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r Zahlenteufel / The Number Devil
1. 개요
독일의 한스 마그누스 엔첸스베르거가 1997년에 지은 수학, 판타지 소설(동화).삽화가는 로트라우트 수잔네 베르너로, 2016년에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상을 수상했다.
2. 줄거리
매일 악몽을 꾸는 로베르트가 악마와 비슷한 형상을 한 다혈질 수학귀신을 만나 악몽 비슷한 수학꿈을 꾸고 수학귀신에게 가르침받는 내용이다. 느닷없이 튀어나와서 그것도 자기가 가장 싫어하는 과목인 수학을 가르치는 수학귀신에게 처음에는 물론 "저리 꺼져라! 꺼져!"라고 하지만 점점 더 빠져들면서 수학의 매혹적인 부분들을 깨달아가는 내용이다.매 편 옴니버스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로베르트의 다양한 꿈 속 세상이 볼거리. 예를 들면 계산기는 매 꿈마다 형태가 달라지는데, 어떤 날은 말랑말랑한 젤리 형태[3]이며, 어떤 날은 거대한 소파[4]처럼 생겼다.
마지막에 가르칠 대로 다 가르치고 수학낙원/수학천국/수학지옥[5]까지 구경시켜준 수학귀신은 작별을 선언하고 그 이후부턴 로베르트는 그의 꿈을 꾸지 않게 된다. 여기서 밝혀지는 그의 본명은 테플로탁슬.[6] 그리고 로베르트는 여기서 수학천국/수학지옥의 한 관리인에게 피타고라스 훈장을 수여받는데, 이 훈장에는 수학 실력이 대폭 늘어나는 버프가 걸려 있다. 정확히 말하자면 실력이 올라가는 버프가 아니라 그동안 테플로탁슬에게 배운 것들이 쉽게 떠오르게 해주는 도구인 듯 하다.
3. 패러디
네이버 웹툰 실질객관동화에서 패러디되었다. 링크 (유료화됨)피부가 빨간색인 인물이 등장하면, 수학 귀신의 피부색이 떠오르기 때문에 그 인물의 별명이 수학 귀신이 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할 덴마의 롯이나 DC 코믹스의 시네스트로수학귀신을 무찌르는 슈퍼맨, 오버로드의 데미우르고스, 엘더스크롤 시리즈의 생귄 등.
덴마에서는 주연급 조연인 롯의 별명이 되었다. 롯이 수학귀신과는 빨강/뿔/양복에 넥타이, 수염(백경대 버전) 등의 공통점이 있다. 첫 등장 시엔 이름이 나오지 않았는데 이때 "행여 염려하던 상황이 생기면 제가 최대 300명 까지는 어떻게 해 보겠는데 역시 혼자서 천명은 좀…(힘들다)" 라고 걱정하는 모습이 나오며, '셈이 빠르다, 숫자에 강하다' 라는 등의 드립이 난무하며 수학귀신이라고 불렸다. 그리고 롯 본인이 인수분해 운운하여 수학귀신이란 별명이 공식화되었다.
48÷2(9+3)이랑 엮이는 패러디도 등장했다. 링크 (깨진 링크)
이런 것도 있다.
히어로 갤러리에선 시네스트로와 닮았다고 시네스트로를 수학귀신으로 부르기도 한다.
2014년 4월 중순에 같은 수학 관련 캐릭터인 세미가 등장하면서 덩달아 엮이는 중이다. 주로 야한 방향(후방주의)으로 활약 중.
탐정뎐의 엔딩들 중 하나의 제목이 수학귀신이다.
또 다른 패러디물로 '철학 귀신'도 있다. 여기서 '귀신'의 정체는 마르크스이다!
2019년 6월 19일 네이버 웹툰 모죠의 일지에서 패러디되었다. 링크
4. 기타
수학 선생 보켈 박사가 우걱우걱하는 '꽈배기빵'은 바로 한국에서는 프레첼로 잘 알려진 브레철(bretzel)이다.1을 발명한 사람이 수학의 나라에서의 1인자라는 언급이 되어 있다. 또, 두 번째로 높은 사람은 0의 발명자인데, 여기에서는 중국인이 0을 발명했다고 되어 있다.
책 중간 부분에 버트런드 러셀의 1+1=2에 대한 증명이 나와 있다.
피보나치 수열이 꽤나 나온다. 번식하는 토끼의 수를 나타내거나 두 항의 비율이 황금비에 근접하는 사실 등.
로베르트가 는 마지막 가 없으니 이 아니라는 의문을 던지고 테플로탁슬을 매우 빡치게 한다. 책의 77쪽 참고.
이 책에서는 각종 수학 용어를 수학귀신 부르기 편한대로 막 부르는 경향이 있다(…). 물론 실생활에서 잘못된 용어를 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와 비슷한 책으로 한국에는 대학생들이 쓴 '수학의 눈을 잡아라'라는 소설이 있는데, 수학 공부법을 소설로 풀어낸 것이라고 한다. 주요 줄거리는 수학을 싫어하는 고등학생이 악마를 만나 수학의 눈을 찾지 못하면 자존심을 빼앗아먹어 주인공이 수학을 평생 무서워하게 만들겠다는 내용이다.
대한민국 제7차 교육과정 때 초등학교 6학년 국어 교과서에 일부가 수록되기도 했다.
[1] 수학관련 능력을 쉽고 재미있게 향상시킬 수 있는 저서는 앗! 시리즈의 수학이 수군수군 쪽이 더 효능이 있다.[2] 물론 귀신은 한글 번역이고 Teufel은 독일어로 악마를 뜻한다.[3] 이 계산기는 계산할 수 있는 한도를 초과하자 오류가 나면서 질퍽한 반죽이 되어버렸다고 한다.[4] 그날의 공부가 끝나자 로베르트는 피곤하다면서 아예 이 계산기에 드러누워서 잤다.[5] 같은 곳이다. 수학자들에게 천국일 수도 있고 지옥일 수도 있는 곳이라서 이렇게 불린다.[6] 서양권에는 악마는 자신의 '진명'을 들키면 힘을 잃는다는 속설이 있다. 테플로탁슬이 로베르트에게 본명을 밝힌 것은 그를 진정으로 신뢰한다는 증표로 볼 수 있다.