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문서 : 지리 관련 정보, 서해 5도
- 관련문서 : 대한민국의 섬 목록, 대청도, 섬
서해 5도 | ||||
백령도 | 대청도 | 소청도 | 연평도 | 우도 |
,한국 군사정전에 관한 협정 2조 13항에 의함., |
인천광역시의 섬 | |||
{{{#!folding [접기/펼치기] | 중구 | 노랑섬· | |
서구 | |||
동구 | | ||
미추홀구 | | ||
연수구 | | ||
남동구 | | ||
강화군 | 강화도· 괴리섬· 교동도· 기장섬· 납도· 대섬· 돌섬· 동검도· 동그랑섬· 말도· 미법도· 볼음도· 분지도· 비도· 서검도· 석도· 석모도 · 소송도· 수리봉· 수섬· 수시도· 아차도· 용란도· 우도· 주문도· 함박도[주]· 황산도 | ||
옹진군 | 가도· 각흘도· 갑죽도· | ||
[주]: 북한이 점거 중인 상태로, 국방부는 북한의 영역이라 인정하나, 국토정보에는 대한민국 영토로 등재되어 있는 상태이다. |
1. 개요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면 소청리에 있는 섬으로 서해 5도를 이루는 섬이다. 인천~백령도 여객선의 중간기항지다. 면적은 2.91 ㎢, 인구는 240명, 168세대이다. 섬 남쪽에는 스트로마톨라이트로 이루어진 해안인 천연기념물 제508호가 있다. 인천항에서 북서쪽으로 약 165km 떨어진 해상에 위치한다.이곳에 있는 등대는 1906년에 지어진 등대로, 인근의 대청도와 백령도에서도 보일 정도다.
2. 역사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들어와 살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시대에는 소암도라고 불렸다. 1406년에는 대청도와 함께 옹진현에 편입되었다가 다시 16세기경에는 장연현에 소속되었다. 1793년에는 공도 정책을 없애고 대청도와 소청도에 사람이 들어와 살게 되었고 농사도 허락되었다. 1799년에는 두 섬을 수원부(...)로 편입시키고 진을 설치했다. 1894년 갑오개혁 때에는 황해도 장연군에 속했고, 대청도와 가까우니 소청도라고 불리게 됐다. 1928년 백령면의 일부로 예속되었다가 1974년 대청면이 독립하면서 소청도는 대청면의 관할 구역으로 편입되었다. 그리고 1995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인해 경기도 옹진군에서 인천광역시 옹진군이 되었다.3. 소청초 과학기지
소청도에서 37km 떨어진 곳에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가 있다.
2009년 부터 착공에 들어갔으며 2014년도에 건설되었다. 여담으로 가거초 과학기지, 이어도 과학기지 다음으로 가장 늦게 지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