2017 | QS | 물리·천문학 세계 201-250위(국내 8-9위) # 화학 세계 351-400위(국내 13-17위) # 자연과학 세계 395위(국내 13위) # | |
ARWU | 물리학 세계 401-500위(국내 12-15위) # | ||
CWTS | 수학·컴퓨터과학 세계 502위(국내 6위) # 물상과학·공학 세계 609위(국내 13위) # | ||
Nature Index | 물상과학 세계 100-위(국내 22위) # 화학 세계 100-위(국내 31위) # | ||
2018 | QS | 물리·천문학 세계 201-250위(국내 8위) # 자연과학 세계 372위(국내 12위) # 화학 세계 401-450위(국내 15-17위) # | |
THE | 물상과학 세계 401-500위(국내 9-14위) # | ||
ARWU | 물리학 세계 401-500위(국내 10-15위) # | ||
CWTS | 수학·컴퓨터과학 세계 554위(국내 8위) # 물상과학·공학 세계 646위(국내 13위) # | ||
Nature Index | 물상과학 세계 100-위(국내 14위) # 화학 세계 100-위(국내 25위) # | ||
2019 | QS | 물리·천문학 세계 251-300위(국내 8-9위) # 자연과학 세계 401-450위(국내 12-14위) # 화학 세계 451-500위(국내 14-16위) # | |
THE | 물상과학 세계 401-500위(국내 10-12위) # | ||
CWTS | 수학·컴퓨터과학 세계 252위(국내 2위) # 물상과학·공학 세계 727위(국내 17위) # | ||
Nature Index | 물상과학 세계 100-위(국내 17위) # 화학 세계 100-위(국내 35위) # | ||
{{{-3 ※ 상기 CWTS 순위는 PP(top 10%) <피인용 상위 10% 논문 비율>을 기준으로 한 순위입니다. | |||
- ⠀[ 20년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c9c9c9,#c9c9c9><width=1000><:>연도||<width=20%><:>평가기관||<width=65%><:>평가내용||
<colbgcolor=#f5f5f5,#f5f5f5>2020 QS 물리·천문학 세계 301-350위(국내 9-11위) #
자연과학 세계 451-500위(국내 13-16위) #
화학 세계 501-550위(국내 16-18위) #THE 물상과학 세계 301-400위(국내 7-10위) # CWTS 수학·컴퓨터과학 세계 362위(국내 3위) #
물상과학·공학 세계 660위(국내 7위) #Nature Index 물상과학 세계 100-위(국내 18위) #
화학 세계 100-위(국내 39위) #2021 QS 물리·천문학 세계 301-350위(국내 8-11위) #
자연과학 세계 451-500위(국내 14-16위) #
화학 세계 451-500위(국내 15-18위) #THE 물상과학 세계 201-250위(국내 6-7위) # ARWU 물리학 세계 401-500위(국내 7-13위) # CWTS 수학·컴퓨터과학 세계 491위(국내 3위) #
물상과학·공학 세계 597위(국내 5위) #Nature Index 물상과학 세계 100-위(국내 18위) #
화학 세계 100-위(국내 34위) #2022 QS 물리·천문학 세계 301-350위(국내 9-12위) #
자연과학 세계 451-500위(국내 15위) #
화학 세계 501-550위(국내 18-19위) #THE 물상과학 세계 201-250위(국내 4-6위) # ARWU 물리학 세계 401-500위(국내 9-13위) # CWTS 수학·컴퓨터과학 세계 406위(국내 4위) #
물상과학·공학 세계 587위(국내 7위) #Nature Index 물상과학 세계 100-위(국내 27위) #
화학 세계 100-위(국내 36위) #2023 QS 물리·천문학 세계 251-300위(국내 8-10위) #
화학 세계 351-400위(국내 14위) #
자연과학 세계 401-450위(국내 11-14위) #
수학 세계 451-500위(국내 12-15위) #THE 물상과학 세계 201-250위(국내 6-8위) # ARWU 수학 세계 201-300위(국내 2-7위) #
물리학 세계 201-300위(국내 2-8위) #USN & WR 물리화학 세계 359위(국내 20위) # #
물리학 세계 556위(국내 15위) # #
화학 세계 645위(국내 22위) # #CWTS 수학·컴퓨터과학 세계 241위(국내 2위) #
물상과학·공학 세계 457위(국내 5위) #Nature Index 물상과학 세계 100-위(국내 28위) #
화학 세계 100-위(국내 44위) #2024 QS 물리·천문학 세계 251-300위(국내 8위) #
수학 세계 301-350위(국내 8위) #
자연과학 세계 345위(국내 12위) #
화학 세계 451-500위(국내 17-19위) #THE 물상과학 세계 201-250위(국내 8-9위) # ARWU 수학 세계 201-300위(국내 3-4위) #
물리학 세계 201-300위(국내 3-8위) #USN & WR 수학 세계 86위(국내 1위) # #
물리화학 세계 297위(국내 17위) # #
물리학 세계 427위(국내 10위) # #
화학 세계 497위(국내 17위) # #CWTS 수학·컴퓨터과학 세계 198위(국내 2위) #
물상과학·공학 세계 379위(국내 5위) #Nature Index 물상과학 세계 100-위(국내 25위) #
화학 세계 100-위(국내 36위) #2025 QS 수학 세계 201-250위(국내 8위) #
물리·천문학 세계 251-300위(국내 10-11위) #
자연과학 세계 393위(국내 11위) #
화학 세계 451-500위(국내 18-19위) #{{{-3 ※ 상기 CWTS 순위는 PP(top 10%) <피인용 상위 10% 논문 비율>을 기준으로 한 순위입니다.
4. 국책사업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5><tablebordercolor=#b93234,#b93234><tablebgcolor=#b93234,#b93234> | 세종대학교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9%; min-height:2em" {{{#!folding ⠀[ 10년대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연도 | 사업명 | 지원 총액 | 주관 | 수혜 대상 |
<colbgcolor=#f5f5f5,#f5f5f5> 2015 | 소프트웨어중심대학 지원사업 # | 120억원 (6년 간) | 미래부 | ||
2016 | 대학ICT연구센터 육성지원 사업 # | 45억원 (6년 간) | 미래부 | (모바일 가상현실 연구센터) | |
대학 특성화 사업 (CK사업) # | 22억원 (2년 5개월 간) |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 (아시아태평양 미래개척 창의인재 양성단) | ||
사이버전 특화 연구사업 # | 48억원 (6년 간) | 방사청 | (신동규 교수 연구팀) | ||
2017 | 대학창조일자리센터 우선협상대학 # | 30억원 (5년 간) | 고용부 | 세종대 재학생 | |
대학기술경영센터 # | - | 미래부 | 세종대 산학협력단 | ||
K-무크 선도대학 # | 1.5억원 | 교육부 | 세종대 | ||
캠퍼스타운 종합형 사업 # | 100억원 (4년 간) | 서울시 | |||
2018 | 기후 변화대응 기술개발사업 # | 106억원 (5년 간) | 기상청 | (송지현 교수) | |
대학ICT연구센터 육성지원 사업 # # | 45.3억원 (6년 간) | 과기정통부 | (무인항공 IT 융합 연구센터) | ||
재난 지진분야 전문인력 양성대학 # | 4억원 (2년 간) | 행안부 | 세종대 | ||
주말예술캠퍼스 사업 # | - |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 | |||
2019 | 연구과제 # | 39억원 (7년 6개월 간) | 정보통신 기획평가원 | (김영갑 교수 연구팀) | |
2차 LINC+ 육성사업 # | 30억원 (3년 간) |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 | ||
몽골 관광인력 역량강화 사업 # | 5.19억원 | 한국관광공사 | (관광산업데이터분석랩) | ||
대학운동부 평가 및 지원 사업 # | - | 한국대학 스포츠협의회 | |||
인공지능융합 선도프로젝트 # | 47억원 (2년 9개월 간) | 정보통신 기획평가원 | (유성준 교수 연구팀) | ||
기후변화 특성화대학원 협약 # | 35억원 (5년 간) | 한국환경공단 | 기후에너지융합학과 (세종대 대학원) | ||
{{{#000,#f5f5f5 ※ 단과대학·학과 이름을 누르면 해당 문서로 이동합니다. | |||||
- ⠀[ 20년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d3d3d3,#d3d3d3><width=1000> 연도 ||<width=30%> 사업명 ||<width=15%> 지원 총액 ||<width=15%> 주관 ||<width=30%> 수혜 대상 ||
<colbgcolor=#f5f5f5,#f5f5f5> 2020 몽골 관광인력
역량강화 연수사업 #- 한국관광공사
(관광산업데이터분석랩)메이커 스페이스
특화랩 #2.5억원 중소벤처기업부,
광진구이공학 학술연구
지원사업(7개) #63억원
(9년 간)교육부,
한국연구재단,
한국기초과학
지원연구원
(자율지능 무인비행체
연구소)2021 미래도전기술
개발사업 #60억원
(5년 간)국방과학연구소
(강지원 교수 연구팀)정보보호 특성화대학
사업 #32.4억원
(6년 간)과기정통부 기초연구실 지원사업 # 15억원
(3년 간)과기정통부,
한국연구재단
(홍석륜 교수 연구팀)대학ICT연구센터
육성지원 사업 #64억원
(8년 간)과기정통부
(김재호 교수)전력연구원 사외공모
기초연구 전략과제
사업 #17.5억원 한국전력공사 2022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사업 #37.5억원
(5년 간)고용부 세종대 취업지원처융합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사업 #9억원
(3년 간)산업부,
한국진흥원
미래우주교육센터
사업 #- 과기정통부 방위산업 계약학과
지원사업 #- 방사청 이공분야 학술연구
지원사업 # #58억원
(9년 간)교육부
(탄수화물소재연구소)기초과학 연구역량
강화사업 #41억원
(6년 간)교육부
(금속유기화합물
첨단소재응용
핵심연구지원센터)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 사업 #20억원 교육부 세종대 입학처원자력 안전성
향상과 규제 사업 #54억원 산업부,
한국원자력
안전재단,
과기정통부
(김종성, 정해용,
정우식, 임경택 교수)알키미스트
프로젝트 #200억원
(5년 간)산업부,
서울대
(박성권 교수 연구팀)대학ICT연구센터
육성지원 사업 #80억원
(8년 간)과기정통부
(초실감XR 연구센터)ICT혁신인재
4.0사업 #25억원
(5년 간)과기정통부 자원특화대학사업 # 6억원
(3년 간)산업부,
교육부2023 메타버스
융합대학원 사업 #55억원
(6년 간)과기정통부 우주 소재·부품·장비
전문인력 양성 사업 #7억원
(5년 간)산업부
한국산업
기술진흥원우주항공공학전공기계공학과
(세종대 대학원)대학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 사업
(브릿지 3.0) #6.6억원 교육부 세종대디지털 물산업
혁신인재 양성사업 #16억원
(1년 9개월 간)교육부,
환경부고준위방폐물관리
학계 전문인력양성
대학지원 사업 #5.65억원
(4년 6개월 간)원자력환경공단 국방핵심기술
특화연구센터
연구지원 사업 #180억원
(6년 간)국방기술
진흥연구소
(홍우영 교수 연구팀)인문사회융합인재
양성사업 #90억원
(3년 간)교육부
한국연구재단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 #69.3억원
(9년 간)교육부
한국연구재단
(딥러닝건축연구소){{{#000,#f5f5f5 ※ 단과대학·학과 이름을 누르면 해당 문서로 이동합니다.
5. 업무협약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5><tablebordercolor=#b93234,#b93234><tablebgcolor=#b93234,#b93234> | 세종대학교 | }}} | ||
업무협약 상대 기관 | |||||
<colbgcolor=#f5f5f5,#f5f5f5> 대기업 | KT, SK텔레콤, 한화시스템, 한화오션, LG전자, 롯데컬처웍스, 에어비앤비 등 | ||||
중견기업 | 한컴MDS, NHN, LIG넥스원, 한컴그룹, 배달의민족, SPC그룹, 비상교육 등 | ||||
공공기관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한국중부발전, 한국동서발전,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환경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기술보증기금 등 | ||||
국군 계약학과 | |||||
연도별 업무협약 체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9%; min-height:2em" {{{#!folding ⠀[ 10년대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연도 | 상대기관 | 협약내용 | 체결기관 | |
<colbgcolor=#f5f5f5,#f5f5f5> 2017 | 한국정보기술연구원 # | IT·정보분야 연구 및 실무 교육 | |||
서울한영대 # | VR 기술개발 및 창업활성화 협력 | 세종대 (창업지원단) | |||
국방정보통신협회 # | 국방 ICT 부문 업무제휴 | (인공지능-빅데이터 연구센터) |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서울강원지역본부) # | 소상공인 및 프랜차이즈 분야 발전 | (경영전문대학원) | |||
육군 # | 사이버 우수인력 육성 (사이버 분야 장교 임관트랙 개설) | ||||
2018 | 한국데이터 산업진흥원 # | 빅데이터 인재양성 | |||
기상청 # | 기상·기후 업무제휴 | 세종대 | |||
충북대학교 /한국용존 원자수소연구원 /한국디지털문화진흥회 # | '용존원자수소수' 관련 협력 | 세종대 | |||
2019 | 한국중부발전 # | 계약학과 운영 (기후에너지융합학과) | |||
SPC그룹 # | 교육협력 | (경영전문대학원) | |||
LIG넥스원 # | 국방기술 협력 | ||||
한국토지주택공사 (LH) # | 기후변화 대응 | 세종대 | |||
해군 # | 연구협력 | ||||
고양문화재단 # | 문화예술분야 협력 | ||||
{{{-3 ※ 단과대학·학과 이름을 누르면 해당 문서로 이동합니다. | |||||
- ⠀[ 20년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d3d3d3,#d3d3d3><width=1000> 연도 ||<width=30%> 상대기관 ||<width=30%> 협약내용 ||<width=30%> 체결기관 ||
<colbgcolor=#f5f5f5,#f5f5f5> 2020 배달의민족 # 산학협력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연구협력 세종대
(기후환경융합센터)한국과학기술
정보연구원 #미래 인적자원 개발 세종대기술보증기금 # 'U-TECH 밸리'
관련 협력세종대에어비앤비 # 산학협력
(관광산업 맞춤형
융복합 인재 발굴
및 공동양성)롯데컬처웍스 # 산학협력
(융합예술대학원)한국동서발전 # 기후변화·에너지
·환경분야 전문 인재 양성2021 한국환경연구원 # 기후변화 대응
및 통합물 관리에 관한
업무 협력세종대한컴MDS # AI산업 육성
업무제휴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NHN # 웹툰제작
산학프로젝트 진행
(LINC+ 사업단
글로벌CGI
애니메이션 트랙)LG전자 # 산학연계수업 진행 한화시스템 # 사이버 공방
훈련장 개소건국대, 장신대, 한양대 # 캠퍼스타운 관련 협력 한컴그룹 # 드론·항공우주
공동 연구개발2022 한화오션 # 국방 인공지능 무인기술
연구협력체계 구축
(SW-AI중심대학
추진단)한화 종합연구소 # 국방분야 교육협력
(SW-AI중심대학
추진단)2023 성동광진
교육지원청 #교육 인프라 공유 세종대건국대 # 대학혁신지원사업
공유협력세종대성동구 상공회 # 상호협력 세종대반랑대학교
(베트남) #상호협력
(교육대학원)광진구상공회 # 상호협력
(캠퍼스타운조성단)KT # 메타버스 기술협력
(초실감XR연구센터)SK텔레콤 # AI·XR(확장현실) 분야
교육과 공동 연구 등
산학협력
(메타버스융합대학원)비상교육 # 인공지능 관련
산학협력
(김수연 교수 연구팀)육군사관학교 # 교수·학생 상호 교류,
연구협력, 시설 상호 이용세종대{{{-3 ※ 단과대학·학과 이름을 누르면 해당 문서로 이동합니다.
[1] 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88학년도 신입생모집(전기)[2] 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96학년도 신입생모집[3] 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97학년도 신입생 모집(“다”군)[4] 동아일보 - 창립 52주년 전통의 세종대학교가 지식혁명을 주도할 인재를 찾습니다[5] 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17년도 세종요람[6] 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17년도 세종요람[7] 통계처리기법 및 통계분석기법[8] 통계패키지는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소프트웨어다.[9] 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17년도 세종요람[10] 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88학년도 신입생모집(전기)[11] 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96학년도 신입생모집[12] 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97학년도 신입생 모집(“다”군)[13] 동아일보 - 창립 52주년 전통의 세종대학교가 지식혁명을 주도할 인재를 찾습니다[14] 76cm 반사망원경은 소백산 천문대로의 이전이 계획되어 있다.[15] 40cm 반사망원경은 곤지암 소재의 천문대에 설치되어 있다.[16] 이 사업을 주도한 홍석륜 물리천문학과 교수는 2012년 75억 원 규모 나노소재 기술개발 사업의 총괄책임자로 선정됐다.[17] SSDS(Sloan Digital Sky Survey)는 지구에서 대략 30억 광년 이내의 우주를 측량하여 우주의 3차원 지도를 구축하는 세계 최대의 천문 프로젝트이다. 미국, 독일, 일본의 여러 대학과 기관 등이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국내에선 세종대와 한국천문연구원, 고등과학원 세 곳이 참여 중에 있다.[18] 세종대학교 홍보실 - <특별기획> QS 세계대학평가 국내 TOP 10 진입! 세종대 5개 학과의 경쟁력 ④물리천문학과 - 전문성 갖춘 인재양성이 강점[19] 별 성(星)과 성지순례의 합성어[20] 경향신문 - 수도여자사범대학 1973학년도 학생모집, 2022년도 세종요람 - 학사학위수여자현황 (987p), 1977년 2월 23일 최초의 과학교육과 학사학위 수여[21] 동아일보 - —수도여자사범대학 개편— 세종대학 교수초빙[22] 조선일보 - 1982학년도 신입생모집[23] 조선일보 - 1983학년도 신입생모집[24] 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88학년도 신입생모집(전기)[25] 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96학년도 신입생모집[26] 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97학년도 신입생 모집(“다”군)[27] 동아일보 - 창립 52주년 전통의 세종대학교가 지식혁명을 주도할 인재를 찾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